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13A - 정수기의 정수탱크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정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013A
KR20120004013A KR1020100064630A KR20100064630A KR20120004013A KR 20120004013 A KR20120004013 A KR 20120004013A KR 1020100064630 A KR1020100064630 A KR 1020100064630A KR 20100064630 A KR20100064630 A KR 20100064630A KR 20120004013 A KR20120004013 A KR 2012000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er case
cover
sealing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고봉
김세주
전제욱
하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013A/ko
Publication of KR2012000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탱크는, 정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커버하기 위한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밀폐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정수탱크 {A water tank of a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적용되는 정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정수기의 본체 내부에는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를 통해 정수 된 물은 저수조에 저장된다. 저수조에 저장된 물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구분되어 공급된다.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서는 공급된 물을 각각 냉각 및 가열하고,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물은 각각 구분되는 배출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정수기의 정수탱크는 복수의 부재가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되므로, 그 분리가 어렵고 분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 내부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탱크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가 가능한 커버와 상기 커버를 정수 탱크에 선택적으로 밀폐가능하도록 하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진 정수탱크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정수기의 위생성과 청결성을 확보하고, 생산자의 입장에서도 관리 및 서비스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탱크는, 정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커버하기 위한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밀폐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기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 탱크가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으므로, 정수 탱크의 청소가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가 분해가 가능하므로, 렌탈업체나 제조업체로써는 서비스 및 부품의 교체 등이 용이하고, 서비스 및 교체 등을 위한 비용도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탱크를 구비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정수탱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정수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탑 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채용된 정수기(1)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프런트 상측 패널(12)과, 프런트 하측 패널(13)과, 물 받이(14)와, 탑 커버(11)와, 사이드 커버(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는 온수와 냉수를 각각 취수할 수 있는 물 취출부(22)와, 물 취출버튼(200)과, 얼음취출부(22')와 얼음취출버튼(2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 및 표시창이 구비된 제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물 받이(14)는 상기 물 취출버튼(200) 및 얼음취출버튼(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필터(31)와, 상기 필터(3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수용되는 정수탱크(50)와,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각각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탱크(105) 및 온수탱크(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물 취출부(22), 물 취출버튼(200), 얼음취출부(22')와 얼음취출버튼(200')이 구비된다.
상기 물 취출버튼(200)의 선택에 의해서 온수 또는 냉수가 취출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플레이트(36)과,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36)가 연결되는 다수의 메인 프레임(35)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3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냉수 취출을 위해 냉매의 순환 싸이클을 형성하는 응축기(33), 압축기(32), 증발기(미도시), 팽창기(미도시)와,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31)와,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박스(4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33)는 상기 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압축기(32)에서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그리고, 본체(10) 하측부에는 상기 필터(31)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31)를 거친 정수된 물은 배관을 통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부에 구비된 정수탱크(50)에 집수된다.
상기 정수탱크(50)에 집수된 정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가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온수 및 저온으로 냉각된 냉수로 취출된다.
이하에서는 정수탱크(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정수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정수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탑 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탱크(50)는,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필터링된 정수를 보관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5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개구된 상측면과 결합하는 밀폐 커버(520)와, 상기 밀폐 커버(5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청소홀(526)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탑 커버(510)와, 상기 밀폐 커버(520)와 탑 커버(510)를 밀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상면은 개구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내부에 인너 케이스(54)가 수용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일측면에는 필터를 통해서 걸러진 물이 공급펌프(미도시)에 의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상측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부(54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폐 커버(52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상면 개구부를 커버한다. 상기 밀폐 커버(520)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걸림부(541)가 소정의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는 밀폐홈(미도시: 후술할 탑 커버의 밀폐홈과 동일한 구조임)이 저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 커버(520)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10)와 나사에 의한 고정결합을 위한 본체 체결홀(521)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 커버(52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걸림부(541)가 상기 밀폐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41)에 걸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후크(529)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541) 및 걸림부(531)는 상기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기구 역할을 한다.
상기 밀폐 커버(520)는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홀(522)과, 내부 청소 등을 위한 청소홀(526)과, 상기 탑 커버(510)가 위치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탑 커버 수용부(527)와, 상기 탑 커버(510)의 밀폐홈(516)에 삽입되는 삽입부(524)와, 상기 탑 커버(510)와 밀폐 결합을 위한 고정 후크(525) 및 위치 고정부(5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510)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511)와, 상기 밀폐 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위치고정부(523)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리브(513)와, 상기 밀폐 커버(52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후크(525)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리브(5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후크(525) 사이에 상기 고정리브(512)가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리브를 감싸면서 상기 복수의 고정후크(525)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탑 커버(510)는 상기 삽입부(524)와 실링재(550)가 함께 삽입되는 밀폐홈(516)과, 상기 삽입부(524)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외측가이드(515)와, 상기 삽입부(524)의 내측면을 커버하는 내측가이드(5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리브(513)의 상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5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530)는, 상기 밀폐 커버(520)의 고정 후크(525)에 걸리는 고정돌기(532)와, 상기 고정리브(512)의 상측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531)와, 상기 고정돌기(532)와 가압부(5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정수탱크(50)의 조립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아우터 케이스(52) 내에 상기 인너 케이스(54)를 삽입한 후, 개부구의 모서리를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상측에 상기 밀폐 커버(520)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상기 탑 커버(510)를 상기 밀폐 커버(520)에 결합시킨다. 상세히, 상기 실링재(550)를 상기 탑 커버(510)의 밀폐홈(516)에 삽입한 후에, 상기 위치고정리브(513)를 상기 위치고정부(523)에 삽입하여 1차적으로 위치 가고정 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후크(525)의 사이에 상기 고정리브(512)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부재(530)를 상기 복수의 고정후크(525)에 결합시키면 상기 정수 탱크의 조립은 완료된다.
반면, 상기 정수 탱크의 분해는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정수 탱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정수 탱크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에는, 밀폐 커버(520')와 밀폐 결합을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524')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524') 상측에는 밀폐돌기(522')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측 결합돌기(526')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돌기(522)와 상기 하측결합돌기(526)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 커버(52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에 삽입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측가이드(521')와, 상기 밀폐돌기(522') 및 실링부재(523')를 수용하기 위한 밀폐홈(516')과, 상기 하측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측 결합돌기(52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아우터 정수케이스(52')와 밀폐 커버(520')는 결합부재 (530')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30')는, 단면이 "ㄷ"자 형상이며, 상기 결합돌기(526')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5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530')에는 스크률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5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530')는 상기 밀폐 커버(520') 및 상기 연장부(524)를 동시에 감싼다.
상기 구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내측가이드(521')를 상기 아우터 케이스(52')의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밀폐돌기(522')가 상기 밀폐홈(516')에 위치되고, 상기 상측 결합돌기(526')와 하측 결합돌기(526')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상기 결합부재(5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밀폐 커버, 상기 아우터 케이스(52') 및 상기 결합부재(530')에 결합시킨다.
1...... 정수기 10..... 본체
50..... 정수탱크 510.... 탑 커버
520.... 밀폐 커버 530.... 결합부재

Claims (10)

  1. 정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커버하기 위한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밀폐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기구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밀폐 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가 포함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기 위한 밀폐홈이 형성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상기 밀폐 커버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일부를 동시에 감싸서 상기 밀폐 커버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상측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하측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기구에는 상기 각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가 상기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감싼 상태에서 상기 결합 기구, 상기 밀폐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청소를 위한 청소홀이 형성되고,
    상기 청소홀은 탑 커버에 의해서 커버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상기 탑 커버와 상기 밀폐 커버의 위치를 가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에는 위치고정부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리브가 형성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와 상기 탑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복수의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에는 복수의 고정후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복수의 고정후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후크에 결합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







KR1020100064630A 2010-07-06 2010-07-06 정수기의 정수탱크 KR20120004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30A KR20120004013A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의 정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30A KR20120004013A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의 정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3A true KR20120004013A (ko) 2012-01-12

Family

ID=4561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630A KR20120004013A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의 정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0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709A (ko) * 2017-06-19 2018-12-28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청소 방법
KR102115191B1 (ko) * 2018-11-29 2020-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64963A (ko) * 2020-05-19 2020-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96670A (ko) 2020-12-31 2022-07-07 김재혁 차량 내부의 접철식 평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709A (ko) * 2017-06-19 2018-12-28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청소 방법
KR102115191B1 (ko) * 2018-11-29 2020-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64963A (ko) * 2020-05-19 2020-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96670A (ko) 2020-12-31 2022-07-07 김재혁 차량 내부의 접철식 평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4013A (ko) 정수기의 정수탱크
FR2839874A1 (fr) Aspirateur equipe de support pour recevoir selectivement soit un filtre papier jetable, soit un filtre permanent
KR102005569B1 (ko) 정수기
KR101733241B1 (ko) 냉장고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101188483B1 (ko) 정수기
US7204097B2 (en) Upright refrigerator, particularly, of built-in Type with Anti-dust filter for the compressor compartment, and anti-dust filter for this latter
KR101285438B1 (ko) 정수기
KR101372051B1 (ko) 정수기
CN109487509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1335747B1 (ko) 정수기
JP5030980B2 (ja) 加熱調理器
KR101304688B1 (ko) 정수기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KR101285523B1 (ko) 정수기
KR101291876B1 (ko) 정수기
KR101291974B1 (ko) 정수기
KR102662368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468840B1 (ko) 정수기
JP4318957B2 (ja) 除湿機
KR100610503B1 (ko) 냉장고
KR101213804B1 (ko) 정수기
JP6470982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426590B1 (ko) 정수기
JP2004197979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