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510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510B1
KR101362510B1 KR1020110068143A KR20110068143A KR101362510B1 KR 101362510 B1 KR101362510 B1 KR 101362510B1 KR 1020110068143 A KR1020110068143 A KR 1020110068143A KR 20110068143 A KR20110068143 A KR 20110068143A KR 101362510 B1 KR101362510 B1 KR 10136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heat exchanger
water
fixing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237A (ko
Inventor
전제욱
이강현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5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고정구조는, 조립체의 일면을 구성하며 1개 이상의 안착부를 형성하는 고정판;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결합되도록 1개 이상의 열교환기체결구가 형성되고, 양 끝단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삽입구조가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에 열교환기를 고정 시킨후 조립체의 일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체결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부품단가를 낮추고 조립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열을 교환할 수 있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해 배관이 수차례 절곡되어 형성되는 관형열교환기를 사용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설치 미관상 조립체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열교환기를 상기 조립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열교환기를 조립체 후면에 고정시켜야 했다. 이 경우 조립성이 떨어지고 복수개의 조립체를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열교환기를 조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고정구조는, 조립체의 일면을 구성하며 1개 이상의 안착부를 형성하는 고정판;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결합되도록 1개 이상의 열교환기체결구가 형성되고, 양 끝단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삽입구조가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에 열교환기를 고정 시킨후 조립체의 일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체결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부품단가를 낮추고 조립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열교환기와 결합한 프레임이 상기 배면판에 안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히 설명한다.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가열기(미도시)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냉각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미도시)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의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온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 배출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7)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 예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 예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홀더(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는 배면판(200) 및 열교환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배면판(200)은 내부에 상기 열교환기(3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프레임(350)과 결합하여 상기 배면판(200)에 안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배면판(200)은 일측에 상기 정수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선(210)이 위치하고 상기 전원선(210)을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구조(215)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선(210)은 상기 안착구조(215) 외측으로 감겨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200) 좌우측으로는 측면판(1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150)은 상기 배면판(200)에 스크류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200)에는 일측면에 상기 정수기 내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원수호스(220) 및 생활용수호스(22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원수호스(220)는 정수기 내부로 정수를 할 원수를 공급하는 호스이고, 생활용수호스(225)는 정수기 내부에서 소정의 정수과정을 거친 물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공급한다.
상기 배면판(200)은 일측에 상기 원수호스(220) 및 상기 생활용수호스(225)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235)와 홀더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5)는 상기 원수호스(220) 및 상기 생활용수호스(225)의 끝단에 삽입되어서 각 호스를 고정한다. 상기 홀더부(230)는 상기 원수호스(220) 및 상기 생활용수호스(225)가 안착되어서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5) 및 홀더부(230)로 인하여 상기 원수호스(220) 및 상기 생활용수호스(225)를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상기 정수기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350)은 양 끝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부(360), 제2 접촉부(365) 및 상기 제1 접촉부(360)와 상기 제2 접촉부(365)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촉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접촉부(370)는 상기 열교환기(3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열교환기체결구(372,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50)과 상기 열교환기(300)는 스크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360) 또는 상기 제2 접촉부(365)는 상기 배면판(200)에 고정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고정판체결구(362,3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50)은 상기 상기 고정판체결구(362,367)에 삽입되는 스크루로 상기 배면판(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50)은 상기 열교환기(300)에 장착될 때 상기 열교환기(300) 하면에 단차진 제1 접촉부(360) 또는 제2 접촉부(365)가 노출되도록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300)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 열교환기(300) 하측에 상기 고정판체결구(362,367)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정수기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응축시키게 되고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정수기 내부로 들어가 냉각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선형열교환기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은 열교환기와 결합한 프레임이 상기 배면판에 안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프레임(350)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열교환기체결구(372,374)와 스크루(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200)은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안착부(400) 및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안착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안착부(400) 및 상기 하측안착부(450)에는 상기 제1 접촉부(360) 또는 상기 제2 접촉부(365)이 안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접촉부(360)은 상기 상측안착부(400)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접촉부(365)은 상기 하측안착부(450)에 안착하였다.
상기 상측안착부(400)는 상기 제1 접촉부(36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조(405)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접촉부(360)는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상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구조(405)가 상기 제1 접촉부(360)를 좌우로 지지하여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하측안착부(450)는 상기 제2 접촉부(365)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구조(455)가 포함된다. 상기 제2 접촉부(365)는 중력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하측안착부(450)는 상기 제3 접촉부(370)를 우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구조(455)에 제2 접촉부(365)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구조가 제3 접촉부(37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350)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프레임(350)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50)이 상기 배면판(200)에 고정되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접촉부(360)를 상기 제1 삽입구조(405)에 먼저 삽입하고 상기 제2 접촉부(365)를 상기 제2 삽입구조(455)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레임(350)이 상기 배면판(200)에 중력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구조(455)는 스크루체결홈(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365)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촉부(365)가 상기 제2 삽입구조(45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크루체결홈(460)과 상기 고정판체결구는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체결구(362,367)를 통해 상기 스크루체결홈(460)으로 스크루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350)을 상기 고정판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부의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350)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 열교환기 350 : 프레임

Claims (6)

  1. 조립체의 일면을 구성하며 1개 이상의 안착부를 형성하는 고정판;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결합되도록 1개 이상의 열교환기체결구가 형성되고, 양 끝단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삽입구조가 형성되는 열교환기 고정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열교환기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부 또는 제2 접촉부에는 1개 이상의 고정판체결구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고정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판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안착부 및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안착부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안착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구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고정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구조는 스크루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체결구는 상기 스크루체결홈과 나란히 위치하는 열교환기 고정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체결구 및 상기 스크루체결홈은 스크루로 결합되는 열교환기 고정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삽입구조는 상기 제3 접촉부를 지지할수 있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제2 접촉부가 단차진 방향과 맞은편에서 상기 제3 접촉부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고정구조.
KR1020110068143A 2011-07-08 2011-07-08 정수기 KR10136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43A KR101362510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43A KR101362510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37A KR20130006237A (ko) 2013-01-16
KR101362510B1 true KR101362510B1 (ko) 2014-02-13

Family

ID=4783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43A KR101362510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78A1 (ko) * 2022-03-29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류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335A (ko) * 2008-10-30 2009-09-25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KR20110024406A (ko) * 2009-09-02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후면커버
KR101019946B1 (ko) * 2010-07-23 2011-03-09 정병문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335A (ko) * 2008-10-30 2009-09-25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KR20110024406A (ko) * 2009-09-02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후면커버
KR101019946B1 (ko) * 2010-07-23 2011-03-09 정병문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37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7564B (zh) 冷水产生设备和具有该设备的净水器
KR101362510B1 (ko) 정수기
KR101285438B1 (ko) 정수기
KR101323891B1 (ko) 정수기
KR101343225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방법
KR101304688B1 (ko) 정수기
KR101611293B1 (ko) 정수기
JP4725575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5302230B2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
KR102333713B1 (ko)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의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101291900B1 (ko) 정수기
KR101291974B1 (ko) 정수기
KR101291898B1 (ko) 정수기
KR101304683B1 (ko) 정수기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KR101296473B1 (ko) 정수기
KR101291448B1 (ko) 정수기
JP4082342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1352697B1 (ko) 정수기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KR102008846B1 (ko) 정수기
KR101213804B1 (ko) 정수기
KR101296411B1 (ko) 정수조 및 정수기
KR101285489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