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993B1 -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993B1
KR101660993B1 KR1020110068131A KR20110068131A KR101660993B1 KR 101660993 B1 KR101660993 B1 KR 101660993B1 KR 1020110068131 A KR1020110068131 A KR 1020110068131A KR 20110068131 A KR20110068131 A KR 20110068131A KR 101660993 B1 KR101660993 B1 KR 10166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valve
discharge pipe
satis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227A (ko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9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 상기 정수조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관; 상기 온수조에 연결되는 온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는 정수 밸브; 상기 온수 배출관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하는 온수 밸브; 상기 정수 배출관과 상기 온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공통 배출관; 및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를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수기는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 또는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 또는 온수조 및 냉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온수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냉수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온수조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경우, 온수 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온수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정수기에 의하면, 온수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온수가 온수조에 장시간 저장되면 온수조의 온수가 상하거나 온수조에 물 때가 생기는 등 위생 상태가 좋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온수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온수조의 위생 상태가 나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 상기 정수조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관; 상기 온수조에 연결되는 온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는 정수 밸브; 상기 온수 배출관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하는 온수 밸브; 상기 정수 배출관과 상기 온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공통 배출관; 및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를 온 시키고,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온수 밸브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정수와 함께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는 단계; 및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온수를 취출하지 않고 정수 만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정수와 함께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고, 정수조의 물이 온수조로 새롭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조 내부의 물이 상기 온수조에 정체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온수조 내부의 물이 상하거나 상기 온수조에 물 때가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럭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와, 온수 온도를 표시하는 온수 온도 표시부(116)와, 냉수 온도를 표시하는 냉수 온도 표시부(1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는 후술할 가열기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열기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후술할 냉각기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116)는 온수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고, 온수 온도가 온수 기준 온도 이상이되면,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116)가 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수 기준 온도는 정수의 온도 보다 높다.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117)는 냉수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가 선택되고, 냉수 온도가 냉수 기준 온도 이하가되면,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117)가 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수 기준 온도는 정수의 온도 보다 낮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와, 상기 냉수조(32)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 온도 센서(63)와,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 온도 센서(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62)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62)는 냉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61)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61)는 온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4)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 례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 례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 46, 47, 48), 가열기(61) 및 냉각기(62) 등은 제어부(6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헤드(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수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한다. 즉,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된다(S1).
상기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온수 모드가 오프(또는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온수 온도가 취출 기준 온도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3).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수 모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오프(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온수 모드가 오프되었다고 판단되고, 온수 온도가 취출 기준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정수 밸브(46)와 상기 온수 밸브(48)를 온시킨다. 그러면,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정수 배출관(43)으로 배출되고,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온수 배출관(45)으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정수 배출관(43)으로 배출된 정수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으로 배출된 물은 상기 공통 배출관(49)에서 합쳐진 상태에서 상기 취출구(50)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단계 S2에서 온수 모드가 오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단계 S3에서 온수 온도가 취출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정수 밸브(46) 만이 온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취출구(50)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온수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기 정수조의 정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의 물이 배출되는 경우 상기 온수조로 상기 정수조의 물이 새롭게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기 온수조에 정체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하거나 상기 온수조에 물 때가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정수와 함께 온수조의 물이 취출될 때, 온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정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취출 기준 온도는 상기 온수 기준 온도 보다 낮게 설정된다.
또한, 단계 S4에서 상기 온수 밸브(48)의 온 시간은 상기 정수 밸브(46)의 온 시간 보다 짧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조작 레버(12)가 가압되면 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정수 밸브(46)가 온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온수 밸브(48)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밸브(46) 개방 시 상기 온수 밸브(48)를 함께 온시킨 후에, 상기 정수 밸브(46)가 온되어 있는 동안, 상기 온수 밸브(48)를 간헐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밸브(46) 및 상기 온수 밸브(48)는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정수 밸브(46)의 개도 보다 상기 온수 밸브(48)의 개도가 낮도록 상기 정수 밸브(46)와 상기 온수 밸브(48)를 온시킨다.
31: 정수조 33: 온수조
46: 정수 밸브 48: 온수 밸브

Claims (12)

  1.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
    상기 정수조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관;
    상기 온수조에 연결되는 온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는 정수 밸브;
    상기 온수 배출관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하는 온수 밸브;
    상기 정수 배출관과 상기 온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공통 배출관; 및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를 온 시키고,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온수 밸브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온수 모드가 해제되고, 온수 온도가 취출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인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온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수 온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는 상기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온수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온되며,
    상기 취출 기준 온도는 상기 온수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밸브의 온 시간은 상기 정수 밸브의 온 시간 보다 짧은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밸브의 개도는 상기 정수 밸브의 개도 보다 작은 정수기.
  6.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정수와 함께 온수조의 물이 취출되는 단계; 및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온수를 취출하지 않고 정수 만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온수 모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온수 모드가 해제된 경우, 온수 온도가 취출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정수 밸브와 온수 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온수 밸브의 온 시간은 상기 정수 밸브의 온 시간 보다 짧은 정수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밸브가 온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온수 밸브가 온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가 함께 온되고, 상기 정수 밸브가 온되어 있는 동안 상기 온수 밸브는 간헐적으로 온/오프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밸브가 온될 때의 개도는 상기 정수 밸브가 온될 때의 개도 보다 작은 정수기의 제어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취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정수 만이 취출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0110068131A 2011-07-08 2011-07-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6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31A KR101660993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31A KR101660993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27A KR20130006227A (ko) 2013-01-16
KR101660993B1 true KR101660993B1 (ko) 2016-09-28

Family

ID=4783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31A KR101660993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1309B2 (en) * 2014-09-12 2018-09-25 Jun Gao Air freshener with device holder
KR101725621B1 (ko) * 2015-03-19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17U (ko) * 1997-12-10 1999-07-05 우병훈 정수기의 정수배출장치
KR100785269B1 (ko) * 2006-05-12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정수기 상태 검출 및 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27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993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75599B1 (ko) 순간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온수기
KR20100105061A (ko)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KR101323891B1 (ko) 정수기
KR101502651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96434B1 (ko) 정수기 및 그의 배수구조
KR101296528B1 (ko)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KR100723349B1 (ko) 정수기의 토출밸브 제어시스템
KR101335834B1 (ko) 정수기
KR101491886B1 (ko) 정수기
KR101564133B1 (ko) 정수기
KR101372051B1 (ko) 정수기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JPH06292483A (ja) 観賞魚飼育装置
KR101296547B1 (ko) 정수기
KR101291430B1 (ko) 정수기
KR101296411B1 (ko) 정수조 및 정수기
KR101213804B1 (ko) 정수기
KR101352697B1 (ko) 정수기
KR101304683B1 (ko) 정수기
CN115196699B (zh) 净水器
KR101291974B1 (ko) 정수기
KR101335848B1 (ko) 정수기
KR20230122943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35780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