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444A - 냉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수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9444A KR20190119444A KR1020180042900A KR20180042900A KR20190119444A KR 20190119444 A KR20190119444 A KR 20190119444A KR 1020180042900 A KR1020180042900 A KR 1020180042900A KR 20180042900 A KR20180042900 A KR 20180042900A KR 20190119444 A KR20190119444 A KR 201901194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d water
- spiral
- ice storage
- storage liquid
- water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수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제조장치는 내부에 빙축액이 담기는 장치본체; 빙축액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증발관; 내부에 물이 유동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빙축액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관; 및 빙축액을 교반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교반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관은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증발관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교반유닛은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내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외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빙축액을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제조장치는 내부에 빙축액이 담기는 장치본체; 빙축액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증발관; 내부에 물이 유동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빙축액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관; 및 빙축액을 교반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교반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관은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증발관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교반유닛은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내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외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빙축액을 교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드는 냉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수제조장치는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어서 냉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수제조장치 중 빙축액이 담기고 빙축액을 증발관을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냉매가 냉각하며 냉각된 빙축액이 냉수관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드는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냉수제조장치에서는 빙축액의 온도분포가 균일하지 못하여 냉수제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빙축액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지도록 빙축액을 교반하는 교반유닛이 구비된다.
종래, 이러한 냉수제조장치에서는 빙축액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지도록 교반유닛에 의해서 빙축액이 교반만되기 때문에, 냉수관을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냉수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교반유닛에 의해서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 내측의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 외측의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제조장치는 내부에 빙축액이 담기는 장치본체; 빙축액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증발관; 내부에 물이 유동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빙축액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관; 및 빙축액을 교반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교반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관은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증발관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교반유닛은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내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외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빙축액을 교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발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가상중심선과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가상중심선은 평행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피치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피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관은 사이에 얼음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피치를 가지는 나선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유닛은 빙축액을 교반하고 순환시키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교반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연결부와, 상기 축연결부에 구비되어 빙축액을 교반하여 순환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가상선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축연결부에 구비될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각도는 45도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는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의 0.7배되는 지점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의 0.3배되는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교반부재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빙축액의 순환을 가이드하는 순환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가이드부재에는 빙축액이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가이드구멍과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내부로부터 빙축액이 배출되는 배출가이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가이드구멍은 복수개가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이드구멍은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유닛에 의해서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 내측의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 외측의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교반유닛에 포함되는 교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교반유닛에 포함되는 교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제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교반유닛에 포함되는 교반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장치본체(200)와, 증발관(300), 냉수관(400) 및, 교반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 내부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액이 담길 수 있다.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기는 빙축액은, 예컨대 물일 수 있다. 그러나, 빙축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기어 빙축액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와, 덮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재(210)의 수용공간(211)에 빙축액이 담길 수 있다. 예컨대, 수용공간(211)은 상부가 개방되며, 수용공간(2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빙축액이 수용공간(211)에 담길 수 있다.
본체부재(210)의 수용공간(211)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300)이나 냉수관(400)을 지지하는 관지지부(SP)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220)는 본체부재(210)에 연결되어 빙축액이 담긴 수용공간(211)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210)와 덮개부재(220) 사이에는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체부재(210)의 수용공간(211)에 담긴 빙축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덮개부재(2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 등에 의해서 본체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재(220)가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덮개부재(220)에는 교반유닛(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모터(520)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재(220)에 구비되는 모터(520)는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덮개(221)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이외, 덮개부재(220)에는 온도센서(ST)나 수위센서(SL) 등의 센서도 구비될 수 있다.
증발관(300)은 장치본체(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증발관(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1)에 구비될 수 있다. 증발관(300)의 일측은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의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이나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동사이클의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관(300) 내부에는 빙점 이하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냉매에 의해서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이 냉각될 수 있다.
증발관(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액이 담긴 장치본체(200) 내부, 예컨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1)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관(300)이 나선형상으로 빙축액이 담긴 장치본체(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에 의해서, 증발관(300)과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증발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한 빙축액의 냉각이 보다 원활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냉수관(400)의 일측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예컨대, 냉수관(400)의 일측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냉수관(400)의 일측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나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그러나, 냉수관(400)의 일측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수관(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냉수관(400) 내부에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냉수관(400)은 빙축액이 담긴 장치본체(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냉수관(4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액이 담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관(300)을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빙축액에 의해서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 냉수관(400)의 타측은, 예컨대 파우셋이나 콕크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나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냉수를 필요로 하는 탄산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빙축액에 의해서 냉각되어 만들어진 냉수는 물배출부재나 냉수탱크 또는 탄산수기 등에 공급될 수 있다.
냉수관(4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액이 담긴 장치본체(200) 내부, 예컨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1)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관(400)이 나선형상으로 빙축액이 담긴 장치본체(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에 의해서, 냉수관(400)과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에 의한 냉각이 보다 원활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 내부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냉수관(400) 내측에 증발관(300)이 나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유닛(500)에 의해서 장치본체(200) 내부의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외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의 빙축액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외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에 구비되는 나선형상의 냉수관(400)으로 유동하여,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다.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여 온도가 상승한 빙축액은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으로 유동하여 증발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냉매에 의해서 다시 냉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차가운 냉매에 의해서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관(3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가상중심선과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가상중심선은 평행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유닛(500)에 의한 빙축액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 장치본체(200) 내부에 형성되도록 나선형상의 증발관(300)과 나선형상의 냉수관(400)을 장치본체(200) 내부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증발관(3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E)는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유닛(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교반부재(510)가 후술할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위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교반부재(510)의 회전에 의해서 장치본체(200) 내부의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외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관(3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피치(PE)는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피치(PC)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다 긴 길이의 냉수관(400)이 장치본체(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어서, 보다 많은 물을 냉수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관(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얼음(IC)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피치(PE)를 가지는 나선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사이에 얼음(IC)이 형성되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을 유동하는 빙축액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교반유닛(500)은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을 교반할 수 있다.
교반유닛(500)은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외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빙축액을 교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의 빙축액은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외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에 구비되는 나선형상의 냉수관(400)으로 유동하여,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여 온도가 상승한 빙축액은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으로 유동하여 증발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냉매에 의해서 다시 냉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차가운 냉매에 의해서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냉수관(4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교반유닛(500)은 교반부재(510)와, 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재(510)는 장치본체(200) 내부에 위치하여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을 교반시켜서 순환시킬 수 있다. 교반부재(5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연결부(511)와, 블레이드(512)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연결부(511)는 모터(520)의 회전축(5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축연결부(51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20)의 회전축(521)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축삽입구멍(5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축연결부(511)가 모터(520)의 회전축(5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블레이드(512)는 축연결부(511)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520)의 회전축(521)의 회전에 의해서 축연결부(51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512)가 빙축액을 교반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블레이드(512)가 축연결부(51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축연결부(51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51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도 가능하다.
블레이드(51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20)의 회전축(521)에 수직인 가상선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도록 축연결부(5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블레이드(512)에 의해서 빙축액에 모터(520)의 회전축(521)의 회전방향으로의 힘뿐만 아니라, 축방향 아래로의 힘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512)의 주위의 빙축액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되면서 아래로 유동하여 빙축액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512)가 모터(520)의 회전축(521)에 수직인 가상선과 이루는 소정 각도(α)는 45도 이하일 수 있다. 블레이드(512)가 모터(520)의 회전축(521)에 수직인 가상선과 이루는 소정 각도(α)가 45도 보다 크면, 블레이드(512)에 의해서 빙축액에 축방향 아래로 작용하는 힘이 블레이드(512)에 의해서 빙축액에 모터(520)의 회전축(521)의 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512)에 의해서 빙축액이 교반될 수는 있으나, 빙축액이 아래로 유동하는 것이 어려워 빙축액의 순환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블레이드(512)에 의해서 빙축액이 교반되면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는, 블레이드(512)가 모터(520)의 회전축(521)에 수직인 가상선과 이루는 소정 각도(α)는 4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블레이드(51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512)는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블레이드(512)는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블레이드(512)에 의해서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내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외측의 장치본체(200)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512)가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위에 위치하는 경우, 블레이드(512)는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의 0.7배되는 지점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512)가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의 0.7배되는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한다면, 블레이드(512) 아래의 냉수관(400) 내측의 공간의 크기가 작아져서, 빙축액을 요구되는 만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크기의 증발기(300)가 블레이드(512) 아래의 냉수관(400) 내측에 구비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블레이드(512)가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위에 위치하는 경우, 빙축액을 요구되는 만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크기의 증발기(300)가 블레이드(512) 아래의 냉수관(400)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512)가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의 0.7배되는 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 블레이드(512)가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블레이드(512)는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의 0.3배되는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512)가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의 0.3배되는 지점보다 위에 위치한다면, 블레이드(512) 위의 냉수관(400) 내측의 공간의 크기가 작아져서, 빙축액을 요구되는 만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크기의 증발기(300)가 블레이드(512) 위의 냉수관(400) 내측에 구비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블레이드(512)가 나선형상의 냉수관(400)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증발관(300)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빙축액을 요구되는 만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크기의 증발기(300)가 블레이드(512) 위의 냉수관(400)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512)가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의 0.3배되는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C)는 냉수관(4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하단부가 기준이 되어 잰 것이고, 증발관(3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HE)는 증발관(300)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하단부가 기준이 되어 잰 것이다.
모터(520)는 교반부재(5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모터(520)의 회전축(521)이 교반부재(510)의 전술한 축연결부(511)의 축삽입구멍(511a)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모터(520)가 교반부재(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모터(520)가 교반부재(5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모터(520)에 의해서 교반부재(510)가 회전되는 것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 내부에 담긴 빙축액이 교반되면서 순환할 수 있다.
교반유닛(500)은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가이드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가이드부재(530)는 교반부재(51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치본체(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순환가이드부재(530)는 블레이드(512)에 의한 빙축액의 순환을 가이드할 수 있다.
순환가이드부재(530)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교반부재(510)가 순환가이드부재(53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순환가이드부재(530)에는 유입가이드구멍(531)과, 배출가이드구멍(532)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가이드구멍(531)을 통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액이 순환가이드부재(5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출가이드구멍(532)을 통해 순환가이드부재(530) 내부로부터 빙축액이 배출될 수 있다.
유입가이드구멍(531)은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순환가이드부재(5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가이드구멍(532)은 순환가이드부재(5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가이드구멍(531)과 배출가이드구멍(532)의 순환가이드부재(530)에서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빙축액이 순환가이드부재(530) 내부로 유입되거나 순환가이드부재(530) 내부로부터 빙축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위치라면 순환가이드부재(530)의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순환가이드부재(530)에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300)을 지지하는 관지지부(S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제조장치를 사용하면, 교반유닛에 의해서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증발관 내측의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증발관 외측의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으며, 냉수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수제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냉수제조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본체부재 211 : 수용공간
220 : 덮개부재 221 : 모터덮개
300 : 증발관 400 : 냉수관
500 : 교반유닛 510 : 교반부재
511 : 축연결부 511a : 축삽입구멍
512 : 블레이드 520 : 모터
521 : 회전축 530 : 순환가이드부재
531 : 유입가이드구멍 532 : 배출가이드구멍
PE, PC : 피치 HE, HC : 높이
α : 각도 BT : 볼트
ST : 온도센서 SL : 수위센서
IC : 얼음 SP : 관지지부
210 : 본체부재 211 : 수용공간
220 : 덮개부재 221 : 모터덮개
300 : 증발관 400 : 냉수관
500 : 교반유닛 510 : 교반부재
511 : 축연결부 511a : 축삽입구멍
512 : 블레이드 520 : 모터
521 : 회전축 530 : 순환가이드부재
531 : 유입가이드구멍 532 : 배출가이드구멍
PE, PC : 피치 HE, HC : 높이
α : 각도 BT : 볼트
ST : 온도센서 SL : 수위센서
IC : 얼음 SP : 관지지부
Claims (16)
- 내부에 빙축액이 담기는 장치본체;
빙축액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증발관;
내부에 물이 유동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빙축액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관; 및
빙축액을 교반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교반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관은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증발관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교반유닛은 빙축액이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내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과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외측의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공간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빙축액을 교반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가상중심선과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가상중심선은 평행하거나 동일한 냉수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 보다 작은 냉수제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피치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피치보다 큰 냉수제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은 사이에 얼음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피치를 가지는 나선형상을 이루는 냉수제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은 빙축액을 교반하고 순환시키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교반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연결부와, 상기 축연결부에 구비되어 빙축액을 교반하여 순환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가상선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축연결부에 구비되는 냉수제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45도 이하인 냉수제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 위치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의 0.7배되는 지점보다 위에 위치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나선형상의 상기 냉수관 내측에서 나선형상의 상기 증발관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냉수관이 이루는 나선형상의 높이의 0.3배되는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교반부재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빙축액의 순환을 가이드하는 순환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수제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가이드부재에는 빙축액이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가이드구멍과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내부로부터 빙축액이 배출되는 배출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냉수제조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가이드구멍은 복수개가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이드구멍은 상기 순환가이드부재 하면에 구비되는 냉수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900A KR102247219B1 (ko) | 2018-04-12 | 2018-04-12 | 냉수제조장치 |
CN201920485620.7U CN209763593U (zh) | 2018-04-12 | 2019-04-11 | 冷水制造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900A KR102247219B1 (ko) | 2018-04-12 | 2018-04-12 | 냉수제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444A true KR20190119444A (ko) | 2019-10-22 |
KR102247219B1 KR102247219B1 (ko) | 2021-05-03 |
Family
ID=6842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900A KR102247219B1 (ko) | 2018-04-12 | 2018-04-12 | 냉수제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219B1 (ko) |
CN (1) | CN209763593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12604A1 (ko) | 2019-12-05 | 2021-06-10 | 코웨이 주식회사 | 냉각탱크,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냉각탱크의 제조방법 |
KR20230053987A (ko) | 2021-10-15 | 2023-04-24 | 코웨이 주식회사 | 냉수 제조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6390B1 (ko) * | 1994-04-15 | 1997-12-18 | 이진구 | 냉각기의 냉각온도 조절장치 |
JP2001348095A (ja) * | 2000-06-06 | 2001-12-1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飲料冷却注出装置 |
KR20100078802A (ko) * | 2008-12-30 | 2010-07-08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냉이온수기의 얼음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2015137789A (ja) * | 2014-01-21 | 2015-07-30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飲料冷却装置 |
KR101811536B1 (ko) * | 2016-07-18 | 2017-1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
2018
- 2018-04-12 KR KR1020180042900A patent/KR1022472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11 CN CN201920485620.7U patent/CN209763593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6390B1 (ko) * | 1994-04-15 | 1997-12-18 | 이진구 | 냉각기의 냉각온도 조절장치 |
JP2001348095A (ja) * | 2000-06-06 | 2001-12-1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飲料冷却注出装置 |
KR20100078802A (ko) * | 2008-12-30 | 2010-07-08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냉이온수기의 얼음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2015137789A (ja) * | 2014-01-21 | 2015-07-30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飲料冷却装置 |
KR101811536B1 (ko) * | 2016-07-18 | 2017-1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12604A1 (ko) | 2019-12-05 | 2021-06-10 | 코웨이 주식회사 | 냉각탱크,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냉각탱크의 제조방법 |
KR20230053987A (ko) | 2021-10-15 | 2023-04-24 | 코웨이 주식회사 | 냉수 제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9763593U (zh) | 2019-12-10 |
KR102247219B1 (ko) | 2021-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53360B1 (en) | Cold water tank | |
KR20190119444A (ko) | 냉수제조장치 | |
CN109997007A (zh) | 净水器的控制方法 | |
US11772951B2 (en) | Cooling unit for water purifier | |
JP4899641B2 (ja) | 混合流体分離装置 | |
KR102544432B1 (ko) | 제빙기 | |
KR102639200B1 (ko) | 정수기용 냉각 모듈 | |
CN113238643A (zh) | 一种全浸式液冷散热装置 | |
KR102396593B1 (ko) | 제빙기 | |
JP3126535U (ja) | 冷飲料装置 | |
KR20150025823A (ko) | 제빙기 | |
US20190331396A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 |
CN111981718B (zh) | 制冷设备及制冷设备的用途 | |
JP7350561B2 (ja) | 流下液膜式熱交換器及び流下液膜式チューブアイス製氷機 | |
CN106595218B (zh) | 冷却装置 | |
KR200493302Y1 (ko) |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 |
US11414848B2 (en) | Water purifier | |
JP2006226603A (ja) | アキュームレータ | |
KR100513219B1 (ko) | 슬러리 아이스 제빙기 | |
CN211716920U (zh) | 一种空调机组及用于压缩机冷却的供液装置 | |
KR20240064149A (ko) | 정수기 | |
JP6125391B2 (ja) | 直接接触熱交換器および冷媒システム | |
KR200385570Y1 (ko) | 기계실과 냉각탱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냉수공급장치 | |
WO2022135128A1 (zh) | 制冰机 | |
KR20240085424A (ko) | 냉각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