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528B1 -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6528B1 KR101296528B1 KR1020110067799A KR20110067799A KR101296528B1 KR 101296528 B1 KR101296528 B1 KR 101296528B1 KR 1020110067799 A KR1020110067799 A KR 1020110067799A KR 20110067799 A KR20110067799 A KR 20110067799A KR 101296528 B1 KR101296528 B1 KR 101296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water
- flushing mechanism
- holder
- water purifi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41000404068 Cot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다수의 필터 홀더 각각에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필터; 및 상기 다수의 필터 중 세척이 요구되는 필터의 하류에 위치하는 필터 홀더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는 플러싱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와, 상기 다수의 필터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 홀더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필터는 서로 종류가 다를 수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9937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기간 사용하거나 일정량 이상의 물이 통과한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필터를 분리하여 교체하여야 한다.
이 때, 새로운 필터의 세척 없이 필터를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 내에 구비된 물질이 상기 정수조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로 유입된 물질은 사용자가 정수를 취출할 때 정수와 함께 상기 정수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된 물의 색상이 물질에 의해서 탁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정수기가 고장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질이 인체에 해롭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정수된 물이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필터의 교체 시 필터 세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다수의 필터 홀더 각각에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필터; 및 상기 다수의 필터 중 세척이 요구되는 필터의 하류에 위치하는 필터 홀더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는 플러싱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필터 각각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필터 홀더 각각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싱 기구는,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될 수 있는 유입부와 상기 제2연통부와 정렬될 수 있는 정렬부와, 상기 플러싱 기구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의 유로는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 세척 방법은, 세척을 위한 필터가 필터 홀더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세척을 위한 필터의 하류에 위치되는 필터 홀더에 플러싱 기구가 장착되는 단계; 및 원수가 상기 세척을 위한 필터를 유동하면서 필터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을 위한 필터를 유동한 물은 상기 플러싱 기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세척 대상이 되는 필터를 선택하고, 세척 대상 필터의 하류에 플러싱 기구를 장착하여 필터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 배관을 필터 홀더에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러싱 기구가 필터의 장착부 형상과 동일하므로, 상기 플러싱 기구를 필터 홀더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의 사시도.
도 5는 제1필터가 제1필터 홀더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
도 7은 제1필터가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필터 세척에 사용되기 위한 플러싱 기구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특정 필터의 세척을 위하여 플러싱 기구가 필터 홀더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는 제1필터를 세척하는 경우의 수배관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제3필터를 세척할 때의 수배관도가 도시되며, 도 11에는 제2필터를 세척할 때의 수배관도가 도시됨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의 사시도.
도 5는 제1필터가 제1필터 홀더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
도 7은 제1필터가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필터 세척에 사용되기 위한 플러싱 기구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특정 필터의 세척을 위하여 플러싱 기구가 필터 홀더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는 제1필터를 세척하는 경우의 수배관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제3필터를 세척할 때의 수배관도가 도시되며, 도 11에는 제2필터를 세척할 때의 수배관도가 도시됨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는 가열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열기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냉각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필터의 세척을 위한 세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세척 버튼(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버튼(116)을 이용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필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에는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온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 배출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7)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홀더(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필터가 제1필터 홀더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3필터의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4에서는 제1필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 홀더와 상기 제3필터 홀더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도 4에서는 제1필터 홀더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필터(21)는 필터 하우징(212)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212)은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13)는 상기 필터 하우징(212)에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하우징(2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3)에는 상기 제1필터(21)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부(214)와, 상기 제1필터(21) 내에서 필터링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13)에는 상기 제1필터 홀더(24)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리브(2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21)는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일 례로 회전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필터 홀더(24)는, 홀더 캡(240)과, 상기 홀더 캡(240)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캡(240)은 물이 유입되기 위한 홀더 유입부(241)와, 상기 제1필터에서 배출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더 배출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243)는 상기 제1필터(21)의 유입부(214)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244)와, 상기 제1필터(21)의 배출부(215)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2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유입부(241)와 상기 제1연통부(244)가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부(245)와 상기 홀더 배출부(242)가 연통된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필터가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필터의 형상은 상기 제1필터 및 상기 제3필터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2필터에는 생활용수(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필터(22)는 일 례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22)에서 농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필터(22)는 필터 하우징(222)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222)은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23)는 상기 필터 하우징(222)에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하우징(2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3)에는 상기 제2필터(22)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부(224)와, 상기 제2필터(22)에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225)는 정화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부(226)와, 농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배출부(22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223)에는 상기 제2필터 홀더(25)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필터(22)는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일 례로 회전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필터 홀더(25)는, 홀더 캡(250)과, 상기 홀더 캡(250)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캡(250)은 물이 유입되기 위한 홀더 유입부(251)와, 상기 제2필터(22)에서 정화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더 배출부(252)와, 상기 제2필터(22)에서 배출된 농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농축수 배출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254)는 상기 제2필터(22)의 유입부(224)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255)와, 상기 제2필터(21)의 제1배출부(226)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256)와, 상기 제2필터(22)의 제2배출부(227)와 연통되는 제3연통부(25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유입부(251)와 상기 제1연통부(255)가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부(256)와 상기 홀더 배출부(252)가 연통되며, 상기 농축수 배출부(253)와 상기 제3연통부(257)가 연통된다.
도 8은 필터 세척에 사용되기 위한 플러싱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특정 필터의 세척 시 상기 제2필터 홀더(25) 또는 제3필터 홀더(26)에 장착될 수 있는 플러싱 기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플러싱 기구(60)는 세척 대상인 필터의 하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세척 대상인 필터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러싱 기구(6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60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01)은 상기 필터 홀더(25, 26)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60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플러싱 기구(60)의 장착부(602)가 상기 필터 홀더(25, 26)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플러싱 기구(60)의 장착부(602)는 상기 필터(21, 22, 23)의 장착부(213, 2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602)에는 유입부(604)와 정렬부(605)가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605)는 상기 필터(21, 22, 23)의 배출부(215, 225)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유로는 막혀있다.
상기 정렬부(605)는 상기 플러싱 기구(60)가 상기 필터 홀더(25, 26)에 장착되면 상기 필터 홀더(25, 26)의 제2연통부(245, 256)와 정렬되나, 상기 플러싱 기구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정렬부(605)를 통하여 배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601)은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606)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606)는 상기 하우징(601)에서 상기 유입부(604)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01)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방향과 상기 하우징(601)에서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플러싱 기구(60)는 세척 중인 필터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유로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01)에서 물의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은 동일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606)에 드레인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특정 필터의 세척을 위하여 플러싱 기구가 필터 홀더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는 제1필터를 세척하는 경우의 수배관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제3필터를 세척할 때의 수배관도가 도시되며, 도 11에는 제2필터를 세척할 때의 수배관도가 도시된다.
필터의 교체 시, 새로운 필터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싱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상기 필터를 필터 홀더에 장착시켜,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조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필터 들은 교체될 새로운 필터를 의미한다.
우선, 필터의 교체 전에 상기 정수기의 물을 배수하게 된다. 상기 냉수조(32)의 냉수는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의 온수는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함에 따라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수조(31)가 상기 제1연결관(51)에 의해서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되므로,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도 상기 배수 커넥터(5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1)가 연결되는 수도관에는 수동식 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식 밸브를 잠근 후에 세척 대상 필터와 플러싱 기구(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세척 대상 필터와 상기 플러싱 기구(60)를 장착된 후에 상기 수동식 밸브를 연다. 그리고, 상기 세척 버튼(116)을 이용하여 세척 대상 필터를 선택하고, 필터 세척을 시작한다. 이 때,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세척 버튼(116) 외에 세척 시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세척 대상 필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도 3의 27, 28참조)의 개방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 홀더(24)의 상류에 구비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척 버튼(116)을 이용하여 세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급수 밸브가 닫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 버튼(116)을 이용하여 세척 대상 필터를 선택한 후에, 필터 세척을 시작한다. 그러면, 상기 급수 밸브가 개방되고, 원수가 세척 대상 필터로 공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필터(21)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필터(21)를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장착시키고, 상기 플러싱 기구(60)를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장착시킨다. 상기 플러싱 기구(60)의 배출부(606)에는 드레인 호스가 연결된다. 그 다음, 세척을 시작하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1)를 유동한 후에 상기 플러싱 기구(60)로 유동하고, 상기 플러싱 기구(60)로 유동한 물은 상기 배출부(606)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유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제1필터(21)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필터(23)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필터(23)를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장착하고, 상기 플러싱 기구(60)를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장착시킨다. 그 다음, 세척을 시작하면, 원수가 상기 제3필터(23)를 유동한 후에 상기 플러싱 기구(60)로 유동하고, 상기 플러싱 기구(60)로 유동한 물은 상기 배출부(606)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유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제3필터(23)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필터(22)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필터(21)를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장착하고, 상기 제2필터(22)를 제2필터 홀더(25)에 장착하며, 상기 플러싱 기구(60)를 상기 제3필터 홀더(26)에 장착시킨다. 그 다음, 세척을 시작하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1)를 유동한 후에 상기 제2필터(22)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22)로 유동한 물은 상기 제2필터(22)를 세척한 후에 상기 플러싱 기구(60)로 유동하고, 상기 플러싱 기구(60)로 유동한 물은 상기 배출부(606)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유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제2필터(22)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세척 대상이 되는 필터를 선택하고, 세척 대상 필터의 하류에 플러싱 기구를 장착하여 필터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 배관을 필터 홀더에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러싱 기구가 필터의 장착부 형상과 동일하므로, 상기 플러싱 기구를 필터 홀더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정수기 21, 22, 23: 필터
24, 25, 26: 필터 홀더 60: 플러싱 기구
24, 25, 26: 필터 홀더 60: 플러싱 기구
Claims (9)
- 다수의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다수의 필터 홀더 각각에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필터; 및
상기 다수의 필터 중 세척이 요구되는 필터의 하류에 위치하는 필터 홀더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는 플러싱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필터 각각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필터 홀더 각각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싱 기구는,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될 수 있는 유입부와 상기 제2연통부와 정렬될 수 있는 정렬부와, 상기 플러싱 기구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의 유로는 막혀있는 정수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기구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반대편에 형성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필터의 세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세척 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세척 대상 필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세척 버튼과,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하고,
세척 대상 필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의 개방시간이 가변되는 정수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7799A KR101296528B1 (ko) | 2011-07-08 | 2011-07-08 |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7799A KR101296528B1 (ko) | 2011-07-08 | 2011-07-08 |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017A KR20130006017A (ko) | 2013-01-16 |
KR101296528B1 true KR101296528B1 (ko) | 2013-08-13 |
Family
ID=4783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7799A KR101296528B1 (ko) | 2011-07-08 | 2011-07-08 |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652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4760A (ko) * | 2017-08-29 | 2019-03-08 | 주식회사 피코그램 | 자가 관리형 정수기 |
KR20210066414A (ko) | 2019-11-28 | 2021-06-07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냉수 정수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44410B (zh) * | 2018-06-26 | 2019-10-29 |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 一种冲洗阀与高压开关的组合模块及其净水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506Y1 (ko) | 2006-09-07 | 2006-12-13 | 주식회사 피코그램 |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
KR200438660Y1 (ko) * | 2007-01-08 | 2008-02-28 | 이상분 | Er필터세척 배수호스 |
KR20090019415A (ko) * | 2007-08-21 | 2009-02-25 | 정휘동 |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
-
2011
- 2011-07-08 KR KR1020110067799A patent/KR1012965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506Y1 (ko) | 2006-09-07 | 2006-12-13 | 주식회사 피코그램 |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
KR200438660Y1 (ko) * | 2007-01-08 | 2008-02-28 | 이상분 | Er필터세척 배수호스 |
KR20090019415A (ko) * | 2007-08-21 | 2009-02-25 | 정휘동 |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4760A (ko) * | 2017-08-29 | 2019-03-08 | 주식회사 피코그램 | 자가 관리형 정수기 |
KR102639274B1 (ko) * | 2017-08-29 | 2024-02-23 | 주식회사 피코그램 | 자가 관리형 정수기 |
KR20210066414A (ko) | 2019-11-28 | 2021-06-07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냉수 정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017A (ko) | 201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753197B (zh) | 清洗护理装置 | |
KR20220055532A (ko) | 정수기 | |
KR101296528B1 (ko) |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 |
KR101323891B1 (ko) | 정수기 | |
KR101285425B1 (ko) | 수처리 장치 | |
KR101335747B1 (ko) | 정수기 | |
KR101491886B1 (ko) | 정수기 | |
KR101564133B1 (ko) | 정수기 | |
KR101660993B1 (ko) |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KR101335813B1 (ko) |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
KR101296547B1 (ko) | 정수기 | |
KR101291981B1 (ko) | 빌트인 정수기 | |
KR101285489B1 (ko) | 정수기 | |
KR20120113166A (ko) |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 |
KR101502651B1 (ko) |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KR101304818B1 (ko) | 정수기 살균장치 | |
KR101232491B1 (ko) | 정수기 | |
KR101296411B1 (ko) | 정수조 및 정수기 | |
KR20180134212A (ko) |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정수기 | |
KR101213804B1 (ko) | 정수기 | |
KR101335780B1 (ko) | 정수기 | |
KR101291430B1 (ko) | 정수기 | |
KR101304683B1 (ko) | 정수기 | |
JP2569491Y2 (ja) | 浄水器 | |
KR101291448B1 (ko) | 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