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846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46B1
KR102008846B1 KR1020170033290A KR20170033290A KR102008846B1 KR 102008846 B1 KR102008846 B1 KR 102008846B1 KR 1020170033290 A KR1020170033290 A KR 1020170033290A KR 20170033290 A KR20170033290 A KR 20170033290A KR 102008846 B1 KR102008846 B1 KR 10200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water purifier
fastening
side panel
fil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939A (ko
Inventor
전제욱
문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기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볼록한 형성을 갖는 프론트커버와, 정수기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상부에 장착되는 출수모듈과, 상기 프론트커버와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브라켓 및 상기 필터 브라켓의 전면에 상기 프론트커버와 대면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되,상기 프론트커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사이드패널 또는 상기 필터브라켓의 양측 단부에 후크방식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정수기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정수기의 외관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4-0034526(이하, '선행문헌')에 따르면, '외관이 미려한 조립구조를 갖는 정수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특징은, 제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조립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디자인을 우수토록 하여 고급스러운 제품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러한 조립구조가 견고하면서도 분해, 조립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하여 기구부품과 전자부품이 양면으로 설치되는 메인보드의 양면으로 등분되어진 케이스가 나사에 의해 조립되어 조립된 케이스의 조립부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장식판을 조립한 후 바닥판을 조립함으로써 정수기의 미려한 외관디자인을 제공하여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제공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기의 경우, 나사 등의 체결요소가 정수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정수기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기의 경우, 필터 교체 및 정수기 점검 상황에서 정수기 내부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의 잠금을 해제시켜야 하고, 필터교체 및 점수기 점검이 완료되면 다시 체결수단을 체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기의 경우, 정수기의 커버를 사용자가 손쉽게 분리 및 고정할 수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물론, 정수기를 똑바로 세워둔 상태에서, 정수기 커버의 분리 및 장착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에 구비된 프론트커버를 손쉽게 탈거 및 장착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의 장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프론트커버를 탈거할때나,프론트커버를 장착할 때 적은 힘이 들어가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프론트커버의 하단을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의 체결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를 사이드패널 뿐 아니라 필터브라켓에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패널 또는 필터브라켓의 단부가 프론트커버에 형성된 체결부에 부드럽게 인입되어, 사이드패널 장착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패널 또는 필터브라켓의 단부가 프론트커버에 형성된 체결부에서 부드럽게 인출되어, 사이드패널 탈거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의 장착 및 탈거시, 프론트커버에 형성된 체결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커버의 전방에 구비된 출수모듈의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기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볼록한 형성을 갖는 프론트커버와, 정수기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상부에 장착되는 출수모듈과, 상기 프론트커버와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브라켓 및 상기 필터 브라켓의 전면에 상기 프론트커버와 대면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론트커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사이드패널 또는 상기 필터브라켓의 양측 단부에 후크방식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론트커버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는, 외측 후방의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마련된 모서리 또는,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와 후크돌기 사이에 마련된 요홈에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최하단에 형성된 체결부를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줄어들어, 일측에 경사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측에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선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구간의 하측에 상기 경사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최상단에 형성된 체결부를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부는,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커버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연결 시, 하단의 체결부를 먼저 연결한 뒤 상부의 체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패널과 분리 시, 하단의 체결부를 먼저 분리한 뒤 상부의 체결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브라켓의 양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체결부의 조립 방향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커버는, 상기 출수모듈의 하측에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단은 정수기가 놓여진 바닥면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커버는, 하단의 중심부에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브라켓은, 하단의 중심부에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전방에 구비된 프론트커버를 손쉽게 탈거 및 장착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의 장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아 기밀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프론트커버를 탈거할때나,프론트커버를 장착할 때 적은 힘이 들어가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프론트커버의 하단을 쉽게 파지할 수 있어, 프론트커버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의 체결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를 사이드패널 뿐 아니라 필터브라켓에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패널 또는 필터브라켓의 단부가 프론트커버에 형성된 체결부에 부드럽게 인입되어, 사이드패널 장착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패널 또는 필터브라켓의 단부가 프론트커버에 형성된 체결부에서 부드럽게 인출되어, 사이드패널 탈거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의 장착 및 탈거시, 프론트커버에 형성된 체결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어, 조작 적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커버의 전방에 구비된 출수모듈의 작동이 간섭 없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프론트커버와 필터브라켓과 사이드패널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프론트커버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8은 도 4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프론트커버의 조작력을 시험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
도 12는 도 11에 따른 프론트커버의 조작력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
도 13은 도 11에 따른 프론트커버의 조작력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120)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100),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210)이 구비된 출수모듈(200) 및,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노즐(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출수모듈(20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탑커버(114)에는 상기 장착홈(111a,114a)이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장착홈(111a)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장착홈(114a)은 상기 탑 커버(114)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이 장착되는 출수모듈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는 물론, 쿨링 탱크(150)와 가열 어셈블리(160)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출수모듈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상단에 상부에서 하부로 장착홈(133a)가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출수모듈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면서 쿨링 탱크(150)가 탱크 장착부(14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수용되고,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냉각유로(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정수는 냉각유로(151)를 따라 쿨링 탱크(150) 내부를 순환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가열 어셈블리(16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와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을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정수된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필터 교체 등의 이유로 주기적으로 정수기의 프론트커버(11)를 분리시켜야할 필요가있다.
하지만, 종래 정수기의 경우, 정수기에 고정된 프론트커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해제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했고, 분리된 프론트커버를 정수기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시 체결수단을 체결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즉, 종래 정수기의 경우, 사용자가 프론트커버를 정수기에서 손쉽게 분리하거나, 분리된 프론트커버를 정수기에 손쉽게 고정할 수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물론, 정수기를 똑바로 세워둔 상태에서, 정수기의 이동 없이 프론트커버를 분리 및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경우, 정수기를 움직이지 않고, 정수기로부터 프론트커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프론트커버를 정수기에 손쉽게 끼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프론트커버와 필터브라켓과 사이드패널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프론트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사이드패널(115) 또는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에 후크방식으로 체결되게, 그 단부가 좌우방향으로 제1너비를 갖는 복수의 체결부(116,117,118)가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의 전방에는 필터 등의 보호를 위해 프론트커버(111)가 장착된 상태이고, 필터교체 등과 같은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커버(111)를 분리해야만 한다. 또한, 필터 교체 등의 작업이 끝나면, 프론트커버(111)를 다시 정수기에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손쉽게 탈거시킬 수 있으면서, 다시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어야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커버(111)를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 또는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에 후크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후크(hook)방식이라 함은, 자체 탄성에 의해 그 형상이 일시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는 ‘ㄱ’자, ‘ㄴ’자, ‘ㄷ’자 등의 절곡부 및 그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돌기에 의해, 상기 사이드패널(115) 또는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가 걸림 구속되었다가, 필요 시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116,117,118)의 간격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며, 도면에 표현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체결부(116,117,118)는 프론트커버(111)가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 중 어디에 장착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16,117,118)는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후단에 걸림 구속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116,117,118)는 프론트커버(111)의 양측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전방(도면상의 좌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가 후크돌기와 수평부 사이에 걸림 구속되면서, 프론트커버(111)가 필터브라켓(1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16,117,118)는 프론트커버(111)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전방(도면상의 좌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가 수직부와 수평부 및 후크돌기 사이에 걸림 구속되면서, 프론트커버(111)는 필터브라켓(1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16,117,118)는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선단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있어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프론트커버와 사이드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16,118)는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116c,118a)와 상기 수평부(116c,118a)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수직부(116e,118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정수기의 내측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프론트커버(111)의 맞은편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116,118)는 상기 수평부(116c,118a)와 수직부(116e,118b) 사이에는 수평부(116c,118a)와 수직부(116e,118b)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곡선부(116d,11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부(117) 또한, 수평부, 수직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는 수평부(116c,118a)와 수직부(116e,118b) 사이의 내측모서리(118d)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16)는, 상기 수직부(116c)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116f)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부(117) 또한, 수직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이라 함은, 정수기의 외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후크돌기(116f)를 통과한 뒤,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부(116c)와 수직부(116e) 및 후크돌기(116f) 사이에 마련된 구속공간(116h)으로 진입한 뒤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폭은 상기 마주보는 후크돌기(116f)의 좌우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가 후크돌기(116f) 사이를 통과할 때, 후크돌기(116f)의 간격이 일시적으로 벌어졌다가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가 상기 구속공간(116h)에 수용됨과 동시에 후크돌기(116f)의 간격이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가 구속공간(116h)에 걸림 구속되면서, 프론트커버(111)가 사이드패널(11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116f)는, 외측 후방의 모서리에 경사면(116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크돌기(116f)에 경사면(116g)이 형성되면,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가 구속공간(116h)으로 수용되기 위해 후크돌기(116f)를 통과할 때, 경사면(116g)을 따라 보다 쉽게 후크돌기(116f)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커버(111)를 끼울 때,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수평부(118a)와 수직부(118b) 사이에 마련된 내측 모서리(118d) 또는, 상기 수평부(116c)와 수직부(116e) 및 후크돌기(116f) 사이에 마련된 요홈 형태의 구속공간(116h)에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1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리브(115a)가 형성된 경우, 상기 보강리브(115a)에 의해 사이드패널(115)의 테두리부분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보강리브(115a)에 의해 ‘ㄱ’자를 이루는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구속공간(116h)에 보다 확실하게 걸림구속되서, 사이드패널(115)과 프론트커버(111)의 체결력은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115a)는 상기 내측 선단의 모서리에 경사면(11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115b)은 상기 후크돌기(116f)의 경사면(116g)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리브(115a)에 경사면(115b) 이 형성되면, 상기 사이드패널(115)의 보강리브(115a)가 구속공간(116h)으로 수용되기 위해 후크돌기(116f)를 통과할 때, 상기 경사면(115b,116g) 끼리 서로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보강리브(115a)는 보다 쉽게 후크돌기(116f)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커버(111)를 끼울 때,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또 다른 예로,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상기 필터브라켓(130)과 사이드패널(115) 양측 모두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16,117,118)는 상기 필터브라켓(130)과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에 걸림 구속되는 복수의 후크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커버(111)를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에 장착하거나, 프론트커버(111)를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프론트커버(111)는 양측 단부에 후크방식의 체결부(116,117,118)를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한다.
이 때, 모든 체결부(116,117,118)의 체결력이 동일하게 형성되면, 프론트커버(111)를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에 장착하거나, 프론트커버(111)를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에서 탈거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경우, 상부에 위치된 체결부(116,117)에만 체결력을 부가하고, 하부에 위치된 체결부(118)에는 체결력을 부가하지 않거나, 상부의 체결부(116,117)에 부가된 체결력보다 작은 체결력을 부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의 체결부(116,117)’라 함은, 최하단에 배치된 체결부(118)를 제외한 모든 체결부(116,117)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부의 체결부(118)’라 함은, 최상단에 배치된 체결부(116)를 제외한 모든 체결부(118)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의 체결부(118)’는 최하단에 배치된 체결부(118)를 의미하고, ‘상부의 체결부(116,117)’는 중심부에 배치된 체결부(117) 및 그 상부에 배치된 체결부(116)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부와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6,117)에는 동일한 체결력이 부가되고,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18)에는 체결력을 부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심부와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6,117)는 수평부(116c)와 수직부(116e) 및 후크돌기(116f)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18)는 수평부(118a)와 수직부(118b) 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6,117)와 연결되는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는 상기 수평부(116c)와 수직부(116e) 및 후크돌기(116f) 사이에 마련된 요홈 형태의 구속공간(116h) 걸림 구속되면서 체결력이 발생한다.
반면,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18)와 연결되는 필터브라켓(130) 또는 사이드패널(115)의 양측 단부는 수평부(118a)와 수직부(118b) 사이에 마련된 내측 모서리(118d)에 안착될 뿐, 체결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상기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연결 시, 하단의 체결부(118)를 먼저 연결한 뒤 상단의 체결부(116)를 마지막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프론트커버(111)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인 상태에서, 하단의 체결부(118)를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연결한다.
이때,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118)의 경우 후크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 10과 같이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의 양측 단부가 체결부(118)의 내측모서리(118d)에 안착되면서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연결된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중심으로 프론트커버(111)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프론트커버(11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고,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상부의 체결부(116,117)는 상기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6,117)의 경우 후크돌기(116f)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도 7과 같이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의 양측 단부가 구속공간(116h)에 걸림 구속되면서, 프론트커버(111)는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하단에 손쉽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프론트커버(11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프론트커버(111)의 상단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누르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프론트 커버(111)의 상단을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프론트커버(111)의 상부가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에 고정된 상태이기때문에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이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에 고정되지 않더라도, 프론트커버(111)는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프론트커버(111)를 상기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분리 시, 하단의 체결부(116)를 먼저 분리한 뒤 상단의 체결부(118)를 마지막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하단의 체결부(116)는 손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분리된 하단을 잡고 프론트커버(111)를 전방으로 잡아 뜯는 식으로 프론트커버(111)를 탈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111)의 상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연결하면,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6,117)의 하단이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116,117)의 하단과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단부 사이에 간섭이발생하여 프론트커버(111)의 회전이 방해를 받고, 프론트커버(111)의 장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상기 체결부(116,117)에 경사구간(116a)을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체결부(116,117,118) 중, 최하단에 형성된 체결부(118)보다 상측에 위치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부(116,117)의 일측에,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줄어는 경사구간(116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경사구간(116a)은 상기 제1너비 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구간(116a)은 상기 체결부(116,117)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구간(116a)에 의해 양측에 배치된 체결부(116,117)의 좌우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로 넓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구간(116a)은 상기 체결부(116,117)에 포함된 체결돌기(116f)의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줄어들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구간(116a)은 상기 체결부(116,117)에 포함된 경사면(116g)의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줄어들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구간(116a)이 형성되면, 프론트커버(111)의 상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과 연결할 때,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6,117)의 하단이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에 걸리면서, 프론트커버(111)의 회전이 방해 받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단부는 경사구간(116a) 및 경사면(116g)을 따라 손쉽게 체결돌기(116f)를 통과한 뒤, 구속공간(116h)에 수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경사구간(116a)이 형성되면, 프론트커버(111)를 탈거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먼저 분리한 뒤,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경사구간(116a) 및 경사면(116g)을 따라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단부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체결부(116,117)는, 상측에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선구간(116b)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구간(116b)의 하측에 상기 경사구간(116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경사구간(116a)을 따라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단부는 손쉽게 체결돌기(116f)를 통과할 수 있고, 직선구간(116b)을 통해 구속공간(116h)에 수용된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단부의 구속력은 향상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체결부(116,117,118) 중, 최상단에 형성된 체결부(116) 보다 하측에 위피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부(118)는,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18)는 그 폭이 상기 제1 너비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결부(118)를 구성하는 수평부(118a) 또는 수직부(118b)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단의 체결부(118)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 단부는 간섭 없이 손쉽게 수평부(118a)와 수직부(118b) 사이의 내측모서리(118d)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프론트커버(111)를 끼울 때,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은 힘을 들이지 않고,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하단에 끼울 수 있고, 프론트커버(111)를 빼낼 때도,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은 힘을 들이지 않고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하단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116,117,118)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홈(136,137,1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6,137,138)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16,117,118)가 전방에서후방으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만일, 상기 사이드패널(115)과 필터브라켓(130)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커버(111)의 체결부(116,117,118)는 사이드패널(115) 또는 필터브라켓(130)의 양측단부와의 체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필터브라켓(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116,117,118)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136,137,138)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36,137)은,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체결부(116,117,118)의 경사면(136a,137a)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홈(136,137)의 경사면(136a,137a)은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홈(136)의 경사면(136a) 보다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홈(137)의 경사면(137a)의 경사가 더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136a,137a)이 형성되면, 프론트커버(111)의 장착 또는 탈거 시, 체결부(116,117,118)의 이동이 경사면(136a,137a)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111)의 상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상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할 때, 전후방으로 회전하는 체결부(116,117,118)의 회전 움직임이 경사면(136a,137a)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전면에 상기 출수모듈(200)의 하측에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111c)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프론트커버(111)가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상기 평면부(111c)의 양측에는 곡면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모듈(20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모듈(200)은 배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프론트커버(111)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부(111c)가 형성되면, 상기 출수모듈(200)은 상기 평면부(111c)에 의해 간섭 없이 승강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은 정수기가 놓여진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된 프론트커버(111)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 공간에는 전술한 트레이(30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트레이(3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300)를 분리하면,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에 마련된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프론트커버(111)를 장착 또는 탈거할 때, 상기 노출된 공간을 통해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커버(111)는, 하단의 중심부에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부(119)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브라켓(130)은, 하단의 중심부에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13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131a)는 필터브라켓(130)의 저면부(13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119) 및 오목부(131a)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론트커버(111)를 장착 또는 탈거하고자 할 때, 상기 볼록부(119)에 의해 마련된 공간 또는 오목부(131a)에 의해 마련된 공간 또는 볼록부(119)와 오목부(131a)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커버(111)의 하단을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프론트커버의 조작력을 시험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프론트커버의 조작력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며, 도 13은 도 11에 따른 프론트커버의 조작력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시험목적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론트커버(111)의 조작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험방법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개의 프론트커버(111)를 정수기본체(100)에 조립한 상태에서, 푸시풀-게이지(Push-Pull Gage)를 이용하여 당겼을 때의 힘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111)의 조작력 평균값은 1.61kgf로 (min 1.4, max 1.93) 커버 조작력 설계 기준인 0.2~4.0gkf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5)

  1. 정수기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볼록한 형성을 갖는 프론트커버와, 정수기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상부에 장착되는 출수모듈과, 상기 프론트커버와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브라켓 및 상기 필터 브라켓의 전면에 상기 프론트커버와 대면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론트커버의 하단의 중심부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커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사이드패널 또는 상기 필터브라켓의 양측 단부에 후크 방식으로 체결되게, 그 단부가 좌우방향으로 제1너비를 갖는 복수의 체결부가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최하단에 형성된 체결부를 제외하고, 최하단에 형성된 체결부 보다 상측에 위치된 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1너비보다 얇은 경사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최상단에 형성된 체결부를 제외하고, 최상단에 형성된 체결부 보다 하측에 위치된 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폭이 상기 제1 너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론트커버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외측 후방의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마련된 모서리 또는,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와 후크돌기 사이에 마련된 요홈에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측에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선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구간의 하측에 상기 경사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연결 시, 하단의 체결부를 먼저 연결한 뒤 상부의 체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패널과 분리 시, 하단의 체결부를 먼저 분리한 뒤 상부의 체결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브라켓의 양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체결부의 조립 방향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는:
    상기 출수모듈의 하측에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단은 정수기가 놓여진 바닥면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브라켓은, 하단의 중심부에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70033290A 2017-03-16 2017-03-16 정수기 KR10200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90A KR102008846B1 (ko) 2017-03-16 2017-03-1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90A KR102008846B1 (ko) 2017-03-16 2017-03-16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467A Division KR20190095208A (ko) 2019-07-31 2019-07-31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39A KR20180105939A (ko) 2018-10-01
KR102008846B1 true KR102008846B1 (ko) 2019-08-08

Family

ID=6387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90A KR102008846B1 (ko) 2017-03-16 2017-03-1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8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300Y1 (ko) * 2003-08-14 2003-11-12 주식회사 천우아쿠아 정수기의 장식커버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32B1 (ko) * 2009-02-06 2012-05-0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73478B1 (ko) *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300Y1 (ko) * 2003-08-14 2003-11-12 주식회사 천우아쿠아 정수기의 장식커버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39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6137B2 (ja) 壁掛け式エアコン室内機及びエアコン
EP3623717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conditioner
KR102005569B1 (ko) 정수기
CN105352040B (zh) 空调柜机
KR102008846B1 (ko) 정수기
KR20190095208A (ko) 정수기
CN107255310A (zh) 空调室内机
CN215490286U (zh) 一种用于空调的过滤网安装结构及其空调柜机
CN106678969B (zh) 立式空调器
CN105937168A (zh) 干衣机或洗干一体机
JP6633457B2 (ja) 空気調和機
KR102111593B1 (ko) 정수기
EP3757467B1 (en) Air outflow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CN101268317A (zh) 用于蒸发器单元的进风栅和过滤器组件
KR20200051555A (ko) 정수기
KR101304688B1 (ko) 정수기
KR102238914B1 (ko) 정수기
CN211781268U (zh) 一种电磁烹饪器具
KR201800080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62510B1 (ko) 정수기
CN105937159A (zh) 干衣机或洗干一体机
KR20050089191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구조
CN205836432U (zh) 电动汽车的中控台及电动汽车
JP2006010303A (ja) 空気調和機
CN211630431U (zh) 一种电磁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