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974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974B1
KR101291974B1 KR1020110068127A KR20110068127A KR101291974B1 KR 101291974 B1 KR101291974 B1 KR 101291974B1 KR 1020110068127 A KR1020110068127 A KR 1020110068127A KR 20110068127 A KR20110068127 A KR 20110068127A KR 101291974 B1 KR101291974 B1 KR 10129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water
tank
water tank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224A (ko
Inventor
전제욱
이강현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974B1/ko
Priority to US13/410,934 priority patent/US9249038B2/en
Priority to PCT/KR2012/001594 priority patent/WO2012118354A2/en
Publication of KR2013000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 상기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냉수조에 착탈 가능한 냉수 온도센서: 및 상기 냉수조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냉수 온도센서가 착탈 되는 곳에 서비스 홀이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 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수기는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 또는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 또는 온수조 및 냉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조가 구비된 경우, 상기 냉수조에는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냉수온도센서와, 냉수조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냉수조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경우, 상기 냉수온도센서의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단열재를 상기 냉수조에서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냉수온도센서의 교체가 용이한 단열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 상기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냉수조에 착탈 가능한 냉수 온도센서: 상기 냉수조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냉수 온도센서가 착탈 되는 곳에 서비스 홀이 형성되는 단열재; 및 상기 서비스 홀에 삽입되는 서비스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냉수 온도센서의 교체를 서비스 홀을 통해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 전체를 냉수조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어 냉수 온도센서의 교체가 간편하다.
또한, 단열재를 냉수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이 없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단열재를 구비한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와, 온수 온도를 표시하는 온수 온도 표시부(116)와, 냉수 온도를 표시하는 냉수 온도 표시부(1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116)는 온수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고, 온수 온도가 온수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116)가 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수 기준 온도는 정수의 온도 보다 높다.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117)는 냉수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가 선택되고, 냉수 온도가 냉수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117)가 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수 기준 온도는 정수의 온도 보다 낮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 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저장탱크(30)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는 외측에 아래에서 설명할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조(31) 및 냉수조(32)가 상기 저장탱크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저장탱크는 외측에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의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61)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61)는 온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4)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 례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 례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헤드(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외측에 단열재를 구비한 저장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따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상기 냉수조(32)는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 온도 센서(322)와, 상기 냉수 온도 센서(322)가 삽입되는 삽입관(323)과, 상기 냉수 온도 센서(32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24)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는 외주면에 냉각기(3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수조(3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냉매관일 수 있다. 따라서, 냉매관을 흐르는 저온의 냉매와 상기 냉수조(32)가 열교환을 하여 상기 냉수조(32)가 냉각되고, 상기 냉수조(32)와 냉수조의 물이 열교환을 하여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323)은 상기 냉수조(32)의 일면에 형성된 구멍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삽입관(323)은 상기 냉수조(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수조(32)와 별체로 형성된 후 상기 냉수조(32)에 형성된 구멍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24)는 상기 냉수조(32)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24)는 상기 냉수조(3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냉수조(32)와 따로 형성된 후 상기 냉수조(32)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냉수온도센서(322)는 상기 삽입관(323)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부재(32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324)가 볼트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냉수온도센서(322)에는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수온도센서(322)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부재(324)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냉수조(32)외면에는 단열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정수조(31)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냉수조(32)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상기 정수기(1)의 효율을 향상 시킨다.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삽입관(323) 및 고정부재(3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서비스 홀(410), 상기 서비스 홀에 삽입되는 서비스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홀(410)은 상기 단열재(400)에 형성되는 구멍이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가 상기 냉수조(32)의 외면에 구비되면, 상기 서비스 홀(410)을 통해 상기 삽입관(323) 및 고정부재(324)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서비스 부재(420)는 상기 서비스 홀(410)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서비스 홀(4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부재(420)는 상기 냉수온도센서(322) 및 고정부재(324)가 위치하는 공간부(421)와, 상기 서비스 부재(420)를 상기 서비스 홀(410)에서 빼낼 때 사용하는 손잡이(422)와, 상기 서비스 부재(42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423)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421)는 상기 삽입관(323) 밖으로 노출된 냉수온도센서(322) 및 상기 고정부재(32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부재(420)가 삽입 되어도, 상기 냉수온도센서(322) 및 고정부재(324)와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냉수온도센서(322) 및 서비스 부재(420)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손잡이(422)이는 상기 서비스 부재(420)의 외측에 형성된다. 서비스가 필요할 때, 상기 손잡이(422)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부재(420)를 상기 서비스 홀(410)에서 빼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23)은 상기 서비스 부재(42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비스 홀(410)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423)에 대응하여 가이드 (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23) 및 가이드 부(411)는 상기 고정부재(324) 및 공간부(421)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423) 및 가이드 부(411)를 정열 한 후 상기 서비스 부재(420)를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재(324) 및 공간부(324)가 정열된다.
또한, 상기 상기 가이드 홈(423)이 상기 서비스 홀(4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브 부(411)가 상기 서비스 부재(4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400)아래에는 미들플레이트(40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400)를 구비한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미들플레이트(400)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400)에는 상기 서비스 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를 구비한 냉수조(32)가 상기 미들플레이트(400)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서비스 부재(420)를 상기 서비스 홀(410)에 착탈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수온도센서(322)의 교체과정이 간단해 진다. 상기 플레이트 홀을 통해 상기 서비스 부재(420)를 빼어내면, 상기 냉수온도센서(322) 및 고정부재(324)가 노출되어, 상기 냉수온도센서(322)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32: 냉수조 400: 단열재
410: 서비스 홀 411: 가이드 부
420: 서비스 부재 423: 가이드 홈

Claims (8)

  1.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
    상기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냉수조에 착탈 가능한 냉수 온도센서:
    상기 냉수조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냉수 온도센서가 착탈 되는 곳에 서비스 홀이 형성되는 단열재; 및
    상기 서비스 홀에 삽입되는 서비스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에는 상기 냉수 온도센서가 삽입되는 삽입관이 구비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에는 상기 냉수 온도센서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정수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부재에는 외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부재에는 상기 냉수 온도센서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가 안착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서비스 홀에 대응하여 플레이트 홀이 형성되는 정수기.
KR1020110068127A 2011-03-03 2011-07-08 정수기 KR10129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27A KR101291974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US13/410,934 US9249038B2 (en) 2011-03-03 2012-03-02 Water purifier
PCT/KR2012/001594 WO2012118354A2 (en) 2011-03-03 2012-03-02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27A KR101291974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24A KR20130006224A (ko) 2013-01-16
KR101291974B1 true KR101291974B1 (ko) 2013-08-09

Family

ID=4783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27A KR101291974B1 (ko) 2011-03-03 2011-07-0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9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10Y1 (ko) * 1995-04-29 1998-04-24 신유철 정수기
KR200228417Y1 (ko) * 2000-12-13 2001-06-15 김정배 온·냉수 혼합형 온도조절 시스템
KR20050029347A (ko) * 2003-09-22 2005-03-28 (주)매직아트 열전소자 반도체 냉각방식을 이용한 벽걸이 냉정수기
KR200439061Y1 (ko) * 2006-11-21 2008-03-18 이정임 온도 및 저수위감지용 일체형감지센서를 구비한 전기온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10Y1 (ko) * 1995-04-29 1998-04-24 신유철 정수기
KR200228417Y1 (ko) * 2000-12-13 2001-06-15 김정배 온·냉수 혼합형 온도조절 시스템
KR20050029347A (ko) * 2003-09-22 2005-03-28 (주)매직아트 열전소자 반도체 냉각방식을 이용한 벽걸이 냉정수기
KR200439061Y1 (ko) * 2006-11-21 2008-03-18 이정임 온도 및 저수위감지용 일체형감지센서를 구비한 전기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24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891B1 (ko) 정수기
KR101335834B1 (ko) 정수기
KR20130006022A (ko) 정수기
KR101291974B1 (ko) 정수기
KR101296434B1 (ko) 정수기 및 그의 배수구조
KR101296528B1 (ko)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KR20130006220A (ko) 정수기
KR101660993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13804B1 (ko) 정수기
KR101362510B1 (ko) 정수기
KR101352697B1 (ko) 정수기
KR101232491B1 (ko) 정수기
KR20130006235A (ko)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방법
KR101285523B1 (ko) 정수기
KR101291876B1 (ko) 정수기
KR101291900B1 (ko) 정수기
KR101296411B1 (ko) 정수조 및 정수기
KR20130006210A (ko) 빌트인 정수기
KR101335780B1 (ko) 정수기
KR101304683B1 (ko) 정수기
KR101296547B1 (ko) 정수기
KR101335889B1 (ko) 정수기
KR20130006223A (ko) 정수기
KR101502651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35848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