KR101811536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36B1
KR101811536B1 KR1020160090828A KR20160090828A KR101811536B1 KR 101811536 B1 KR101811536 B1 KR 101811536B1 KR 1020160090828 A KR1020160090828 A KR 1020160090828A KR 20160090828 A KR20160090828 A KR 20160090828A KR 101811536 B1 KR101811536 B1 KR 10181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pace
water tank
bottom por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황선웅
안광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36B1/ko
Priority to CN201710512119.0A priority patent/CN107625421B/zh
Priority to US15/651,647 priority patent/US104722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8Transportable devices to obtain potable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4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oling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며, 상기 냉수 배관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 공간을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교반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 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9118호(2015년 2월 25일)에 정수기 구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종래의 정수기, 즉 직수형 정수기의 경우, 탱크내에 냉각수가 저수되고, 상기 탱크내에 냉수 배관 및 냉각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상기 냉각수에 잠겨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증발기 내부로 냉매가 흐르면, 상기 증발기 주변에서 상기 냉각수의 일부가 결빙되어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냉각수와 냉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수 간의 열교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교반 부재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교반 부재가 작동하면 상기 증발기 주변의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 부근의 냉각수가 혼합되어 전체 냉각수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을 따라 흐르느 냉수간의 열교환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상기 증발기 근처에서 형성된 얼음이, 상기 교반 부재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저수조의 벽면 또는 상기 증발기와 충돌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교반 부재에 의하여 냉각수와 함께 불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얼음 조각들이 상기 교반기와 상기 냉수 배관에 부딪히면서, 상기 교반기와 냉수 배관을 파손시키거나 배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며, 상기 냉수 배관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 공간을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 부재는,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교반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증발기 배관이 놓이는 공간과 냉수 배관이 놓이는 공간이 구획 부재에 의하여 분리됨으로써, 냉각수는 두 공간으로 자유로이 이동하여 혼합되는 반면, 상기 증발기 근처에 형성된 얼음은 고립되어 교반기나 냉수 배관에 부딪히는 현상이 차단되어, 충돌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증발기 배관이 놓이는 공간이 구획 부재에 의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분리된 일 구획 공간에 형성된 얼음은 고립되어 증발기나 냉각수 탱크의 벽면에 부딪히는 현상이 차단되므로, 이에 따라 충돌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증발기 근처에 형성된 얼음이 교반기 및 냉수 배관뿐만 아니라, 증발기 및 냉각수 탱크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지므로, 교반기, 냉수 배관, 증발기 및 냉각수 탱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수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냉각수 탱크가 제거된 상태의 냉수 생성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공급 유닛에 장착되는 구획 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상기 구획 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X-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켜 취출되도록 하는 직수형 냉온 정수기이다. 상기 정수기(10)는 다수의 패널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수형 정수기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없이 사용자의 정수 추출 동작시에 정수된 물이 추출되는 형태의 정수기를 말한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과, 양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2)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3)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정수를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전면 패널(11)에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10)의 동작 명령을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정수기(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표시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표시부(14)는, 다수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각 버튼으로 빛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표시부(14)의 버튼을 가압하거나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에는 빛이 조사됨으로써 버튼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도 있으며, 표시부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표시부(14)에는 취수하고자 하는 물의 종류 다시 말해, 냉수, 온수 또는 정수(상온수)를 선택하는 버튼과, 연속 출수를 위한 버튼 등이 제공되며, 온수의 전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버튼과 온수와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제공된다.
물론, 상기 조작표시부(14)에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이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작표시부(14)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정화된 물을 출수하기 위하여 조작 가능한 워터 슈트(15)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 슈트(15)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정화된 물을 출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워터 슈트(15)는 사용자가 정화된 물을 출수하기 위하여 물의 취출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므로, 개폐장치 또는 개폐노즐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워터 슈트(1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기(10)의 기능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 등을 출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워터 슈트(15)의 하측,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워터 슈트(15)에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면에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그릴 형태의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사용자는 높이를 가지는 물병 또는 하면이 넓은 용기에도 정화된 물을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부표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부표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는 물을 비우는 시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미 도시되나,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을 이루는 상기 패널들의 내부에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 사이클과, 냉수 생성을 위한 냉수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들이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0)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응축팬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프리 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와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통과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후술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증발기 및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후술함)을 포함하는 냉수 생성 유닛(후술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급수되는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냉수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냉각수 탱크가 제거된 상태의 냉수 생성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20)은, 냉각수가 채워지는 냉각수 탱크(21)와, 상기 냉각수 탱크(21)를 수용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가 실내 공기로부터 단열되도록 하는 단열 케이스(미도시)와, 상기 단열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드레인 밸브(미도시)와,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22)과,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측에 놓이는 상태로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 부재(23)와, 상기 구획 부재(23)에 안착되는 증발기(24)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 탱크(21)와 결합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를 밀폐하는 덮개의 기능을 갖는 교반 모터 지지부(26)와,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내측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하측으로 연장되는 교반 모터(27)와,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교반 부재(25), 및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탱크 커버(미도시)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단열 케이스 및 상기 냉각수 탱크(2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부에 인접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단열 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배관(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배관은 서로 접촉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22)의 입구단(221)과 출구단(222)은 상기 모터 지지부(26)를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22)의 입구단(221)은 급수원에 연결되는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출구단(222)은 상기 워터 슈트(15)의 취출구에 연결되는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을 상기 증발기(24)가 수용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냉수 배관(22)이 수용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23)의 내측에는 상기 증발기(24)가 감겨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4)는 상기 응축기의 출구단에 연결된 팽창변의 출구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4)를 형성하는 냉매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저장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수 배관(22)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와 열교환하여 상기 음용수를 설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는, 상기 구획 부재(23)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와 상기 구획 부재(23) 사이에서 정의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23)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부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일측에는 냉각수 유입 포트(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 포트(261)는 급수원에 연결되는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21)로 냉각수가 공급되어 채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타측에는 증발기 커넥터(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넥터(241)는 상기 증발기(24)의 입구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25)는, 대략 상기 제 2 공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교반 부재(25)가 회전하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혼합된다. 그 결과, 상기 증발기(24)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의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교반 부재(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또는 임펠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제안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급수원(S)으로부터 상기 정수기(10)의 워터 슈트(15)에 이르기까지 급수 라인(L)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 라인(L)에는 각종 밸브와 정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급수 라인(L)은, 상기 급수원(S), 예컨대 가정의 수도꼭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는 필터 어셈블리(17)가 배치되어, 상기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17)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급수 라인(L)에는 급수 밸브(61)와 유량 센서(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되는 공급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61)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서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과,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 및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이 분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단부에는 정수 출수 밸브(66)가 장착되고,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의 단부에는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단부에는 냉수 출수 밸브(65)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의 어느 지점에는 냉각수 밸브(63)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 밸브(63)는 상기 냉각수 유입 포트(261)와 상기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이 분지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급수 라인(L2)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21)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와, 상기 냉수 출수 밸브(65) 및 상기 정수 출수 밸브(66)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은 모두 상기 워터 슈트(15)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 냉수 및 온수가 단일의 취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독립된 취출구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드레인 밸브(18)는 도면에서 상기 냉수 생성 유닛(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급수 라인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상기 드레인 밸브(1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의 어느 지점에는 유량 조절 밸브(62)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62)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에는 상기 온수 히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히터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1)의 어느 지점에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급수되는 물이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을 따라 흘러서 상기 온수 히터를 통과하면 설정 온도로 가열되고, 상기 조작표시부의 온수 선택 버튼을 눌러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가 개방되면 상기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 부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공급 유닛에 장착되는 구획 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구획 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 부재(23)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구획 부재(23)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을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서 수평하게 놓이는 바닥부(231)와, 상기 바닥부(231)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34), 및 상기 바닥부(23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공간을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다수의 격벽(2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31)는, 다수의 격자 리브들(231a)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격자 리브들(231a) 사이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홀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홀들을 통하여 냉각수는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31)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의 횡단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31)의 대략 중심에는 일정 직경의 원형의 관통홀(233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234)는 상기 관통홀(233a)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장부(234)는, 상기 관통홀(233a)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원형의 띠 형상의 제 1 어퍼 리브(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는, 상기 관통홀(233a)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는,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리브 뿐만 아니라,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져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리브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제 1 어퍼 리브(233)에 의하여 원통형 또는 원뿔형(truncated cone)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교반 부재 통과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 부재(25)는, 상기 교반 부재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제 2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장부(234)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 즉 상기 교반 부재 통과홀은 제 3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격벽(238)은, 상기 제 1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격벽(238)은, 상기 관통홀(233a)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격벽(238)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238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24)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은, 상기 다수의 격벽(238) 각각에 형성된 안착홈(238a)을 따라 다수 회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238a)의 폭은, 상기 증발기(24)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격벽(238) 및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벽면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24)가 수용된 제 1 공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일 공간 내에서만 이동하고,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타 공간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상기 격벽(238)은 상기 바닥부(23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격벽(238)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격벽(238)은 상기 바닥부(23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격벽(238)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바닥부(231)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장부(237)는, 상기 바닥부(2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와,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어퍼 리브(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장착돌기(미도시)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기 위한 장착홈(23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236a)은 상기 장착돌기의 형상 또는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는, 상기 바닥부(23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부(23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는 상기 다수의 격벽(238)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 중 일부는, 상기 격벽(238)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38)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제 2 버티컬 리브(235) 사이에 놓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 격벽(238) 및 제 2 버티컬 리브(235)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24)가 수용된 제 1 공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일 공간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타 공간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특히, 상기 증발기(24)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벽면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지므로, 이에 따라 충돌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냉각수 탱크(21)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231)의 저면에는, 냉수 배관 안착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는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이 상기 냉수 배관(22)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냉수 배관(22)의 최상단을 형성하는 배관이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에 안착될 수 있다(도 8 참조).
도 8은 도 4의 X-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23)에 의하여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연장부(234)에 의하여 제 3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공간을 제외한 제 1 공간은, 상기 다수의 격벽(238)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23)의 바닥부(231)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바닥부(23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1 연장부(234)와, 격벽(238) 및 제 2 연장부(237)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최하측에는 상기 냉수 배관(22)이 놓이고,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의 외주면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23)의 바닥부(231)의 저면에는, 상기 냉수 배관(22)이 안착되는 냉수 배관 안착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 부재(23)의 내측, 즉 상기 구획 부재(23)의 바닥부(231)에 형성된 상기 격벽(238)의 안착홈(238a)에는, 상기 증발기(24)의 냉매 배관이 다수회 감기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25)가 회전하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증발기(24) 주변의 제 1 공간에 위치한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22) 주변의 제 2 공간에 위치한 냉각수가 혼합된다. 즉, 상기 교반 부재(25)가 회전하면 제 2 공간에 위치한 냉각수가 냉각수 탱크(21)의 외측벽으로 이동한 후 상승하여 제 1 공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공간의 냉각수는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생성되어 혼합된다.
냉각수가 혼합되면서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불규칙하게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냉각수 탱크(33) 내부 온도는 균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기 교반 부재(25)의 교반 운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각수 흐름에 의해 녹으면서 상기 제 1 공간에 있는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구획 부재(23)에 의하여 제 1 공간 내부에 격리되어,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상기 구획 부재(23)의 격벽(238)에 의하여 제 1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서 형성된 얼음은, 해당 구획 공간 내부에 격리된다. 즉, 상기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 내부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격벽(238)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격벽(238)은 상기 교반 부재(25)의 교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수류에 의한 얼음의 이동(회전)을 차단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 상기 교반 부재(25) 또는 상기 냉수 배관(22)에 충돌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얼음이 상기 제 1 공간에 설치되는 증발기(24) 또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벽면에 부딪혀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1 연장부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 부재(23)는, 바닥부(231)와, 제 1 연장부(234)와, 제 2 연장부(237) 및 격벽(238)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231), 제 2 연장부(237) 및 격벽(238)의 형상 및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 1 연장부(234)는, 상기 바닥부(23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233a)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들(232)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리브들(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수평 리브들(232a)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수평 리브(232a)는 격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연장부(234)는 격자 형상의 리브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증발기(24) 근처에 형성된 미세한 얼음이 상기 제 1 연장부(234)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구획 부재의 격벽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 부재(23)는, 바닥부(231)와, 제 1 연장부(234) 및 제 2 연장부(237)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231), 제 2 연장부(237) 및 격벽(238)의 형상 및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생략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24)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고 단, 상기 제 2 연장부(237)에 의해 상기 얼음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벽면에 부딪히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벽면에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며, 상기 냉수 배관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 공간을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교반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연장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격자 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와,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어퍼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평 리브들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 1 어퍼 리브는 원형을 이루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어퍼 리브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와,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어퍼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퍼 리브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 각각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와 상기 제 2 버티컬 리브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격벽 각각에는,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안착홈을 따라 스파이럴 형상으로 감기는 냉매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냉매 배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정수기.
  10.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며, 상기 냉수 배관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 내부 공간을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격자 리브로 이루어지며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교반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 1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와,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어퍼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와,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어퍼 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퍼 리브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60090828A 2016-07-18 2016-07-18 정수기 KR10181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828A KR101811536B1 (ko) 2016-07-18 2016-07-18 정수기
CN201710512119.0A CN107625421B (zh) 2016-07-18 2017-06-29 净水器
US15/651,647 US10472221B2 (en) 2016-07-18 2017-07-17 Liquid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828A KR101811536B1 (ko) 2016-07-18 2016-07-18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536B1 true KR101811536B1 (ko) 2017-12-21

Family

ID=6093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828A KR101811536B1 (ko) 2016-07-18 2016-07-18 정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72221B2 (ko)
KR (1) KR101811536B1 (ko)
CN (1) CN10762542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44A (ko) * 2018-04-12 2019-10-2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제조장치
KR20190125010A (ko)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오성기전 비엠씨 몰드형 모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555B1 (ko) * 2016-08-23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548275B1 (ko) * 2018-02-23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RU180376U1 (ru) * 2018-03-21 2018-06-08 Олег Владимирович Баев Диспенсер для получения талой питьевой воды
KR102042579B1 (ko) *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D951390S1 (en) * 2020-05-21 2022-05-10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939875S1 (en) * 2020-07-28 2022-01-04 Bhrs Group Beverage dispen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420B1 (ko) * 2009-12-10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310A (en) 1986-12-19 1988-11-01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JP4458497B2 (ja) * 2001-04-20 2010-04-28 東芝機器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KR100580371B1 (ko) 2004-12-17 2006-05-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용기기용 냉수조의 냉수관 및 증발기 고정구조
EP1731479A1 (en) 2005-06-01 2006-12-13 MDS Global Holding Ltd. Dispenser with two stage cooling and carbonator
KR20100078802A (ko)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수기의 얼음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0914B1 (ko) 2011-10-17 2014-04-02 황현배 냉이온수기
CN103781728B (zh) * 2011-10-31 2016-08-24 藤田吉美 净水器
KR101383024B1 (ko) * 2012-10-30 2014-04-08 (주)구츠 분리형 수조를 갖는 음용수 순간 냉각 장치
CN203378967U (zh) 2013-07-13 2014-01-08 章建州 饮水机
KR20150019118A (ko)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420B1 (ko) * 2009-12-10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44A (ko) * 2018-04-12 2019-10-2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제조장치
KR102247219B1 (ko) * 2018-04-12 2021-05-03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제조장치
KR20190125010A (ko)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오성기전 비엠씨 몰드형 모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5421B (zh) 2019-11-05
CN107625421A (zh) 2018-01-26
US10472221B2 (en) 2019-11-12
US20180016129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36B1 (ko) 정수기
KR101803654B1 (ko) 정수기
US10882727B2 (en) Water purifier
KR102530082B1 (ko) 정수기
KR101878555B1 (ko)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515589B1 (ko) 정수기
KR102500810B1 (ko) 정수기
KR102548269B1 (ko) 정수기
JP2007215799A (ja) 冷蔵ショーケース
KR102548275B1 (ko) 정수기
KR20180024974A (ko)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447436B1 (ko) 냉장고
KR102413202B1 (ko) 정수기
KR100764553B1 (ko) 냉수 겸용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