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149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149A
KR20240064149A KR1020220145827A KR20220145827A KR20240064149A KR 20240064149 A KR20240064149 A KR 20240064149A KR 1020220145827 A KR1020220145827 A KR 1020220145827A KR 20220145827 A KR20220145827 A KR 20220145827A KR 20240064149 A KR20240064149 A KR 2024006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hermistor
coolant tank
tank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선
이명훈
안광용
조수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149A/ko
Publication of KR2024006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 및 상기 냉각수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 내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유닛에 장착되는 써미스터에 발생된 결로가 고이지 않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개시된 직수관 정수기의 경우, 냉수 출수를 위해 냉수 탱크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냉수출수 시, 정수가 실시간으로 냉각되면서 출수되는 방식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냉수를 생성 및 출수하는 방식의 경우, 출수되는 냉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냉수 탱크 내부 온도를 매우 낮게 설정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서, 냉수 탱크를 감싸는 단열커버 외측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되고,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단열커버 외측에서 결로가 생기거나, 결로에 의해서, 단열커버의 외측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22-0107681호에는 냉수유닛을 구비하는 정수기(이하, 선행문헌)가 개시된다.
도 9는 선행문헌에 포함된 냉수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선행문헌에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냉수 탱크 조립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포 단열재,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돌출되는 냉각수 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단열재는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수 배수밸브를 감싸는 특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써미스터의 위치가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냉각수의 온도는 0℃까지 떨어지기에 써미스터에 결로가 생기고, 결로가 생기면 커넥터 부분에 물이 스며들어 불량이 생기게 된다.
상세히, 써미스터는 열전도를 위해 STS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전도가 잘 된다. 그리고, 써미스터의 아래부분은 0℃를 제어하고 윗부분은 고온다습조건에 노출되어 있어 써미스터 윗부분에 결로는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써미스터의 커넥터 또한 윗부분에 위치해 있어 결로에 노출되어 있어서 써미스터 커넥터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의 온도조절을 위해 냉수유닛에 장착되는 써미스터에서 발생된 결로가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개선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증발기와 써미스터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수 탱크의 측면으로 써미스터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써미스터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 상기 냉각수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 내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써미스터는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일측에서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냉각수 탱크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 수용된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써미스터의 경사진 방향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써미스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써미스터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마개홈에 삽입되는 마개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 케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주변을 감싸는 돌기단열부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단열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면서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부공간의 상부영역에는 증발기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영역의 하방에 위치한 하부영역에는 냉수 배관이 배치되며,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 단부는 상기 증발기가 배치된 냉각수 탱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냉각수 탱크에는 냉수 배관이 배치되고, 상기 냉수배관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상기 냉수배관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부는 상기 냉각수 탱크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냉각수의 온도조절을 위해 냉수유닛에 장착되는 써미스터에서 발생된 결로가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개선되어, 써미스터 주변에 물이 고이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와 써미스터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또한, 냉각수 탱크의 측면으로 써미스터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써미스터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써미스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9는 선행문헌에 포함된 냉수유닛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300)와,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로 이루어진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에 의해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로테이터(200)에 고정된 고정커버(41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은 좌우방향으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작부(300)의 선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이 회전하면, 출수모듈(400)과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조작부(300)가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질 때, 돌출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출수모듈(400)과 조작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기(1)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와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 노즐(430)을 통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냉각 또는 가열 된후 냉수, 온수의 형태로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양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1)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도 일체로 결합되어,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출수모듈(40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선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냉수 생성을 위한 냉각유닛(10) 또는 온수 생성을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를 곧 바로 출수모듈(4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 상세히는 로어 커버(111b)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에 연결된 출수모듈(400)의 상방에는 조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냉각유닛(10)이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냉각유닛(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냉각유닛(10)을 고정한다.
상기 냉각유닛(10)은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1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냉각유닛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유닛(1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10)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12)와,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외면을 감싸서 냉각수를 외부 공기로부터 단열시키는 단열 케이스(11)와,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하단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11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10)은, 상기 냉각수 탱크(12)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음용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13)과,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부에서 상기 냉수 배관(13)의 상측에 놓이는 구획 부재(16)와, 상기 구획 부재(16)의 상측에 놓이는 증발기(17)와, 상기 구획 부재(16)를 관통하여 상기 냉수 배관(13)의 내측에 놓이는 교반 부재(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 부재(16)는, 구획판(14)과, 상기 구획판(14)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을 포함하는 통 형상의 구획통(15)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구획판(14)은,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부 공간을 상기 증발기(17)가 놓이는 상측 공간과, 상기 냉수 배관(13)이 놓이는 하측 공간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14)에는 다수의 격자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4) 상측의 냉수와 상기 구획판(14) 하측의 냉수가, 상기 교반 부재(18)의 작동에 의하여 순환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17)는 상기 구획통(15)의 외측에서 상기 구획통(15)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회 감기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통(15)에는 다수의 격자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7) 주위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기 냉수 배관(13)이 수용된 하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18)는 상기 구획통(15)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냉수 배관(13)의 내측에 놓인다. 상기 냉수 배관(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서 소정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10)은,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탱크 커버(19)와, 상기 탱크 커버(19)의 상면에 안착되는 교반 모터(20)와, 상기 탱크 커버(19)의 상측에서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케이스 커버(21)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단열 케이스(11)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냉각수 탱크(12)가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21)는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 교반 모터(20)의 회전축은 상기 탱크 커버(19)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교반 부재(18)의 상단은 상기 교반 모터(20)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1)에는 상기 냉수 배관(13)의 입구단과 출구단을 안내하는 냉수 배관 안내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 포트(19a)가 관통 수용되는 급수 포트 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홈(12a)이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12a)은, 상기 구획판(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구획판(14)의 장착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14)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12a)의 하단부에 걸릴 때까지 하강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12b)가 돌출되어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b)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1b)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들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됨으로써, 냉각수 탱크(12)가 상기 단열 케이스(11)로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가 단열 케이스(11) 내에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획판(14)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18)는, 상기 교반 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축부(18a)와, 상기 축부(18a)의 하단에 형성되는 블레이드부(또는 임펠러부)(18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18a)는, 블레이드부(18b)가 상기 구획통(15)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놓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써미스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냉각 유닛(10)의 내부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thermistor, 600)가 설치된다. 써미스터(600)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체, 즉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써미스터(600)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냉동 사이클의 작동 여부가 결정된다.
정수기 냉각유닛(10)에서 냉각수의 온도조절을 위해 써미스터(600)는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써미스터(600), 냉각수의 빙축량 제어, 압축기의 On/Off 제어, 아지테이터(Agitator) 모터의 On/Off 제어, 출수 시점 제어를 위해 필요하다.
즉, 써미스터(600)에서 감지된 냉각수의 온도는 냉각수의 빙축량 제어, 압축기의 On/Off 제어, 아지테이터(Agitator) 모터의 On/Off 제어, 출수 시점 제어의 기준이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 구조에서 써미스터는 냉각 유닛의 상단에 설치되고, 설치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위치해 있다. 보통 냉각수 온도는 0℃까지 떨어지고 외부는 여름철 고온,다습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써미스터에 결로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결로가 생기는 경우 결로가 커넥터에 머무르게 되어 써미스터 불량이 생기는 불량이 생긴다.
써미스터의 고장이 생기면, 출수 잔수 부족, 과냉각으로 인한 결로, 제품 꺼짐, 냉각 소음, 아지테이터(Agitator) 소음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써미스터 불량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결로에 의한 불량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써미스터(600)를 결합 위치를 측면으로 옮기고, 써미스터(600)가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써미스터(610)에서 발생한 결로가 고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개선하였다.
일 예로, 써미스터(600)를 냉각 유닛(10)의 측면에 설치한다.
다른 예로, 써미스터(600)를 수평방향 기준 15도 이상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한다.
또 다른 예로, 냉각 유닛(10) 내 증발기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써미스터(600)를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써미스터 장착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써미스터(600)는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 내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600)는 적어도 일부는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냉각수 탱크(12)의 외측에 외치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600)는 상기 단열 케이스(11)와 냉각수 탱크(12)의 측면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 내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600)는 적어도 일부는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단열 케이스(11)의 외측에 외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써미스터(600) 또는 그 주변에 결로가 생기더라도, 결로로 생긴 물이 고이지 않고,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써미스터(600)는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일측에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600)는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일측에서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써미스터(600)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면, 써미스터(600) 또는 그 주변에 결로가 생기더라도, 결로로 생긴 물이 고이지 않고, 경사를 따라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써미스터(600)가 냉각수 탱크(12)의 측면에 설치되기 위해서, 냉각수 탱크(12)에 써미스터(600)의 삽입 및 분리를 위한 가이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냉각수 탱크(12)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기(121)를 형성하고, 상기 써미스터(6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돌기(121)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1)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1)는 상기 냉각수 탱크(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21)는 상기 써미스터(600)의 경사진 방향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21)에는 상기 써미스터(60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2)과 써미스터(600) 사이에는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오링 등의 실링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600)는 상기 가이드홀(122)에 삽입되었다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써미스터(600)는 가이드홀(1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증발기(17)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21)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마개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써미스터(60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마개홈(123)에 삽입되는 마개(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610)에는 상기 써미스터(600)와 전선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개(610)에는 마개홈(123)에 삽입된 마개(610)를 빼낼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파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610)에는 가이드홀(122)을 통해 누수된 물,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물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케이스(11)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21)의 주변을 감싸는 돌기단열부(1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단열부(111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면서 일측에 경사면(11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상부영역에는 증발기(17)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영역의 하방에 위치한 하부영역에는 냉수 배관(13)이 배치되며, 상기 써미스터(6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증발기(17)가 배치된 냉각수 탱크(12)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삽입된 써미스터(600)의 일측 단부는, 냉각수의 수위보다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에는 냉수 배관(13)이 배치되고, 상기 냉수 배관(13)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1301)와, 상기 냉수배관(13)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1302)는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에는 냉수 배관(13)이 배치되고, 상기 냉수 배관(13)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1301)와, 상기 냉수배관(13)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1302)는 상기 냉각수 탱크(12)와 케이스 커버(21)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우, 써미스터(600) 위치를 변경하여 써미스터(600)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즉, 써미스터(600)를 냉각 유닛(10)의 측면에 설치하되, 결로가 생기더라도 결로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15도 이상 하향 경사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냉각수의 누수 방지를 위해서, 오링 등의 실링부재를 써미스터(600)와 냉각수 탱크(12)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한다.
또한, 냉각 유닛(10)의 측면에서 사이드에서 써미스터(600)를 삽입할 때, 가이드 구조를 적용하여 증발기(17)와 써미스터(600)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또한, 단열재로 써미스터(600) 주변을 감싸도록 하여, 그 주변에 결로가 생기지 않게 한다.
또한,결로가 생기더라도 기울어짐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서 커넥터에는 물이 고이지 못하도록 하여, 물 고임에 따른 써미스터 고장 및 불량 문제를 예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0)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 및
    상기 냉각수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 내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는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일측에서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탱크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 수용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써미스터의 경사진 방향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정수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써미스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정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써미스터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마개홈에 삽입되는 마개가 형성되는 정수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주변을 감싸는 돌기단열부를 형성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단열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면서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정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부공간의 상부영역에는 증발기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영역의 하방에 위치한 하부영역에는 냉수 배관이 배치되며,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 단부는 상기 증발기가 배치된 냉각수 탱크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정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탱크에는 냉수 배관이 배치되고,
    상기 냉수배관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상기 냉수배관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부는 상기 냉각수 탱크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정수기.
KR1020220145827A 2022-11-04 2022-11-04 정수기 KR20240064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827A KR20240064149A (ko) 2022-11-04 2022-11-04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827A KR20240064149A (ko) 2022-11-04 2022-11-04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149A true KR20240064149A (ko) 2024-05-13

Family

ID=9107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827A KR20240064149A (ko) 2022-11-04 2022-11-04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346B1 (en) Water purifier
EP2553360B1 (en) Cold water tank
JP2007309634A (ja) 冷蔵庫
KR102515589B1 (ko) 정수기
CN111886455A (zh) 小型除湿机
CN103799860A (zh) 饮水机及饮水机的制冷控制方法
EP3945273A1 (en) Refrigerator
CN102679606A (zh) 制冷系统及具有该制冷系统的冰箱
KR20240064149A (ko) 정수기
CN102954649A (zh) 冰箱
CN105698463A (zh) 冰箱
KR102247219B1 (ko) 냉수제조장치
CN202919930U (zh) 饮水机
KR101201508B1 (ko)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KR20240064150A (ko) 정수기
CN104913573A (zh) 冰箱
KR100757405B1 (ko) 와인냉장고
CN210601995U (zh) 移动空调
CN209474395U (zh) 一种净水机
WO2013181811A1 (zh) 制冷系统及具有该制冷系统的冰箱
US20200399109A1 (en) Water purifier
KR102413202B1 (ko) 정수기
KR101519136B1 (ko) 냉장고
CN206940408U (zh) 水箱组件和苏打水机
CN113899134A (zh) 冰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