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36B1 -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36B1
KR101936736B1 KR1020120039349A KR20120039349A KR101936736B1 KR 101936736 B1 KR101936736 B1 KR 101936736B1 KR 1020120039349 A KR1020120039349 A KR 1020120039349A KR 20120039349 A KR20120039349 A KR 20120039349A KR 101936736 B1 KR101936736 B1 KR 10193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outgoing
unit
wat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717A (ko
Inventor
가진성
노진환
문현석
김재만
이영재
모병선
박시준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84Ratio control
    • B67D1/1297Ratio defined by setting of t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84Ratio control
    • B67D1/1286Ratio control by mechanical construction
    • B67D1/1293Means for changing the ratio by acting on com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Abstract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갖는 물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물 추출장치는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 선택부; 및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물 추출장치에 의하면 연속출수와 같은 다양한 출수모드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기, 냉수기, 온수기, 냉온수기 등과 같이 물을 추출하기 위한 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갖는 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냉수기, 온수기, 냉온수기, 조리수기, 이온수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음용하거나 조리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추출하기 위한 물 추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 추출장치는 물을 추출하기 위해 코크나 파우셋 등으로 이루어지는 추출부를 구비한다.
종래의 물 추출장치는 사용자가 컵(용기)으로 추출부를 가압하여 추출부와 연결된 유로를 개방시키고, 추출부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동안 물이 추출되도록 하는 기계식 추출부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계식 추출부는 추출부의 하단에 위치한 추출레버를 컵(용기)으로 가압함으로써 레버를 가압하는 동안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레버 형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때, 레버 형식의 기계식 추출부는 레버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등 가압된 상태(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종래의 기계식 추출부와는 달리, 전기신호에 의해 추출부와 연결된 전자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전자식 추출부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전자밸브는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추출부와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식 추출부를 포함하는 물 추출장치는 극히 제한적인 형태의 출수만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자식 추출부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연속적인 출수 및/또는 정량 추출이 가능한 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전자식 추출부를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출수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출수모드를 기본출수모드로 지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출수모드나 기본출수모드의 변경이 용이한 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출수모드를 통한 출수가 종료된 후 자주 사용하는 기본출수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 선택부; 및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모드는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상기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상기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는 상기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와 상기 연속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는 상기 연속출수모드, 상기 정량출수모드 및 상기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 선택부; 및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기능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상기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기능선택부는 상기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는 상기 연속출수모드와 상기 정량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는 상기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와 상기 연속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는 상기 연속출수모드, 상기 정량출수모드 및 상기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의 누름시간을 다르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조작하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된 후,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으면 기본출수모드가 변경되고,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수모드의 변경이 없으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이 취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모드의 변경은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를 조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물 추출장치는 상기 추출조작부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출수모드의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출수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알림부는 다수의 램프를 갖는 조명기구로 형성되며, 연속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비례하여 램프의 점등개수가 변경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점등되거나 모두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램프가 정해진 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알림부는 정량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추출량에 비례하여 램프의 점등개수가 변경되고 미리 설정된 추출량에서 램프가 모두 점등되거나 모두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 선택부는 추출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는 추출온도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출수모드에 따라 상기 추출온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온도의 물이 출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속출수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은 상기 추출온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물의 온도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 및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를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된 기본출수모드로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포함하는 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는,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와,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의 누름시간을 다르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조작하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된 후,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으면 기본출수모드가 변경되고,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수모드의 변경이 없으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이 취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모드의 변경은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를 조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식 추출부를 사용하면서도 연속출수모드 및/또는 정량출수모드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출수모드뿐만 아니라 정량출수모드의 구현이 가능하고, 정량출수모드의 경우에도 다양한 추출량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출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출수모드(예를 들어, 다수의 단계로 이루어진 정량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나 연속출수모드)를 기본출수모드로 지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사용자가 임시로 선택한 출수모드가 종료된 후에 별도의 조작없이 기본출수모드로 복귀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모드 선택부나 기본출수모드 변경부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출수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출수모드 선택부나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하나의 버튼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 추출장치의 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의 전면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의 물 추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의 기본출수모드 변경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는, 물 추출을 위한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본체(110)와,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120)와, 출수모드 선택을 포함한 각종 기능의 선택이 가능한 기능 선택부(130)와, 상기 전자식 추출부(120)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출조작부(160)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출수모드의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출수알림부(1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는, 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가 놓여지고 버려지는 물이 수용되는 트레이(19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레이(190)는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18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기 본체(110)에는 물 추출을 위한 각종 부품, 예를 들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온도변화부,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온도변화부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변화부는 탱크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10) 내부에는 가열부가 설치되는 온수탱크와, 냉각부가 설치되는 냉수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0)에 구비되는 부품은 물 추출장치(100)의 특성상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110)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온의 물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온도 변화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생수통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온의 정수(상온수), 냉수 및 온수를 추출할 수 있는 물 추출장치(100)를 예로 들지만, 본 발명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전자식 추출부(120)는 물이 추출되거나 추출되지 않도록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자식 추출부(120)는 이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도록 전자밸브(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식 추출부(120)는 전자밸브에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전자식 추출부(120)와 연결된 유로가 개방되어 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추출부(120)는 사용자의 지속적인 외력, 즉 컵(용기)을 통한 추출부의 가압에 의하지 않고 전자밸브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자식 추출부(120)를 구성하는 전자밸브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조작부(160)는 상기 전자식 추출부(120)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누르면 전기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추출조작부(160)의 신호에 의해 전자식 추출부(120)에 구비되는 전자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여 상기 전자식 추출부(120)를 통한 출수 또는 출수중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기능 선택부(13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기능 선택부(130)는 전자식 추출부(120)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는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외에도 추출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추출온도 선택부나, 물 추출장치(100)의 전체적인 구동을 선택하기 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기능 선택부(130)의 설정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물 추출장치(100)의 각종 부품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는 조작버튼(148)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출수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모드 선택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신호가 인가되는 터치버튼식(정전용량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신호가 인가되는 가압버튼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는 물 추출장치(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출수모드 중에서 특정한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출수모드는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와,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연속출수모드와 정량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출수모드 선택부(140)가 개시되어 있고, 도 3에서는 연속출수모드, 정량출수모드 및 수동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출수모드 선택부(140)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복합적인 출수모드를 갖는 물 추출장치(100)뿐만 아니라, 연속출수모드, 정량출수모드 및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출수모드를 갖는 물 추출장치(100)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량출수모드의 경우에도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단계가 하나의 출수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연속출수모드의 경우, 연속출수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게 되면, 즉 추출조작부(160)를 한 번 누르면, 사용자가 다른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예를 들어, 3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연속출수모드는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출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속출수모드에 해당할 때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출수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는 많은 양의 물을 출수하기 위하여 추출조작부(160)를 계속 누르고 있지 않더라도 한 번의 조작(누름)에 의해 연속출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은 제품 제조시에 미리 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연속출수모드의 추출시간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속출수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은 출수되는 물의 온도, 즉 후술하는 추출온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물의 온도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다량의 온수를 추출하는 경우 넘침 등으로 인하여 화상과 같이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으므로 온수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연속출수모드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은 냉수나 정수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연속출수모드의 추출시간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정량출수모드의 경우, 정량출수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게 되면, 즉 추출조작부(160)를 한 번 누르면, 사용자가 다른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용기)에 담겨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추출량의 물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복수의 출수량 중에서 원하는 출수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다수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동출수모드의 경우에는 기계식 추출부와 유사한 방식으로 출수가 이루어진다. 즉, 수동출수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추출조작부(160)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의 조작을 마치면(누름 또는 접촉을 해제하면) 출수가 중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은 양의 물을 출수하거나 원하는 출수량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예를 들어, 용기의 특정 부분까지 또는 일정 정도로 물을 채우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수동출수모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양 만큼의 물을 출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출수모드 선택부(140)에서 선택된 출수모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출수모드 선택부(140)의 주변에는 각각의 출수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145, 146, 147)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추출장치(100)가 출수모드로서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연속출수모드 표시부(14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모드로서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계 중 어느 단계가 선택된 상태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5)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일 예로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5)는 제1 출수량의 출수를 표시하는 제1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1), 제2 출수량의 출수를 표시하는 제2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2), 제3 출수량의 출수를 표시하는 제3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1)는 120cc의 출수량의 추출을 표시하고, 제2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2)는 250cc의 출수량의 추출을 표시하고, 제3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3)는 500cc의 출수량의 추출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되는 출수량의 단계수, 각각의 단계(표시부)에 해당하는 출수량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각각의 단계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표시방식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수량의 단계가 일정량(예를 들어, 50cc)마다 다수개로 구분되도록(50cc, 100cc, 150cc, 200cc 등)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모드로서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수동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수동출수모드 표시부(14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각각의 출수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출수모드 선택부(140)의 조작버튼(148)을 누르면 것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의 조작버튼(148)을 한 번 누를 때마다 제1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1), 제2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2), 제3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3), 연속출수모드 표시부(146), 제1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1)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점등(또는 점멸)될 수 있고, 점등된(선택된) 출수모드 표시부(141, 142, 142, 146)에 해당하는 제1 정량출수모드, 제2 정량출수모드, 제3 정량출수모드,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또는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게 되면 각각의 출수모드에 해당하도록 출수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2 정량출수모드 표시부(142)가 선택된 상태에서 추출조작부(160)를 한 번 누르게 되면 250cc의 물이 추출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에는 도 2에 비해 수동출수모드에 대응하는 수동출수모드 표시부(147)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누름으로써 수동출수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출수모드 선택부(140)가 하나의 조작버튼(148)으로 구성되어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누르는 회수에 따라 출수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는 후술하는 정수추출 선택부(131), 냉수추출 선택부(132), 온수추출 선택부(133) 등과 유사하게 각각의 출수모드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출수모드 선택부(14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각의 출수모드 표시부(141, 142, 142, 146) 각각을 출수모드 조작버튼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출수모드 표시부(141, 142, 142, 146)을 직접 누름으로써 직접적인 출수모드의 선택 및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출수모드 선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가 기능 선택부(130)에 구비되는 다른 선택부(버튼)와 구별되는 별도의 조작버튼(148)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는 기능 선택부(130)에 구비되는 다른 선택부(버튼)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속출수모드와 정량출수모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통하여 연속출수모드와 정량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량출수모드가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통하여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와 상기 연속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출수모드와 정량출수모드뿐만 아니라 수동출수모드까지 구비된 경우에는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통하여 연속출수모드, 정량출수모드(또는 이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 및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예로 들어 연속출수모드나 정량출수모드와 같은 출수모드가 구비된 물 추출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지만,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출수모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속출수모드와 정량출수모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연속출수모드와 정량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출수모드가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 경우에는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와 연속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출수모드, 정량출수모드 및 수동출수모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연속출수모드, 정량출수모드(또는 이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 및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출수모드는 물 추출장치(100)에 구비된 출수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량의 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연속출수모드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연속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250cc의 컵을 사용하여 물을 자주 추출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는 정량출수모드(제2 정량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본출수모드 상태로 출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출조작부(160) 만을 조작하면 기본출수모드에 해당하는 출수모드로 물이 추출되며, 사용자가 기본출수모드가 아닌 출수모드로 물을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출수모드를 선택하여 출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본출수모드가 아닌 출수모드로 물을 추출한 경우에는 출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250cc의 물을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속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250cc 출수에 해당하는 제2 정량출수모드를 선택하고 이 상태에서 물을 추출하면 250cc에 해당하는 물이 추출된다. 그리고, 추출이 종료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연속출수모드(기본출수모드)로 다시 복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사용자는 다음번 추출시에 자주 사용하는 기본출수모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본출수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능 선택부(130)에는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를 선택한 이후에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는 출수모드 선택부(140)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48)이 아닌 버튼이 사용될 수 있으나, 기능 선택부(130)에 구비되는 조작버튼의 개수를 줄이고 본체(110)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모드 선택부(140)와 동일한 조작버튼(148)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는 상기 조작버튼(148)의 누름시간을 다르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는 상기 조작버튼(148)을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기본출수모드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출수모드 선택부(140)는 상기 조작버튼(148)을 짧게 누름으로써 출수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예로 들면, 먼저, 조작버튼(148)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하여 누르면 현재의 기본출수모드(예를 들어, 연속출수모드)에 해당하는 표시부가 점멸되며, 이 상태에서 조작버튼(148)을 단속적으로 한 번 누르면 변경된 기본출수모드(예를 들어, 제1 정량출수모드)에 해당하는 표시부가 점멸되고, 조작버튼(148)을 누를 때마다 기본출수모드의 선택상태가 변경되고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가 점멸된다. 원하는 기본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조작버튼(148)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면 변경된 기본출수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기능 선택부(130)는 출수모드 선택부(140) 이외에, 추출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는 추출온도 선택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온도 선택부는 상온수 추출을 위한 정수추출 선택부(131), 냉수추출을 위한 냉수추출 선택부(132), 온수추출을 위한 온수추출 선택부(133)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선택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잠금기능 선택부(13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잠금기능 선택부(134)는 추출조작부(160)의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출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물추출 잠금 기능(전체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온수 추출을 제한하는 온수 추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 잠금기능은 물 추출장치(100)의 외관 청소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온수 잠금기능은 어린이나 노약자가 조작을 잘못하여 온수에 의한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기능은 잠금기능 선택부(134)만을 조작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잠금기능 선택부(134)와 기능 선택부(130)에 있는 다른 선택부(예를 들어, 131, 132, 133)를 함께 선택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수추출 선택부(131), 냉수추출 선택부(132), 온수추출 선택부(133), 잠금기능 선택부(134)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신호가 인가되는 터치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신호가 인가되는 가압버튼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부(131, 132, 133, 134)는 선택된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선택된 기능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온(ON)되고(점등되고), 선택되지 않는 기능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오프(OFF)되도록(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능 선택부(130)에는 이외에도 냉수나 온수의 추출온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추출온도 변경부, 절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절전기능 선택부 등 다양한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선택부(13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냉수온도 표시부(132a),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수온도 표시부(133a)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냉수온도 표시부(132a)나 온수온도 표시부(133a)는 다수의 램프를 구비하여 냉수나 온수 온도에 따라 램프의 점등 개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온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출수알림부(17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출수알림부(170)는 추출조작부(160)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출수모드의 출수 진행상황을 알려주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출수알림부(170)는 다수의 램프를 갖는 조명기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출수모드에 적절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비례하여 램프의 점등개수가 변경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점등되거나 모두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출수알림부(170)에 구비되는 다수의 램프가 출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씩 추가로 점등되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점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는 반대로 최초에 모든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출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씩 소등되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소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속출수모드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출수가 도 2에 도시된 출수알림부(170)에 구비된 램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점차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이 반복되거나, 일정한 개수의 램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반복되는 등 일정한 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량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출수량에 비례하여 램프의 점등개수가 변경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량에서 램프가 모두 점등되거나 모두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알림부(170)에 구비되는 다수의 램프가 출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나씩 추가로 점등되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량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점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는 반대로 최초에 모든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출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나씩 소등되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량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소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물 추출장치(100)의 물 추출방법(S1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기능 선택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120).
만약, 출수모드의 변경이 없으면 제어부는 추출조작부(160)의 조작(누름)이 있는지 판단하여(S140') 추출조작부(160)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면 종전의 출수모드에 따라 물을 출수하도록 전자식 추출부(12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S150).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출수모드를 변경하면 변경된 출수모드로 설정이 된다(S1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에 해당하는 조작버튼(148)을 조작하여 출수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면(누르면) 제어부는 변경된 출수모드(현재 선택된 출수모드)에 해당하는 출수모드 패턴에 따라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전자식 추출부(120)를 개방하게 된다(S150). 이때, 전자식 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물은 정수추출 선택부(131), 냉수추출 선택부(132) 및 온수추출 선택부(133) 중 어느 온도의 물이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냉수추출 선택부(132)가 온(ON)된 상태에서 추출조작부(160)가 조작되면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출수모드에 따라 출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게 되고(S160), 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완료되었으면 출수를 중단하게 되며(S180). 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완료될 때까지 출수를 지속하게 된다.
만약, 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S170) 제어부는 사용자가 출수를 중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출수를 중단하게 된다(S180). 출수모드 해제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의 경우에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출수모드가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추출장치(100)는 초기상태에서 기본 출수모드로 대기하게 되며(S110), 이 상태에서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으면(S120) 변경된 출수모드가 설정되고(S130) 추출조작부(160)가 조작되면(S140) 변경된 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이루어진다(S150).
다만, 출수모드 선택부(140)의 조작, 즉 조작버튼(148)의 조작이 있은 후에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추출조작부(160)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S140) 제어부는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잘못 조작하였거나 출수모드를 변경할 의사가 없거나 출수하지 않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게 된다(S190).
예를 들어, 기본출수모드로서 연속출수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148)을 조작하여 출수모드를 제2 정량출수모드로 변경하면(S120) 제2 정량출수모드가 현재의 출수모드로 설정되고(S130), 제2 정량출수모드로 출수모드가 설정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면(S140) 제2 정량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이루어진다(S150). 그러나, 사용자가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지 않으면(S140) 출수모드가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게 된다(S190).
이하,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물의 출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면 연속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S150). 즉, 제어부는 연속출수모드에 대응하여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전자식 추출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출수과정에서 사용자가 출수를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원하는 출수량에 도달하여 더 이상의 연속출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연속출수를 종료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연속출수를 종료하기 위하여 연속출수모드 해제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S170) 연속출수가 중단된다(S180). 또한,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된 후(S180)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90). 즉, 현재의 출수모드인 연속출수모드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본출수모드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다음 출수시의 사용자 편의가 증진된다. 이때, 기본출수모드가 연속출수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의 출수모드와 기본출수모드가 동일하기 때문에 복귀 전후의 출수모드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160)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 있으며, 출수모드 선택부(140)뿐만 아니라 기능 선택부(130)에 구비된 다른 버튼을 이용하여 연속출수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여(눌러) 출수가 이루어지므로 적어도 추출조작부(160)를 다시 조작하는 경우에는 연속출수모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추출조작부(160)를 한번 누르면 추출이 개시되고, 다시 누르면 추출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현재의 출수모드를 연속출수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160)가 조작되지 않으면(S140) 제어부는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잘못 조작하였거나 출수모드를 변경할 의사가 없거나 출수하지 않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출수모드인 연속출수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기본출수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출수모드인 연속출수모드는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게 된다(S190).
다음으로,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물의 출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면 정량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S150). 즉, 제어부는 정량출수모드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추출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전자식 추출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출수과정에서 사용자가 정량출수를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원하는 출수량에 도달하여 더 이상의 출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정량출수를 종료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출수를 종료하기 위하여 정량출수모드 해제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S170) 출수가 중단된다(S180). 또한,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된 후(S180)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90). 즉, 현재의 출수모드인 정량출수모드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본출수모드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다음 출수시의 사용자 편의가 증진된다. 이때, 기본출수모드와 현재의 출수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기본출수모드 복귀 전후의 출수모드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140)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160)를 누름으로써 발생할 수 있으며, 출수모드 선택부(140)뿐만 아니라 기능 선택부(130)에 구비된 다른 버튼을 이용하여 정량출수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여(눌러) 출수가 이루어지므로 적어도 추출조작부(160)를 다시 조작하는 경우에는 정량출수모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현재의 출수모드를 정량출수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160)가 조작되지 않으면(S140) 제어부는 사용자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잘못 조작하였거나 출수모드를 변경할 의사가 없거나 출수하지 않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출수모드인 정량출수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만약, 기본출수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출수모드인 정량출수모드는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게 된다(S190). 이때, 정량출수모드에서의 제1 설정시간과 연속출수모드에서의 제1 설정시간은 동일한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현재의 출수모드 또는 기본출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동출수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도 전술한 연속출수모드나 정량출수모드와 유사하게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동출수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를 조작하는(누르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추출조작부(160)에서 손을 떼면 수동출수모드에 따른 출수가 완료되며, 따라서 별도의 수동출수모드 해제신호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다음으로, 기본출수모드의 변경방법(S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초기 단계에서는 기본출수모드로 대기하게 된다(S210).
이러한 상태에서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를 조작하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되며(S220), 이러한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 신호는 일 예로서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에 해당하는 조작버튼(148)을 일정시간 이상 누름으로써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된 후에,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으면 기본출수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진다(S240). 이때, 출수모드의 변경은 출수모드 선택부(140)를 조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된 후에 출수모드가 변경되면 제어부는 이를 기본출수모드의 변경이라고 판단하고 기본출수모드로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출수모드의 변경은 최후의 출수모드 선택(변경)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기본출수모드 변경부(150)에 해당하는 조작버튼(148)을 일정시간 이상 누름으로써 확정될 수 있다.
만약,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수모드의 변경이 없으면(S230), 제어부는 사용자가 기본출수모드의 변경 의사가 없거나 조작을 잘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본출수모드의 변경이 취소된다. 이에 따라, 기본출수모드는 종전의 기본출수모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물 추출장치 110... 본체
120... 전자식 추출부 130... 기능 선택부
131... 정수추출 선택부 132... 냉수추출 선택부
133... 온수추출 선택부 134... 잠금기능 선택부
140... 출수모드 선택부 145... 정량출수모드 표시부
146... 연속출수모드 표시부 147... 수동출수모드 표시부
150... 기본출수모드 변경부 160... 추출조작부
170... 출수알림부 180... 받침대
190... 트레이

Claims (48)

  1.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 선택부; 및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모드는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기능선택부는 상기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되거나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 상기 기능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 또는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연속출수모드가 해제되거나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되거나,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 상기 기능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 또는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해제되거나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6. 삭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는 상기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와 상기 연속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는 상기 연속출수모드, 상기 정량출수모드 및 상기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0.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 선택부; 및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는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기본출수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며,
    상기 기능선택부는 상기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추출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출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출수가 중단되거나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3. 삭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 해제신호는 상기 기능 선택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이나 상기 추출조작부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선택된 후 제1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정량출수모드가 해제되거나 상기 기본출수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6. 삭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28. 삭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는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는 상기 연속출수모드와 상기 정량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는 상기 정량출수모드에 구비된 다수의 단계와 상기 연속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는 상기 연속출수모드, 상기 정량출수모드 및 상기 수동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의 누름시간을 다르게 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조작하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된 후,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으면 기본출수모드가 변경되고,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수모드의 변경이 없으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이 취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의 변경은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를 조작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6. 제1항, 제9항,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작부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출수모드의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출수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7.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작부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출수모드의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출수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출수알림부는 다수의 램프를 갖는 조명기구로 형성되며,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비례하여 램프의 점등개수가 변경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시간에 도달하면 램프가 모두 점등되거나 모두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8.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작부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출수모드의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출수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출수알림부는 다수의 램프를 갖는 조명기구로 형성되며,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램프가 정해진 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39. 제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작부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출수모드의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출수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출수알림부는 다수의 램프를 갖는 조명기구로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출수량에 비례하여 램프의 점등개수가 변경되고 미리 설정된 출수량에서 램프가 모두 점등되거나 모두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0. 제1항, 제9항,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부는 추출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는 추출온도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출수모드에 따라 상기 추출온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온도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출수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은 상기 추출온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물의 온도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2. 전기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출수하는 전자식 추출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출수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출수모드 선택부;
    상기 전자식 추출부의 개폐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출조작부; 및
    상기 출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출수모드를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하도록 구성된 기본출수모드로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출수모드를 변경하는 기본출수모드 변경부;
    를 포함하는 물 추출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는, 계속하여 출수가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추출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는 연속출수모드와, 미리 설정된 출수량만큼 출수가 이루어지는 정량출수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추출조작부를 조작하는 동안에만 출수가 이루어지는 수동출수모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추출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출수모드는 복수의 출수량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와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는 동일한 버튼의 누름시간을 다르게 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부를 조작하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기본출수모드 변경준비신호가 입력된 후, 출수모드의 변경이 있으면 기본출수모드가 변경되고, 제2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수모드의 변경이 없으면 기본출수모드 변경이 취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드의 변경은 상기 출수모드 선택부를 조작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KR1020120039349A 2012-04-16 2012-04-16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KR10193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49A KR101936736B1 (ko) 2012-04-16 2012-04-16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49A KR101936736B1 (ko) 2012-04-16 2012-04-16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17A KR20130116717A (ko) 2013-10-24
KR101936736B1 true KR101936736B1 (ko) 2019-01-11

Family

ID=4963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349A KR101936736B1 (ko) 2012-04-16 2012-04-16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919B1 (ko) * 2014-09-12 2015-12-21 주식회사 경신 전기자동차용 인-케이블 제어장치의 정격전류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9422300A (zh) * 2017-08-22 2019-03-05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净水器水袋的水位控制方法和净水器
KR102223807B1 (ko) * 2020-05-0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167560B1 (ko) * 2020-05-06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87Y1 (ko) * 2006-12-13 2012-10-16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량 취수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20110026133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069058B1 (ko) * 2010-02-17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전력망을 이용하는 정수기
KR20110097074A (ko) * 2010-02-24 2011-08-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의 연속 취수 방법
KR101174993B1 (ko) * 2010-07-06 201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17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736B1 (ko)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CA2727441C (en) Kettle and base
CN110040861B (zh) 净水器
KR102569932B1 (ko) 음료 공급 장치
US9560863B1 (en) Method of food processing using an auto-directive controller
KR101507860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04012A (ko) 상이한 유형의 음료 또는 음료 성분을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
KR101504588B1 (ko) 정수기의 출수량 제어방법
KR101685880B1 (ko) 물 배출 장치
JP3052854B2 (ja) 電気貯湯容器
KR10237606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0993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5661341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245753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509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2647323U (zh) 一种配料装置
KR101502651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83939A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24596A (ja) コーヒーおよび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4203452A (ja) 発泡飲料自動注出装置
US20200268209A1 (en) Machine and method for charging culinary cream whippers
WO2016183462A1 (en) Hot beverage maker with milk frother and related method
KR101114675B1 (ko) 물 공급 장치
KR20120085029A (ko) 예약 기능을 구비한 미니 커피 냉온수기 또는 미니 커피 냉온정수기
JPH05253069A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