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060B1 -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060B1
KR102376060B1 KR1020190165892A KR20190165892A KR102376060B1 KR 102376060 B1 KR102376060 B1 KR 102376060B1 KR 1020190165892 A KR1020190165892 A KR 1020190165892A KR 20190165892 A KR20190165892 A KR 20190165892A KR 102376060 B1 KR102376060 B1 KR 10237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ter
unit
inpu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815A (ko
Inventor
옥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815A/ko
Priority to KR1020220031606A priority patent/KR102512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단말기를 통해 식별자 정보를 미리 입력 받는다. 상기 식별자 정보가 입력된 후, 정수기에는 음성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정수기는 입력된 음성 정보를 기 입력된 식별자 정보와 비교하여 출수와 관련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원하는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식별자가 음성으로 입력됨에 따라 대응되는 종류의 물이 출수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통칭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구비하여 정수된 물을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원수(raw water)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정화된 물을 출수(discharge)하기 위한 출수부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구조의 정수기는, 출수부 근처에 배치되는 레버(lever)가 조작되어 물이 출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레버를 가압하면, 그에 따라 출수부를 폐쇄하던 부재가 이동되어 출수부를 통해 물이 출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물을 출수하는 동안 레버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레버의 조작 없이 음성으로 출수를 위한 명령을 발하여 물을 출수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 또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음성을 통한 명령의 경우, 출수될 물의 온도와 용량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출수될 물을 이용하여 특정 음식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수될 물의 온도와 용량을 입력해야만 한다.
가공식품 등과 같이 요구되는 물의 용량이 명확하게 적시된 경우는 별론, 사용자가 대부분의 음식에 요구되는 물의 온도나 용량 항시 기억하기는 어렵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070270호는 음성인식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및 저장된 명령값과 음성 명령을 비교하여 공급될 물의 온도 및 양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음성인식 정수기는, 음성 명령에 물의 온도 및 양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됨을 전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출수 목적과 관련된 음성 명령이 입력될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72064호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음성인식 대상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정수기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출수 목적과 관련된 음성인식 대상어를 입력받고, 이를 근거로 사용될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070270호 (2014.06.10.)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72064호 (2017.06.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음성 명령을 인가하여 원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정 식별자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가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정 식별자가 음성 명령으로 인가될 경우, 입력된 특정 식별자에 따른 물이 출수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출수와 관련된 정보를 간접적으로 포함하는 특정 식별자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해당 특정 식별자에 따른 물이 출수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출수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음성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정보 입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음성 정보 입력부 및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음성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에 해당할 경우,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물이 출수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출수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성 정보보다 먼저 입력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입출력 모듈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단말기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출수 정보를 저장하고, 매칭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와 상기 출수 정보를 매칭하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 정보는,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될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인 출수 온도 정보; 및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될 물의 양에 대한 정보인 출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외부의 단말기에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 제어부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데이터베이스부가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d) 출수부가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1) 그림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그림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a2) 명칭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명칭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a3) 수량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수량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a4) 온도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온도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상기 (a4) 단계 이후에, (a5) 통신 모듈이 입력된 상기 그림 정보, 입력된 상기 명칭 정보, 입력된 상기 수량 정보 및 입력된 상기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a6)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전송된 상기 그림 정보, 전송된 상기 명칭 정보, 전송된 상기 수량 정보 및 전송된 상기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b1) 음성 정보 입력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2) 상기 음성 정보 연산부가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b3) 입출력 모듈이 연산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1)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2)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음성 정보와,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c3)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연산된 상기 식별자 정보와 출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c4)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매칭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 수신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d1) 출수 정보 수신 모듈이 수신한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및 (d2)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제어부가 물의 상기 출수에 대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e1)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이 출수 정보 수신 모듈로부터 상기 출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e2) 음성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수 정보를 음성 정보로 연산하고, 출력하는 단계; 및 (e3) 시각화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음성 정보 입력부를 통해 정수기에 입력된다. 정수기는 데이터베이스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된 음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전달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입력된 음성 정보를 비교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가한 음성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가 연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식별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사전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식별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외부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은,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의 형태로 정수기에 입력된 식별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전달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입력된 식별자 정보는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비교 및 매칭한다.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는 소정의 출수 정보가 대응된다. 음성 정보의 형태로 입력된 식별자 정보는 상기 소정의 출수 정보로 연산되어 정수기에 전달된다.
따라서, 특정 식별자 정보가 음성 정보의 형태로 입력된 경우, 그에 대응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통해 등록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식별자 정보는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특히, 명칭 정보는 출수 정보와 무관한 문구만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원하는 물을 출수할 수 있다. 즉, 출수를 원하는 물의 정보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더라도 입력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수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S1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각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각 단계를 따라 식별자 정보가 입력된 결과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S2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S3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S4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7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S5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원수"라는 용어는 음용을 위해 정수가 수행되지 않은 물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는 수돗물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누름 조작"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눌림으로써 수행되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누름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음성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누름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발광 정보"라는 용어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각 구성 요소의 발광 또는 소광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정보는 발광 여부 정보, 발광 형태 정보 및 발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출수 정보"라는 용어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되는 물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정보는 출수 온도 정보, 출수량 정보 및 출수 지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식별자 정보"라는 용어는 출수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특정 문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자 정보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전류 또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캐비닛(cabinet)(100),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을 설명하되, 제어부(400),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부(6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캐비닛(cabinet)(100)의 설명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정수기(10)가 원수를 정수하고,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즉,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하우징(housing)으로 기능된다.
캐비닛(100)에는 출수부(200)가 연결된다.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출수부(20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캐비닛(100)에는 조작부(30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을 선택하기 위한 누름 정보 및 선택된 물을 출수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제어부(400)가 실장된다. 제어부(400)는 출수부(200), 조작부(300),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비닛(100)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캐비닛(100)은 다른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캐비닛(10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길쭉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10)가 협소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본체(110) 및 잔수 트레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술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후술될 제어부(400)가 실장될 수 있다.
본체(110)는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0는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각 커버(111, 112, 113, 114)는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전면 커버(111)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는 반원(half circle)의 형상일 수 있다.
전면 커버(111)에는 상부 커버(114)에 치우치도록 위치되며, 라운드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수부(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와 연결된다. 전면 커버(111)의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에 대향하는 전면 커버(1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트레이(120)는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탈착 가능하게 전면 커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좌측 및 우측에서 덮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커버(112)는 평면(plane) 형상이다.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후면 커버(113)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후면 커버(113)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3)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상부 커버(114)는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진 부분은 전면 커버(111) 및 후면 커버(11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4)에는 조작부(3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커버(114)에는 음성 정보 입력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은 음성 정보 입력부(411)를 통해 정수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상부 커버(114)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명령을 전달받기 위해, 음성 정보 입력부(411)가 위치되는 상부 커버(114)의 부분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용기로 진입되지 못한 물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정수기(1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탈된 물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결합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소정의 양 이상으로 포집되면, 사용자는 잔수 트레이(120)를 분리하여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가 회전되면, 잔수 트레이(120) 또한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물이 출수되는 경우에도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포집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잔수가 수용된다. 잔수 트레이(120)의 상측에는 창살(grating)이 형성된다. 잔수는 상기 창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2) 출수부(200)의 설명
출수부(20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부분이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필터(미도시), 가열 장치(미도시) 및 냉각 장치(미도시)와 연통된다.
출수부(200)는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통 및 차단은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부(20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부(200)를 통해 용기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부(200)를 통해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임의로 출수되지 않게 된다.
출수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00)에 인가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후술될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부(200)는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즉, 출수부(200)는 전면 커버(111)가 측면 커버(112)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 회전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제어부(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출수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과 관련된 정보가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로테이터(rotator)(210), 출수 유닛(220) 및 출수 코크(cock)(230)를 포함한다.
로테이터(210)는 출수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로테이터(2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로테이터(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로테이터(210)의 곡률은 전면 커버(111)의 곡률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테이터(21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배관 구조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관 구조체(미도시)는 로테이터(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원통형의 로테이터(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외주는 전면 커버(1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로테이터(210)의 상기 전방 측의 외주에는 출수 유닛(220)이 연결된다. 출수 유닛(220)은 상기 개구부에 관통된다.
출수 유닛(220)은 전면 커버(111)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수된 물이 전면 커버(11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은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방향 또는 잔수 트레이(12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는 출수 코크(230)가 구비된다.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는 조작부(300)가 위치된다.
출수 유닛(220)은 로테이터(210)와 연결된다. 로테이터(210)가 회전되면, 출수 유닛(22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조작부(300) 및 하측에 위치되는 출수 코크(23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미도시)은 로테이터(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관 구조체(미도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관(미도시)은 출수 코크(2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배관 구조체(미도시) 및 배관(미도시)을 통과하여 출수 코크(230)로 유동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통로이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배관(미도시)과 연통된다. 출수 유닛(220)을 통과한 물은 출수 코크(230)를 통해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의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의 종류, 용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조작부(300)에 입력된 제어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된다. 제어부(400)는 입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300)는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상부 커버(1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는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가 캐비닛(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조작부(300) 또한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출수부(200)를 회전시킨 방향 및 각도로 조작부(300) 또한 회전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제어부(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31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 버튼(310)은 제어부(400)의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버튼(310)에 입력된 누름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터치(touch) 조작되어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을 "누름 조작"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소정의 시간 동안 누름 조작되어 누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오조작에 의해 의도치 않은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제어부(400)의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출수 정보는 조작 버튼(31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누름 조작되어 제어부(400)와 통전되거나, 제어부(4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스위치,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발광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이 누름 조작되거나, 정수기(10)가 작동되는 동안 조작 버튼(310)은 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 버튼(31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전후 방향으로 각 세 개, 좌우 방향으로 각 두 개씩 구비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조작 버튼(31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은 각각 소정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310)을 누름 조작하면, 그 조작 버튼(310)에 할당된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조작 버튼(310)에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누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각 조작 버튼(310)에는 출수량, 출수 시간 또는 정수기(10)의 세정과 관련된 누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를 향하는 조작 버튼(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출수 버튼(320)이 위치된다.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면, 각종 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출수부(200)를 통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버튼(320)은 출수부(200) 및 각종 밸브(미도시)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버튼(320)은 일 회 누름 조작되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조작 버튼(310)을 통해 입력된 물의 온도, 출수량 및 출수 지속 시간 등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버튼(320)은 누름 조작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는 시간 동안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출수 버튼(320)은 조작부(300)의 가장 전방 측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버튼이므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부(300)는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가 작동 상태인지 여부, 정수기(10)가 외부의 단말기(500) 또는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400)의 설명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입력된 누름 정보, 음성 정보 또는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정수기(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출수부(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작부(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누름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누름 정보에 근거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400)와 출수부(200) 또는 조작부(300) 사이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이 유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도선 부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말기(500)에 의해 입력된 식별자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식별자 정보에 근거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가 전달받은 음성 정보, 누름 정보 또는 식별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600)에서 매칭된 출수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0)와 단말기(500) 또는 데이터베이스부(600) 사이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은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수기(10)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출수부(200)를 통한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출수를 진행하기 위한 각종 밸브(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부(400)의 각 구성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를 이용한 유선 통신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부(400)의 각 구성은 정보의 입력, 출력, 연산 및 저장 등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에 구비되는 각 모듈들은 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의 각 모듈들은 RAM, ROM, SD 메모리 등 저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 입출력 모듈(440),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 출수 제어 모듈(460) 및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을 포함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에 입력된 입력 정보는 정수기(10)의 제어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back data)로 활용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에 입력된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는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상기 입력 정보를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음성 정보 입력부(411) 및 누름 정보 입력부(412)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가 입력받는 음성 정보에는 식별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음성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인 진폭, 진동수 및 파형을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마이크(Mic)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상부 커버(114)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상부 커버(114)가 연장되는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음성 정보 연산부(42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음성 정보 연산부(421)로 전달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는 사용자가 입력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누름 정보는, 사용자가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3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누름 조작하여 입력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는 조작부(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버튼(310)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되는 누름 정보는 누름 정보 입력부(412)에 전달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는 누름 정보 연산부(42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에 입력된 누름 정보는 누름 정보 연산부(422)에 전달될 수 있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에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또는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 또는 출수 정보는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되어, 발광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로 활용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과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입출력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음성 정보 연산부(421) 및 누름 정보 연산부(422)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전달받은 음성 정보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연산한다.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음성 정보 입력부(41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음성 정보에는 식별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연산부(421)가 연산한 결과는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 및 입출력 모듈(440)에 전달된다. 음성 정보 연산부(421)와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 및 입출력 모듈(44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는 전달받은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는 조작 버튼(3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누름 정보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310)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된다. 이때, 조작 버튼(310)에는 임의의 출수 정보가 할당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는 누름 조작된 조작 버튼(310)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가 연산한 출수 정보는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와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가 연산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에 전달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2)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의 발광 및 소광과 관련된 정보인 발광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발광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과 조작부(30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전달받은 음성 정보 및 누름 정보에 근거하여 발광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전달받은 출수 정보에 근거하여 발광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은 발광 여부 정보 연산부(431), 발광 형태 정보 연산부(432), 발광 시간 정보 연산부(433)를 포함한다.
발광 여부 정보 연산부(431)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발광 또는 소광될 구성 요소와 관련된 정보인 발광 여부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여부 정보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어느 구성 요소가 발광되고, 어느 구성 요소가 소광될지 여부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여부 정보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각각에 대해 연산될 수 있다.
발광 여부 정보 연산부(431)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각각의 발광 또는 소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발광 여부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발광 여부 정보 연산부(431)가 연산한 발광 여부 정보는 발광 형태 정보 연산부(432)에 전달된다. 발광 여부 정보 연산부(431)와 발광 형태 정보 연산부(432)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형태 정보 연산부(432)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발광되는 것으로 발광 여부 정보가 연산된 구성 요소의 발광 형태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형태 정보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발광되는 것으로 발광 여부 정보가 연산된 구성 요소가, 발광되는 형태와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발광 형태 정보는 각 구성 요소가 발광을 지속할 것인지, 발광과 소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할 것인지 여부 등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형태 정보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각각에 대해 연산될 수 있다.
발광 형태 정보 연산부(432)가 연산한 발광 형태 정보는 발광 시간 정보 연산부(433)에 전달된다. 발광 형태 정보 연산부(432)와 발광 시간 정보 연산부(433)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시간 정보 연산부(433)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발광 여부 정보 및 발광 형태 정보가 연산된 구성 요소의 발광 시간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시간 정보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발광 여부 정보 및 발광 형태 정보가 연산된 구성 요소가, 발광을 지속하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발광 시간 정보는 각 구성 요소가 얼마의 기간 동안 발광 또는 발광과 소광 반복을 지속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시간 정보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각각에 대해 연산될 수 있다
발광 시간 정보 연산부(433)가 연산한 발광 시간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발광 시간 정보 연산부(433)는 조작부(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기 연산된 발광 여부 정보 및 발광 형태 정보 또한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이에,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은 전달된 발광 여부 정보, 발광 형태 정보 및 발광 시간 정보에 따라 발광 또는 소광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40)은 제어부(400)를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부(60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입출력 모듈(440)은 제어부(400)의 각 구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모듈(410, 420, 430)에서 연산된 각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600)에서 매칭 및 연산된 출수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에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에 전달된다.
입출력 모듈(44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40)은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말기(500)에 입력된 식별자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에 전달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40)은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모듈(410, 420, 430)에서 연산된 각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500)에서 전달된 식별자 정보 또한 입출력 모듈(44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4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 모듈(440)은 Wi-Fi 방식으로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입출력 모듈(440)은 Wi-Fi 통신이 가능한 Wi-Fi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누름 정보 연산부(422)가 연산한 출수 정보를 전달받는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누름 정보 연산부(42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입출력 모듈(440)이 수신한 출수 정보를 전달받는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입출력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51) 및 출수량 정보 수신부(452)를 포함한다.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51)는 출수 정보 중 출수 온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출수 온도 정보는 누름 정보 연산부(422) 또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서 전달된다.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될 물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온도 정보는 ℃의 단위를 갖는 특정 수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51)가 수신한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 온도 제어 모듈(461)로 전달된다.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51)와 출수 온도 제어 모듈(461)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량 정보 수신부(452)는 출수 정보 중 출수량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출수량 정보는 누름 정보 연산부(422) 또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서 전달된다.
출수량 정보는 출수될 물의 양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량 정보는 ml의 단위를 갖는 특정 수치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출수량 정보 수신부(452)가 수신한 출수량 정보는 출수량 제어 모듈(462)로 전달된다. 출수량 정보 수신부(452)와 출수량 제어 모듈(462)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는 누름 정보 연산부(422) 및 데이터베이스부(600)에서 출수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출수 시간 정보는 물의 출수가 지속되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시간 정보는 분 또는 초의 단위를 갖는 특정 수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가 수신한 출수 시간 정보는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로 전달된다. 이때,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와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에서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출수부(20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에 대응되는 물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부(200) 및 물의 출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어 모듈(460)에 전달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 온도 제어 모듈(461) 및 출수량 제어 모듈(462)을 포함한다.
출수 온도 제어 모듈(461)은 출수될 물의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는 출수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출수 온도 제어 모듈(461)은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5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 온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량 제어 모듈(462)은 출수될 물의 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는 출수량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출수량 제어 모듈(462)은 출수량 정보 수신부(45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량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수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실시 예에서,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은 물이 출수되는 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는 출수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은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은 진행되는 출수의 근거가 되는 출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에 전달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은 음성 정보 출력부(471) 및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전달받은 출수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에서 연산한 청각화 정보에는 출수되는 물의 온도, 양 및 출수가 지속되는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수 중인 물과 관련된 정부(즉, 온도 정보 또는 양 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는 전달받은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조작부(300)가 발광되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는 연산된 시각화 정보를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로 전달한다. 연산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는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 출수 정보 또는 시각화 정보는 발광 정보로 연산되어,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이 연산한 출수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에 전달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40)은 전달받은 출수 정보를 단말기(5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출수 정보는 음성 정보 또는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수 진행 중인 물과 관련된 정보(즉, 온도 정보 또는 양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500)의 설명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의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말기(500)는 정수기(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통해 정수기(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에서 연산된 출수 정보는 단말기(500)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정수기(10)의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와 정수기(10)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와 정수기(10)는 Wi-Fi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5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는 스마트폰(smartphon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500)는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와 데이터베이스부(600)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와 데이터베이스부(600)는 Wi-Fi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는 정수기(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단말기(500)의 통신 모듈(530) 및 제어부(400)의 입출력 모듈(440)에 의해 달성된다.
단말기(500)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포함한다(도 6 참조). 디스플레이부(501)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터치 조작하여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정보는 식별자 정보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말기(500)는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510),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520) 및 통신 모듈(530)을 포함한다. 상기 각 모듈(510, 520, 530)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510)은 사용자가 새로이 입력하는 식별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식별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로 활용된다.
즉, 상기 식별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 기 저장되어, 차 회부터 사용자가 입력할 경우 특정한 조건의 물을 출수하기 위해 활용된다.
이에,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510)을 통해 입력되는 식별자 정보는 "기 입력 또는 설정된 식별자 정보" 또는 "기준 식별자 정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식별자 정보는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510)은 식별자 정보가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510)은 그림 정보 입력부(511), 명칭 정보 입력부(512), 수량 정보 입력부(513) 및 온도 정보 입력부(514)를 포함한다.
그림 정보 입력부(511)는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그림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는 기 입력된 기준 식별자 정보와 새로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의미하는 그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그림 정보 입력부(511)는 라면, 우동 및 된장찌개 등과 관련된 그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그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조작하여 그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500)에 저장된 그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림 정보 입력부(511)는 출수될 물이 활용될 임의의 음식 등과 관련된 그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명칭 정보 입력부(512)는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명칭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는 기 입력된 기준 식별자 정보와 새로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의미하는 명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명칭 정보는, 출수되는 물을 활용하여 조리될 음식의 명칭 및 양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명칭 정보 입력부(512)는 텍스트(text) 형태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텍스트 상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수량 정보 입력부(513)는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수량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는 기 입력된 기준 식별자와 새로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기준 식별자 정보가 의미하는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량 정보 입력부(513)는 1컵(200 ml), 500 ml, 1,000 ml, 2,000 ml 등과 같은 수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량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조작하여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량 정보 입력부(513)는 텍스트 상자의 형태로 표시되어 출수될 물의 수량을 숫자 텍스트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온도 정보 입력부(514)는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는 기 입력된 기준 식별자와 새로 입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기준 식별자 정보가 의미하는 온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온도 정보 입력부(514)는 냉수(10 ℃), 정수(18 ℃) 및 온수(40 ℃)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온도 정보 입력부(514)는 텍스트 상자의 형태로 표시되어 출수될 물의 온도 정보를 숫자 텍스트로 입력받을 수 있다.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520)은 기 입력된 식별자 정보, 즉 기준 식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520)을 통해 기준 식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10)에서는 선택된 기준 식별자 정보에 해당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520)은 기 입력된 식별자 정보, 즉 기준 식별자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520)이 식별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기 입력된 식별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기 입력된 식별자 정보는 "라면 1인분", "라면 2인분", "김치찌개 1인분" 및 "된장찌개 2인분"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에 시각화 정보로 표시된, 기 입력된 식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식별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단말기(500)와 정수기(1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정보는 정수기(10)에 전달된다.
또한, 통신 모듈(530)은 단말기(500)와 데이터베이스부(60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기준 식별자 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식별자 정보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기준 식별자 정보 및 선택된 식별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된다.
통신 모듈(530)은 상기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530)은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600)의 설명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정수기(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정수기(10)의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600)에는 사용자가 단말기(500)를 통해 입력한 기준 식별자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식별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60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 및 이들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정보의 입력, 출력 및 저장과 연산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를 포함하며, 저장을 위한 SSD, HDD, RAM, ROM 또는 S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600)에서 연산 또는 매칭된 출수 정보는 정수기(1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에 입력된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말기(500)를 통해 입력된 식별자 정보 등은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600)는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 및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를 포함한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사용자가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510)을 통해 입력한 기준 식별자 정보(즉,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식별자 정보는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는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기준 식별자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와 비교 또는 매치(match)되어 출수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 활용된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가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식별자 정보를 입력하는 실시 예에서,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입력된 식별자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비교 및 매칭한다.
상기 비교 결과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에 전달되어,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출수 정보와 매칭된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와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기준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기준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기준 음성 정보는 "찬 물 한잔 줘" 등과 같이, 출수 정보가 직접적으로 표현된 기준 음성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기준 음성 정보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기준 식별자 정보와 비교한다.
즉,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입력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기준 식별자 정보를 연산한다.
이를 위해,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가 입력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연산한 기준 식별자 정보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로 전달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출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에서 연산된 기준 식별자 정보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출수 정보와 비교 및 매칭한다.
기 저장된 출수 정보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저장된 출수 정보는 기 저장된 출수 온도 정보, 기 저장된 출수량 정보 및 기 저장된 출수 지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631) 및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를 포함한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631)는 출수 온도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출수 온도 정보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되는 물의 다양한 온도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631)는 매칭된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온도 정보를 매칭시킨다. 즉,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631)는 연산된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온도 정보를 매칭한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631)가 매칭한 출수 온도 정보는 통신 모듈(44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631)는 통신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는 출수량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출수량 정보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되는 물의 다양한 수량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는 매칭된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량 정보를 매칭한다. 즉,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는 연산된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량 정보를 매칭한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632)가 매칭한 출수량 정보는 통신 모듈(44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는 통신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매칭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는 단말기(500)에도 전달될 수 있다. 단말기(500)에 전달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는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음성 정보가 전달되어, 출수 정보가 연산되는 과정을 일 예로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라면 1인분"과 관련된 기준 식별자 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는 "라면 1인분"과 같은 음성 정보를 음성 정보 입력부(411)에 입력한다. 입력된 음성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입력된 음성 정보가 기준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지 연산한다. 제시된 문구인 "라면 1인분"에는 출수 정보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으므로, 대응되는 기준 음성 정보가 없는 것으로 연산될 것이다.
이제,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입력된 음성 정보를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기준 식별자 정보와 비교한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는 "라면 1인분"과 관련된 기준 식별자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므로, 입력된 음성 정보와 기준 식별자 정보가 매칭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매칭된 상기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매칭한다. 즉,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상기 기준 식별자 정보에 할당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출수 정보는 입출력 모듈(440)을 통해 출수 제어 모듈(46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1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문구가 입력된 경우에도, 그에 대응되도록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은 외부의 단말기(500)에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00), 제어부(400)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00), 데이터베이스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300), 출수부(200)가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S400) 및 제어부(400)가 물의 출수에 대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1) 외부의 단말기(500)에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00)의 설명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500)를 통해, 기준 식별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0)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단계에서는 기준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각 정보는 동시 또는 이시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가 차례로 입력됨을 가정하여 설명되나, 각 정보가 입력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림 정보 입력부(511)에는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그림 정보가 입력된다(S11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된 복수 개의 그림 정보 또는 단말기(500)에 기 저장된 임의의 그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명칭 정보 입력부(512)에는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명칭 정보가 입력된다(S12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에 텍스트 박스 형태로 표시되는 명칭 정보 입력부(512)에 텍스트 형태의 명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예시로 표시되는 복수 개의 명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수량 정보 입력부(513)에는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수량 정보가 입력된다(S13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된 복수 개의 수량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량 정보 입력부(513)는 텍스트 박스의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는 수량 정보를 숫자 텍스트의 형태로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온도 정보 입력부(514)에는 기준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온도 정보가 입력된다(S14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온도 정보 입력부(514)는 텍스트 박스의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는 온도 정보를 숫자 텍스트의 형태로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입력된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송한다(S150).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530)은 입력된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모두를 데이터베이스부(600)의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전송할 수 있다.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전송받은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S160). 일 실시 예에서,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는 전송받은 그림 정보, 명칭 정보, 수량 정보 및 온도 정보 모두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기준 식별자 정보는 사용자가 발하여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의미하는 식별자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활용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기준 식별자 정보는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520)에 의해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기준 식별자 정보를 선택하여 원하는 물을 출수할 수 있다.
(2) 제어부(400)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00)의 설명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제어부(400)에 입력되고, 입력된 음성 정보에 포함된 출수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부(600)에 전달되는 단계(S200)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식별자 정보의 명칭 정보처럼 출수 정보를 간접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출수 정보를 간접적으로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발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다(S210).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마이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음성 정보 연산부(421)로 전달된다.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전달받은 음성 정보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연산한다(S220).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연산된 음성 정보를 입출력 모듈(440)로 전달한다. 입출력 모듈(440)은 전달받은 음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600)로 전달한다(S230).
(3) 데이터베이스부(600)가 입력된 음성 정보와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300)의 설명
데이터베이스부(600)가 전달된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전달된 음성 정보가 포함하는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300)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입출력 모듈(440)에서 전송된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S310).
저장된 음성 정보는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전달된 음성 정보는 누적 저장되어, 사용자가 빈번하게 입력하는 음성 정보의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저장된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비교한다(S320).
즉,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는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0)에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 중, 저장된 음성 정보가 포함하는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매칭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가 매칭한 결과, 즉,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 중 저장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연산된 식별자 정보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로 전달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전달받은 식별자 정보와 출수 정보를 매칭한다(S330). 즉, 각각의 기 저장된 식별자 정보는 서로 다른 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다양한 출수 정보 중,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에서 전달된 식별자 정보가 포함하는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전달된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연산된 출수 정보를 정수기(10)에 전달한다(S340).
즉,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연산된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에 전달한다.
(4) 출수부(200)가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S400)의 설명
제어부(400)가 전달받은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하여, 출수부(200)가 입력된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S400)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630)에서 전달된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460)에 전달한다(S410). 상기 출수 정보에는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60)은 전달받은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한다(S420). 이때, 출수 제어 모듈(460)은 출수 코크(230)를 통한 출수를 제어하는 각종 밸브(미도시)의 개폐 동작 또는 개방 각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즉,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5) 제어부(400)가 물의 출수에 대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의 설명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이 출수되는 물에 대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S500)이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로부터 출수 정보를 전달받는다(S510). 출수 정보 출력 모듈(470)과 출수 정보 수신 모듈(45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전달받은 출수 정보를 음성 정보로 연산하고, 연산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S520). 즉, 출수 정보가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어 출력된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청각화 정보를 발할 수 있는 스피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는 전달받은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고, 연산된 시각화 정보를 출력한다(S530). 연산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로 전달되어,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의 발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산된 음성 정보 및 시각화 정보는 단말기(5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정수기
100: 캐비닛
110: 본체
111: 전면 커버
112: 측면 커버
113: 후면 커버
114: 상부 커버
120: 잔수 트레이
200: 출수부
210: 로테이터
220: 출수 유닛
230: 출수 코크
300: 조작부
310: 조작 버튼
320: 출수 버튼
400: 제어부
410: 제어 정보 입력 모듈
411: 음성 정보 입력부
412: 누름 정보 입력부
420: 입력 정보 연산 모듈
421: 음성 정보 연산부
422: 누름 정보 연산부
430: 발광 정보 연산 모듈
440: 입출력 모듈
450: 출수 정보 수신 모듈
451: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
452: 출수량 정보 수신부
460: 출수 제어 모듈
461: 출수 온도 제어부
462: 출수량 제어부
470: 출수 정보 출력 모듈
471: 음성 정보 출력부
472: 시각화 정보 출력부
500: 단말기
501: 디스플레이부
510: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
511: 그림 정보 입력부
512: 명칭 정보 입력부
513: 수량 정보 입력부
514: 온도 정보 입력부
520: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
530: 통신 모듈
600: 데이터베이스부
610: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620: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630: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
631: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632: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출수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음성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정보 입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음성 정보 입력부 및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음성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에 해당할 경우,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물이 출수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출수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성 정보보다 먼저 입력되고,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단말기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출수 정보를 저장하고, 매칭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와 상기 출수 정보를 매칭하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 정보는,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될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인 출수 온도 정보; 및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될 물의 양에 대한 정보인 출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식별자 정보 등록 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식별자 정보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
  4. 삭제
  5. 삭제
  6. (a) 외부의 단말기에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 제어부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데이터베이스부가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d) 출수부가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그림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그림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a2) 명칭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명칭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a3) 수량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수량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a4) 온도 정보 입력부에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온도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a4) 단계 이후에,
    (a5) 통신 모듈이 입력된 상기 그림 정보, 입력된 상기 명칭 정보, 입력된 상기 수량 정보 및 입력된 상기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a6)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전송된 상기 그림 정보, 전송된 상기 명칭 정보, 전송된 상기 수량 정보 및 전송된 상기 온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음성 정보 입력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2) 음성 정보 연산부가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b3) 입출력 모듈이 연산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0. (a) 외부의 단말기에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 제어부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데이터베이스부가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d) 출수부가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2)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음성 정보와, 식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c3)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연산된 상기 식별자 정보와 출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c4)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매칭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 수신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출수 정보 수신 모듈이 수신한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및
    (d2)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제어부가 물의 상기 출수에 대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3. (a) 외부의 단말기에 식별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 제어부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데이터베이스부가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d) 출수부가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물의 상기 출수에 대한 정보인 출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e1)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이 출수 정보 수신 모듈로부터 상기 출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e2) 음성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수 정보를 음성 정보로 연산하고, 출력하는 단계; 및
    (e3) 시각화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0190165892A 2019-12-12 2019-12-12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92A KR102376060B1 (ko) 2019-12-12 2019-12-12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031606A KR102512410B1 (ko) 2019-12-12 2022-03-1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92A KR102376060B1 (ko) 2019-12-12 2019-12-12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606A Division KR102512410B1 (ko) 2019-12-12 2022-03-1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15A KR20210074815A (ko) 2021-06-22
KR102376060B1 true KR102376060B1 (ko) 2022-03-18

Family

ID=76600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892A KR102376060B1 (ko) 2019-12-12 2019-12-12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031606A KR102512410B1 (ko) 2019-12-12 2022-03-1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606A KR102512410B1 (ko) 2019-12-12 2022-03-1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6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991A (ko) 2022-10-11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566B1 (ko) * 2018-07-27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홈어플라이언스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270A (ko) 2012-11-30 2014-06-10 정광영 음성인식 정수기
KR102479626B1 (ko) 2015-12-16 2022-12-2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06833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KR102583500B1 (ko) * 2017-04-25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1093B1 (ko) * 2018-07-11 2019-04-22 주식회사 진산테크윈 푸드 3d 프린팅 시스템
WO2020196942A1 (ko) * 2019-03-26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정수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서버 및 정수장치
KR102284461B1 (ko) * 2019-07-18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566B1 (ko) * 2018-07-27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홈어플라이언스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15A (ko) 2021-06-22
KR20220040439A (ko) 2022-03-30
KR102512410B1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41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033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67121A (ko)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102094534B1 (ko) 인공지능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KR1023702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05061A (ko)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KR10238509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6736B1 (ko)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KR10238904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674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300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753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8584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880B1 (ko) 물 배출 장치
US9739518B2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enser assembly
KR200463774Y1 (ko) 와인 디스펜서
JP2007159904A (ja) 遊技機
KR102479825B1 (ko) 정수기
JP2007233776A (ja) 自動販売機の冷温切換制御装置
CN114052499A (zh) 一种定制水杯的净水机
KR2021004717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14001A1 (en) Matching a cooking surface size to appropriate cookware and cooking appliance implementing the same
WO2017194660A1 (en) A freezer comprising an ice making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74575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
KR100377013B1 (ko) 보너스 게임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