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993B1 -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993B1
KR101174993B1 KR1020100064631A KR20100064631A KR101174993B1 KR 101174993 B1 KR101174993 B1 KR 101174993B1 KR 1020100064631 A KR1020100064631 A KR 1020100064631A KR 20100064631 A KR20100064631 A KR 20100064631A KR 101174993 B1 KR101174993 B1 KR 10117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tton
body portion
ic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14A (ko
Inventor
전제욱
김세주
하영훈
윤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9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 또는 얼음이 보관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선택하는 취출버튼; 및 상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취출버튼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회전축을 가지는 작동암이 포함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 Activating structure of touch button }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터치버튼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터치버튼의 어느 위치를 가압하여도 동작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편의성과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터치버튼의 구조에 관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본체 내부에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를 통해 정수 된 물은 저수조에 저장되고, 상기 저수조에서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구분하여 정수 된 물을 공급한 이후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서 이를 각각 냉각 및 가열하여 각각 구분되는 배출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정수기는 주로 주방 한켠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정수기의 외관은 주로 전면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정수기의 가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정수기의 기능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 등이 구비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에서는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 또는 상기 버튼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돌출 형성된 부분에는 지속적인 청소기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먼지 및 이물이 돌출부 상면에 쌓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쌓인 먼지는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경우 취출되는 물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청결함이 요구되는 정수기의 이미지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취출버튼을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경우에, 취출버튼의 특정위치를 정확하게 가압해야만 동작하므로, 사용자는 정숫물의 취출을 위해서 때로는 여러번에 거쳐서 취출버튼을 눌러야 하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버튼의 어느 위치를 가압하여도, 제어명령이 입력되어서 사용자가 1회의 버튼 조작에 의해서도 작동되는 터치버튼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터치버튼의 구조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누전의 문제를 방지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과 사용편의성을 구비한 터치버튼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 또는 얼음이 보관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선택하는 취출버튼; 및 상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취출버튼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회전축을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작동암이 포함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버튼의 어느 위치를 가압하여도 취출버튼이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버튼을 구비한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버튼을 구비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상측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취출버튼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취출버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 터치버튼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 터치버튼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채용된 정수기(1)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프런트 상측 패널(12)과, 프런트 하측 패널(13)과, 물 받이(14)와, 탑 커버(11)와, 사이드 커버(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는 온수와 냉수를 각각 취수할 수 있는 물 취출부(22)와, 물 취출버튼(200)과, 얼음취출부(22')와 얼음취출버튼(2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 및 표시창이 구비된 제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물 받이(14)는 상기 물 취출버튼(200) 및 얼음취출버튼(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필터(31)와, 상기 필터(3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수용되는 정수탱크(50)와,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각각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탱크(105) 및 온수탱크(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물 취출부(22), 물 취출버튼(200), 얼음취출부(22')와 얼음취출버튼(200')이 구비된다.
상기 물 취출버튼(200)의 선택에 의해서 온수 또는 냉수가 취출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플레이트(36)과,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36)가 연결되는 다수의 메인 프레임(35)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3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냉수 취출을 위해 냉매의 순환 싸이클을 형성하는 응축기(33), 압축기(32), 증발기(미도시), 팽창기(미도시)와,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31)와,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박스(4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33)는 상기 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압축기(32)에서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그리고, 본체(10) 하측부에는 상기 필터(31)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31)를 거친 정수된 물은 배관을 통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부에 구비된 정수탱크(50)에 집수된다.
상기 정수탱크(50)에 집수된 정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가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온수 및 저온으로 냉각된 냉수로 취출된다.
이하에서는 취출버튼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물 취출버튼과 얼음 취출버튼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 하에서는 물 취출버튼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상측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취출버튼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취출버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은 외형을 이루는 바디(121)와,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취출수단(20)과, 물받이(14)를 포함한다.
상기 취출수단(20)은 상기 취출버튼(200, 200')과, 취출부(20, 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21)에는 상기 취출부(22, 20)가 장착되기 위한 취출부 장착부(122)와, 상기 취출버튼(200, 200')이 장착되기 위한 버튼 장착부(123)과, 상기 물받이(14)가 장착되는 물받이 장착부(124)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물 터치버튼(2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터치부(210)와, 상기 터치부(210)가 수용 결합되는 몸체부(220)와, 상기 몸체부(220)와 결합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220)를 위치를 복원시키는 작동스프링(230), 그리고 상기 몸체부(220)의 가압에 의해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부(210)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터치부(210)는 외형을 형성하는 터치패드(211)와, 상기 터치패드(211)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20)에 고정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212) 사이에는 상기 고정후크(2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지지리브(21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220)의 전면부에는 상기 터치부(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터치부 수용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부 수용부(221')에는 상기 터치부(210)의 고정후크(212)와 고정결합을 위해서, 상기 고정후크(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23)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0)의 후면에는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 고정 결합을 위해 돌출 형성된 결합후크(222)와,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과 결합하고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229)을 구비한 작동암(226)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접점판(241)을 가압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가압 돌기(225)와, 누전방지리브(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전방지리브(224)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로부터 누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돌기(225)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는 접점판(241)과, 제어부와의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242)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암(226)은 상기 몸체부(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함(226)은 상기 몸체부(220)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부(227)와, 상기 지지부(227)로부터 수직하는 방향 즉, 상기 몸체부(22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8)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몸체부(220)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암(226)은 "ㄱ"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작동암(226)은 상기 몸체부(220)와 상대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7)는 상기 연장부(228)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상기 지지부(227)과 연장부(228)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2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8)의 단부에는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과 결합하고,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229)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29)은 상기 연장부(228)의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9)과 상기 가압돌기(225) 사이에 상기 지지부(227)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부(220)의 후면 하측에 상기 작동암(226)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암(226) 사이에 상기 작동 스프링(230)이 고정되기 위한 작동 스프링 고정공(223')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 스프링 고정공(223')에 상기 작동스프링(23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 측에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 취출버튼(200)을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 결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때, 상기 지지부(227)에서 상기 몸체부(220)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상기 지지부(227)에서 상기 연장부(228)의 하단부(또는 회전축)까지의 길이가 더 길다. 따라서, 상기 물 터치버튼(200)이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210)의 상측부, 중간부 또는 하측부를 가압해도 동작이 가능하다.
즉, 상기 회전축(229)이 상기 터치부(210)의 하단부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상기 물 터치버튼의 어느 부위를 눌러도, 상기 물 터치버튼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 터치버튼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 터치버튼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터치버튼이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돌기(225)와 상기 접점판(241)이 정렬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9)은 상기 터치부(2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터치부(210)의 상측부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가압하는 경우, 상기 물 취출버튼(200)은 회전축(229)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어, 상기 가압 돌기(225)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접점판(241)을 가압하게된다.
또한, 상기 터치부(210)의 하단부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암(226)은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나, 상기 터치부(210)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가압돌기(225)가 상기 접점판(241)을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227)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터치부(2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터치부(2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터치부(2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터치부(2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210)의 어느 부위를 가압하게 되더라도 상기 가압돌기(225)가 상기 접점판(241)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작동암이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작동암이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작동암의 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작동암이 상기 몸체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작동암의 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회전축이 상기 몸체부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포함한다.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정수기 10..... 본체
20..... 취출수단

Claims (6)

  1. 물 또는 얼음이 보관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선택하는 취출버튼; 및
    상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취출버튼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회전축을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작동암이 포함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축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하측 또는 상측 단부까지의 거리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취출 버튼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 취출 버튼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위치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해서 상기 몸체부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작동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작동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작동암 사이에 위치되는 정수기.

KR1020100064631A 2010-07-06 2010-07-06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KR10117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31A KR101174993B1 (ko) 2010-07-06 2010-07-06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31A KR101174993B1 (ko) 2010-07-06 2010-07-06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4A KR20120004014A (ko) 2012-01-12
KR101174993B1 true KR101174993B1 (ko) 2012-08-17

Family

ID=4561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631A KR101174993B1 (ko) 2010-07-06 2010-07-06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7970A1 (en) * 2017-01-03 2018-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736B1 (ko) * 2012-04-16 2019-01-11 코웨이 주식회사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KR101397967B1 (ko) * 2014-02-04 2014-05-27 (주)명진클라비스 음용수 공급장치의 대면적 급수 버튼
KR102222432B1 (ko) 2016-05-13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531A (en) 1982-03-15 1984-02-07 Hewlett-Packard Company Snap disc key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531A (en) 1982-03-15 1984-02-07 Hewlett-Packard Company Snap disc key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7970A1 (en) * 2017-01-03 2018-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670332B2 (en) * 2017-01-03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4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993B1 (ko) 터치버튼의 작동구조
US7854782B2 (en) Vacuum cleaner
KR101703763B1 (ko) 주방 기구용 분리 시스템
US20180184871A1 (en) Cleaner
CN108139111B (zh) 空气调节机
CN207585169U (zh) 分配器及具有该分配器的冰箱
CN104757925A (zh) 洗碗机
CN202692260U (zh) 具有快拆式进风格栅的空调器
CN101994224A (zh) 电洗衣机
CN110200495B (zh) 上盖总成及烹饪器具
CN107445365B (zh) 净水器
EP3397902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ntrol unit
KR101188483B1 (ko) 정수기
CN210639522U (zh) 一种易于拆装的挂耳装置及服务器机箱
CN111981533A (zh) 接水盒组件及带有接水盒组件和灶台的组合设备
EP3517015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the degree of cleanliness of the filtering system in a dishwashing machine
US9745686B2 (en) Dryer comprising a dismountable member
KR102217989B1 (ko)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장치
CN111534995B (zh) 干衣设备
CN212186366U (zh) 设有集尘袋的吸尘器
CN106319845B (zh) 分洗洗衣机的箱体以及分洗洗衣机
KR102045462B1 (ko) 로봇 청소기
CN106678978B (zh) 空调壁挂机及空调器
CN106319830B (zh) 一种洗衣机
CN215016352U (zh) 一种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