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974A -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 Google Patents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974A
KR20150038974A KR20130117415A KR20130117415A KR20150038974A KR 20150038974 A KR20150038974 A KR 20150038974A KR 20130117415 A KR20130117415 A KR 20130117415A KR 20130117415 A KR20130117415 A KR 20130117415A KR 20150038974 A KR20150038974 A KR 2015003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s
capacity
valu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환 filed Critical 김대환
Priority to KR2013011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8974A/ko
Publication of KR2015003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1Containers provided with an acoustic device, e.g. for indicating opening of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44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sound emi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5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vessels with ther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에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이 얼마정도 되는지, 섭취한 내용물의 양이 얼마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Tumbler possible Capacity Measurement of Contents.}
본 발명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에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이 얼마정도 되는지, 섭취한 내용물의 양이 얼마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란 일반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 용기의 상단부에 마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커피나 음료를 담아 마시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기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아 최근 뜨거운 커피나 기타 음료를 담는 용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텀블러는 현재 보관되어 있는 음료의 양이 얼마정도가 되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가 없어 사용자가 하루 종일 섭취한 음료의 양을 가늠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또한, 최근 피부나 건강을 위하여 하루 섭취할 양만큼 물을 꼭 마셔야하는 마음은 가지고 있으나, 하루 동안 일정 양의 물을 정해놓고 마시는 양을 측정하기란 거의 불가능하였다.
한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한 섭취량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나, 자신이 먹는 물의 양을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자신이 섭취하고 있는 음료나 물의 양을 직접 확인하면서 하루 섭취량이 얼마 정도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텀블러나 용기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텀블러에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이 얼마정도 되는지, 섭취한 내용물의 양이 얼마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텀블러에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이 얼마정도 되는지, 섭취한 내용물의 양이 얼마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중앙제어수단 블록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누름버튼부(120)와;
중앙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누적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누적 용량값을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과 누적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누름버튼부(120)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며,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 획득시마다 측정된 용량값들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용량값획득부(141)와,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누름 신호 획득시의 측정된 용량값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기 위한 누적용량값계산부(142)와,
상기 누적용량값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누적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누적용량값제공부(143)와,
상기 누적 용량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44)와,
상기 용량값획득부, 누적용량값계산부, 누적용량값제공부, 메모리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체부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패널에 알람 설정 화면을 제공하여 설정된 알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알람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용량관리앱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획득된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용량관리앱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은 중량측정센서부가 본체에 구성될 경우을 나타낸 것이며, 담겨 있는 내용물의 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중량측정센서부(130)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게 되며, 해당 정보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되며, 디스플레이패널(110)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현재 담겨져 있는 내용물의 양을 수시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을 보충할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섭취한 내용물의 양이 얼마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누적된 용량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누름버튼부(120)와;
중앙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누적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누적 용량값을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중량측정센서부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본체부의 외부에 누름버튼부(120)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이미 텀블러의 용량을 정해져 있으므로 해당 정해진 용량으로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누름버튼부를 누르면 해당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에서 획득할 경우에 누름 횟수를 카운트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현재 사용자가 음용한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텀블러의 용량이 1리터라면, 한 번 누르게 되면 1리터로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한 번 누르게 되면 2리터로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메모리부를 구성하게 되면 누적된 횟수에 따른 누적 용량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섭취할 용량을 저장하게 되면 중앙제어수단에서는 현재까지 섭취한 용량값과 하루 섭취할 용량까지 얼마 정도가 남아 있는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루 섭취 용량을 10리터로 정해놓으면, 지금까지 섭취한 용량이 2리터라면 이를 모두 디스플레이하거나, 앞으로 섭취해야할 용량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플레이패널을 보고 앞으로 얼마만큼 섭취할 것인가를 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의 중앙제어수단 블록도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를 모두 구성할 경우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과 누적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누름버튼부(120)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며,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 획득시마다 측정된 용량값들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먼저 누름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누름 신호가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내용물을 본체부에 담게 되면, 해당 내용물의 용량을 중량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하여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되게 된다.
이후, 측정된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가 최초 담겨진 내용물을 섭취한 후, 다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다시 누름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중앙제어수단에서는 리셋으로 판단하여 최초 측정된 용량값과 다시 담겨진 내용물의 측정된 용량값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후, 계산된 누적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패널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지금까지 누적된 용량값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이 5리터이면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부 섭취한 후, 변경된 용량인 3리터를 표시하면서 현재 담겨진 내용물이 5리터이고 이전에 모두 섭취한 용량이 10리터이면, 누적 용량값을 10리터로 표시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5리터를 모두 섭취한 후, 누름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최종 누적 용량값이 15리터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하루 섭취 용량이 30리터라면 누적 용량값을 확인하여 앞으로 섭취해야 할 용량이 얼마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용량값획득부(141)와,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누름 신호 획득시의 측정된 용량값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기 위한 누적용량값계산부(142)와,
상기 누적용량값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누적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누적용량값제공부(143)와,
상기 누적 용량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44)와,
상기 용량값획득부, 누적용량값계산부, 누적용량값제공부, 메모리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용량값획득부(141)는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된다.
즉, 용량값획득부에서 용량값을 수신받아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누적용량값계산부(142)는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누름 신호 획득시의 측정된 용량값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게 된다.
즉, 첫번째 누름 신호 획득후 측정된 용량값이 10리터이고, 두번째 누름 신호 획득후 측정된 용량값이 5리터이면 누적 용량값은 15리터가 되는 것이다.
상기 누적용량값제공부(143)는 누적용량값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누적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44)는 누적 용량값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루 섭취할 용량값을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누적 용량값과 섭취할 용량값의 차이를 중앙제어부에서 계산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섭취할 내용물의 양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누적 용량이 15리터이며, 하루 섭취 용량이 20리터이면 이에 대한 차이값이 5리터를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에는 현재 측정된 용량, 누적된 용량, 앞으로 섭취해야 할 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텀블러는 일반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 용기의 상단부에 마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커피나 음료를 담아 마시기 위한 것이다.
또한, 텀블러 이외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어떠한 용기에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구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텀블러 이외에 본체부를 구성하는 어떠한 용기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체부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된다.
즉, 중앙제어부에서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값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가는 수시로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만약 뜨거운 커피나 물의 경우에 화상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중앙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패널에 알람 설정 화면을 제공하여 설정된 알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알람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내용물의 용량이 5리터인 경우에 사용자가 2리터이면 알람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설정한 2리터 결과값을 알람처리부에서 획득하여 중량값이 2리터가 되면 자동적으로 알람을 알려 내용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하루를 기준으로 저녁 10시에 지금까지 누적된 용량값을 알려달라고 설정하게 되면 10시에 누적 용량값을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에 지금까지 섭취한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 외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수단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여 내용물의 현재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부를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은 용량관리앱을 마켓쉐어 혹은 기타 다운로드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게 된다.
이후, 용량관리앱을 활성화시키게 되면, 텀블러와 통신하여 수시로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획득하여 용량관리앱을 통해 화면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굳이 텀블러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확인할 필요없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텀블러에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이 얼마정도 되는지, 섭취한 내용물의 양이 얼마정도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디스플레이패널
120 : 누름버튼부
130 : 중량측정센서부
140 : 중앙제어수단

Claims (8)

  1.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있어서,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2.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있어서,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누름버튼부(120)와;
    중앙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누적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누적 용량값을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3.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에 있어서,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과 누적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후 누를 경우에 누름 신호를 중앙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누름버튼부(120)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센서부(130)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며,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 획득시마다 측정된 용량값들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중량측정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용량값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용량값획득부(141)와,
    누름버튼부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누름 신호 획득시의 측정된 용량값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값을 계산하기 위한 누적용량값계산부(142)와,
    상기 누적용량값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누적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기 위한 누적용량값제공부(143)와,
    상기 누적 용량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44)와,
    상기 용량값획득부, 누적용량값계산부, 누적용량값제공부, 메모리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본체부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
    상기 중앙제어수단(140)은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6.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패널에 알람 설정 화면을 제공하여 설정된 알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알람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7.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8.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용량관리앱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획득된 용량 혹은 누적 용량값을 용량관리앱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KR20130117415A 2013-10-01 2013-10-01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KR20150038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415A KR20150038974A (ko) 2013-10-01 2013-10-01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415A KR20150038974A (ko) 2013-10-01 2013-10-01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74A true KR20150038974A (ko) 2015-04-09

Family

ID=5302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415A KR20150038974A (ko) 2013-10-01 2013-10-01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897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329B1 (ko) * 2015-12-21 2017-01-26 이재수 음료용 컵의 용량 조절장치
WO2017039063A1 (en) * 2015-08-31 2017-03-09 Lg Electronics Inc. Smart cup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454828A (zh) * 2016-05-19 2017-12-0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智能水杯及其控制方法
CN110361066A (zh) * 2019-07-26 2019-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计量杯
KR20200063462A (ko) 2018-11-28 2020-06-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샴프 및 린스 용기
KR102260696B1 (ko) * 2020-12-27 2021-06-07 주식회사 위더연 텀블러용 알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텀블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063A1 (en) * 2015-08-31 2017-03-09 Lg Electronics Inc. Smart cup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02863B2 (en) 2015-08-3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Smart cu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0329B1 (ko) * 2015-12-21 2017-01-26 이재수 음료용 컵의 용량 조절장치
WO2017111427A1 (ko) * 2015-12-21 2017-06-29 이재수 음료용 컵의 용량 조절장치
CN107454828A (zh) * 2016-05-19 2017-12-0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智能水杯及其控制方法
KR20200063462A (ko) 2018-11-28 2020-06-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샴프 및 린스 용기
CN110361066A (zh) * 2019-07-26 2019-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计量杯
KR102260696B1 (ko) * 2020-12-27 2021-06-07 주식회사 위더연 텀블러용 알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8974A (ko) 담겨진 내용물의 용량 측정이 가능한 텀블러
US9981790B1 (en) Container lid with electronic sensors system
US20170067770A1 (en) Water intake tracker for a container
US20160257554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enhanced functionality
US10722059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iq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US11439261B2 (en) Consumption management beverage apparatus and storage vessel
JP2017519529A5 (ko)
BRPI1106816A2 (pt) sistema de distribuiÇço de bebidas com entradas personalizÁveis por usuÁrios
US10281317B2 (en) Bottle for accurately monitoring fluid intake
EP3397569B1 (en) Ingredient supply system for dispensing an ingredient into a container
KR20160083078A (ko) 유체 용기 내용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CN103759782A (zh) 一种饮水机的多用户饮水管理方法
US10480503B2 (en) Portable foodstuff container
WO2014147379A1 (en) Weight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determination and/or monitoring of alcohol consumption
KR20160007150A (ko) 음용 용기, 이를 이용한 음용량 관리 장치 및 방법
EP3489638B1 (en)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KR101515159B1 (ko) 스마트 텀블러와 이를 이용한 식음료 섭취량 서비스 제공 방법들
CN107438384A (zh) 一种智能杯及检测方法
KR102479626B1 (ko) 정수기
KR20160039891A (ko) 음용 액체 섭취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A2829535A1 (en) Electronic scale and inventory control system for use with a pda
US20220133069A1 (en) Consumption Tracking Wine Glass
TWI517819B (zh) Intelligent drinking water metering device
KR20160076154A (ko) 스마트 텀블러
KR20160133077A (ko) 스마트 조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