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626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626B1
KR102479626B1 KR1020150180453A KR20150180453A KR102479626B1 KR 102479626 B1 KR102479626 B1 KR 102479626B1 KR 1020150180453 A KR1020150180453 A KR 1020150180453A KR 20150180453 A KR20150180453 A KR 20150180453A KR 102479626 B1 KR102479626 B1 KR 10247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data
voice
unit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064A (ko
Inventor
이경헌
김종완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6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2Filter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인식 대상어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하는 사용량 적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은 인간의 생명 유지와 관련하여 꼭 필요한 것으로서, 건강한 물 마시기와 관련하여 하루 물 권장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물의 섭취량은 하루 1.5~2 리터로, 200 ml 기준으로 8~10 잔에 해당되며, 음료수나 음식이 아닌 순수한 물을 1.5~2 리터 마시라고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과하게 마실 경우에는 물 중독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극단적인 사태가 발생될 가능성도 있으니, 적정량 조절하여 마시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정수기의 온수 또는 냉수의 사용량 감지를 통해 하루 물 섭취량을 측정하고 있으나,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한 사람의 하루 물 섭취량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물 음용량 관리 및 하루 물 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의 음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114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별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인식 대상어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하는 사용량 적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기 사용량은 온수, 냉수, 정수 및 얼음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기 저장된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음성 인식 데이터를 상기 음성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새로운 사용자로 등록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별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함으로써 정수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별 마시는 물의 음용량 및 정수기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성 인식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성 인식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음성 입력부(100), 음성 인식부(200) 및 사용량 적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수기(10)는,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인식 대상어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입력부(100)는 정수기(10)에 장착된 마이크(Microphone) 또는 정수기(10)에 유,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예컨대, 모바일 폰, 리모컨 등)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성 입력부(100)는 상기 생성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200)는 음성 입력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부(200)는 기 등록된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입력부(10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부(2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량 적산부(300)는 음성 인식부(200)에서 특정된 사용자별로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기 사용량은, 온수, 냉수, 정수 및 얼음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량 적산부(300)는 온수, 냉수, 정수의 사용량을 적산하기 위해 온수, 냉수 및 정수의 추출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량 적산부(300)는 얼음 사용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예컨대, 얼음 저장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얼음 저장탱크의 얼음 저장 레벨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량 적산부(300)는 음성 인식부(200)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되면, 상기 특정된 사용자에 대해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별 정수기 사용량을 표시하기 위해 적절히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량 적산부(300)는 온수, 냉수, 정수 및 얼음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사용자별 기 설정된 주기(예컨대, 하루, 일주일, 한달)별 음용량, 정수, 온수, 냉수 이용비율, 얼음 사용량 등으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음성 인식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음성 인식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부(200)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 및 사용자 특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부(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등록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는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등록부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특정부(220)는 음성 입력부(100)를 통해 음성인식 대상어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인식 대상어의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에 있는 음성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부(230)는 사용자 특정부(220)에서 음성 입력부(100)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해당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 입력부(100)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새로운 사용자로 등록하여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특정부(220)는 음성 입력부(100)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 등록을 위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사용자 등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면, 사용자 등록부(230)는 음성 입력부(100)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와 함께 음성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정수기
100: 음성 입력부
200: 음성 인식부
210: 음성 데이터 저장부
220: 사용자 특정부
230: 사용자 등록부
300: 사용량 적산부
400: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음성인식 대상어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량을 적산하는 사용량 적산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사용량은,
    온수, 냉수, 정수 및 얼음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기 저장된 사용자별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음성 인식 데이터를 상기 음성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새로운 사용자로 등록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50180453A 2015-12-16 2015-12-16 정수기 KR10247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453A KR102479626B1 (ko) 2015-12-16 2015-12-1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453A KR102479626B1 (ko) 2015-12-16 2015-12-1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64A KR20170072064A (ko) 2017-06-26
KR102479626B1 true KR102479626B1 (ko) 2022-12-21

Family

ID=5928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453A KR102479626B1 (ko) 2015-12-16 2015-12-1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534B1 (ko) 2018-07-17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KR102376060B1 (ko) 2019-12-12 2022-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0231B1 (ko) 2019-12-24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565A (ko) * 1997-10-01 1999-05-06 정휘동 냉,온 정수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1638U (ko) * 2010-06-10 2011-12-16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주) 음성안내기능 및 음성인식기능이 부가된 초순수 제조장치
KR101196049B1 (ko) * 2011-02-25 2012-11-01 이상문 정수기
KR20140070270A (ko) * 2012-11-30 2014-06-10 정광영 음성인식 정수기
KR20150101143A (ko) 2014-02-26 2015-09-03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냉온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64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248B1 (ko)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KR102479626B1 (ko) 정수기
JP6894437B2 (ja) 飲料用カップの容量調節装置
DE60327641D1 (de) Indikatorgerät mit abschätzungsmerkmalen
ES2853648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ingredientes para dispensar un ingrediente en un recipiente
US20160144234A1 (en) Wearable Device Analyzing Swimming and Analyzing Method of the Same
CN103093335A (zh) 一种提醒用户的方法及装置
WO2011041312A9 (en) Verification of dispensed items
WO2014147379A1 (en) Weight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determination and/or monitoring of alcohol consumption
CN113180445A (zh) 一种饮水管理方法及智能水杯杯托
KR20150038974A (ko)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CN109524113A (zh) 电子设备、服务器、特权信息提供方法以及记录介质
TW201539362A (zh) 健康資訊杯
CN104545279B (zh) 测量身体状况的水杯和系统
KR20160039891A (ko) 음용 액체 섭취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0365144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80086930A (ko) 음용량 관리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관리서버.
CN204708523U (zh) 一种可以提醒老人时间的智能水杯
KR20160149665A (ko) 스마트 측정 물병
CN109065121A (zh) 一种动态饮水推荐方法及系统
CN104634390A (zh) 一种基于智能水杯的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20170141345A (ko) 하루 음용량을 알려주는 텀블러
KR20200054457A (ko) 건강물병
TWM615031U (zh) 可精確預測水壺水量及水溫之感測裝置
SK7667Y1 (sk) Nástavec na PET fľašu, smart fľaša a meracia zostava na meranie prietoku vytečenej kvapali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