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14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914B1
KR102238914B1 KR1020200059898A KR20200059898A KR102238914B1 KR 102238914 B1 KR102238914 B1 KR 102238914B1 KR 1020200059898 A KR1020200059898 A KR 1020200059898A KR 20200059898 A KR20200059898 A KR 20200059898A KR 102238914 B1 KR102238914 B1 KR 102238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ld water
cabinet
support frame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963A (ko
Inventor
문정민
배정석
김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냉수탱크와 복수개의 필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온수탱크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수탱크, 온수탱크 및 필터 등이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침전, 여과, 살균 등 다양한 정수방법을 통해 제거하여 원수를 음용수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상온수 외에 온수와 냉수를 제공하기도 한다. 온수와 냉수를 제공하는 정수기는 그 내부에 가열 장치와 냉각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 가열 장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며, 냉각 장치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10)를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수기(1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과 디스펜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12)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12)는 캐비닛(11)의 전방에 형성된다. 물론, 캐비닛(11) 전방에서 만입되거나 함몰된 공간 형태로 이러한 디스펜서(12)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12)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취출구(15)가 구비되며, 음용수 배출을 위해 조작하는 레버(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취출구(15)에서 음용수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16)의 조작은 레버(16)를 누르거나 당기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의 내부에 냉수탱크(미도시), 온수탱크(미도시) 및 필터(18)가 서로 다른 지지프레임(13, 14)을 통해 캐비닛(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 경우 정수기의 각 구성이 서로 다른 별개의 지지프레임을 통해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야 하므로, 정수기의 내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해지며, 요구되는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 정수기의 전체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해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컴팩트한 내부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의 축소에 따른 전체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정수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며 하나의 지지프레임 설치로 인해 전체 무게가 경량화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냉수탱크와 온수탱크, 각 필터 및 열교환부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원활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냉수탱크는 별도의 체결 구조물 없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온수탱크는 별도의 거치대에 의하지 않고도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어 설계상 자유도가 높은 정수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냉수탱크와 복수개의 필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온수탱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수기의 내부구조가 보다 컴팩트해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외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일 측에는 하부를 향해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온수탱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복수개의 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각 체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홈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각 필터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부 일측에는 열교환기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체결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열교환기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홈은, 상기 냉수탱크가 삽입 설치되도록 상부면의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면의 다른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필터가 설치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에 상기 제1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벤딩된 후 연장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제2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장착홈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수탱크가 상기 제1 장착홈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냉수탱크의 외면 일 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출수구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구가 끼워지도록 상기 출수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출수구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일 측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온수탱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온수탱크의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체결부재와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냉수탱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홈은, 상기 냉수탱크가 삽입 설치되도록 상부면의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의 다른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필터가 설치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복수개의 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각 체결부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는, 냉수탱크가 삽입 설치되도록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과, 상기 제1 장착홈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삽입 장착되는 제2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홈의 일 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수탱크가 상기 제1 장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냉수탱크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출수구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출수구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냉수탱크가 상기 제1 장착홈에 삽입되면, 상기 출수구장착홀에는 상기 출수구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지프레임에는 냉수탱크와 온수탱크 및 필터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어, 정수기 내부의 구조가 보다 간단하여 조립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별도의 부재를 통해 냉수탱크와 온수탱크 및 필터를 각각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정수기의 가로, 세로 방향의 길이를 줄여, 슬림한 외관을 갖는 정수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둘째,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장착홈과 제2 장착홈에는 각각 냉수탱크와 복수개의 필터가 장착됨으로써 이들의 하중을 원활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저면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온수탱크의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온수탱크의 평형을 유지하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때, 지지부와 체결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어, 온수탱크의 평형 및 하중의 지지를 보다 원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냉수탱크와 각 필터, 온수탱크는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므로 재료비의 절감 및 정수기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캐비닛 내부의 공간 확보가 가능해 설계상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냉수탱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출수구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부에 삽입된후 출수구장착홀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냉수탱크의 안정적 지지와 함께 조립 방향의 설정에 따른 조립 공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수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프레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지지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지지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8의 (a)와 도 8의 (b)는, 지지프레임에 냉수탱크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수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출수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펜서(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111)는 캐비닛(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닛(110)의 전면 일부가 디스펜서(11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레버(114)가 설치되어, 레버(114)의 조작으로 출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115)가 설치될 수 있다. 전면커버(115)는 전면상부커버(115a)와 전면하부커버(115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면상부커버(115a)는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하부커버(115b)는 캐비닛(1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측에 트레이(113)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닛(110)은 탑커버(110a), 미들커버(110b) 및 로워커버(110c)로 구성될 수 있다. 탑커버(110a)는 개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탑커버(110a)가 개방되는 경우 필터(150)의 교체는 보다 용이하게 될 것이다.
디스펜서(120) 하부에는 잔수트레이(113)가 설치될 수 있다. 잔수트레이(113)의 상부 공간 즉, 잔수트레이(113)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투영되는 공간을 디스펜서(111)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잔수트레이(113)는 캐비닛(1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지지프레임(120), 냉수탱크(130), 온수탱크(140), 필터(150) 및 열교환기(160)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수탱크(1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필터(150) 지나면서 여과된 정수를 수용하고 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수탱크(130)의 하부 일 측에는 배수구(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냉수탱크의 상부 일 측에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출수구와 연결된 출수관(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냉수탱크(130)의 외곽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둘러싸이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단열재가 설치된 안쪽으로는 냉각수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통의 내부에는, 냉동사이클과 연결되고 증발기 역할을 하는 냉매관이 나선 형상으로 다수회 감겨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관은 냉수탱크(130)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냉수탱크(130)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관(미도시)과는 별도로 정수된 물을 유도하는 금속재 튜브(미도시)가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150)로부터 정수된 물은 사용자가 정수레버를 누르는 경우, 정수된 물은 금속재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수와 열전달되면서 빠르게 냉각되면서 냉수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직수식 냉수 생성장치라 하며, 본원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이러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냉수탱크(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매관(미도시)에서 발생된 저온을 냉각수와 금속재튜브(미도시)로의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냉수탱크(130)의 상부 덮개에 교반용 모터(미도시) 및 이와 연결되는 프로펠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수탱크(130)를 온수탱크(140) 보다 상부에 배치하는 것은, 부품의 교체가 보다 용이하므로 서비스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냉수탱크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게 된다.
냉각탱크(140)의 전면에는 배수구(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131)에는 냉각수의 교체를 위한 배수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시간이 오래 지난 냉각수를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구(131)는 상기 잔수트레이(113)를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수구(131)에서 배출된 냉각수는 잔수트레이(113)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냉각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 및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증발기(미도시)는 냉수탱크(13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매는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수탱크(130)에 수용된 정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온수탱크(140)는 정수된 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탱크(140)는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금속재 히터(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탱크(140)는 원통형의 스테일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온수탱트(140)의 하단부에는 전기접속단자(142, 도 4 참고)가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재 히터(미도시)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온수탱크(140)의 내부에는 필터를 통과한 물이 수용될 수 있으며, 히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수용된 정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온수탱크(140)의 외측에는 온수탱크(140)를 감싸도록 온수탱크보온부재(143)가 설치되어 외부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필터(150)는 필터 어셈블리를 원수공급부와 연결하고, 복수개의 필터 간에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필터연결유로(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필터(150)는 프리 카본 필터, UF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150)를 통과한 정수는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캐비닛(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캐비닛(110)의 내측에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에는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 필터(150)가 한번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수기 내부의 구조가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 조립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지지프레임(120)을 통해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 및 필터(150)를 각각 상하부에 고정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정수기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여, 보다 컴팩트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지지프레임(120)에 장착되는 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지지프레임(120)에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 필터(150)가 일체로 장착되는 통합 모듈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123, 124)이 형성되어 냉수탱크(130)와 복수개의 필터(150)가 각각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장착홈(123, 124)은 지지프레임(120)의 상부면 일측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장착홈(123, 124)에는 냉수탱크(130)와 복수개의 필터(15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홈(123)에는 냉수탱크(130)가 상기 제1 장착홈(123)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도록 삽입 장착되며, 제2 장착홈(124)에는 복수개의 필터(150)가 삽입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25)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5)는 온수탱크(140)의 상면부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41)와 서로 결합되어 온수탱크(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저면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25)가 형성되며, 지지부(125)는 온수탱크(140)의 체결부재(141)와 결합됨으로써 온수탱크(14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평형을 유지하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125)는 제1 장착홈(123)의 저면부보다 더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지부(125)가 제1 장착홈(123)의 저면부보다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 간의 거리 확보가 가능하게 되므로,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지부(125)와 체결부재(141)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온수탱크(140)의 수평 및 하중의 지지를 보다 원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의 후면부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열교환기(16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60)는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냉수탱크(130)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로 냉매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120)의 후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60)를 향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체결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60)는 나사 체결을 통해 열교환기체결부(126)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160)는 캐비닛(110)의 후면커버(미도시)를 관통하여 열교환기체결부(126)에 체결되는 나사를 통해, 캐비닛(110)의 후면커버(미도시)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지지프레임(120)은 냉수탱크(130), 온수탱크(140) 및 복수개의 필터(150)를 일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프레임(120)에는 열교환기(160)까지 일체로 결합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르게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는 하나의 지지프레임(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정수기의 전체 외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를 각각 줄일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130) 및 필터(150)와 온수탱크(140)를 각각 하나의 지지프레임(120)을 통해 상하로 배치시키는 구조를 통해, 정수기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지지프레임(12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지지프레임(120)의 측면도이다.
지지프레임(120)에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 필터(150)가 일체로 장착되는 통합 모듈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123, 124)이 형성되어 냉수탱크(130)와 복수개의 필터(150)가 각각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장착홈(123, 124)은 지지프레임(120)의 상부면 일측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장착홈(123, 124)에는 냉수탱크(130)와 복수개의 필터(15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홈(123)에는 냉수탱크(130)가 상기 제1 장착홈(123)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도록 삽입 장착되며, 제2 장착홈(124)에는 복수개의 필터(150)가 삽입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1 프레임(121)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수탱크(130)가 하방향을 향해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일 측에 상기 제1 장착홈(123)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에 상기 제2 장착홈(12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21)은 제2 프레임(122)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제1 프레임(12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제2 프레임(122)이 제1 프레임(1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벤딩된 후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구현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장착홈(123)에 삽입 장착된 냉수탱크(130)가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캐비닛(110)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의 높이 차이에 의해 냉수탱크(130)가 지지될 수 있는 부위가 커지므로,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 사이에는 리브(128)가 형성되어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의 배치 구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2)의 일 측에는 출수관지지홈(127)이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냉수탱크(130)로부터 돌출된 출수관(132)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120)을 이루는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에는 각각 장착홈(123, 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장착홈(123, 124)에는 냉수탱크(130)와 상기 각 필터(15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장착홈(123, 124)은 제1 프레임(121)의 상부면과 제2 프레임(122)의 상부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홈(123, 124)은, 냉수탱크(130)가 삽입 설치되도록 상부면의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123)과, 제1 장착홈(123)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각 필터(150)가 설치되도록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장착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홈(123)은 일단이 개구되어 제1 장착홈(123)에는 냉수탱크(130)가 하방향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냉수탱크(130)의 지지를 위해 하부면은 제1 프레임(121)과 일체로 형성되어 닫혀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냉수탱크(130)의 원활한 장착을 위해 제1 장착홈(123)은 냉수탱크(1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 장착홈(124)에는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필터(15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2 장착홈(124)은 제2 프레임(122)의 상부로부터 제2 장착홈(124)에 삽입된 각 필터(150)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장착홈(124)은, 제2 프레임(122)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제2 장착홈(124)에 장착된 각 필터(1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장착홈(124)에는 복수개의 필터(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터(150)의 용량, 사용기간, 필터(150)의 종류를 고려하여, 여러 필터(150)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호환성을 위해 제2 장착홈(124)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제2 프레임(122)에 총 5개의 제2 장착홈(124)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다.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온수탱크(14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의 저면 일 측에는 하부를 향하도록 지지부(12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5)는 온수탱크(14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41)와 결합되어 온수탱크(14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지부(125)와 체결부재(141)는 나사체결을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지지프레임(12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온수탱크(140)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의 하부면의 일 측에는 냉수탱크(130)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온수탱크(140)가 지지되도록 지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의 저면 일 측에는 하부를 향해 지지부(125)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25)는 온수탱크(14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41, 도 4 참고)와 결합되어 온수탱크(140)의 하중을 원활히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부재(141)는 지지부(125)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체결부재(141)와 지지부(125)는 나사체결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프레임(120)의 저면 일 측에는 하부를 향하도록 지지부(125)가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온수탱크(14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41)는 지지부(125)와 서로 결합되어 온수탱크(14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지부(125)와 체결부재(141)는 나사체결을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125)는 제2 프레임(122)의 저면 일측의 복수개의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5)는 제2 프레임(122)의 저면부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25)는 지지프레임(120)의 저면부 총 3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온수탱크(14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41)는 상기 지지부(125)에 대응되도록 총 3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지지부(125)와 각 체결부재(141)는 하나씩 나사체결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141)는 지지부(125)와 함께 3점 지지될 수 있으므로, 온수탱크(140)의 하중이 보다 원활히 지지되면서 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지지부(125)와 체결부재(141)는 각각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의 (a)와 도 8의 (b)는 각각 지지프레임(120)에 냉수탱크(130)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에는 냉수탱크(130)가 장착되도록 제1 장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착홈(123)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냉수탱크(130)는 제1 장착홈(123)을 향해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냉수탱크(130)의 외면 일 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출수구(131)는 제1 장착홈(123)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23a)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123a)의 하단에는 출수구(131)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출수구(1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출수구장착홀(123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수탱크(130)가 제1 장착홈(123)에 삽입 설치가 완료되는 경우, 냉수탱크(130)의 출수구(131)는 제1 장착홈(123)의 출수구장착홀(123b)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냉수탱크(1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출수구(131)는, 지지프레임(120)에 형성된 가이드부(123a)에 삽입된후 출수구장착홀(123b)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냉수탱크(130)의 안정적 지지와 함께 조립 방향의 설정에 따른 조립 공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형상이 변형된 지지프레임(220)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지지프레임(220)에는 냉수탱크(미도시), 온수탱크(240), 복수개의 필터(미도시) 및 열교환기(미도시)가 전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는 하나의 지지프레임(2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정수기의 전체 외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20)을 통해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구조를 통해, 정수기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지지프레임(220)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지지프레임(220)은 지지프레임(220)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플랫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220)은 일 측에 냉수탱크(미도시)가 하방향을 향해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일 측에 상기 제1 장착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홈(223)이 형성된 위치와 이격되도록 제2 장착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도 5의 지지프레임(220)과 다르게,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벤딩된 후 연장 형성되는 구조가 없어, 변형에 따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리브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다.
지지프레임(220)의 하부에는 온수탱크(24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220)의 저면 일 측에는 하부를 향하도록 지지부(22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3)는 온수탱크(24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241)와 결합되어 온수탱크(24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지지프레임(220)의 하부에는 저면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23)가 온수탱크(240)의 체결부재(241)와 결합됨으로써, 온수탱크(240)가 기울어지지 않아 평형을 유지하면서 원활한 하중 지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지지부(223)는 제1 장착홈(223)의 저면부보다 더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온수탱크(24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온수탱크(240)를 지지하는 체결부재(241)의 일단은 'ㄱ'자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223)는 체결부재(241)가 거치되도록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23)와 체결부재(241)는 나사 체결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223)와 체결부재(241)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온수탱크(24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부(223)와 체결부재(241)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앞서 도 8의 (a)와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수탱크(미도시)는 제1 장착홈(223)을 향해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냉수탱크(미도시)의 외면 일 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출수구(미도시)는 제1 장착홈(223)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22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냉수탱크(미도시)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출수구(미도시)는, 지지프레임(220)에 형성된 가이드부(223a)에 삽입된후 출수구장착홀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냉수탱크(미도시)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조립 방향의 설정에 따른 조립 공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어 냉수와 온수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및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직수식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냉수탱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온수탱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냉수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온수탱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는, 상기 온수탱크보다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를 향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방향을 향해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 일 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냉수탱크가 삽입 설치되도록 상부면의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면의 다른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설치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어 냉수와 온수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탑커버;
    상기 캐비닛의 상부 전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직수방식의 냉수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냉수탱크;
    상기 캐비닛의 상부 후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필터가 각각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필터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을 향해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필터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온수탱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냉수탱크가 삽입 설치되도록 상부면의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면의 다른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가 설치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어 냉수와 온수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에 설치된 잔수트레이;
    상기 캐비닛의 상부 전면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냉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를 구비하는 직수방식의 냉수생성장치를 갖는 냉수탱크;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배수구와 상기 잔수트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직수방식의 냉수성성장치로부터 상기 잔수트레이를 향해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 후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수탱크는, 상기 필터보다 상기 잔수트레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필터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을 향해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필터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냉수탱크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냉수탱크가 삽입 설치되도록 상부면의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면의 다른 일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가 설치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00059898A 2020-05-19 2020-05-19 정수기 KR102238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98A KR102238914B1 (ko) 2020-05-19 2020-05-1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98A KR102238914B1 (ko) 2020-05-19 2020-05-19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15A Division KR102115191B1 (ko) 2018-11-29 2018-11-29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963A KR20200064963A (ko) 2020-06-08
KR102238914B1 true KR102238914B1 (ko) 2021-04-12

Family

ID=7108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98A KR102238914B1 (ko) 2020-05-19 2020-05-1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369A (ko) 2021-10-14 2023-04-2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81B1 (ko) * 2010-07-06 2012-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04013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정수탱크
KR101285438B1 (ko) * 2011-07-08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43225B1 (ko) * 2011-07-08 201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963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835A (en) Water and ice dispensing apparatus
CN100354573C (zh) 空调机的室内单元
KR101191420B1 (ko)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KR102238914B1 (ko) 정수기
CN105737279B (zh) 空气调节器的室外机
JP4277871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2115191B1 (ko) 정수기
CN109549479A (zh) 水处理装置
KR101611293B1 (ko) 정수기
KR101188483B1 (ko) 정수기
CN208481097U (zh) 水处理装置
CN219079138U (zh) 一种制冰净水一体机
CN217685927U (zh) 热水供应装置
CN218065202U (zh) 一种环保制冷剂稳定增效的冷风机
KR101201508B1 (ko)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JP3913629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器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給湯機
CN220370595U (zh) 直饮机
CN218154668U (zh) 一种新风环控一体机
CN105937159A (zh) 干衣机或洗干一体机
CN206191753U (zh) 移动式空调器
CN218237662U (zh) 室外机及整体式热泵两联供空调机组
JP3766233B2 (ja) アンモニア吸収式冷凍装置
KR20210066414A (ko) 냉수 정수기
CN212511496U (zh) 一种移动空调器
KR101676727B1 (ko) 공기여과 겸용 냉온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