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489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489B1
KR101285489B1 KR1020110068129A KR20110068129A KR101285489B1 KR 101285489 B1 KR101285489 B1 KR 101285489B1 KR 1020110068129 A KR1020110068129 A KR 1020110068129A KR 20110068129 A KR20110068129 A KR 20110068129A KR 101285489 B1 KR101285489 B1 KR 10128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holder
filter hold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225A (ko
Inventor
김상호
최호선
최규성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4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 상기 제1필터에서 필터링된 물을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제2필터; 상기 제2필터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 상기 제1필터 홀더 및 상기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연결부재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연결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공개특허공보 제2011-00244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필터와, 상기 다수의 필터에 의해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두 개의 필터를 연결하는 배관에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정수기에 의하면, 두 필터를 연결하는 배관 자체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는 경우 두 필터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의 유로가 확보되기 위하여 두 필터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배관에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시 저수조에서 물이 넘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필터 간의 배치 간격이 줄어들어 컴팩트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 상기 제1필터에서 필터링된 물을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제2필터; 상기 제2필터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 상기 제1필터 홀더 및 상기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연결부재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필터 홀더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연결배관을 따라 유동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유로의 물은 상기 제2필터 홀더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배관이 상기 제1필터 홀더 및 상기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된 연결부재에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제1필터 홀더와 상기 제2필터 홀더의 간격(또는 제1필터와 제2필터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
도 6은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제1필터 홀더 및 제2필터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는 가열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열기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냉각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필터의 세척을 위한 세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세척 버튼(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버튼(116)을 이용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필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수조(31)의 만수위가 미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는 개방되고, 상기 정수조(31)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가 닫히게 된다.
상기 연결배관(41)에 다수의 유량 조절 밸브(27, 28)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 밸브가 고장 또는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밸브에 의해서 유량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에는 상기 온수조(33)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 배출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7)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홀더(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제1필터 홀더 및 제2필터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3필터의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4에서는 제1필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 홀더와 상기 제3필터 홀더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도 6에서는 제1필터 홀더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필터(21)는 필터 하우징(212)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212)은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13)는 상기 필터 하우징(212)에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하우징(2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3)에는 상기 제1필터(21)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부(214)와, 상기 제1필터(21) 내에서 필터링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13)에는 상기 제1필터 홀더(24)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리브(2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필터(21)는 상기 제1필터 홀더(24)에 일 례로 회전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필터 홀더(24)는, 홀더 캡(240)과, 상기 홀더 캡(240)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캡(240)은 물이 유입되기 위한 홀더 유입부(241)와, 상기 제1필터(21)에서 배출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더 배출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243)는 상기 제1필터(21)의 유입부(214)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244)와, 상기 제1필터(21)의 배출부(215)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2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유입부(241)와 상기 제1연통부(244)가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부(245)와 상기 홀더 배출부(242)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의 형상은 상기 제1필터(21) 및 상기 제3필터(23)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2필터(22)에는 생활용수(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필터(22)는 일 례로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22)에서 농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필터(22)는 필터 하우징(222)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222)은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23)는 상기 필터 하우징(222)에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하우징(2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3)에는 상기 제2필터(22)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부(224)와, 상기 제2필터(22)에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225)는 정화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부(226)와, 농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배출부(22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223)에는 상기 제2필터 홀더(25)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필터(22)는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일 례로 회전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필터 홀더(25)는, 홀더 캡(250)과, 상기 홀더 캡(250)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캡(250)은 물이 유입되기 위한 홀더 유입부(251)와, 상기 제2필터(22)에서 배출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더 배출부(252)와, 상기 제2필터(22)에서 배출된 농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농축수 배출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254)는 상기 제2필터(22)의 유입부(224)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255)와, 상기 제2필터(22)의 제1배출부(226)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256)와, 상기 제2필터(22)의 제2배출부(227)와 연통되는 제3연통부(25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유입부(251)와 상기 제1연통부(255)가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부(256)와 상기 홀더 배출부(252)가 연통되며, 상기 농축수 배출부(253)와 상기 제3연통부(257)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농출수 배출부(253)가 상기 생활용수관(53)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상기 생활용수관(53)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생활용수관(53)이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제2필터(22)를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생활용수관(53)과 상기 제2필터(22)의 간섭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는 연결부재(27)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27)는 내부에 제1유로(273) 및 제2유로(274)가 형성되는 바디(27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273) 및 상기 제2유로(274)는 구획부(272)에 이해서 구획된다.
상기 바디(271)는 상기 제1필터 홀더(24)의 홀더 배출부(242)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275)와, 상기 제2필터 홀더(25)의 홀더 유입부(251)에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부(27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부(275)는 상기 제1유로(273)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삽입부(276)는 상기 제2유로(274)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275)와 상기 제2삽입부(276)는 상기 바디(271)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디(271)는 상기 제1유로(273)의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77)와, 상기 제2유로(274)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부(278)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277)에 상기 연결배관(4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유입부(278)에 상기 연결배관(41)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부(277)와 상기 유입부(278)는 상기 바디(271)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21)에서 상기 제1필터 홀더(24)로 배출된 물은 상기 바디(271)의 제1유로(273)를 지나 상기 연결배관(41)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4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상기 바디(272)의 제2유로(273)를 지나 상기 제2필터 홀더(25)로 유입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배관(41)이 상기 제1필터 홀더(24) 및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필터 홀더(24) 및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연결된 연결부재(27)에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 홀더(25)의 간격(또는 제1필터와 제2필터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7)에 제1유(271)로 및 제2유로(272)가 구획되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 홀더(25)의 간격(또는 제1필터와 제2필터의 간격)이 한층 더 줄어들 수 있다.
21, 22, 23: 필터 24, 25, 26: 필터 홀더
27: 연결부재

Claims (8)

  1. 제1필터;
    상기 제1필터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
    상기 제1필터에서 필터링된 물을 재차 필터링하기 위한 제2필터;
    상기 제2필터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
    상기 제1필터 홀더 및 상기 제2필터 홀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연결부재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필터 홀더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연결배관을 따라 유동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유로의 물은 상기 제2필터 홀더로 유입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가 형성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 홀더는 상기 제1필터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홀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 홀더는 상기 제2유로의 물이 유입되기 위한 홀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필터 홀더의 홀더 배출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2필터 홀더의 홀더 유입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바디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와 유입부는 상기 바디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 홀더와 연결되는 제3필터 홀더와,
    상기 제3필터 홀더에 장착되는 제3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10068129A 2011-07-08 2011-07-08 정수기 KR10128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29A KR101285489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29A KR101285489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25A KR20130006225A (ko) 2013-01-16
KR101285489B1 true KR101285489B1 (ko) 2013-07-12

Family

ID=4783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29A KR101285489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4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01Y1 (ko) 2000-12-28 2001-05-15 이중호 정수기의 필터하우징간의 연결구조
KR200384558Y1 (ko) 2005-02-28 2005-05-16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200433977Y1 (ko) * 2006-08-04 2006-12-15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가 장착된 정수시스템
KR20090007539U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01Y1 (ko) 2000-12-28 2001-05-15 이중호 정수기의 필터하우징간의 연결구조
KR200384558Y1 (ko) 2005-02-28 2005-05-16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200433977Y1 (ko) * 2006-08-04 2006-12-15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가 장착된 정수시스템
KR20090007539U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25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891B1 (ko) 정수기
KR101296528B1 (ko)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KR101335834B1 (ko) 정수기
KR101285489B1 (ko) 정수기
KR101285425B1 (ko) 수처리 장치
KR101343225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방법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KR101335747B1 (ko) 정수기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296547B1 (ko) 정수기
KR20130006220A (ko) 정수기
KR101660993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91900B1 (ko) 정수기
KR101291448B1 (ko) 정수기
KR101304818B1 (ko) 정수기 살균장치
KR101335780B1 (ko) 정수기
KR101335848B1 (ko) 정수기
KR101291876B1 (ko) 정수기
KR101304683B1 (ko) 정수기
KR101232491B1 (ko) 정수기
KR101296411B1 (ko) 정수조 및 정수기
KR101296473B1 (ko) 정수기
KR101335889B1 (ko) 정수기
KR101213804B1 (ko) 정수기
KR101291974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