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065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065A
KR20180008065A KR1020160089862A KR20160089862A KR20180008065A KR 20180008065 A KR20180008065 A KR 20180008065A KR 1020160089862 A KR1020160089862 A KR 1020160089862A KR 20160089862 A KR20160089862 A KR 20160089862A KR 20180008065 A KR20180008065 A KR 2018000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ing
suction
filter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630B1 (ko
Inventor
이건왕
김석천
김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F24F3/1603
    • F24F2003/16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 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며,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필터케이스;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수용공간; 및 상기 필터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설치 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세워 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공기 조화기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에는 공기 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 포함된 이물질 등이 걸림 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에 관련하여 출원(이하, 선행 기술)을 실시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 번호 (공개일): 공개특허공보 10-2006-0122291 (2006년 11월 30일)
2. 발명의 명칭: 공기 조화기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공기 조화기는 벽걸이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를 구성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프론트 패널의 상단부에는 후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면 필터가 장착되고, 양측부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좌/우 측면 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단부가 프론트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단부를 축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이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에 의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면적보다, 상기 필터의 면적이 작아서, 이물질이 필터에 여과 되는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조화기에 다수 개의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필터 교체 또는 청소 시에, 사용자는 교체 또는 청소를 위한 필터 각각을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분리해야 했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여과되는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다수 개의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다수 개의 필터를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다수 개의 필터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하나의 필터 어셈블리의 탈부착을 통해 다수 개의 필터를 효율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제 1 필터부재 하부에 결합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제 1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필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로부터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장착된다.
상기 흡입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터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터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에는 상기 서포터가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 3 필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다수의 케이스 흡입구가 배치되는 흡입그릴을 구획하는 필터 지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일측에는, 제 2 흡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필터부재의 일측에는, 제 3 흡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흡입공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필터 지지부가 형성된 흡입그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리브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에는, 여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진 필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 3 필터부재에는 탈취 필터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에는,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에는, 상기 제 1 흡입 그릴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흡입 그릴에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그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필터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테두리부와, 상기 제 2 테두리부 내측에 다수 개의 제 2 흡입공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제 2 흡입그릴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제 1 테두리부에는 걸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제 2 테두리부에는 상기 걸림 홀에 체결될 수 있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실내기에 구비되는 케이싱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서포터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 상단으로부터 상기 후면부 상단까지 연장 형성 되는 관통홀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관통홀이 포함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케이싱에 간편하게 장착 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전단에 돌출 형성된 필터 전면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경우, 필터 전면 고정부재가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케이싱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에는,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필터 후면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필터 후면 고정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케이싱 고정 홈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 상기 필터 케이스,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제 1 필터부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1차 여과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2 필터부재에 의해 2 차 여과될 수 있어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에는, 제 3 필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어서, 실내기의 이물질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필터부재가 장착되는 제 3 흡입공에는, 필터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필터 지지부에 외력을 가하여 제 3 필터부재를 간편하게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에는 파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실내기 케이싱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가 필요 없이, 제 1 필터부재의 테두리부의 걸림 홀과, 필터 케이스의 테두리부에는 걸림 홀에 대응되는 걸림 돌기에 의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 케이스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 케이스를 간편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조사 입장에서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설계 과정에서 소요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여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케이싱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싱에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간편하게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필터부재, 필터 케이스 및 제 2 필터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다수 개의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저면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제 1 필터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다수 개의 필터가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는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XII-XII`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 및 케이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기(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는 실내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에는,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1) 및 상기 전면부(1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11)로부터 벽면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측면부(12)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13)는 상기 양 측면부(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실내 공간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1), 양 측면부(12) 및 후면부(13)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실내기(1)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흡입부(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부(14)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흡입부(14)에 위치되는 필터 어셈블리(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흡입부(14)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다수 개의 흡입공(221,261,26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의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관통하여 상기 흡입부(14)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부에 결합되기 위한 필터 고정부재(도 5의 217, 218) 및 상기 필터 고정부재(217,218) 중 필터전면 고정부재(217)를 수용하는 하우징(25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고정부재(217, 218)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후면에 구비되는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상기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상기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와 결합될 수 있는 케이싱 고정부재(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는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에 결합되기 위한, 케이싱 고정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저면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에는, 제 1 필터부재(2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17a) 및 상기 연장부(217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에 결합되는 결합부(21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에는, 상기 전면부(11)의 배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41a) 및 상기 지지부(141a)로부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는 내측 연장부(141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에는, 상기 내측연장부(141b)로부터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형성 되는 라운드부(141c)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에는,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 결합부(141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141d)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141d)의 내주면 곡률은 상기 고정부재(217)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141d)는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에는, 상기 양측의 고정부재(141d)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가 결합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완충부(141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41e)의 내측에는, 완충공간(141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공간(141f)은 상기 양측의 고정부재 결합부(141d) 사이 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41e)의 내측에 완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는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141d)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공간은, 상기 결합부(217b)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7b)가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의 결합공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양측의 고정부재(141d)는 상기 완충부(141e)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고정부재(141d)는, 상기 결합공간의 내측으로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는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21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와 상기 케이싱(10)이 결합될 때,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와 상기 케이싱 고정부재(141)는 상기 하우징(257)에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에 결합되기 위한, 케이싱 고정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 고정홈(142)은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케이싱 고정홈(142)은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흡입부(14)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흡입부(14)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흡입부(14)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필터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 다수 개의 필터가 내장되는 경우, 흡입 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 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 교체 또는 청소 시에,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실내기(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필터를 상기 실내기(1)로부터 한번에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서포터(1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상기 복수 개의 서포터(15)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홈(도 7의 213a, ㄷ도 8의 253a)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13a, 253a)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복수 개의 서포터(1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포터(15)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이드 홈(213a, 253a)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서포터(15)에는 상기 후면부(13)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전면부(11)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제 1 서포터(15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151)는 상기 흡입부(14)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포터(15)에는, 상기 제 1 서포터(151)로부터 교차 형성되는 제 2 서포터(152) 및 상기 제 2 서포터(152)로부터 교차 형성되는 제 3 서포터(15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서포터(153)는 상기 케이싱(10)의 전면부(11) 상측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포터(15)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온 발생기(1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기(16)는 상기 실내기(1)에 흡입되는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 하여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발생기(16)에 의해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은 하전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기(16)는 일부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기(16)는 상기 흡입부(14)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이온 발생기(16)가 위치되는 설치공간부(16a)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공간부(16a)의 내부에는, 상기 이온 발생기(16)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치공간부(16a)는 상기 이온 발생기(1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즉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부(16a)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케이싱(1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장착될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와 상기 이온 발생기(16)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기(16)에 의해 하전된 공기 중의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2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실내공간의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장치(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7)는 일례로, 측면부(12)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내기(1)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81)를 가지는 토출부(1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81)에는,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181)에서 토출 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 또는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 베인(182)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 베인(182)은, 상기 토출 베인(182)의 양 단에 구비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이 구동하면, 실내 공간의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8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실내기의 상부에 위치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실내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흡입구가 실내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구가 상기 실내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케이싱(10)의 전면부(11)에는, 추가적인 흡입구 또는 토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는, 상부 흡입 및 하부 토출, 하부 흡입 및 상부 토출, 전면 흡입 및 하부 토출, 상부 흡입 및 전면 토출 등의 기류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장착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제 1 필터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필터부재에는 메쉬부가 구비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 1 필터부재에는 상기 메쉬부를 생략 표현했음을 미리 알려둔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제 1 필터부재(210) 및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 결합되는 필터 케이스(2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10)는 상기 흡입부(14)로 흡입되는 공기를 1차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전방을 바라보는 제 1 전면 프레임(211) 및 상기 제 1 전면 프레임(211)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측면 프레임(212)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측면 프레임(212)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 1 후면 프레임(2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12)에는, 상기 제 1 전면 프레임(211)에 접하는 제 1 파트(212a) 및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213)에 접하는 제 2 파트(212b)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12)은 상기 제 1 파트(212a)로부터 상기 제 2 파트(212b)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12)의 면적은 상기 제 2 파트(212b)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면 프레임(211)과 상기 한 쌍의 제 1 측면 프레임(212)과,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213)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제 1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테두리부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는 상기 실내기(1)의 흡입부(14)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상기 실내기(1)의 케이싱(10)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2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4)는 상기 한 쌍의 제 1 측면 프레임(212) 및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13)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14)는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12) 및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13)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안착부(214)의 하측은 상기 실내기(1)의 케이싱(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14)의 상측은 상기 실내기(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와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돌출부재(2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돌출부재(215)는 제 1 전면 프레임(2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213)에 형성되는 돌출부재(215)는 상기 안착부(214)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돌출부재(215)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필터 케이스(250)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 개의 걸림 홀(216, 2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걸림 홀(216, 219)은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제 1 전면 프레임(211)의 돌출 부재(215)에 형성되는 제 1 걸림홀(2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걸림 홀(216, 219)는 제 1 후면 프레임(213)에 형성되는 제 2 걸림홀(2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 1 걸림 홀(216)은 일례로, 제 1 전면 프레임(211)에 형성된 돌출 부재(215)와 동일하게, 5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 2 걸림 홀(219)은 제 1 후면 프레임(213)에 5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제 1 전면 프레임(2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에 체결되기 위한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제 1 후면 프레임(213)에는, 상기 실내기(1)의 케이싱(10)에 체결되기 위한,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는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21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을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213)은 상기 안착부(214)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내측에서,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 1 흡입공(221)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제 1 흡입그릴(2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상기 제 1 흡입 그릴(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흡입공(221)에 형성되는 메쉬부(20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201)에는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 크기가 큰 이물질이 여과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상기 제 1 흡입공(221)에는 메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 메쉬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1 흡입그릴(220)의 하부에 별도의 구성인 메쉬필터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흡입 그릴(220)에는, 상기 제 1 흡입 그릴(22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 되는 제 1 파지부(222)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파지부(222)를 파지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로부터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흡입 그릴(220)에는, 상기 제 1 파지부(222)의 하부 면의 어느 일 지점으로부터 교차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리브(2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리브(223)의 일 단은 상기 제 1 전면 프레임(211)까지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리브(223)의 타 단은 상기 제 1 후면 프레임(213)까지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파지부(222)를 파지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제 1 지지리브(223)에 의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실내기(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는, 제 1 가이드 홈(213a)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케이싱(10)에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 1 가이드 홈(213a)은 상기 제 1 서포터(15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홈(213a)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213a)은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후면 프레임(213)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리브(223)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 및 상기 필터 케이스(250)가 서로 결합되지 않는 모듈수용공간(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수용공간(224)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에 있는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모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수용공간에는 일례로, 상기 이온발생기(16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이온발생기(16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필터부재(210)의 타측부에는, 제 2 파지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파지부(225)는 상기 모듈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일측부으로부터 반대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지부(225)는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12)에 구비된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제 2 파지부(225)에 손을 넣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실내기(1)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시킬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250)에는, 전방을 바라보는 제 2 전면 프레임(251)과,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측면 프레임(252)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한 쌍의 제 2 측면 프레임(252)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 2 후면 프레임(25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과 상기 한 쌍의 제 2 측면 프레임(252)과, 상기 제 2 후면 프레임(253)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제 2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와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오목부(25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54)는 상기 제 2 전면프레임(251)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254)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돌출 부재(2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걸림 홀(216, 219)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걸림 돌기(255, 256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걸림 돌기(255, 256)에는, 상기 오목부(254)에 형성되는 제 1 걸림 돌기(255) 및 상기 제 2 후면 프레임(253)에 형성되는 제 2 걸림돌기(25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55, 256)는 상기 걸림 홀(216, 219)에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 돌기(255) 및 상기 제 2 걸림돌기(256)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54)는 상기 돌출 부재(215)의 돌출된 크기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54)는, 상기 돌출 부재(215)가 제 1 필터부재(210)의 둘레에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54)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 형성된 돌출 부재(215)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 돌기(255)는 상기 제 1 걸림 홀(216)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돌기(256)는 상기 제 2 걸림홀(219)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걸림 돌기(255)는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에 5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걸림돌기(259)는 상기 제 2 후면 프레임(253)에 5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걸림 홀(216,219)에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걸림 돌기(255,256)를 체결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상기 제 1 필터부재(210) 및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상기 제 1 필터부재(210)로부터 체결 해제 시키는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상기 걸림 돌기(255, 256)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210) 및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간편하게 체결 해제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 체결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상기 걸림 돌기(255, 256)가 돌출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걸림 홀(216, 219)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와 상기 필터 케이스(250)를 간편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제 2 전면 프레임(25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고정부재(141)와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가 수용되는 하우징(257)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내측에서,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 2 흡입공(26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흡입공(261)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 2 흡입그릴(2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에,는 상기 제 1 서포터(15)의 일부가 관통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62)은 상기 제 2 후면 프레임(253)으로부터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1 서포터(151)가 상기 관통홀(262)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홈(253a)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홈(253a)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제 2 후면 프레임(25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홈(253a)은 상기 관통홀(262)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홈(253a)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213a)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제 1 서포터(151)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51a)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51a)은 제 2 전면 프레임(25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51a)은, 상기 관통홀(262)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선상에서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에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가이드 홈(213a, 253a)에 의해 상기 후면부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케이싱(1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터(15)가 상기 제 1 지지리브(223)를 지지하므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하중은 상기 제 1 서포터(15)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흡입공(263)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흡입공(263)의 상측에는, 제 3 필터부재(20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는 일례로, 탈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공(261)과 상기 제 3 흡입공(263)의 경계에는, 필터지지부(2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공(261)과 상기 제 3 흡입공(263)은,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 구비되는 점에서, "케이스 흡입구"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는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지지부(265)는,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에는,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필터 지지부(265)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이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한 필터 회피부(26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회피부(266)는, 상기 제 2 흡입공(261)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공간부로서 이해된다. 상기 필터 회피부(266)는 상기 필터 지지부(265)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부재(203)가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 장착될 때, 상기 필터 지지부(265)는 후방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필터 회피부(266)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필터 지지부(265)가 상기 제 2 흡입그릴(260)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3 흡입공(263)에는, 분할 프레임(26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할 프레임(264)은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의 어느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후면 프레임(253) 방향으로 연장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분할 프레임(264)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제 2 필터부재(202)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흡입공(263)에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필터 지지부(265)가 형성된 흡입그릴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 2 지지리브(26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리브(267)는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으로부터 상기 제 2 후면 프레임(25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리브(267)에 의해서,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인장력이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지지부(265)의 변형이 발생할 때, 상기 제 2 흡입그릴(2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외력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는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필터 지지부(265)는 상기 필터 회피부(266)에 의해,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에 간섭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를 상기 제 3 흡입공(263)에 장착 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를 상기 제 3 흡입공(263)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부재(203)가 상기 제 3 흡입공(263)에 장착되면,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는 인장력이 작용됨으로써,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는 상기 필터 지지부(2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와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제 2 필터부재(20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02)는 상기 필터 안착부(2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필터부재(202)는 상기 제 3 필터부재(20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02)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로부터 1차 여과된 공기가 2 차 여과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02)가 고정되기 위한 필터 고정부(258, 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고정부(258, 259)는 상기 제 2 전면 프레임(251)의 상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고정부(258)과, 상기 후면 프레임(253)의 상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고정부(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02)는 상기 필터 고정부(258, 25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다수 개의 필터가 수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XII-XII`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필터부재(210)의 흡입공(22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는 메쉬부(201)가 형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와 상기 필터 케이스(25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와 상기 필터 케이스 사이에는 다수 개의 필터가 수용될 수 있는 필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에서 1차 여과된 공기가 2차 여과 되기 위한 제 2 필터부재(2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는 상기 제 2 흡입 그릴(26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부재(202)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필터 고정부(258, 25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제 3 흡입공(263)에는 제 3 필터부재(203)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02)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 상기 제 2 필터부재(202) 및 제 3 필터부재(203)가 장착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210)는 필터 케이스(2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제 1 걸림홀(216)은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제 1 걸림 돌기(255)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의 제 2 걸림홀(219)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제 2 걸림돌기(256)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 케이스를 간편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의 소요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조사 입장에서는,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210)와 상기 필터 케이스(25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필터부재(202)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203)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210, 202, 203)를 교체 및 청소 시에,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케이싱(10)으로 분리함으로써, 간편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여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제 1 필터부재에는 메쉬 필터가 적용됨으로써, 공기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필터부재에는 집진 필터가 적용됨으로써, 상기 메쉬 필터에서 여과되지 않은 미세 먼지가 여과 될 수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여과 효과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필터부재에는 탈취 필터가 적용될 수 있어서, 실내 공간의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 교체 시, 사용자에게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일체형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수 개의 필터를 낱개로 교체할 필요없이, 한 번에 다수 개의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간편하게 다수 개의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는, 필터 어셈블리가 케이싱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 및 케이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케이싱(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케이싱(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2 가이드 홈(213a, 253a)에 상기 제 1 서포터(151)이 접촉되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방에서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62)에는 상기 제 1 서포터(15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151)는 상기 관통홀(262)을 관통한 뒤, 상기 제 1 지지리브(223)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안착홈(251a)에 의해, 상기 제 1 서포터(151)의 나머지 일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싱(10)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필터 어셈블리(20)가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의 제 1 파지부(222) 또는 제 2 파지부(225)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10)로부터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전방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당기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20)를 당기는 힘을 작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의 필터 전면 고정부재(217) 및 케이싱 고정부재(141)의 결합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필터 후면 고정부재(218) 및 케이싱 고정홈(142)의 결합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전방으로 당기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를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에서는, 제 1 필터부재, 필터 케이스 및 제 2 필터부재가 별도의 부재로서,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 필터부재, 필터 케이스 및 제 2 필터부재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필터부재, 필터 케이스 및 제 2 필터부재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내장된 필터들을 낱개로 교체할 필요없이, 다수 개의 필터를 일시에 교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간편하게 다수 개의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1: 실내기 10: 케이싱
11: 전면부 12: 측면부
13: 후면부 14: 흡입구
141: 케이싱 고정부재 142: 케이싱 고정 홈
181: 토출구 20: 필터 어셈블리
210: 제 1 필터부재 201: 메쉬부
214: 안착부 215: 돌출 부재
216: 제 1 걸림홀 219: 제 2 걸림홀
217: 필터 전면 고정부재 218: 필터 후면 고정부재
202: 제 2 필터부재 203: 제 3 필터부재
220: 제 1 흡입그릴 225: 제 1 파지부
250: 필터 케이스 255: 제 1 걸림돌기
256: 제 2 걸림돌기 260: 제 2 흡입그릴
263: 제 3 흡입공 265: 필터 지지부
266: 필터 회피부 267: 제 2 지지리브

Claims (20)

  1.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 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며,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필터케이스;
    상기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수용공간; 및
    상기 필터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터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터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에는, 상기 서포터가 결합될 수 있다는 가이드 홈이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 3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다수의 케이스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그릴; 및
    상기 흡입그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케이스 흡입구를 구획하는 필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케이스 흡입구는,
    상기 제 2 필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흡입구;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3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흡입그릴의 외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흡입그릴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지지부의 변형이 발생할 때 상기 흡입그릴의 파손을 방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부재는 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 내측에 다수 개의 제 1 흡입공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제 1 흡입그릴; 및
    상기 흡입공에 배치되어 공기 중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흡입그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흡입그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테두리부 내측에 다수 개의 제 2 흡입공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제 2 흡입그릴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제 1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걸림 홀;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제 2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 홀에 체결될 수 있는 걸림 돌기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 상단으로부터 상기 후면부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전단에 돌출되는 필터 전면 고정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전면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케이싱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필터 후면 고정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며, 필터 후면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케이싱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 상기 필터 케이스,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60089862A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50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62A KR102550630B1 (ko)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62A KR102550630B1 (ko)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065A true KR20180008065A (ko) 2018-01-24
KR102550630B1 KR102550630B1 (ko) 2023-07-04

Family

ID=6102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862A KR102550630B1 (ko)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33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EP4261465A1 (en) * 2022-04-12 2023-10-1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00A (ja) * 1997-07-04 1999-01-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20010002264U (ko) * 1998-12-08 2001-10-23 구자홍 에어컨의 전면그릴
JP2004125206A (ja) * 2002-09-30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60022443A (ko) * 2004-09-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87015A (ko) * 2005-01-27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00A (ja) * 1997-07-04 1999-01-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20010002264U (ko) * 1998-12-08 2001-10-23 구자홍 에어컨의 전면그릴
JP2004125206A (ja) * 2002-09-30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60022443A (ko) * 2004-09-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87015A (ko) * 2005-01-27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33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EP4261465A1 (en) * 2022-04-12 2023-10-1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630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7762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20080110109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2584274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800080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92628B1 (ko) 공기 조화기
KR20100066178A (ko) 공기조화기
KR10115860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CN101268317A (zh) 用于蒸发器单元的进风栅和过滤器组件
JP2006010303A (ja) 空気調和機
KR100700756B1 (ko) 공기 조화기
KR101431750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95089A (ko) 공기 조화기
KR2018002044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0159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50905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
KR20090022104A (ko) 공기조화기
KR1005090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8432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장착구조
KR10089811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37338B1 (ko) 룸 에어컨의 필터장착구조
CN115507440A (zh) 空调器
KR100500986B1 (ko) 공기조화기
JPS5855630A (ja) 空気調和機のフイルタ着脱装置
KR20040067714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