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987A - 냉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냉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3987A KR20230053987A KR1020210137484A KR20210137484A KR20230053987A KR 20230053987 A KR20230053987 A KR 20230053987A KR 1020210137484 A KR1020210137484 A KR 1020210137484A KR 20210137484 A KR20210137484 A KR 20210137484A KR 20230053987 A KR20230053987 A KR 202300539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storage
- water
- pipe
- ice
- col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67D2001/1263—Fluid level control devices the level being detected electr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빙축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상기 빙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빙축관;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빙축수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된 유체를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수관; 및 상기 빙축관의 일측을 개폐하는 드레인 캡을 포함하되, 상기 빙축관은,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캡과 연결되는 일단;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 상기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캡이 상기 빙축관의 일단을 개방하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높이 차이에 의한 사이펀 효과에 의해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빙축수의 냉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의 효율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빙축열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냉각 효율이 개선되며, 냉수 추출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하는 냉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 제조 장치는 원수 또는 정수와 같은 물을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수 제조 장치는 정수기, 탄산수기, 냉온수기 등 저온의 음용수 생성을 위해 주로 설치되지만, 냉수의 생성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제조 장치는 냉수 탱크를 사용하여 냉수 탱크에 수용된 물을 직접적으로 냉각시키거나, 얼음이나 저온 유체와의 열교환하는 빙축수를 이용하여 물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킨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9444호는 종래의 냉수제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냉수제조장치에는 빙축수가 담기는 장치본체, 빙축수를 냉각시키는 증발관 및 빙축수에 의해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관이 구비된다. 이 때, 장치본체의 하측에는 빙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빙축수 배출관이 형성된다. 빙축수의 냉열은 이러한 빙축수 배출관을 따라 외부로 방출되므로,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0840호는 냉각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냉각탱크는 빙축수를 수용하는 탱크몸체 및 탱크몸체에 수용된 빙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물유동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물유동구는 빙축수의 냉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므로,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6879호는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냉수생성 탱크는 빙축수를 수용하는 탱크몸체 및 탱크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출수부가 구비된다. 이 때, 빙축수의 냉열이 출수부를 따라 외부로 방출되므로,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수용 공간으로 빙축수가 공급되거나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빙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빙축관을 구성함으로써 빙축수의 냉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빙축관이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드레인 캡과 연결되는 일단,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빙축수의 냉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써,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바디부의 외부에서 빙축관과 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연결관에 구비되어 연결관을 개폐하는 빙축관 밸브를 더 포함하여 유체를 이용하여 빙축수로 공급하거나 유체의 흐름에 의해 빙축수를 배출하게 함으로써, 빙축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수용 공간의 빙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빙축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바디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지 제1 바디부 및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제1 바디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구성함으로써, 빙축수를 수용하는 바디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빙축수의 냉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빙축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상기 빙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빙축관;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빙축수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된 유체를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수관; 및 상기 빙축관의 일측을 개폐하는 드레인 캡을 포함하되, 상기 빙축관은,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캡과 연결되는 일단;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 상기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캡이 상기 빙축관의 일단을 개방하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높이 차이에 의한 사이펀 효과에 의해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서 상기 빙축관과 상기 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빙축관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빙축관 밸브가 상기 연결관을 개방하면, 상기 유체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빙축관의 상기 일단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빙축관의 상기 일단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냉수관에 구비되고, 상기 냉수관을 개폐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수관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냉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관의 상기 유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제어부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냉수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량 제어부는 상기 빙축수를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빙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빙축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빙축관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디부; 및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바디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빙축관이 바디부의 하측에 구비되지 않으면서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수용 공간으로 빙축수가 공급되거나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빙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빙축관을 구성함으로써, 빙축수의 냉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빙축관이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드레인 캡과 연결되는 일단,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빙축수의 냉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써,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바디부의 외부에서 빙축관과 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연결관에 구비되어 연결관을 개폐하는 빙축관 밸브를 더 포함하여 유체를 이용하여 빙축수로 공급하거나 유체의 흐름에 의해 빙축수를 배출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빙축관을 이용하여 빙축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게 됨에 따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빙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빙축수의 수위에 따라 빙축수를 공급하여 빙축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바디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지 제1 바디부 및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제1 바디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구성함으로써, 바디부의 측면과 하측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빙축수의 냉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빙축수의 공급과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빙축수의 배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빙축수의 배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빙축수의 공급과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빙축수의 배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빙축수의 배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빙축수의 공급과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100)는 바디부(110), 빙축관(120), 증발기(130), 냉수관(140) 및 드레인 캡(15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빙축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바디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빙축수를 수용할 수 있는 정육면체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부(1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빙축수는 예를 들어, 물(water)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빙축수는 물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과 같이 다양한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디부(110)는 제1 바디부(111), 제2 바디부(112) 및 커버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부(111)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111)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상기 제1 바디부(111)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상기 제1 바디부(111)로부터 연장되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 사이에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빙축수의 냉열이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 사이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진공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커버부(113)는 상기 제1 바디부(11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빙축수가 수용된 수용 공간(110a)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또한, 상기 커버부(113)와 상기 제1 바디부(111) 사이에는 밀봉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빙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13)는 볼트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바디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버부(113)는 상기 제1 바디부(111)와 볼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113)가 상기 제1 바디부(11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1 바디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빙축관(120)은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부터 외부로 상기 빙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빙축관(120)은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121),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122), 상기 일단(1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 상기 타단(1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24) 및 상기 제1 연장부(123)와 상기 제2 연장부(124)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은 상기 빙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타단(122)은 상기 바디부(110)의 수용 공간(110a)에서 상기 제2 바디부(112)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타단(122)은 상기 빙축수가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123)의 길이는 상기 제1 바디부(111)의 높이보다 길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123)의 길이는 상기 제2 연장부(124)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커버부(113)를 관통하며, 상기 커버부(113)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125)는 역"U"자 형상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25)의 일부는 상기 커버부(113)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기 증발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공간(110a)에 수용된 상기 빙축수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수용 공간(110a)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30)에는 상기 빙축수와 열교환되는 열매체가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열매체는 대략 빙점 이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발기(130)는 상기 수용 공간(110a)에서 나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130)가 나선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130)가 상기 빙축수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므로, 상기 증발기(130)는 상기 빙축수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30)의 일측은 외부로부터 상기 열매체가 공급되는 열매체 공급부(131)와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130)의 타측은 상기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부(132)와 연결된다.
상기 냉수관(140)은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된 유체를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필터(미도시)에 의해 여과된 정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수관(140)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1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 공급관(170)에는 상기 냉수관(14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171)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 제어부(171)는 상기 냉수관(14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속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수관(140)에 유체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관(140)은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냉수관(141), 상기 바디부(110)의 상기 수용 공간(110a)에 배치되는 제2 냉수관(142) 및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3 냉수관(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냉수관(141)은 상기 커버부(113)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부(113)와 결합된다.
상기 제2 냉수관(142)은 상기 제1 냉수관(141)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는 상기 제2 냉수관(142)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냉수관(142)은 상기 수용 공간(110a)에서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 냉수관(142)은 상기 증발기(1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증발기(130)는 상기 제2 냉수관(142)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냉수관(142)의 유체는 상기 빙축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상기 제3 냉수관(143)은 상기 제2 냉수관(14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113)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부(113)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된 유체는 상기 제3 냉수관(143)을 통해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드레인 캡(150)은 상기 빙축관(120)의 일측을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 캡(150)은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캡(150)이 상기 빙축관(120)의 일측을 개방하면, 상기 빙축수가 상기 빙축관(120)의 일단(121)을 통해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 캡(15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 캡(150)은 상기 빙축관(12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드레인 캡(150)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빙축관(120)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제조 장치(100)에는 연결관(160), 빙축관 밸브(161) 및 냉수관 밸브(16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160)은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에서 상기 빙축관(120)과 상기 유체 공급관(170)을 연결한다.
상기 빙축관 밸브(161)는 상기 연결관(160)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160)을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빙축관 밸브(161)가 상기 연결관(160)을 개방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170)의 유체는 상기 빙축관(120)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유체 공급관(170)의 유체는 빙축수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빙축관 밸브(161)가 상기 연결관(160)을 폐쇄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170)의 유체는 상기 빙축관(120)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통해 상기 제2 냉수관(142)으로 이동된다.
상기 냉수관 밸브(162)는 상기 제1 냉수관(141)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관 밸브(162)는 상기 제1 냉수관(141)을 개폐하여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냉수관 밸브(162)가 상기 제1 냉수관(141)을 개방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170)의 유체는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통해 상기 제2 냉수관(142)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상기 냉수관 밸브(162)가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폐쇄하면서 더불어 상기 빙축관 밸브(161)가 상기 연결관(160)을 개방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170)의 유체는 상기 연결관(160)을 통해 상기 빙축관(120)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3 냉수관(143)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배출 제어부(172)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 제어부(172)는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제어부(172)가 상기 유체의 배출을 중지한 경우, 상기 유량 제어부(171)는 상기 냉수관(140)의 유체의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제조 장치(100)에는 상기 수용 공간(110a)의 상기 빙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174)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174)는 상기 바디부(110)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174)는 상기 빙축관 밸브(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수위 감지 센서(174)는 상기 빙축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용 공간(110a)에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빙축관 밸브(161)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값은 상기 빙축수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가 팽창되지 않는 수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110a)에는 상기 빙축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값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빙축수에 의해 유체의 냉각 효율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제조 장치(100)에는 상기 바디부(1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73)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 센서(173)는 상기 바디부(1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진공 상태의 유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빙축수의 냉열이 상기 바디부(11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냉수 제조 장치(100)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빙축수의 공급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빙축수는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공간(110a)에 공급된다. 상기 유체(①)는 상기 유량 제어부(171)를 통해 상기 냉수관 밸브(162)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냉수관 밸브(162)는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는 상기 빙축관 밸브(161)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빙축관 밸브(161)는 상기 연결관(160)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②)는 상기 연결관(160)을 통해 상기 제1 연장부(123)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드레인 캡(150)은 상기 빙축관(120)의 일측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③)는 상기 제1 연장부(123) 및 상기 연결부(125)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체는 상기 제2 연장부(124) 및 상기 빙축관(120)의 타단(122)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 이동되어 빙축수로 활용된다. 상기 빙축수의 수위가 상기 수용 공간(110a)에서 기설정된 값에 해당되도록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110a)에 채워진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유체(①)는 상기 유량 제어부(171)를 통해 상기 냉수관 밸브(162)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냉수관 밸브(162)는 상기 제1 냉수관(141)을 개방하고, 상기 빙축관 밸브(161)는 상기 연결관(160)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④)는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통해 상기 제2 냉수관(142)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 냉수관(142)의 유체는 상기 빙축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냉각된 유체(⑤)는 상기 제3 냉수관(143)을 따라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체는 상기 냉수관 밸브(162) 및 상기 빙축관 밸브(161)에 의해 상기 제1 냉수관(141) 및 상기 빙축관(120)에 선택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체는 상기 빙축수로 활용되거나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되어 냉수로 추출된다.
도 3은 빙축수의 배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드레인 캡(150)에 의해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의 개방을 통해 상기 빙축수의 배출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드레인 캡(150)은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에서 분리된다. 이 때,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타단(122)은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일단(121)과 상기 타단(122)의 높이(H) 차이에 의한 사이펀 효과(siphon effect)에 의해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부터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 공간(110a)의 빙축수(⑥)는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타단(122)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제2 연장부(124)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빙축수(⑦)는 상기 연결부(125)를 통해 상기 제1 연장부(123)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빙축수(⑧)는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을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110a)에 수용된 빙축수 대부분이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수 제조 장치는 상기 빙축관(120)이 상기 바디부(110)의 하측을 통해 관통하도록 형성되지 않게 되면서도 상기 빙축수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게 됨으로써, 상기 빙축수의 냉열이 상기 바디부(110)의 하측을 통해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빙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빙축수의 배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연결관(160)과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한 빙축수의 배출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드레인 캡(150)은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관 밸브(162)가 상기 제1 냉수관(141)을 폐쇄하면서 상기 빙축관 밸브(161)가 상기 연결관(160)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유체(②)는 상기 연결관(160)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⑧)는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을 통해 외부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수용 공간(110a)에 수용된 빙축수는 상기 연결관(160)과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부터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빙축수(⑥)는 상기 연결관(160)과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2 연장부(124)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빙축수(⑦)는 상기 연결부(125)를 통해 상기 제1 연장부(123)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빙축수는 상기 유체와 함께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110a)에 수용된 빙축수 대부분이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160)과 상기 빙축관(120)의 상기 일단(121)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빙축수를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부터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제어부(171)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냉수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제1 속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량 제어부(171)는 상기 빙축수를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유량 제어부(171)는 상기 빙축수의 배출을 위해 상기 냉수를 추출하긴 위한 상기 유체의 제1 속도보다 높은 제2 속도로 높이게 되어, 상기 유체의 제2 속도를 통해 상기 빙축수를 상기 빙축관(120)으로 흡입하는 힘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110a)으로부터 원활하게 상기 바디부(1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냉수 제조 장치 110: 바디부
110a: 수용 공간 120: 빙축관
121: 일단 122: 타단
123: 제1 연장부 124: 제2 연장부
125: 연결부 130: 증발기
140: 냉수관 150: 드레인 캡
110a: 수용 공간 120: 빙축관
121: 일단 122: 타단
123: 제1 연장부 124: 제2 연장부
125: 연결부 130: 증발기
140: 냉수관 150: 드레인 캡
Claims (7)
- 냉수 제조 장치로서,
빙축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상기 빙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빙축관;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빙축수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빙축수에 의해 냉각된 유체를 상기 바디부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수관; 및
상기 빙축관의 일측을 개폐하는 드레인 캡을 포함하되,
상기 빙축관은,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캡과 연결되는 일단;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
상기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타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캡이 상기 빙축관의 일단을 개방하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높이 차이에 의한 사이펀 효과에 의해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서 상기 빙축관과 상기 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빙축관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빙축관 밸브가 상기 연결관을 개방하면, 상기 유체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빙축관의 상기 일단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빙축관의 상기 일단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빙축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에 구비되고, 상기 냉수관을 개폐하여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수관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관의 상기 유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제어부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냉수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량 제어부는 상기 빙축수를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빙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빙축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빙축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빙축관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디부; 및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바디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제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7484A KR20230053987A (ko) | 2021-10-15 | 2021-10-15 | 냉수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7484A KR20230053987A (ko) | 2021-10-15 | 2021-10-15 | 냉수 제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3987A true KR20230053987A (ko) | 2023-04-24 |
Family
ID=8614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7484A KR20230053987A (ko) | 2021-10-15 | 2021-10-15 | 냉수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53987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6879B1 (ko) | 2014-12-05 | 2018-11-09 | 코웨이 주식회사 |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
KR20190119444A (ko) | 2018-04-12 | 2019-10-22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냉수제조장치 |
KR20210070840A (ko) | 2019-12-05 | 2021-06-15 | 코웨이 주식회사 | 냉각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
-
2021
- 2021-10-15 KR KR1020210137484A patent/KR2023005398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6879B1 (ko) | 2014-12-05 | 2018-11-09 | 코웨이 주식회사 |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
KR20190119444A (ko) | 2018-04-12 | 2019-10-22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냉수제조장치 |
KR20210070840A (ko) | 2019-12-05 | 2021-06-15 | 코웨이 주식회사 | 냉각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10408A1 (en) | Dispensing of Carbonated Liquids | |
KR100735914B1 (ko) | 물공급 장치 | |
CN205878567U (zh) | 即热式饮用水加热装置 | |
KR100900647B1 (ko) | 이중냉각구조의 다면균일 순환급속 냉각장치 | |
JP5572099B2 (ja) | リザーバシステムおよび多岐水栓を有する水ディスペンサ | |
CN101756638A (zh) | 一种实现饮水机即时出沸腾水的系统和方法 | |
US12031767B2 (en) | Free-standing ice or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 |
US20150101670A1 (en) |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230053987A (ko) | 냉수 제조 장치 | |
KR20150016158A (ko) | 기능수 공급 장치 | |
KR200473216Y1 (ko) | 자동급수 순환방식의 급속냉각장치 | |
CN109682057A (zh) | 一种预加热净水器的加热方法 | |
KR101041608B1 (ko) | 폐열을 이용한 절전형 음수기 | |
CN102344176A (zh) | 蒸馏式饮水装置及其节能加热单元 | |
CN210740535U (zh) | 一种冷暖两用水箱及空调机组 | |
US20230108527A1 (en) | Beverage-dispensing appliance having a chilled carbonator | |
CN206755598U (zh) | 即热式电热开水器的综合水箱结构 | |
CN221802064U (zh) | 一种双段式大功率管线机 | |
CN113116151A (zh) | 饮水设备的水路系统和饮水设备 | |
JP3169542B2 (ja) | 貯湯タンク構造 | |
CN214230941U (zh) | 一种具有蒸汽冷却收集功能的即热式热饮机 | |
CN201093814Y (zh) | 蓄能补液罐 | |
CN112710078B (zh) | 布水装置、空调器及其控制方法 | |
CN214664684U (zh) | 一种给排水暖通新型节能装置 | |
KR20230149061A (ko) | 얼음 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