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832A -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832A
KR20180006832A KR1020160103141A KR20160103141A KR20180006832A KR 20180006832 A KR20180006832 A KR 20180006832A KR 1020160103141 A KR1020160103141 A KR 1020160103141A KR 20160103141 A KR20160103141 A KR 20160103141A KR 20180006832 A KR20180006832 A KR 2018000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oking
user
mode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한준
윤부근
박용종
박종성
서응렬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642,73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00143B2/en
Priority to CN201780043184.1A priority patent/CN109475172B/zh
Priority to EP17827878.4A priority patent/EP3448178B1/en
Priority to PCT/KR2017/007276 priority patent/WO2018012805A1/en
Publication of KR2018000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23P30/25Co-extrusion of different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상기 음식물 모델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음식물 형상을 선택하는 자동 조리 버튼;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그려진 음식물 형상을 입력받기 위한 그리기 버튼; 상기 음식물에 관한 조리 방법을 입력하기 위한 조리 방법 버튼; 및 상기 음식물 형상 및 상기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USER EQUIPMENT,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SYSTEM}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최근에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조리 장치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조리 장치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고, 3차원 프린터는 입체적인 물건을 제조할 수 있는 기기이다.
사용자는 3차원 프린팅 기능을 가지는 조리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식물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레시피(recipe)를 조리 장치에 입력하면 음식물의 프린팅 및 조리가 진행되고, 일정 시간 후에 원하는 음식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3차원 프린팅 기능을 구비한 조리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다. 이처럼, 3차원 프린팅 기능을 가지는 조리 장치는 조리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3차원 프린팅 기능을 가지는 조리 장치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조리 장치는 음식물의 프린팅에 사용되는 식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수용된 식재료를 압출하는 압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 수용된 식재료의 압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카트리지에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식재료의 양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식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구된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은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의 형상을 표시하고, 표시된 음식물의 형상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쉽게 음식물 형상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 형상에 따라 형성된 음식물이 가열된 이후 외형을 보여줄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상기 음식물 모델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음식물 형상을 선택하는 자동 조리 버튼;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그려진 음식물 형상을 입력받기 위한 그리기 버튼; 상기 음식물에 관한 조리 방법을 입력하기 위한 조리 방법 버튼; 및 상기 음식물 형상 및 상기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조리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음식물 형상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형성부에 준비된 음식물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음식물 재료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음식물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에 준비된 음식물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형성하는데 부족한 음식물 재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리기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형상을 그리기 위한 모델 그리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지점의 이동 경로로부터 상기 음식물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음식물을 나타내는 기준 영상을 상기 모델 그리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 그리기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 원 및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선, 원 및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음식물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형상의 내부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기 위한 부가 정보 입력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리 방법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방법을 입력하는 조리 방법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조리 방법 설정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 방법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음식물 프리뷰를 표시하고, 상기 음식물 프리뷰는 상기 조리 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음식물이 조리된 후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음식물의 프리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이 조리된 후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식물 형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식물 형상을 자동 배치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복수의 음식물 형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음식물 형상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음식물 형상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형상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음식물 형상에 의하여 닫혀진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형상, 상기 재료 및 상기 색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선택된 음식물 형상, 상기 재료 및 상기 색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방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 장치에 상기 조리 방법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이 가열된 이후 외관을 나타내는 음식물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형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형상을 반복 배치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는 음식물 형성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그려진 형상을 감지하고, 상기 그려진 형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도록 상기 음식물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선, 원 및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려진 형상에 의하여 닫혀진 영역에 대한 음식물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재료 및 상기 색상을 상기 닫혀진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려진 형상, 상기 재료 및 상기 색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도록 상기 음식물 형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 및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조리 장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그려진 형상을 감지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그려진 형상을 상기 조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는 음식물 형성부; 상기 음식물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음식물 가열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그려진 형상을 수신하고, 상기 그려진 형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도록 상기 음식물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려진 형상에 의하여 닫혀진 영역에 대한 음식물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음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음식물 영상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 장치에 음식물 형상화 모듈을 적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함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의 형상을 표시하고, 표시된 음식물의 형상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게 음식물 형상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 형상에 따라 형성된 음식물이 가열된 이후 외형을 보여줄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음식물 형상화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X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Y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Z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가 Z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가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1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2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3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4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5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카트리지를 A-A'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19의 카트리지의 가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다른 가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카트리지 유닛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컨테이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의 카트리지 유닛의 컨테이너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의 컨테이너 캡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의 카트리지 커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1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교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a 내지 도 3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공간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공간이 도 34a 내지 도 34c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을 도시한다.
도 40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 방법을 도시한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메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42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을 도시한다.
도 43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조리 방법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부족한 음식 재료를 알리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5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부족한 음식 재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부족 재료 알림 화면을 도시한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추천 방법을 도시한다.
도 47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을 추천하기 위한 음식물 추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은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5 및 도 56은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다른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57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8 및 도 59는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다른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영상을 획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2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영상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편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4 및 도 65은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편집하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66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편집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7, 도 68, 도 69 및 도 70는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편집하는 다른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7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프리뷰의 생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7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프리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프리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4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5, 도 76 및 도 77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된 형상부의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78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79 및 도 80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81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2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83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84 및 도 85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86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7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88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8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의 음식물 조리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0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의 음식물 조리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3 및 도 9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모델 분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5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바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시스템(1)은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하는 조리 장치(2),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치(3), 조리 장치(2)와 사용자 장치(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정보 중계 장치(4)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2)는 3차원 인쇄(3D printing) 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음식물은 조리를 위한 재료 및/또는 양념 등이 혼합된 것이며, 조리 또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조리 장치(2)에 의하여 조리 또는 가열된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섭취될 수 있다.
조리 장치(2)는 음식물의 3차원 형상을 입력받고, 3차원 인쇄 방식으로 3차원 형상의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2)는 적당량의 음식 재료를 토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적당한 두께의 음식 재료 층를 형성하고, 음식 재료 층을 적층함으로써 3차원의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리 장치(2)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3차원 형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2)는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3)로부터 음식물의 3차원 형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음식물의 3차원 형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조리 장치(2)는 다양한 방식으로 3차원 형상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2)는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거나, 컨벡션을 이용하여 음식물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2)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조리 장치(2)는 전기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기 오븐,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컨벡션 오븐,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오븐, 가스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 오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3차원 형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3차원 형상에 관한 정보를 조리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3차원 형상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음식물의 3차원 형상에 관한 정보를 정보 중계 장치(4)를 통하여 조리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3)는 조리 장치들(2-1, 2-2)의 동작 상태에 따라 복수의 조리 장치들(2-1, 2-2)에 조리 작업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장치(2-1)가 조리 중이면, 사용자 장치(3)는 제2 조리 장치(2-2)에 조리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중계 장치(4)는 조리 장치(2)와 사용자 장치(3) 사이의 정보를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중계 장치(4)는 사용자 장치(3)로부터 음식물의 3차원 형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음식물의 3차원 형상에 관한 정보를 조리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중계 장치(4)는 조리 장치(2)로부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조리 장치(2)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3)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중계 장치(4)는 조리 장치(2)와 사용자 장치(3) 사이에서 단순히 신호를 중계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거나, 조리 장치(2)와 사용자 장치(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중계 장치(4)는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server) 장치, 약화된 신호를 증폭하는 리피터(repeater),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포트를 통하여 전송하는 허브(Hub), 네트워크 내부의 서로 다른 구획을 연결하는 브리지(bridge),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목적 포트로 전송하는 스위치(switch), 독립적인 네트워크들을 연결시키는 라우터(router),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네트워크들을 연결시키는 게이트웨이(gatew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2), 사용자 장치(3) 및 정보 중계 장치(4)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a)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 장치(1a)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11), 하면(미도시), 후면(미도시), 양 측면(12) 및 전면(前面)(1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a)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상면(미도시), 바닥면(21), 후면(미도시), 양 측면(22) 및 개방된 전면(前面)(2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조리실(20)을 단열시키기 위해 조리실(20)과 본체(10)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조리 장치(1a)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는 조리실(20)의 전면(23)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와 함께 조리 장치(1a)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3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핸들(31)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 장치(1a)는 조리 장치(1a)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40)은 본체(10)의 전면(13)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컨트롤패널(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조리 장치(1a)는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이동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및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조리 장치(1a)는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로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는 조리실(20)의 양 측면(2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로드(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로드(51)는 조리 장치(1a)의 전후방향(X)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조리실(20)의 양 측면(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양 측면(22)에 설치되는 고정 로드(51)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는 고정 로드(5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로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로드(52)는 조리 장치(1a)의 좌우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이동 로드(52)의 양 단부는 각각의 고정 로드(5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로드(52)의 양 단부는 이동 로드(52)가 고정 로드(51)를 따라 조리 장치(1a)의 전후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인딩부재(53)에 의해 각각의 고정 로드(51)에 결합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이동 로드(52)를 따라 조리 장치(1a)의 좌우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의 움직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조리 장치(1a)는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배치되는 트레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60)는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60)는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으로 트레이(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 장치(1a)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는 조리실(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는 조리실(20)의 바닥면(21) 내지 조리실(20)의 상면(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히터(7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조리 장치(1a)는 조리 장치(1a)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전장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장실은 조리실(20) 및 본체(1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장실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조리 장치(1a)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음식물 형상화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및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2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은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은 전동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압식 액추에이터가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으로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은 실린더(1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3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실린더(13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은 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132)는 피스톤 로드(132)의 일 단부가 연결 유닛(150)에 고정되도록 실린더(13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로드(132)의 일 단부는 연결 유닛(150)의 바텀 플레이트(15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은 하우징(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3)은 연결 유닛(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33)은 연결 유닛(150)의 탑 플레이트(1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33)은 실린더(131)의 상 단부에 결합되는 탑 커버(134) 및 실린더(131)의 하 단부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3)은 탑 커버(134) 및 바텀 커버(135)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로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로드(136)는 실린더(13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실린더(131)는 탑 커버(134), 바텀 커버(135) 및 복수의 연결 로드(136)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132)의 일 단부는 바텀 커버(135) 및 탑 플레이트(151)를 관통하여 바텀 플레이트(1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종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액추에이터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 장치(12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회전시키는 회전 조절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조절유닛(14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에 결합되는 회전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1)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절유닛(140)은 구동모터(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42)는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축(141)에 연결된다.
또한, 회전 조절유닛(140)은 내부에 구동모터(142)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싱(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43)은 연결 유닛(15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43)은 연결 유닛(150)의 바텀 플레이트(153)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장치(120)는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 및 회전 조절유닛(140)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닛(150)은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 및 회전 조절유닛(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유닛(150)은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탑 플레이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바텀 커버(135)는 탑 플레이트(15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51)는 이동 로드(52)가 결합되는 이동 로드 장착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로드 장착홀(152)의 개수 및 크기는 이동 로드(52)의 개수 및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이동 로드(52)가 연결 유닛(150)의 이동 로드 장착홀(152)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동 로드(52)를 따라 조리 장치(1a)의 좌우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 유닛(150)은 회전 조절유닛(140)과 결합하는 바텀 플레이트(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유닛(150)의 바텀 플레이트(153)는 회전 조절유닛(140)의 케이싱(143)과 결합할 수 있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피스톤 로드(132)의 일 단부는 연결 유닛(150)의 바텀 플레이트(15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유닛(150)은 탑 플레이트(151) 및 바텀 플레이트(153)를 연결하는 가이드 로드(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54)는 탑 플레이트(151)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154)의 일 단부는 바텀 플레이트(15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은 가이드 로드(15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54)는 바텀 플레이트(153)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피스톤 로드(132)가 조리 장치(1a)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연결 유닛(150)의 탑 플레이트(151) 및 바텀 플레이트(153) 사이의 간격이 커짐과 동시에 연결 유닛(150)의 탑 플레이트(151) 및 바텀 플레이트(153)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로드(154)의 길이 비율이 커진다. 가이드 로드(154)에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는 조리 장치(1a)의 하방을 향한 가이드 로드(154)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가이드 로드(154)가 탑 플레이트(15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유닛(150)은 복수의 가이드 로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20)는 압출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은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은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204)의 내부에 수용되는 식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240)로부터 트레이(60)(도2참고)로 토출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은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압출유닛(160)은 전동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압식 액추에이터가 압출유닛(160)으로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압출유닛(160)은 압출유닛 실린더(16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유닛 실린더(16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압출유닛 실린더(16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압출유닛(160)은 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62)은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하도록 피스톤(162)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가압부(162a)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은 케이싱(14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출유닛(160)은 피스톤(162)의 일 단부가 케이싱(14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4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압출유닛(160)은 피스톤(162)의 가압부(162a)가 케이싱(14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4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압출유닛(160)은 압출유닛(160)만을 위한 별개의 케이싱에 수용될 수도 있다.
구동 장치(120)는 복수의 카트리지(240)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압출유닛(1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은 복수의 카트리지(2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압출유닛(160)의 종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액추에이터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X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조리 장치(1a)의 전후방향(X)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조리 장치(1a)의 전후방향(X)을 향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움직임은 고정 로드(51)를 따라 움직이는 이동 로드(52)의 움직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로드(52)는 고정 로드(51)를 따라 조리 장치(1a)의 전후방향(X)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로드(52)에 결합된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 또한 이동 로드(52)와 일체로 고정 로드(51)를 따라 조리 장치(1a)의 전후방향(X)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Y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조리 장치(1a)의 좌우방향(Y)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이동 로드(52)를 따라 조리 장치(1a)의 좌우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의 일 구성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또한 조리 장치(1a)의 좌우방향(Y)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Z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3를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향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움직임은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향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움직임은 피스톤 로드(132)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다.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피스톤 로드(132)가 조리 장치(1a)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또한 조리 장치(1a)의 하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반면, 상하 이동 조절유닛(130)의 피스톤 로드(132)가 조리 장치(1a)의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또한 조리 장치(1a)의 상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회전 조절유닛(140)의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41)은 회전 조절유닛(140)의 구동모터(1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할 경우, 하나의 압출유닛(160)만으로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240)에 각각 다른 식재료가 수용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회전 정도를 제어하여 압출유닛(160)이 복수의 카트리지(240) 중 특정한 카트리지(2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압출유닛(160)의 개수는 한 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서, 구동 장치(120)는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압출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가 Z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60)는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트레이(60)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 장치(1a)는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은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은 전동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압식 액추에이터가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으로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은 트레이용 실린더(171) 및 트레이용 피스톤 로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용 피스톤 로드(172)는 공압에 의해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향하는 트레이(60)의 움직임은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의 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을 향하는 트레이(60)의 움직임은 트레이용 피스톤 로드(172)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다. 트레이용 피스톤 로드(172)가 조리 장치(1a)의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트레이(60) 또한 조리 장치(1a)의 상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반면, 트레이용 피스톤 로드(172)가 조리 장치(1a)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트레이(60) 또한 조리 장치(1a)의 하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은 조리실(20) 및 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은 조리실(20)의 바닥면(21) 및 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170)의 종류는 트레이(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액추에이터에 한정하지 않는다.
트레이(60)는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카트리지 바디(21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가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는 카트리지 바디(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바디(21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를 정의하는 카트리지 바디(210)의 측면에는 홈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회전 조절유닛(140)의 회전축(14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 결합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일 밑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상측 밑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의 홈부(221)에 대응하는 돌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1)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의 홈부(2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개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232)는 조리실(20)의 바닥면(21)을 향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개구(232)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하측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노즐부(242)는 개구(232)를 통해 선택적으로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원기둥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내부에는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식재료는 액상(液狀) 또는 고상(固狀)일 수 있다. 또한, 식재료는 분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플라스틱, 종이, 비닐 및 코팅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내면이 비닐로 덮인 종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방수기능을 가지는 코팅 섬유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수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수용부(241)에 연결되고, 식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41)의 적어도 일부에는 주름(244)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부(241)의 전부에는 주름(2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241)의 적어도 일부에 주름(244)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카트리지(240)가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식재료가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용부(241)의 적어도 일부에 주름(244)을 형성할 경우, 식재료의 원활한 토출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가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내부에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카트리지(240)가 버려지거나 교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50)는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으로 복수의 카트리지(240) 및 개구(232)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노즐부(242)는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구(232)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탄성부재(25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에는 서로 다른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가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F"는 식재료를 의미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조리 장치(1a)의 상하방향(Z)으로 가압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의 피스톤(162)이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하면, 탄성부재(250)가 수축되면서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노즐부(242)가 개구(232)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때,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압축되므로,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가 토출구(243)를 통해 트레이(60) 상으로 토출된다.
식재료의 토출량은 압출유닛(160)의 피스톤(162)이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가압하는 압력, 압출유닛(160)의 피스톤(162)이 움직이는 거리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또한, 식재료의 토출량은 솔레노이드 밸브, 회전 밸브 등을 통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1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300)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구조에서 탄성부재(250)가 생략된 구조를 가진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노즐부(242)는 개구(232)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F"는 식재료를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11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a)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토출구 개폐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재(310)는 회전 바(3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311)는 토출구(243)를 개폐하도록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재(310)는 액추에이터(actuator)(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액추에이터(313)는 전동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13)는 실린더(314) 및 실린더(314)에 결합된 상태로 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315)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13)의 피스톤 로드(315)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와 먼 회전 바(311)의 일 단부와 상호작용한다.
토출구 개폐부재(310)는 스프링 유닛(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유닛(316)은 지지대(317) 및 지지대(317)에 고정되는 스프링(31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유닛(316)의 스프링(318)은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와 가까운 회전 바(311)의 일 단부와 상호작용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유닛(16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가압되기 전에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는 토출구 개폐부재(310)의 회전 바(311)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유닛(16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가압되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는 토출구 개폐부재(310)의 회전 바(311)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열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313)의 피스톤 로드(315)는 회전 바(311)의 일 단부를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실린더(314)로부터 돌출되고, 스프링(318)은 수축된 상태로 회전 바(311)의 다른 단부를 지지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토출구 개폐부재(310)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2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300)에 대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1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a)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토출구 개폐부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재(410)는 이동 바(4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바(411)는 토출구(243)를 개폐하도록 직선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 바(411)는 토출구(243)를 개폐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동 바(411)는 토출구(243)와 직접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헤드(412) 및 헤드(412)에 연결되는 바디(413)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재(410)는 구동부(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바(411)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부(414)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재(410)는 스프링(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415)은 이동 바(41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415)은 이동 바(411)의 바디(4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유닛(16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가압되기 전에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는 토출구 개폐부재(410)의 이동 바(411)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는 이동 바(411)의 헤드(412)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유닛(16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가압되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는 토출구 개폐부재(410)의 이동 바(411)가 구동부(414)를 향하여 움직임에 따라 열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스프링(415)은 수축된다.
즉,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의 개방에는 이동 바(411)를 토출구(243)와 이격 되도록 구동부(414)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관여한다.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의 폐쇄에는 이동 바(411)가 토출구(243)와 접촉되도록 이동 바(411)를 토출구(243)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스프링(415)의 복원력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의 폐쇄에 관여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3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300)에 대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a)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토출구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재는 클램프(clamp)(45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450)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노즐부(2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에는 홈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460)는 토출구(243)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노즐부(242)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450)는 홈부(4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4a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클램프(450)는 홈부(460)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내부에 식재료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따라서, 식재료가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4b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가 클램프(45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클램프(450)는 홈부(460)에 결합되어 노즐부(242)를 가압하므로,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내부에 식재료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식재료가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외부로 토출되기 어렵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램프(45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클램프(450)는 식재료의 토출과 상관없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노즐부(24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클램프(450)는 식재료의 토출과 상관없이 홈부(46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압출유닛(16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가압되기 전에는,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토출구(243)는 클램프(450)의 가압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압출유닛(16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가압되면,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내부의 식재료의 움직임에 의해 클램프(450)가 벌어지게 되고, 그 결과 복수의 카트리지(340)의 내부의 식재료 이동통로가 확장되면서 토출구(243)는 열린 상태가 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4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300)에 대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340)는 다양한 크기의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가 큰 토출구(243)는 많은 양의 식재료를 토출시킬 수 있다. 크기가 작은 토출구(243)는 적은 양의 식재료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는 수용부(241) 및 수용부(2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시키고자 하는 식재료의 양에 따라 수용부(241)에 결합되는 노즐부(242)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많은 양의 식재료를 압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가 큰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선택하여 수용부(2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적은 양의 식재료를 압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가 작은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선택하여 수용부(2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중간 정도 양의 식재료를 압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가 중간 정도인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선택하여 수용부(2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노즐부(242)는 토출구(243)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개라인(242a)을 더 가질 수 있다. 이 때, 노즐부(242)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절개라인(242a)은 압출유닛(160)에 의한 복수의 카트리지(340)에 대한 가압 여부에 따른 노즐부(24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되면, 노즐부(242)는 복수의 절개라인(242a)에 의해 쉽게 탄성 변형되고, 토출구(243)를 통해 토출되는 식재료의 양은 증가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카트리지(340)가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면, 노즐부(242)는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토출구(243)를 통해 토출되는 식재료의 양은 줄어들 수 있다. 또는, 토출구(243)를 통한 식재료의 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노즐부(242)는 식재료가 분말 형태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식재료가 액상 형태인 경우에는 주사기 바늘(needle)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노즐부(242)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압출되는 식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제 5방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300)에 대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340)는 다양한 크기의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가 큰 토출구(243)는 많은 양의 식재료를 토출시킬 수 있다. 크기가 작은 토출구(243)는 적은 양의 식재료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는 수용부(241) 및 수용부(2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시키고자 하는 식재료의 양에 따라 수용부(241)에 결합되는 노즐부(242)가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시키고자 하는 식재료의 양과 노즐부(242)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 1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시키고자 하는 식재료의 양 뿐만 아니라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시키고자 하는 식재료의 특성 또한 토출구(243)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40)로부터 압출시키고자 하는 식재료의 양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점성이 큰 식재료는 토출구(243)를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가 큰 토출구(243)가 적합하다. 반면, 점성이 작은 식재료는 토출구(243)를 통과하기 쉽기 때문에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가 작은 토출구(243)가 적합하다. 점성이 중간 정도인 식재료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가 중간 정도인 토출구(243)가 적합하다.
또한, 복수의 카트리지(340)는 다양한 형상의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42)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의 토출구(243)를 가질 수 있다. 노즐부(242)는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로버(clover)형상의 토출구(243)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로버 형상은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토출구(243)를 통해 토출되는 식재료의 직진성을 구현할 수 있다. 토출구(243)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500)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카트리지 바디(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대한 설명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500)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일 밑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상측 밑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의 홈부(221)에 대응하는 돌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1)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의 홈부(2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개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232)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500)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500)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에 대한 설명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600)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카트리지 바디(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회전 조절유닛(140)의 회전축(14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 결합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는 회전축 결합부(211)의 외측에 위치하고, 카트리지 바디(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600)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600)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에 대한 설명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600)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카트리지를 A-A'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본체부(5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41)는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본체 전면부(542) 및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후면(後面)을 형성하는 본체 후면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41)는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측면(側面)을 형성하는 본체 측면부(5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측면부(544)는 본체 전면부(542) 및 본체 후면부(543)를 연결할 수 있다.
본체부(541)는 압착부(545,546,5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545,546,547)는 본체 전면부(542)의 상 단부, 본체 후면부(543)의 상 단부 및 본체 측면부(544)의 상 단부가 압착되어 형성되는 상단 압착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545,546,547)는 본체 전면부(542)의 하 단부, 본체 후면부(543)의 하 단부 및 본체 측면부(544)의 하 단부가 압착되어 형성되는 하단 압착부(5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545,546,547)는 본체 전면부(542) 및 본체 후면부(543) 중 어느 하나의 일 측 가장자리와, 본체 측면부(544)의 일 측 가장자리가 압착되어 형성되는 측단 압착부(5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단 압착부(547)는 본체 전면부(542)의 일 측 가장자리 및 본체 측면부(544)의 일 측 가장자리가 압착되어 형성되는 제 1측단 압착부(547a) 및 본체 후면부(543)의 일 측 가장자리 및 본체 측면부(544)의 일 측 가장자리가 압착되어 형성되는 제 2측단 압착부(547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토출구(548a)를 가지는 노즐부(5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548)는 본체부(541)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가 토출구(548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54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노즐부(548)는 하단 압착부(546)에 부분 삽입되어 본체부(541)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설치공(5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공(549)은 복수의 카트리지(540)를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카트리지 바디에 장착할 수 있도록 상단 압착부(545)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접선(fold line)(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선(550)은 본체부(541)의 본체 측면부(544)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선(550)은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본체부(541)의 본체 측면부(544)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측면부(544)는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접선(550)이 가장 깊게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접착부재(5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551)는, 압출유닛(160)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트리지(54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식재료가 토출됨에 따라 생기는 본체부(541) 내부의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부(54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부재(551)는 본체 측면부(544)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부재(551)는 제 1측단 압착부(547a) 및 제 2측단 압착부(547b)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 박판 역시, 압출유닛(160)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트리지(54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식재료가 토출됨에 따라 생기는 본체부(541) 내부의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알루미늄 박판이 가지는 강성 때문이다. 알루미늄 박판은 제 1측단 압착부(547a) 및 제 2측단 압착부(547b)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 박판의 두께는 0.05mm이상 0.2mm이하가 바람직하나, 알루미늄 박판의 두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측단 압착부(547a) 및 제 2측단 압착부(547b)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부재(551) 및 알루미늄 박판이 모두 배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19의 카트리지의 가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19의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측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에서 "F"는 식재료를 의미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압출유닛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압출유닛은 복수의 롤러(roller)(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복수의 롤러(61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복수의 롤러(61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610)는 각각의 롤러 회전축(6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1a는 복수의 카트리지(540)가 압출유닛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복수의 롤러(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본체부(541)의 상단 압착부(545)가 복수의 롤러(610)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1b는 복수의 카트리지(540)가 압출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복수의 롤러(610)가 각각의 롤러 회전축(61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롤러(6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61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540)가 가압됨에 따라,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는 노즐부(548)의 토출구(548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610)에 의해 가압된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가압부분은 제 1측단 압착부(547a) 및 제 2측단 압착부(547b)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접착부재(551)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610)에 의해 가압된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가압부분이 밀착됨에 따라, 식재료는 복수의 롤러(610)에 의해 가압되지 아니한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비(非) 가압부분으로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롤러(610)에 의한 가압력은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비(非) 가압부분에 모인 식재료에 집중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그 결과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가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식재료의 토출량은 복수의 롤러(610)의 회전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다른 가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에서 "F"는 식재료를 의미한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은 하나의 롤러(roller)(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롤러(610)는 롤러 회전축(6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2a는 복수의 카트리지(540)가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22b는 복수의 카트리지(540)가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540)는 하나의 롤러(610)가 롤러 회전축(61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하나의 롤러(610)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540)가 가압됨에 따라,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는 노즐부(548)의 토출구(548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하나의 롤러(610)에 의해 가압된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가압부분은 제 1측단 압착부(547a) 및 제 2측단 압착부(547b)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접착부재(551)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하나의 롤러(610)에 의해 가압된 복수의 카트리지(540)의 가압부분이 밀착됨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도 21a 및 도 2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에서 "F"는 식재료를 의미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복수의 카트리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640)는 단단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을 가지는 반면, 제 6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복수의 카트리지(640)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변형되지 아니하는 단단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640)는 수용부(641)와, 수용부(641)에 연결되고, 식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642a)를 가지는 노즐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641)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변형되지 아니하는 단단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640)는 압출유닛(160)의 가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부(6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캡(6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출유닛(160)이 캡(643)을 가압함에 따라, 캡(643)은 압출유닛(160)의 가압방향으로 토출구(642a)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복수의 카트리지(64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가 토출구(642a)를 통해 압출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복수의 카트리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740)는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카트리지(740)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740)는 수용부(741)와, 수용부(741)에 연결되고, 식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742a)를 가지는 노즐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741)는 압출유닛(160)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741)의 일부에는 주름(7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741)에 주름(743)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카트리지(740)가 압출유닛(16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식재료가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용부(741)의 일부에 주름(743)을 형성할 경우, 식재료의 원활한 토출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가 복수의 카트리지(740)의 내부에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카트리지(740)가 버려지거나 교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의 카트리지 유닛의 컨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컨테이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카트리지 유닛의 컨테이너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카트리지 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80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컨테이너(81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810)는 입구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81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는 입구부(811)를 통해 컨테이너(8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입구부(811)의 내측면에는 제 1나사산(812)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81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810)의 두께는 500μm이하일 수 있다.
컨테이너(8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주름(810a)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810)의 전부에는 주름(810a)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810)의 적어도 일부에 주름(810a)을 형성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앞서 설명한 주름(244)의 효과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유닛(800)은 컨테이너(810)를 밀폐하도록 입구부(811)에 부착되는 카트리지 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는 제거 가능하도록 입구부(811)에 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800)은 컨테이너(810)를 밀폐하도록 입구부(811)에 부착되는 카트리지 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는 제거 가능하도록 입구부(811)에 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는 박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는 고분자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카트리지 커버(820)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는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찢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개 기준선(8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에는 절개 기준선(821)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 기준선(821)은 입구부(811)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800)은 컨테이너 캡(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캡(830)은 컨테이너(8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캡(830)은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캡(830)은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캡(830)은 토출구(841)를 가지는 노즐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캡(830)은 노즐부(840)에 연결되는 연결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850)의 내부에는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에 대응하는 노즐 도입부(851)가 마련될 수 있다. 컨테이너(810)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는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를 통과한 후, 노즐 도입부(851)를 거쳐 토출구(841)를 통해 카트리지 유닛(800)의 외부로 토출된다. 노즐 도입부(851)의 내측면에는 입구부(811)의 제 1나사산(812)과 결합하는 제 2나사산(85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860) 제거 후 컨테이너 캡(830)을 가압하면,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가 컨테이너 캡(830)의 노즐 도입부(8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나사산(812) 및 제 2나사산(852)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제 1나사산(812) 및 제 2나사산(852) 사이의 단단한 결합은, 컨테이너(810) 내부의 식재료가 컨테이너 캡(830)으로 전달된 후 토출구(841)를 통해 카트리지 유닛(800)의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식재료가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800)은 스트랩(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860)은 컨테이너(810) 및 컨테이너 캡(830)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트랩(860)은 제거 가능하도록 컨테이너(810) 및 컨테이너 캡(8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860)은 컨테이너(810) 및 컨테이너 캡(830)을 연결하는 밴딩부(861)와, 밴딩부(861)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86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862)를 이용하여 스트랩(86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유닛(800)은 스트랩(860)에 의해 컨테이너(810) 및 컨테이너 캡(830)이 연결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 및 컨테이너 캡(830)의 노즐 도입부(851)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존재한다.
도 29b 및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860)을 제거한 후 컨테이너 캡(830)을 가압하면, 컨테이너 캡(830)과 컨테이너(81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캡(830)의 노즐 도입부(851)와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가 결합된다. 이 때,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에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커버(820)는 컨테이너 캡(830)의 노즐 도입부(851)가 컨테이너(810)의 입구부(811)를 가압함에 따라 찢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820)가 찢어짐에 따라 컨테이너(810) 및 컨테이너 캡(830)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컨테이너(81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는 컨테이너 캡(830)으로 전달되고, 노즐부(840)의 토출구(841)를 통해 카트리지 유닛(800)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의 컨테이너 캡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9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카트리지 유닛(9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90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컨테이너(9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900)은 컨테이너(9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캡(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캡(920)은 컨테이너(910)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컨테이너(9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900)에는 절취홈(930)이 형성될 수 있다. 절취홈(930)은 컨테이너(910) 및 컨테이너 캡(920)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절취홈(930)을 기준으로 컨테이너(910) 및 컨테이너 캡(920)을 정의할 수 있다. 컨테이너 캡(920)은 절취홈(930)을 따라 컨테이너(9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테이너 캡(920)을 구부리면 컨테이너 캡(920)이 절취홈(930)을 따라 컨테이너(910)로부터 분리되면서 컨테이너(910)가 개방된다.
컨테이너 캡(920)이 제거된 컨테이너(910)에는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의 카트리지 커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0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카트리지 유닛(950)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95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컨테이너(9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951)는 입구부(95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951)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는 입구부(952)를 통해 컨테이너(951)의 외부로 토출된다.
카트리지 유닛(950)은 컨테이너(951)를 밀폐하도록 입구부(952)에 부착되는 카트리지 커버(9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953)는 제거 가능하도록 입구부(952)에 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953)는 박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953)는 고분자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카트리지 커버(953)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950)은 컨테이너 캡(9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캡(954)은 컨테이너(95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캡(954)은 컨테이너(951)의 입구부(95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950)은 카트리지 커버(953)를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카트리지 커버 오프너(9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 오프너(955)는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 오프너(955)는 컨테이너 캡(954)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커버 오프너(955)는 컨테이너 캡(954)과 일체로 컨테이너 캡(954)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테이너(951)로부터 컨테이너 캡(954)을 분리한 후, 컨테이너 캡(954)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커버 오프너(955)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커버(953)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카트리지 커버 오프너(955)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커버(953)에 흠집을 냄으로써 컨테이너(951)를 개방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953)가 제거된 컨테이너(951)에는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960)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는 박스(box)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카트리지 바디(21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960)는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960)의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방법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의 그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960)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일 밑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개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232)는 조리실(20)의 바닥면(21)을 향하도록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노즐부(242)는 개구(232)를 통해 선택적으로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는 원기둥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960)는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내부에는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 및 식재료에 관한 설명은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960)는 탄성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에 관한 설명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교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3a 및 도 33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교체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를 참조한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교체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일 면에 형성되는 개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14)는 본체(10)의 상면(11) 또는 양 측면(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2a는 본체(10)의 상면(11)에 개방부(14)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2b는 본체(10)의 양 측면(12) 중 어느 하나에 개방부(14)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조리 장치(1a)는 개방부(14)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간이도어(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이도어(15)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간이도어(15)는 개방부(14)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간이도어(15)는 개방부(14)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간이도어(15)는 개방부(14)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3a는 개방부(14)를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상면(11)에 간이도어(15)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3b는 개방부(14)를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양 측면(12) 중 어느 하나에 간이도어(15)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a 내지 도 3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공간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도 34a 내지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b)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 장치(1b)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11), 하면(미도시), 후면(미도시), 양 측면(12) 및 전면(前面)(1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b)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25)은 상면(미도시), 바닥면(21), 후면(미도시), 양 측면(22) 및 개방된 전면(前面)(2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내부공간(25)을 단열시키기 위해 내부공간(25)과 본체(10)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공간(25)은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b)는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을 구획하도록 내부공간(25)에 배치되는 구획 프레임(9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 프레임(970)은 분리 가능하도록 내부공간(25)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 프레임(970)은 내부공간(25)을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 사이의 열 전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 프레임(970)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획 프레임(970)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수용될 수 있다.
조리 장치(1b)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는 내부공간(25)의 전면(23)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b)는 조리 장치(1b)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4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b)는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공간(25)에 마련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및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에 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b)는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로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는 내부공간(25)의 양 측면(2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로드(5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는 고정 로드(5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로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b)는 내부공간(25)의 바닥면(21)에 배치되는 트레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60) 상에는 음식물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이(60)는 제 1공간(25a)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60)는 제 1공간(25a)의 바닥면(21)에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60)에 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b)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는 제 1공간(25a)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는 제 1공간(25a)의 바닥면(21) 내지 제 1공간(25a)의 상면(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히터(7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음식물을 형상화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25)의 제 1공간(25a)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내부에 수용되는 식재료를 이용하여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프린팅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25)의 제 1공간(25a)에 위치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형상화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25)의 제 2공간(25b)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은 입체적으로 프린팅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25)의 제 2공간(25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형상화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가해질 수 있는 열에 의해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1공간(25a)은 음식물을 형상화하고, 형상화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2공간(25b)은 제 1공간(25a)에서 음식물 형상화 작업을 마친 음식물 형상화 모듈(100)이 제 1공간(25a)에서의 음식물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4a 내지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25)은 구획 프레임(97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공간(25)은 구획 프레임(970)에 의해 조리 장치(1b)의 좌우방향(Y)으로 인접하는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25)은 구획 프레임(970)에 의해 조리 장치(1b)의 전후방향(X)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공간이 도 34a 내지 도 34c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4a 내지 도 34c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34a 내지 도 34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35a 내지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25)은 구획 프레임(97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공간(25)은 구획 프레임(970)에 의해 조리 장치(1b)의 상하방향(Z)으로 인접하는 제 1공간(25a) 및 제 2공간(25b)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2를 참조한다.
도 36a 내지 도 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c)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 장치(1c)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리 장치(1c)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상면(미도시), 바닥면(21), 후면(미도시), 양 측면(22) 및 개방된 전면(前面)(2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조리실(20)을 단열시키기 위해 조리실(20)과 본체(10)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조리 장치(1c)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c)는 조리 장치(1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4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c)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조리실(2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상면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는 카트리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카트리지 바디(21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가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는 카트리지 바디(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바디(21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210)에는 회전 조절유닛(140)의 회전축(14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 결합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의 내부에는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식재료는 액상(液狀) 또는 고상(固狀)일 수 있다. 또한, 식재료는 분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수용부(241)와, 수용부(241)에 연결되고, 토출구(243)를 가지는 노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240)에는 서로 다른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조리 장치(1c)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를 회전시키는 회전 조절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조절유닛(14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1)에 결합되는 회전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1)은 카트리지 어셈블리(201)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절유닛(140)은 구동모터(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42)는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축(141)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모터(142)는 조리실(20)의 상면 일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조리 장치(1c)는 카트리지 캐리어(9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카트리지 바디(210)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리실(20)에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조리실(2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조리 장치(1c)의 전후방향(X), 조리 장치(1c)의 좌우방향(Y) 및 조리 장치(1c)의 상하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의 움직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가이드부(981a)를 가지는 케이싱(981)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981)은 이동 로드(5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케이싱(981)에 결합되는 이동부재(9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982)는 조리 장치(1c)의 상하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싱(98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982)는 가이드부(981a)에 결합되는 리브(98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982)는 리브(982a)가 가이드부(981a)에 결합된 상태로 조리 장치(1c)의 상하방향(Z)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복수의 카트리지(24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홀더(9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복수의 카트리지(24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카트리지 홀더(98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카트리지 홀더(983)의 개수는 한 개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카트리지 홀더(983)는 이동부재(982)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장치(1c)는 카트리지 캐리어(98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로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는 조리실(20)의 양 측면(2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로드(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로드(51)는 조리 장치(1c)의 전후방향(X)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조리실(20)의 양 측면(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양 측면(22)에 설치되는 고정 로드(51)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50)는 고정 로드(5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로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로드(52)는 조리 장치(1c)의 좌우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이동 로드(52)의 양 단부는 각각의 고정 로드(5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로드(52)의 양 단부는 이동 로드(52)가 고정 로드(51)를 따라 조리 장치(1c)의 전후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인딩부재(53)에 의해 각각의 고정 로드(51)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이동 로드(52)를 따라 조리 장치(1c)의 좌우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조리 장치(1c)의 전후방향(X)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조리 장치(1c)의 전후방향(X)을 향하는 카트리지 캐리어(980)의 움직임은 고정 로드(51)를 따라 움직이는 이동 로드(52)의 움직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조리 장치(1c)의 좌우방향(Y)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이동 로드(52)를 따라 조리 장치(1c)의 좌우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 로드(52)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캐리어(980)는 조리 장치(1c)의 상하??향(Z)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조리 장치(1c)의 상하방향(Z)을 향하는 카트리지 캐리어(980)의 움직임은 케이싱(98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982)의 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982)가 조리 장치(1c)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카트리지 홀더(983)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 또한 조리 장치(1c)의 하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반면, 이동부재(982)가 조리 장치(1c)의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카트리지 홀더(983)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240) 또한 조리 장치(1c)의 상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동부재(982)의 움직임은 리브(982a) 및 가이드부(981a)의 결합에 의해 조리 장치(1c)의 상하방향(Z)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조리 장치(1c)는 조리실(20)의 바닥면(21)에 배치되는 트레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6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조리 장치(1c)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히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터(7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36a 내지 도 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240)는 카트리지 바디(210)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카트리지(240)에는 서로 다른 식재료가 수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조리 장치(1c)에 복수의 카트리지(240) 중 특정 식재료가 수용되어 있는 특정 카트리지를 선택한다는 명령이 입력되면 특정 카트리지를 찾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이 때, 카트리지 어셈블리(201)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정 카트리지가 발견되면 특정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바디(210)로부터 분리되어 카트리지 캐리어(980)의 카트리지 홀더(983)에 장착된다. 이 때, 특정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바디(210)로부터 분리되어 조리 장치(1c)의 상하방항(Z)으로 카트리지 홀더(983)에 장착될 수 있다. 특정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홀더(983)에 장착된 상태로 카트리지 캐리어(980)와 일체로 조리실(20)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7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7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030), 음식물을 형성하는 형성부(1040),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050),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060),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070)와,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2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102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21)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푸시 버튼, 키보드, 터치 버튼, 레버, 슬라이드 스위치, 조이스틱, 조그 다이얼(jog dial), 셔틀 다이얼(shuttle dial)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21)는 사전에 할당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21)는 조리 장치(1000)의 전원 온 명령 및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전원 버튼,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의 개시 명령 및 중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동작 버튼, 조리 장치(100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는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는 음식물 모델 즉 음식물의 3차원 형상, 재료 및 색상 등이 입력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의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 터치 패널, 적외선 방식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2)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030)는 음식물이 가열되는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1031)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031)는 조리실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형성부(1040)는 앞서 설명된 음식물 형상화 모듈에 대응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이하, "음식물 모델"이라 한다)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부(104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 및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음식 재료를 저장하고, 제어부(1010)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따라 음식 재료를 토출할 수 있다.
구동 장치(12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이동시키고, 제어부(1010)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 어셈블리(200)는 구동 장치(120)에 의하여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음식 재료를 토출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토출된 음식 재료는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가열부(10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050)는 조리실 내부로 복사 열을 방사하는 그릴 히터(grill heater) (1051), 조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히터(convection grill) (1052), 조리실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히터(10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 히터(1051)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 히터(1051)의 열선은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조리실의 상부에서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여 복사 열을 방사할 수 있다.
컨벡션 히터(1052)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열선,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팬과, 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벡션 히터(1052)의 열선은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며, 팬은 열선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히터(1053)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과,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할 수 있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히터(1053)는 대략 2.4GHz (Giga-Hertz)에서 2.5GHz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음식물 내부의 물을 강하게 회전함으로써 마이크로파 히터(1053)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식물 및 조리된 식품에 따라 다양한 조리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조리 방식에 따라 그릴 히터(1051), 컨벡션 히터(1052), 마이크로파 히터(1053)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쿠키 또는 피자를 조리하는 경우 컨벡션 히터(1052)가 가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시지 등의 육류를 조리하는 경우, 그릴 히터(1051)가 가동될 수 있다.
저장부(1060)는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에 포함된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오퍼레이션 시스템(operation system, OS),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델링 프로그램,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형성부(1040)를 제어하는 음식물 형성 프로그램,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가열부(1050)를 제어하는 음식물 가열 프로그램 등이 저장부(10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60)는 복수의 음식물 모델과, 복수의 음식물 모델 각각에 관한 조리 방법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은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리 방법은 가동되는 가열부(1050), 조리실 내의 조리 온도, 가열부(1050)가 가동되는 조리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60)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Magnetic Disc Drive) (1061)와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1062)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7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7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로 조리 장치(10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070)는 유선으로 사용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 모듈(1071)과 무선으로 사용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07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071)은 이더넷(Ethernet) 또는 USB (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 다양한 유선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 모듈(1071)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에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071)은 송수신기(transceiver) 및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072)은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 (Bluetoothㄾ)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1072)은 전파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에 정보를 전송하고, 전파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072)은 송수신기 및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011)와,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1)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터치 입력을 기초로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1)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저장부(106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식물 모델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음식물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형성 데이터는 음식물을 구성하는 음식 재료에 관한 정보, 음식 재료가 토출될 좌표에 관한 정보 및 음식 재료의 토출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형성부(1040)는 프로세서(1011)가 출력하는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1)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저장부(1060)에 저장된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조리 방법을 기초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가열 데이터는 가동되는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에 관한 정보, 조리실 온도에 관한 정보 및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가 가동되는 조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050)는 프로세서(1011)가 출력하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메모리(1012)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입력받는 프로그램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식물 형성 데이터 및/또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12)는 프로세서(1011)가 처리할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고, 프로세서(1011)로부터 출력되는 음식물 형성 데이터 및/또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01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식물 모델에 따라 형성부(10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식물 형성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따라 가열부(10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 음향을 수신하고 출력하는 음향부(1130),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40),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160),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170)와, 사용자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2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112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21)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푸시 버튼, 키보드, 터치 버튼, 레버, 슬라이드 스위치, 조이스틱, 조그 다이얼, 셔틀 다이얼, 마우스, 트랙볼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21)는 사전에 할당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121)는 사용자 장치(1100)의 전원 온 명령 및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전원 버튼, 사용자 장치(1100)의 음향부(1130)가 출력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1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1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122)는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122)는 음식물 모델 즉 음식물의 3차원 형상, 재료 및 색상 등이 입력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향부(1130)는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1131)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31)는 음향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132)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40)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4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41)는 물체로부터 반사되거나 물체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색상 및 세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 센서가 2차원으로 배치됨으로써 카메라(1141)는 영상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물체의 형상 및 색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60)는 사용자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에 포함된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오퍼레이션 시스템(operation system, OS),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델링 프로그램, 영상 획득부(1140)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이미징 프로그램 등이 저장부(1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60)는 복수의 음식물 모델과, 복수의 음식물 모델 각각에 관한 조리 방법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은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리 방법은 가동되는 조리 장치(1000)의 가열부(1050), 조리 장치(1000)의 조리실 내의 조리 온도, 조리 장치(1000)의 가열부(1050)가 가동되는 조리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60)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61)와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1162)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70)는 조리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조리 장치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70)는 조리 장치로 음식물 모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조리 장치로부터 조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70)는 유선으로 조리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 모듈(1171)과 무선으로 조리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17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71)은 이더넷 또는 USB 통신 등 다양한 유선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 모듈(1171)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에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71)은 송수신기 및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72)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1172)은 전파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에 정보를 전송하고, 전파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 또는 정보 중계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072)은 송수신기 및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사용자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11)와, 사용자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1)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터치 입력을 기초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1)는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170)는 통신 제어 신호에 따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112)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입력받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12)는 프로세서(1011)가 생성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112)는 S램, D랩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롬, 이피롬, 이이피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통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1170)를 통하여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장치(1000)의 조리 동작이 설명된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을 도시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의 조리 동작(2000)은 음식물 모델 획득(2010), 조리 방법 획득(2020), 음식물 형성(2030) 및 음식물 가열(2040)을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 획득(2010)은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생성하거나, 저장부(1060)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 조리 장치(1000)에 한정되어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1170)를 통하여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리 방법 획득(2020)은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예를 들어, 그릴 히터, 컨벡션 히터, 마이크로파 히터 등)을 선택하고, 조리실의 조리 온도를 설정하고, 조리 시간을 설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가열부(1050)를 선택하고,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조리 방법을 획득하는 것이 조리 장치(1000)에 한정되어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조리 장치(1000)의 가열부(1050)를 선택하고,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1170)를 통하여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 형성(2030)은 음식물 모델에 따라 조리 장치(1000)의 형성부(1040)가 음식물을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구성하는 음식 재료를 판단하고, 음식 재료가 토출될 좌표를 산출하고, 음식 재료를 토출할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음식 재료, 토출 좌표 및 토출량은 음식물 형성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는 음식 재료가 수용된 카트리지를 선택하고, 토출 좌표까지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고, 토출량에 따라 카트리지를 구동할 수 있다.
음식물 가열(2040)은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 장치(1000)의 가열부(1050)가 음식물을 가열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조리 방법에 따라 가동되는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를 선택하고, 조리실의 온도가 조리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를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의 온도가 조리 온도에 도달하면, 조리 장치(1000)는 조리실의 온도가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의 가동과 가동 중지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의 가동 개시 이후 조리 시간이 경과하면, 조리 장치(1000)는 가열 장치(1051, 1052, 1053, 1054)의 가동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획득하고 음식물을 형성/가열함으로써 조리 장치(100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을 갖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도 40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 방법을 도시한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메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42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43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조리 방법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도 40, 도 41, 도 42 및 도 43와 함께,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 방법(21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이 시작된다(2110).
조리 장치(10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식물 형성/조리 명령에 응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을 시작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은 조리 장치(1000)에 한정되어 수행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장치(110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식물 형성/조리 명령에 응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자동 조리 또는 음식물 그리기가 선택된다(2120).
조리 장치(10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은 획득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는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이용하거나(자동 조리), 사용자로부터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입력받을 수 있다(음식물 그리기). 자동 조리에서 조리 장치(1000)는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식물을 형성하고, 형성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음식물 그리기에서 조리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고, 입력된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 장치(100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메인 화면(300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화면(3000)은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자동 조리 버튼(3001)과, 사용자로부터 직접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기 위한 모델 제작 버튼(3002)과, 사용자로부터 조리 방법을 입력받기 위한 조리 방법 설정 버튼(3003)과,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하기 위한 출력 버튼(30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선택 화면(3000)의 자동 조리 버튼(3001)을 터치하면 자동 조리가 선택되며, 사용자가 메인 선택 화면(3000)의 모델 제작 버튼(3002)을 터치하면 음식물 그리기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의 획득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조리 버튼(3001), 모델 제작 버튼(3002) 및 조리 방법 설정 버튼(3003)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300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화면(30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자동 조리 또는 음식물 그리기가 선택될 수 있다.
자동 조리가 선택되면(2120의 "자동 조리"), 사용자에 의하여 음식물이 선택된다(2130).
자동 조리를 선택한 사용자는 조리할 음식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300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화면(3000)은 쿠키, 피자, 케이크, 스테이크 등 다양한 음식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음식물 버튼(3001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음식물 버튼(3001a)에 표시되는 음식물 명칭을 확인하고, 복수의 음식물 버튼(3001a) 중에 어느 하나를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0)를 통하여 음식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음식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음식물 버튼(3001a)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300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버튼(3001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에 관한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이 획득된다(2140).
조리 장치(1000)는 메인 화면(3000)의 음식물 버튼(3001a)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에 관하여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1060)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조리 장치(1000)의 저장부(1060)에는 사전에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060)의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은 조리 장치(100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생성되어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통신부(10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통신부(107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100) 및 기타 서버 장치 등에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100) 및 기타 서버 장치 등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 역시 음식물에 관하여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저장부(1160)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170)를 통하여 기타 서버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와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자동 조리에 의하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는 사전에 제작된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고, 사전에 설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음식물 그리기가 선택되면(2120의 "음식물 그리기"), 음식물 모델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다(2150).
음식물 그리기를 선택한 사용자는 조리 장치(100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에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302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제작 화면(3020)은 사용자가 직접 음식물 모델을 그릴 수 있는 모델 그리기 영역(302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델 그리기 영역(3021)을 터치하고, 터치된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모델 그리기 영역(3021)에 음식물 모델을 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을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에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그리기 영역(3021)을 포함하는 모델 제작 화면(30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0)에 표시된 모델 그리기 영역(3021)에 음식물 모델을 그릴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에 대한 조리 방법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다(2160).
음식물 그리기를 선택한 사용자는 조리 장치(1000)를 통하여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에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조리 방법 설정 화면(30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리 방법 설정 화면(3030)은 가열 수단(예를 들어, 그릴, 컨벡션, 마이크로파 등)을 설정하고 가열 수단에 의한 조리 시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 영역(3031)과,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온도를 설정하는 제2 설정 영역(303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 방법 설정 화면(3030)의 제1 설정 영역(3031)과 제2 설정 영역(3032)을 이용하여 가열 수단을 선택하고, 조리 시간 및 조리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0)를 통하여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에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조리 방법 설정 화면(303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조리 방법이 설정된 이후,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통신부(1170)를 통하여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조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음식물 그리기에 의하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는 사용자가 제작한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조리에 의하여 부족한 음식 재료를 알리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45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부족한 음식 재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부족 재료 알림 화면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자동 조리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는 경우, 음식물의 형성을 위하여 필요한 음식 재료가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부족한 음식 재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44 및 도 45과 함께, 부족한 음식 재료를 알리는 방법(2200)이 설명된다.
준비된 음식 재료가 인식되고 준비된 음식 재료의 수량이 판단된다(221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조리 장치(1000)에 준비된 음식 재료를 인식하고, 준비된 음식 재료의 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는 준비된 음식 재료를 인식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1000)에 설치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바코드(bar code),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QR코드 또는 RF태그를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부착하고, 조리 장치(1000)는 바코드 리더, QR코드 리더, 또는 RF리더를 통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식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준비된 음식 재료의 수량을 판단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06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사용되면, 제어부(101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음식 재료의 토출량, 음식 재료의 토출 횟수, 또는 음식 재료의 토출 시간 등을 저장부(1060)에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음식 재료의 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준비된 음식 재료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부(1170)를 통하여 조리 장치(1000)에 음식 재료의 수량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식별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음식 재료의 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통신부(1070)를 통하여 음식 재료의 수량을 사용자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준비된 음식 재료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의 재료가 비교된다(22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준비된 음식 재료와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음식물의 재료를 비교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물의 음식물 모델로부터 음식 재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식 재료와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담긴 음식 재료를 비교할 수 있다. 나아가,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로부터 추출된 음식 재료의 수량과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담긴 음식 재료의 수량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물의 음식물 모델로부터 음식 재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식 재료와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담긴 음식 재료를 비교할 수 있다.
부족한 음식 재료가 표시된다(22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준비된 음식 재료와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음식물의 재료의 비교 결과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음식 재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재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부족 재료 알림 화면(3040)을 표시할 수 있다. 부족 재료 알림 화면(3040)은 조리 장치(1000)에 준비된 음식 재료의 수량을 표시하는 수량 표시 영역(3041)과, 부족한 음식 재료 및 그 수량을 표시하는 부족 재료 표시 영역(30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족 재료 표시 영역(3042)에는 부족한 음식 재료를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으로 연결되는 구매 버턴(3042a)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족 재료 알림 화면(3040)을 표시할 수 있다. 부족 재료 알림 화면(3040)을 통하여 부족한 음식 재료가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부족한 음식 재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조리에 의하여 음식물을 추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47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을 추천하기 위한 음식물 추천 화면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자동 조리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는 경우,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준비된 음식 재료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식물을 추천할 수 있다.
도 46 및 도 47와 함께, 음식물 추천 방법(2250)이 설명된다.
준비된 음식 재료가 인식된다(226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조리 장치(1000)에 준비된 음식 재료를 인식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는 준비된 음식 재료를 인식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1000)에 설치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준비된 음식 재료를 인식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1000)에 음식 재료에 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조리 장치(1000)는 조리 장치(1000)에 설치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식별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담긴 음식 재료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준비된 음식 재료를 기초로 음식물이 검색된다(227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준비된 음식 재료를 기초로 음식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는 준비된 음식 재료를 기초로 저장부(106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을 검색하거나, 외부 서버 장치에 준비된 음식 재료가 포함된 음식물 모델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 역시 준비된 음식 재료를 기초로 저장부(106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을 검색하거나, 외부 서버 장치에 준비된 음식 재료가 포함된 음식물 모델을 요청할 수 있다.
준비된 음식 재료를 기초로 음식물이 추천된다(2280).
음식물 모델이 검색되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식물 추천 화면(305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추천 화면(3050)은 조리 장치(1000)에 준비된 음식 재료를 표시하는 음식 재료 표시 영역(3051)과, 음식물을 추천하는 음식물 추천 영역(30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추천 영역(3052)에는 추천된 음식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3052a)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식물 추천 화면(305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추천 화면(3050)을 통하여 음식물이 사용자에게 추천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준비된 음식 재료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할 음식물을 추천할 수 있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은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을 구성하는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와 함께,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2300)이 설명된다.
음식물 형상이 입력되고(2310), 음식물 형상이 표시된다(23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 형상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식물 형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306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델 제작 화면(3060)의 일 지점을 터치하고, 터치 지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지점이 이동한 경로의 좌표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이 이동한 경로를 나타내는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인에 의하여 음식물의 형상(3061)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상에 음식물의 형상(3061)을 그릴 수 있으며, 제어부(1010)는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 상에 그리는 음식물의 형상(3061)을 저장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음식물 형상(3061)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3061)은 사용자가 입력한 라인에 의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구역마다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3061a)을 가로지는 라인(3061b)을 그린 경우, 라인(3061b)에 의하여 구획되는 한 쌍의 반원(3061c, 3061d)은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원(3061c)과 제2 반원(3061d)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료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06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 상에 음식물의 형상(3061)을 그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07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제작 화면(3070)은 참고 이미지(3071)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 이미지(3071)은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물을 대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참고 이미지(3071)를 참고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020) 상에 음식물의 형상을 그릴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 상에 그리는 음식물의 형상(3072)을 저장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음식물의 형상(307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07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참고 이미지(3071)를 참고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120) 상에 음식물의 형상(3072)을 그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08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모델 제작 화면(3080)에 도형 그리기 메뉴(308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모델 제작 화면(3080) 상에 도형 그리기 메뉴(3081)를 표시할 수 있다.
도형 그리기 메뉴(3081)는 사용자가 손쉽게 음식물 형상을 그릴 수 있도록 선 그리기 버튼(3082), 원 그리기 버튼(3083) 및 네모 그리기 버튼(308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형 그리기 메뉴(3081)를 이용하여 선, 원, 네모, 세모 등을 포함하는 음식물 형상을 쉽게 그릴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가 선, 원, 네모, 세모 등을 이용하여 그리는 음식물의 형상을 저장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음식물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08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델 제작 화면(3080)의 도형 그리기 메뉴(3081)를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120) 상에 음식물의 형상을 그릴 수 있다.
음식물 형상의 제작이 완료된 후,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이 입력된다(23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309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3091)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음식물 형상(3091)의 내부를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2)를 통하여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이 정의되는 구역은 사용자가 터치한 폐곡선 내부에 한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물 형상(3091)의 제1 구역(3091a)에 관하여 입력한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은 제1 구역(3091a)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정의할 뿐이다. 다시 말해, 선택되지 않은 제2 구역(3091b)은 제1 구역(3091a)의 두께, 재료 및 색상과 다른 두께, 재료 및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제1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2)를 통하여 입력된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과 앞서 그려진 음식물의 형상을 이용하여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델 제작 화면(3090)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음식물(예를 들어, 피자는 도우(dough) 층, 치즈 층, 소스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에 관하여 각각의 층에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하기 위한 층 추가 버튼(309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층 추가 버튼(3093)이 터치되면, 제어부(1010)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제2 층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는 제2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3)를 통하여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0)는 제1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2)를 통하여 입력된 음식물 1층의 두께, 재료 및 색상과, 제2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4)를 통하여 입력된 음식물 2층의 두께, 재료 및 색상과, 앞서 그려진 음식물의 형상을 이용하여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09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2)과 제2 부가 정보 입력 메뉴(3094)를 통하여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1120)에 음식물의 형상을 그릴 수 있으며,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1120)에 그려진 음식물의 형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1120)를 통하여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55 및 도 56은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다른 일 예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음식물 형상을 이용하고,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도 54, 도 55 및 도 56과 함께,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2400)이 설명된다.
미리 저장된 음식물 형상이 선택된다(241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 형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음식물 형상은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에 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으며, 음식물의 외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310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모델 제작 화면(3100)에 음식물 형상 선택 메뉴(310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모델 제작 화면(3100) 상에 음식물 형상 선택 메뉴(3101)를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 선택 메뉴(3101)는 쿠키, 피자, 케이크, 스테이크 등 다양한 음식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음식물 버튼(3101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음식물 버튼(3101a)에 표시되는 음식물 명칭을 확인하고, 복수의 음식물 버튼(3101a) 중에 어느 하나를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어부(1010)는 선택된 음식물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1060)로부터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10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형상 선택 메뉴(310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이 표시된다(24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형상(3111)을 포함하는 모델 제작 화면(31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델 제작 화면(3110)은 음식물 형상(3111)을 수정하기 위한 형상 수정 버튼(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형상 수정 버튼(3112)을 터치하면, 사용자는 모델 제작 화면(3110)에 표시된 음식물 형상(3111)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형상(3111)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형상이 선택된 후,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이 입력된다(24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형상의 선택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된 음식물 형상의 내부를 터치하면, 사용자는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이 정의되는 구역은 사용자가 터치한 폐곡선 내부에 한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56에 도시된 음식물 형상(3111)의 제1 구역(3111a)에 관하여 입력한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은 제1 구역(3111a)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정의할 뿐이다. 다시 말해, 선택되지 않은 제2 구역(3111b)은 제1 구역(3111a)의 두께, 재료 및 색상과 다른 두께, 재료 및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입력된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과 음식물의 형상을 이용하여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복수의 음식물 형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음식물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7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58 및 도 59는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다른 일 예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음식물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7, 도 58 및 도 59과 함께,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2500)이 설명된다.
미리 저장된 음식물 모델이 선택된다(251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은 음식물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 등 음식물 형상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 제작 화면(31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모델 제작 화면(3120)에 음식물 모델 선택 메뉴(312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모델 제작 화면(3120) 상에 음식물 모델 선택 메뉴(3121)를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 선택 메뉴(3121)는 쿠키, 피자, 케이크, 스테이크 등 다양한 음식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음식물 버튼(3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음식물 버튼(3121a)에 표시되는 음식물 명칭을 확인하고, 복수의 음식물 버튼(3121a) 중에 어느 하나를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어부(1010)는 선택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1060)로부터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제작 화면(312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형상 선택 메뉴(312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모델이 표시된다(25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형상(3131)을 포함하는 모델 제작 화면(31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델 제작 화면(3130)은 표시된 음식물 형상(3111)을 수정하기 위한 형상 수정 버튼(313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형상 수정 버튼(3132)을 터치하면, 사용자는 모델 제작 화면(3130)에 표시된 음식물 모델(3131)을 편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음식물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모두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313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유복수의 음식물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음식물 모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영상을 획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62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영상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 영상을 획득하고, 음식물 영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0, 도 61 및 도 62과 함께, 음식물 모델 생성 방법(2900)이 설명된다.
음식물 영상이 획득된다(2910).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영상 획득부(1140)를 통하여 음식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0)를 이용하여 음식물(F)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식물(F)을 촬영하면, 제어부(1110)는 음식물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116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통신부(1170)를 통하여 음식물 영상을 조리 장치(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촬영된 음식물 영상이 표시된다(2920).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음식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영상(3181)을 포함하는 모델 제작 화면(318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영상(3181)은 음식물 형상과 음식물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 제작 화면(3180)은 음식물 영상(3181)에 포함된 음식물 형상 또는 색상을 수정하기 위한 형상 수정 버튼(318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형상 수정 버튼(3182)을 터치하면, 사용자는 모델 제작 화면(3180)에 표시된 음식물 영상(3181)을 편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음식물 영상(3181)의 음식물 형상 또는 색상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음식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통신부(107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100)로부터 음식물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식물 영상을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리 장치(1000)의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된 음식물 영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음식물의 두께 및 재료가 입력된다(29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두께 및 재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물 영상은 음식물의 형상과 색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음식물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음식물의 두께 및 재료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 1120)에 표시된 음식물 영상의 내부를 터치하면, 사용자는 음식물의 두께 및 재료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영상으로부터 음식물의 두께 및 재료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100)는 저장부(1060)에 저장된 복수의 음식물 모델 중에서 음식물 영상과 유사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음식물 모델을 검색할 수 있다. 음식물 영상과 유사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음식물 모델이 발견되면, 제어부(1100)는 음식물 영상을 음식물 모델에 매칭시키고, 매칭된 결과에 따라 음식물의 두께 및 재료를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10)는 입력된 음식물의 영상, 두께 및 재료를 이용하여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음식물 영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편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64 및 도 65은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편집하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음식물 모델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3 및 도 64과 함께, 음식물 모델 편집 방법(26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261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음식물 모델의 크기가 조절된다(26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음식물 모델(3141)을 포함하는 모델 편집 화면(314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된 음식물 모델(3141)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지점을 음식물 모델(3141)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부(1010)는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확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가 길수록 음식물 모델(3141)의 확대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를 종료하면, 제어부(1010)는 터치 시작 지점으로부터 터치 종료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된 음식물 모델(3141)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지점을 음식물 모델(3141)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부(1010)는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축소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편집된 음식물 모델이 저장된다(26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크기가 조절된 음식물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델 편집 화면(3140)에 포함된 완료 버튼(3142)을 터치하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크기가 조절된 음식물 모델을 저장부(10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크기가 조절된 음식물 모델을 저장부(1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6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모델 편집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67, 도 68, 도 69 및 도 70는 일 실시예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편집하는 다른 일 예들을 도시한다.
음식물 모델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을 재배치할 수 있다.
도 66, 도 67, 도 68, 도 69 및 도 70과 함께, 음식물 모델 편집 방법(27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271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음식물 모델이 재배치된다(27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음식물 모델을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생성된 음식물 모델(3151)을 포함하는 모델 편집 화면(315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된 음식물 모델(3141)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음식물 모델(3141)을 2회 이상 터치하면,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10)는 모델 복사 버튼(315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델 복사 버튼(3152)을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3141)에 관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델 편집 화면(3150) 내에서 음식물 모델(3141)이 배치되지 않은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터치하면,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10)는 터치된 지점에 모델 배치 버튼(3153)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델 배치 버튼(3152)을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터치된 지점에 음식물 모델(3141)을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음식물 모델(3141)은 그대로 유지한 채, 제어부(1010)는 새로운 음식물 모델(3141)을 터치된 지점에 생성할 수 있다.
복사된 음식물 모델(3141)는 1회에 한정되어 배치되는 것이 아니며, 복사된 음식물 모델(3141)는 여러 차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10)는 하나의 음식물 모델(3141)로부터 복수의 음식물 모델(3141)을 생성하고, 복수의 음식물 모델(3141) 각각을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복사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41)을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생성된 음식물 모델(3161)을 포함하는 모델 편집 화면(316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음식물 모델(3151)을 복사하고,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된 음식물 모델(3141)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음식물 모델(3141)을 2회 이상 터치하면,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10)는 모델 자동 배치 버튼(316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델 자동 배치 버튼(3162)을 터치하면, 제어부(1010)는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3161)을 미리 정해진 거리(D)마다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10)는 조리실 내에 음식물이 배치될 수 있는 가로 폭과 세로 폭, 음식물의 폭, 음식물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조리실 내에 배치 가능한 음식물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10)는 조리실 내에 배치 가능한 음식물의 개수만큼 음식물 모델(3161)을 복사하고, 복사된 음식물 모델(3161a~3161h)을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 편집 화면(316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0)는 조리실 내에 음식물이 배치될 수 있는 면적과 음식물의 면적의 비율로부터 조리실 내에 배치 가능한 음식물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3161)을 복사하고, 복사된 음식물 모델(3161a~3161h)를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 편집 화면(316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3161)을 모델 편집 화면(3160) 내에 재배치할 수 있다.
편집된 음식물 모델이 저장된다(27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재배치된 음식물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델 편집 화면(3150, 3160)에 포함된 완료 버튼(3154, 3163)을 터치하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재배치된 음식물 모델을 저장부(10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재배치된 음식물 모델을 저장부(1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재배치할 수 있다.
도 7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프리뷰의 생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7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프리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7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프리뷰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음식물 모델의 제작을 완료한 이후 사용자는 조리된 음식물의 프리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1, 도 72 및 도 73와 함께, 음식물 프리뷰의 생성 방법(28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281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조리 방법이 입력된다(282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가열 장치의 선택, 조리 온도의 설정 및 조리 시간의 설정을 입력받고, 가열 장치,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으로부터 조리 방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음식물의 프리뷰가 표시된다(2830).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과 조리 방법을 기초로 음식물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프리뷰는 음식물 모델에 의하여 형성된 음식물이 조리 방법에 의하여 조리되었을 때의 외관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00)의 제어부(1010)는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가열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특히, 조리 장치(1000)의 저장부(1060)는 음식물 모델의 프리뷰를 생성하기 위한 프리뷰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프리뷰 데이터 베이스는 음식물 모델의 재료 및 색상, 가열 장치,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에 따른 음식물의 형상 및 색상의 변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데이터 베이스는 컨벡션 히터가 가동될 때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색상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2에 의하면, 조리 온도가 높고 조리 시간이 길수록 음식물의 색상이 짙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리뷰 데이터 베이스는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에 따른 음식물의 색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에 따른 음식물의 형상의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저장부(1060)에 저장된 프리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음식물 모델의 재료 및 색상, 가열 장치,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으로부터 조리된 음식물의 형상을 추정하고, 추정된 음식물의 형상을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0)는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식물 프리뷰 화면(3170)을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프리뷰 화면(3170)은 음식물 모델의 재료 및 색상, 가열 장치,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으로부터 생성된 음식물 프리뷰(317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식물 프리뷰를 확인하고 음식물 모델을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식물 프리뷰 화면(3170)은 음식물 모델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버튼(3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음식물 모델의 재료 및 색상, 가열 장치,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으로부터 음식물 프리뷰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프리뷰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74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또한, 도 75, 도 76 및 도 77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된 형상부의 일 예들을 도시한다.
음식물의 형성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는 복수의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4, 도 75, 도 76 및 도 77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a)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030), 음식물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050),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060),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070)와,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20), 온도 감지부(1030), 가열부(1050), 저장부(1060)와, 통신부(1070)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도 37와 함께 설명된 유저 인터페이스, 온도 감지부, 가열부, 저장부 및 통신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 각각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에 따라 독립적으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형성부(1040a)는 제1 카트리지 어셈블리(200a)와 제1 구동 장치(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 어셈블리(200a)는 음식 재료를 저장하고, 제어부(1010)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따라 음식 재료를 토출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20a)는 제1 카트리지 어셈블리(200a)를 이동시키고, 제어부(1010)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제1 카트리지 어셈블리(200a)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형성부(1040b)는 제2 카트리지 어셈블리(200b)와 제2 구동 장치(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 어셈블리(200b)는 음식 재료를 저장하고, 제어부(1010)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따라 음식 재료를 토출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120b)는 제2 카트리지 어셈블리(200b)를 이동시키고, 제어부(1010)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제2 카트리지 어셈블리(200b)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성부(1040a)와 제2 형성부(1040b)는 조리 장치(1000a)에 마련된 이동 로드(52)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로드(52)는 조리 장치(1000a)에 마련된 고정 로드(51)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형성부(1040a)는 이동 로드(52)의 우측 절반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형성부(1040a)는 이동 로드(52)의 좌측 절반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형성부(1040a)는 조리실의 우측 절반에서 음식물을 형상하고, 제2 형성부(1040b)는 조리실의 좌측 절반에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형성부(1040a)는 음식물 모델의 우측 절반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고, 제2 형성부(1040b)는 음식물 모델의 좌측 절반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성부(1040a)는 조리 장치(1000a)에 마련된 제1 이동 로드(52a)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제2 형성부(1040b)는 조리 장치(1000a)에 마련된 제2 이동 로드(52b)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로드(52a)와 제2 이동 로드(52b)는 고정 로드(51)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형성부(1040a)가 설치된 제1 이동 로드(52a)는 고정 로드(51)의 전방 절반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형성부(1040b)가 설치된 제2 이동 로드(52b)는 고정 로드(51)의 후방 절반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형성부(1040a)는 조리실의 전방 절반에서 음식물을 형상하고, 제2 형성부(1040b)는 조리실의 후방 절반에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형성부(1040a)는 음식물 모델의 전방 절반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고, 제2 형성부(1040b)는 음식물 모델의 후방 절반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성부(1040a)와 제2 형성부(1040b)는 제1 형성부(1040a)와 제2 형성부(1040b)는 조리 장치(1000a)에 마련된 고정 로드(52)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 로드(52)는 조리실 내에서 고정된다. 특히, 제1 형성부(1040a)는 이동 로드(52)의 우측 절반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형성부(1040a)는 이동 로드(52)의 좌측 절반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에는 음식물이 형성되는 트레이(6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트레이(60)는 트레이 회전 유닛(17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60)가 회전하는 동안 제1 형성부(1040a)와 제2 형성부(1040b)는 고정 로드(52)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며,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프로세서(1011)와, 메모리(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1)는 음식물 모델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음식물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011)는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고, 복수의 모델 파트를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1)는 하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음식물 모델을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거나, 복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음식물 모델을 음식물의 개수에 따라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1)는 복수의 모델 파트를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음식물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 각각은 모델 파트의 음식물 형성 데이터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1)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저장부(1060)에 저장된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조리 방법을 기초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012)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입력받는 프로그램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식물 형성 데이터 및/또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장치(1000a)는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 각각은 서로 독립하여 또는 연동하여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장치(1000a)는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8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79 및 도 80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78, 도 79 및 도 80와 함께, 음식물 형성 방법(40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4010).
조리 장치(1000a)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a)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음식물 모델이 분할된다(4020).
조리 장치(1000a)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을 신속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제1 형성부(1040a)와 제2 형성부(1040b)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00a)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을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모델 분할 화면(500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분할 화면(5000)은 음식물 모델(50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물 모델(5001)은 하나의 음식물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음식물 모델(5001)은 음식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제1 모델 파트(5001a)와 음식물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제2 모델 파트(5001b)로 분할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01)은 음식물의 크기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01a)와 제2 모델 파트(5001b)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델 파트(5001a)와 제2 모델 파트(5001b)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모델(5001)은 재료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01a)와 제2 모델 파트(5001b)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델 파트(5001a)를 구성하는 재료들은 서로 유사하고, 제2 모델 파트(5001b)를 구성하는 재료들은 서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모델(5001)은 색상을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01a)와 제2 모델 파트(5001b)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델 파트(5001a)를 나타내는 색상들은 서로 유사하고, 제2 모델 파트(5001b)를 나타내는 색상들은 서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모델 분할 화면(501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분할 화면(5010)은 음식물 모델(50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물 모델(5011)은 복수의 음식물을 나타낼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11)은 복수의 음식물 중에 일부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제1 모델 파트(5011a)와 복수의 음식물 중에 다른 일부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제2 모델 파트(5011b)로 분할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11)은 음식물의 개수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11a)와 제2 모델 파트(5011b)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델 파트(5011a)와 제2 모델 파트(5011b)가 동일한 개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모델(5011)은 음식물의 동일성을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11a)와 제2 모델 파트(5011b)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델 파트(5011a)를 구성하는 복수의 음식물은 서로 동일하고, 제2 모델 파트(5011b)를 구성하는 복수의 음식물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모델 파트를 제1 형성부(1040a)와 제2 형성부(1040b)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00a)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에 의하여 음식물이 형성된다(4030).
조리 장치(1000a)의 제어부(1010)는 복수의 모델 파트를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0)는 도 79에 도시된 제1 모델 파트(5001a)를 제1 형성부(1040a)에 분배하고, 제2 모델 파트(5001b)를 제2 형성부(1040b)에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0)는 도 80에 도시된 제1 모델 파트(5011a)를 제1 형성부(1040a)에 분배하고, 제2 모델 파트(5011b)를 제2 형성부(1040b)에 분배할 수 있다.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는 각각 분배된 모델 파트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복수의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형성부(1040a)는 도 79에 도시된 제1 모델 파트(5001a)에 따라 음식물(피자)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형성부(1040b)는 제2 모델 파트(5001b)에 따라 음식물(피자)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음식물이 가열된다(4040).
조리 장치(1000a)의 제어부(1010)는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가열부(10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방법에 따라 그릴 히터, 컨벡션 히터, 마이크로파 히터 중에 어느 하나의 가열 장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가열 장치는 조리 시간 동안 조리실의 온도가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a)는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 각각은 독립적으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리 장치(1000a)는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1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또한, 도 82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음식물의 가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는 복수의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1 및 도 82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b)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030), 음식물을 형성하는 형성부(1040),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060),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070)와,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20), 온도 감지부(1030), 형성부(1040), 저장부(1060)와, 통신부(1070)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도 37와 함께 설명된 유저 인터페이스, 온도 감지부, 형성부, 저장부 및 통신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다양한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그릴 히터, 컨벡션 히터, 마이크로파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b)의 조리실은 디바이더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은 각각 분할된 조리실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1050a)는 제1 조리실(1001a)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제2 가열부(1050a)는 제2 조리실(1001b)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050a)와 제2 가열부(1050b)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050a)와 제2 가열부(1050b)는 서로 다른 조리 방법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실(1001a)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제1 가열부(1050a)의 그릴 히터가 가동되고, 제1 조리실(1001a)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제2 가열부(1050b)의 컨벡션 히터가 가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가열부(1050a)는 제1 조리실(1001a)의 온도가 제1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동될 수 있으며, 제2 가열부(1050b)는 제2 조리실(100b)의 온도가 제2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가열부(1050a)는 제1 조리 시간 동안 가동될 수 있으며, 제2 가열부(1050b)는 제2 조리 시간 동안 가동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프로세서(1011)와, 메모리(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1)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저장부(106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식물 모델을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음식물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1)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통신부(1070)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저장부(1060)에 저장된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조리 방법을 기초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011)는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고, 복수의 모델 파트에 의하여 형성된 음식물을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1)는 하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음식물 모델을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거나, 복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음식물 모델을 음식물의 개수에 따라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1)는 복수의 모델 파트를 각각 가열하기 위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모델 파트에 관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메모리(1012)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입력받는 프로그램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식물 형성 데이터 및/또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장치(1000b)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서로 독립하여 또는 연동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장치(1000b)는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83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84 및 도 85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83, 도 84 및 도 85과 함께, 음식물 형성 방법(41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4110).
조리 장치(1000a)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a)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음식물 모델이 분할된다(4120).
조리 장치(1000a)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을 신속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050a)와 제2 가열부(1050b)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00c)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을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모델 분할 화면(502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분할 화면(5020)은 음식물 모델(50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물 모델(5021)은 하나의 음식물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음식물 모델(5021)은 음식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제1 모델 파트(5021a)와 음식물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제2 모델 파트(5021b)로 분할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21)은 가열 방법에 따라 제1 모델 파트(5021a)와 제2 모델 파트(5021b)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델 파트(5021a)에 의한 음식물 부분은 제1 가열부(1050a)의 그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고, 제2 모델 파트(5021b)에 의한 음식물 부분은 제1 가열부(1050b)의 컨벡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21)은 조리 온도에 따라 제1 모델 파트(5021a)와 제2 모델 파트(5021b)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델 파트(5021a)에 의한 음식물 부분은 섭씨 100도에서 가열되고, 제2 모델 파트(5021b)에 의한 음식물 부분은 섭씨 120도에서 가열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21)은 조리 시간에 따라 제1 모델 파트(5021a)와 제2 모델 파트(5021b)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델 파트(5021a)에 의한 음식물 부분은 30분 동안 가열되고, 제2 모델 파트(5021b)에 의한 음식물 부분은 40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에 도 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는 모델 분할 화면(503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분할 화면(5030)은 음식물 모델(50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물 모델(5031)은 복수의 음식물을 나타낼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31)은 복수의 음식물 중에 일부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제1 모델 파트(5031a)와 복수의 음식물 중에 다른 일부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제2 모델 파트(5031b)로 분할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31)은 가열 방법,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모델 파트(5021a)와 제2 모델 파트(5021b)로 분할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 역시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모델 파트를 제1 가열부(1050a)와 제2 가열부(1050b)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이 형성된다(4130).
조리 장치(1000a)의 제어부(1010)는 복수의 모델 파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형성부(1040)를 제어할 수 있다.
형성부(1040)는 서로 다른 모델 파트를 서로 다른 조리실(1001a, 1001b)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성부(1040)는 제1 모델 파트(5021a, 5031a)에 의한 음식물을 제1 조리실(1001a)에 형성하고, 제2 모델 파트(5021b, 5031b)에 의한 음식물을 제2 조리실(1001b)에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에 의하여 음식물이 가열된다(4140).
조리 장치(1000a)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는 각각 복수의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050a)는 제1 모델 파트(5021a, 5031a)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제1 조리실(1001a)에 형성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실(1001a)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제1 가열부(1050a)의 그릴 히터가 섭씨 100도로 30분 동안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열부(1050b)는 제2 모델 파트(5021b, 5031b)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제2 조리실(1001b)에 형성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실(1001b)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제2 가열부(1050b)의 컨벡션 히터가 섭씨 120도로 40분 동안 가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b)는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독립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리 장치(1000a)는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86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또한, 도 87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음식물의 가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조리 장치는 복수의 형성부와 복수의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6 및 도 87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c)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030), 음식물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060),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070)와, 조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20), 온도 감지부(1030), 저장부(1060)와, 통신부(1070)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도 37와 함께 설명된 유저 인터페이스, 온도 감지부, 저장부 및 통신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 각각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에 따라 독립적으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형성부(1040a)는 제1 카트리지 어셈블리(200a)와 제1 구동 장치(12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형성부(1040b)는 제2 카트리지 어셈블리(200b)와 제2 구동 장치(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c)의 조리실은 디바이더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는 각각 분할된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성부(1040a)는 제1 조리실(1001a)에 마련되어, 제1 조리실(1001a)에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형성부(1040b)는 제2 조리실(1001b)에 마련되어, 제2 조리실(1001b)에서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다양한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그릴 히터, 컨벡션 히터, 마이크로파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은 각각 분할된 조리실의 음식물을 독립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1050a)는 제1 조리실(1001a)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제2 가열부(1050a)는 제2 조리실(1001b)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프로세서(1011)와, 메모리(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011)는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모델 파트로 분할하고, 복수의 모델 파트를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로 분배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1)는 복수의 모델 파트를 기초로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음식물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1)는 복수의 모델 파트를 각각 가열하기 위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 각각은 모델 파트에 관한 음식물 가열 데이터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메모리(1012)는 유저 인터페이스(1020)를 통하여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을 입력받는 프로그램과,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식물 형성 데이터 및/또는 음식물 가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장치(1000c)는 음식물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와,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장치(1000c)는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형성하고,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88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88과 함께, 음식물 형성 방법(42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4210).
조리 장치(1000c)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0c)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1060, 1070)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1070, 117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음식물 모델이 분할된다(4120).
조리 장치(1000c) 또는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을 신속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형성부(1040a, 1040b)와 제1 및 제2 가열부(1050a, 1050b)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1000c)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 모델을 2개의 모델 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제1 모델 파트와 제2 모델 파트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모델은 음식물의 형상(크기), 재료 및 색상 중에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와 제2 모델 파트로 분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식물 모델은 가열 방법,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중에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와 제2 모델 파트로 분할될 수 있다.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에 의하여 음식물이 형성된다(4230).
조리 장치(1000c)의 제어부(1010)는 복수의 모델 파트를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로 분배할 수 있다.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는 각각 분배된 모델 파트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복수의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에 의하여 음식물이 가열된다(4240).
조리 장치(1000c)의 제어부(1010)는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는 각각 복수의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 장치(1000c)는 복수의 형성부(1040a, 1040b)와 복수의 가열부(1050a, 105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리 장치(1000a)는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형성하고, 더욱 신속하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단일의 조리 장치가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가열하는 것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조리 장치가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가열하는 것이 설명된다.
도 8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의 음식물 조리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0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9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조리 장치와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서 음식물 모델은 복수의 조리 장치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리 장치는 각각 음식물을 형성/가열할 수 있다.
도 89, 도 90 및 도 91과 함께, 음식물 조리 방법(43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4310).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중에 어느 하나가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생성 방법은 사용자 장치(1100)의 생성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이 분할되고, 복수의 조리 장치에 분배된다(4320).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을 신속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음식물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은 조리 장치(1000-1, 1000-2)의 개수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음식물 모델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모델 파트를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분배된 모델 파트에 관한 데이터를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는 하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음식물 모델(5040)을 음식물의 어느 일부를 나타내는 제1 모델 파트(5041)와 음식물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제2 모델 파트(5042)로 분할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40)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제1 모델 파트(5041)와 제2 모델 파트(5042)로 분할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40)은 음식물의 형상(크기), 재료 및 색상 중에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41)와 제2 모델 파트(5042)로 분할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는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델 파트(5041)를 제1 조리 장치(1000-1)에 전송하고, 제2 모델 파트(5042)는 제2 조리 장치(100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42)를 각각 제1 및 제2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전송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1100)는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42)에 대한 조리 방법을 제1 및 제2 조리 장치(1000-1, 1000-2)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42)는 하나의 음식물의 일부를 나타내므로,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42)의 조리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1100)는 제1 조리 장치(1000-1)과 제2 조리 장치(1000-2)에 동일한 조리 방법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1100)는 복수의 음식물을 나타내는 음식물 모델(5050)을 복수의 음식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제1 모델 파트(5051)와 복수의 음식물 중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제2 모델 파트(5052)로 분할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50)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제1 모델 파트(5051)와 제2 모델 파트(5052)로 분할될 수 있다. 음식물 모델(5050)은 가열 방법,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중에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제1 모델 파트(5051)와 제2 모델 파트(5052)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도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델 파트(5041)를 제1 조리 장치(1000-1)에 전송하고, 제2 모델 파트(5052)는 제2 조리 장치(100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51, 5052)를 각각 제1 및 제2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전송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1100)는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52)에 대한 조리 방법을 제1 및 제2 조리 장치(1000-1, 1000-2)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42)는 각각 서로 다른 음식물을 나타내므로, 제1 및 제2 모델 파트(5041, 5042)의 조리 방법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1100)는 제1 조리 장치(1000-1)과 제2 조리 장치(1000-2)에 상이한 조리 방법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중에 어느 하나가 음식물 모델을 분할하고, 분할된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에 분배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분할 방법 및 분배 방법은 사용자 장치(1000)의 분할 방법 및 분배 방법과 동일하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의하여 음식물이 형성되고 가열된다(4330).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각각은 사용자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모델 파트 및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고,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장치(1000-1)는 수신된 제1 모델 파트(5041)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 모델 파트(5041)에 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리 장치(1000-2)는 수신된 제2 모델 파트(5042)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2 모델 파트(5042)에 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모델 파트(5041)와 제2 모델 파트(5042)는 각각 하나의 음식물의 일부를 나타내므로, 제1 조리 장치(1000-1)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과 제2 조리 장치(1000-2)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리 장치(1000-1)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과 제2 조리 장치(1000-2)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은 하나의 음식물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조리 장치(1000-1)는 수신된 제1 모델 파트(5051)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 모델 파트(5051)에 관한 제1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리 장치(1000-2)는 수신된 제2 모델 파트(5052)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2 모델 파트(5052)에 관한 제2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모델 파트(5041)와 제2 모델 파트(5042)는 각각 상이한 음식물을 나타내므로, 제1 조리 장치(1000-1)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과 제2 조리 장치(1000-2)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물 모델은 복수의 모델 파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복수의 모델 파트는 각각 복수의 조리 장치로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리 장치 각각은 분배된 모델 파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 및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복수의 조리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다.
도 9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의 음식물 조리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3 및 도 9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모델 분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95은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시스템이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조리 장치와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서 음식물 모델은 조리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복수의 조리 장치에 분배될 수 있다.
도 92, 도 93, 도 94 및 도 95과 함께, 음식물 조리 방법(4400)이 설명된다.
음식물 모델이 생성된다(4410).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고, 음식물의 형상, 두께, 재료 및 색상으로부터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 중에 어느 하나가 음식물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생성 방법은 사용자 장치(1100)의 생성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의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4420).
사용자 장치(1100)는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의 상태 정보를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00)는 통신부(1170)를 통하여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에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는 각각 상태 정보를 사용자 장치(1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가 전송하는 상태 정보는 조리 장치의 고장 여부에 관한 정보, 조리 장치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조리 완료까지 남은 조리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는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 화면(505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 화면(5050)은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조리 장치 이미지(5061, 5063, 506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 화면(5050)은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의 상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 이미지(5062, 5064, 506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태 표시 화면(5060)에 표시된 복수의 조리 장치 이미지(5061, 5063, 5065)와 복수의 상태 정보 이미지(5062, 5064, 5066)를 통하여,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1000-1, 1000-2)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없는 조리 장치(1000-3)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 중에 어느 하나가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표시 방법은 사용자 장치(1100)의 표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음식물 모델이 분배된다(4430).
사용자 장치(1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 각각에 분배하고,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에 음식물 모델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120)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기 위한 모델 분배 화면(506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델 분배 화면(5070)은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조리 장치 이미지(5071, 5073, 50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델 분배 화면(5070)은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에 각각 분배된 음식물 모델을 입력하기 위한 모델 입력 영역(5072, 5074, 507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의 상태에 따라 모델 입력 영역(5072, 5074, 5076)에 음식물 모델을 분배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음식물 모델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0)의 제어부(1110)는 사용자가 모델 입력 영역(5072, 5074, 5076)에 입력한 음식물 모델에 따라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음식물 모델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0)는 통신부(1170)를 통하여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 및 조리 방법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1000-3) 중에 어느 하나가 음식물 모델을 분배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분배 방법은 사용자 장치(1100)의 분배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에 의하여 음식물이 형성되고 가열된다(4440).
음식물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 복수의 조리 장치(1000-1, 1000-2) 각각은 사용자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음식물 모델 및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고,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조리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복수의 조리 장치 각각에 음식물 모델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리 장치 각각은 분배된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 및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복수의 조리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a,1b,1c: 조리 장치 10: 본체
11: 상면 12: 측면
13: 전면 14: 개방부
15: 간이도어 20: 조리실
21: 바닥면 22: 측면
23: 전면 25: 내부공간
25a: 제 1공간 25b: 제 2공간
30: 도어 31: 핸들
40: 컨트롤패널 50: 가이드 로드
51: 고정 로드 52: 이동 로드
53: 바인딩부재 60: 트레이
70: 히터 100: 음식물 형상화 모듈
120: 구동 장치 130: 상하 이동 조절유닛
131: 실린더 132: 피스톤 로드
133: 하우징 134: 탑 커버
135: 바텀 커버 136: 연결 로드
140: 회전 조절유닛 141: 회전축
142: 구동모터 143: 케이싱
150: 연결 유닛 151: 탑 플레이트
152: 이동 로드 장착홀 153: 바텀 플레이트
154: 가이드 로드 160: 압출유닛
161: 압출유닛 실린더 162: 피스톤
162a: 가압부 170: 트레이 높이 조절유닛
171: 트레이용 실린더 172: 트레이용 피스톤 로드
210: 카트리지 바디 211: 회전축 결합부
220: 카트리지 장착부 221: 홈부
230: 카트리지 케이스 231: 돌출부
232: 개구 240,340,540,640,740: 카트리지
241: 수용부 242: 노즐부
242a: 절개라인 243: 토출구
244: 주름 250: 탄성부재
310,410: 토출구 개폐부재 311: 회전 바
312: 축 313: 액추에이터
314: 실린더 315: 피스톤 로드
316: 스프링 유닛 317: 지지대
318: 스프링 411: 이동 바
412: 헤드 413: 바디
414: 구동부 415: 스프링
450: 클램프 460: 홈부
541: 본체부 542: 본체 전면부
543: 본체 후면부 544: 본체 측면부
545: 상단 압착부 546: 하단 압착부
547: 측단 압착부 547a: 제 1측단 압착부
547b: 제 2측단 압착부 548: 노즐부
548a: 토출구 549: 설치공
550: 접선 551: 접착부재
610: 롤러 611: 롤러 회전축
641: 수용부 642: 노즐부
642a: 토출구 643: 캡
741: 수용부 742: 노즐부
742a: 토출구 743: 주름
800: 카트리지 유닛 810: 컨테이너
811: 입구부 812: 제 1나사산
820: 카트리지 커버 821: 절개 기준선
830: 컨테이너 캡 840: 노즐부
841: 토출구 850: 연결부
851: 노즐 도입부 852: 제 2나사산
860: 스트랩 861: 밴딩부
862: 파지부 900: 카트리지 유닛
910: 컨테이너 920: 컨테이너 캡
930: 절취홈 950: 카트리지 유닛
951: 컨테이너 952: 입구부
953: 카트리지 커버 954: 컨테이너 캡
955: 커버 오프너 970: 구획 프레임
980: 카트리지 캐리어 981: 케이싱
981a: 가이드부 982: 이동부재
982a: 리브 983: 카트리지 홀더
200,201,300,500,600,960: 카트리지 어셈블리

Claims (35)

  1.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음식물의 형상, 재료 및 색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상기 음식물 모델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음식물 형상을 선택하는 자동 조리 버튼;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그려진 음식물 형상을 입력받기 위한 그리기 버튼;
    상기 음식물에 관한 조리 방법을 입력하기 위한 조리 방법 버튼; 및
    상기 음식물 형상 및 상기 조리 방법에 따라 음식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버튼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조리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음식물 형상의 목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형성부에 준비된 음식물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음식물 재료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음식물의 목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에 준비된 음식물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형성하는데 부족한 음식물 재료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기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형상을 그리기 위한 모델 그리기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지점의 이동 경로로부터 상기 음식물 형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식물을 나타내는 기준 영상을 상기 모델 그리기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델 그리기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 원 및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선, 원 및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음식물 형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형상의 내부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의 두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기 위한 부가 정보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방법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방법을 입력하는 조리 방법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조리 방법 설정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 방법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튼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음식물 프리뷰를 표시하고, 상기 음식물 프리뷰는 상기 조리 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음식물이 조리된 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프리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이 조리된 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식물 형상의 크기를 변경하는 사용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음식물 형상을 자동 배치하는 사용자 장치.
  18.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복수의 음식물 형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음식물을 형성하고 가열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음식물 형상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음식물 형상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식물 형상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모델에 따라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형상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음식물 형상에 의하여 닫혀진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는 사용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 형상, 상기 재료 및 상기 색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형성하도록 상기 선택된 음식물 형상, 상기 재료 및 상기 색상을 포함하는 음식물 모델을 상기 조리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방법을 입력받는 사용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장치가 상기 음식물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 장치에 상기 조리 방법을 전송하는 조리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이 가열된 이후 외관을 나타내는 음식물 프리뷰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형상의 크기를 변경하는 사용자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형상을 반복 배치하는 사용자 장치.
  26.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는 음식물 형성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그려진 형상을 감지하고, 상기 그려진 형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도록 상기 음식물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조리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선, 원 및 다각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조리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려진 형상에 의하여 닫혀진 영역에 대한 음식물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는 조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재료 및 상기 색상을 상기 닫혀진 영역에 표시하는 조리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려진 형상, 상기 재료 및 상기 색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도록 상기 음식물 형성부를 제어하는 조리 장치.
  32. 사용자 장치 및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조리 장치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그려진 형상을 감지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그려진 형상을 상기 조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는 음식물 형성부;
    상기 음식물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음식물 가열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그려진 형상을 수신하고, 상기 그려진 형상에 따라 상기 음식물 재료를 토출하도록 상기 음식물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조리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려진 형상에 의하여 닫혀진 영역에 대한 음식물의 재료 및 색상을 입력받는 조리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음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음식물 영상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 장치로 전송하는 조리 시스템.
KR1020160103141A 2016-07-11 2016-08-12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KR20180006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42,739 US11000143B2 (en) 2016-07-11 2017-07-06 User equipment configured to transmit a food model to a cooking apparatus
CN201780043184.1A CN109475172B (zh) 2016-07-11 2017-07-07 用户设备、烹调设备以及烹调系统
EP17827878.4A EP3448178B1 (en) 2016-07-11 2017-07-07 User equipment,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system
PCT/KR2017/007276 WO2018012805A1 (en) 2016-07-11 2017-07-07 User equipment,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60654P 2016-07-11 2016-07-11
US62/360,654 2016-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832A true KR20180006832A (ko) 2018-01-19

Family

ID=610251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49A KR20180006833A (ko) 2016-07-11 2016-08-12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KR1020160103171A KR20180006834A (ko) 2016-07-11 2016-08-12 카트리지 어셈블리, 카트리지 유닛, 음식물 형상화 모듈 및 조리기기
KR1020160103141A KR20180006832A (ko) 2016-07-11 2016-08-12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49A KR20180006833A (ko) 2016-07-11 2016-08-12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KR1020160103171A KR20180006834A (ko) 2016-07-11 2016-08-12 카트리지 어셈블리, 카트리지 유닛, 음식물 형상화 모듈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3) EP3435789B1 (ko)
KR (3) KR20180006833A (ko)
CN (2) CN1093101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15A (ko) * 2019-12-12 202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140B1 (ko) * 2018-11-08 2020-10-06 이산홍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77115B1 (ko) * 2020-11-24 2021-07-14 (주)에스티아이 케미컬 필터 교체장치
CN114557588B (zh) * 2020-11-27 2023-05-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设备、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63961A (zh) * 2020-11-27 2022-05-3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设备、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45810A (zh) * 2020-11-27 2022-05-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方法、设备和食物制作系统以及存储介质
KR102582945B1 (ko) * 2021-02-17 2023-09-27 (주)엘에스비 3d 푸드 프린터용 시린지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661A (en) * 1987-12-14 1990-03-20 Edgar L. Barth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cakes and other foods
KR20040096037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WO2006020685A2 (en) * 2004-08-11 2006-02-2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odular fabr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723866B2 (en) * 2004-08-11 2017-08-08 Cornell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of edible food
US9713342B2 (en) * 2004-08-25 2017-07-25 Decopac, Inc. Online decorating system for edible products
US7355150B2 (en) * 2006-03-23 2008-04-0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Food preparation system with inductive power
CN107047903A (zh) * 2006-03-29 2017-08-18 Wm.雷格利 Jr.公司 非接触印刷的食用产品
CN101169261B (zh) * 2007-11-25 2011-09-07 梁福鹏 一种单个电器化的智能厨房
CN102056356B (zh) * 2009-11-09 2012-12-2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与温度测量装置
FR2954073B1 (fr) * 2009-12-23 2012-11-16 Seb Sa Appareil electrique de cuisson des aliments
US20120328747A1 (en) * 2010-12-24 2012-12-27 David Levy High Viscosity Foods Processor
WO2012103005A2 (en) * 2011-01-24 2012-08-02 Cornell University Deposition of materials for edible solid freeform fabrication
US20130034633A1 (en) * 2011-08-02 2013-02-07 Von Hasseln Kyle Willia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Food Product
CN103125540A (zh) * 2011-11-30 2013-06-05 中国计量学院 一种三维食物打印机
CN103799883A (zh) * 2012-11-07 2014-05-2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营养分析系统
GB2512355B (en) * 2013-03-27 2016-06-01 Warwick Tim Infused additive manufactured objects
US20160106142A1 (en) * 2013-05-22 2016-04-21 Systems And Materials Research Corporation Additive Manufacturing for Producing Edible Compositions
JP2016525885A (ja) * 2013-05-24 2016-09-01 ナチュラル マシー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atural Machines, Inc. 3dプリント技術を用いた食品製造装置
US9950474B2 (en) * 2013-09-13 2018-04-24 Statasys, Inc.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process with precision substractive technique
CN103637391A (zh) * 2013-12-17 2014-03-19 东莞市粤船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三维食品挤出成型机
CN103734216B (zh) * 2014-01-10 2016-05-18 上海那恒新材料有限公司 3d甜品打印加工装置及相应的加工方法
TWI566708B (zh) * 2014-07-03 2017-01-2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三維作菜機
CN204070482U (zh) * 2014-08-01 2015-01-07 西安非凡士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多材料食品3d打印装置
DE102014220954A1 (de) * 2014-10-16 2016-04-21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ahrungsmitteldruckers, sowie zugehöriger Nahrungsmitteldrucker und zugehöriges Haushaltsgerät
CN104589653A (zh) * 2015-01-26 2015-05-0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打印盒、三维打印机及三维打印方法
CN204560928U (zh) * 2015-03-05 2015-08-19 威海湛翌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带烘焙功能的食品三维打印机
CN105341280A (zh) * 2015-10-09 2016-02-2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研究所 一种基于机械臂的食品3d打印机
CN105196553A (zh) * 2015-11-04 2015-12-30 渭南鼎信创新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3d彩色多功能食品打印设备
DE102015222758A1 (de) * 2015-11-18 2017-05-18 BSH Hausgeräte GmbH Druckeinheit für den Druck von Nahrungsmittel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15A (ko) * 2019-12-12 202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8178A4 (en) 2019-06-05
EP3435789B1 (en) 2020-03-25
CN109475173A (zh) 2019-03-15
KR20180006834A (ko) 2018-01-19
EP3435789A1 (en) 2019-02-06
KR20180006833A (ko) 2018-01-19
EP3448178A1 (en) 2019-03-06
CN109310139B (zh) 2021-10-08
EP3448179B1 (en) 2021-10-13
EP3448179A4 (en) 2019-06-05
EP3448178B1 (en) 2021-05-05
CN109310139A (zh) 2019-02-05
EP3448179A1 (en) 2019-03-06
EP3435789A4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353B2 (en) Cooking apparatus
KR20180006832A (ko) 사용자 장치,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CN109475172B (zh) 用户设备、烹调设备以及烹调系统
US10918235B2 (en) Cooking system
US11828658B2 (en) In-oven camera and computer vis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269832A1 (en) Configurable cooking systems and methods
CA2998177C (en) In-oven camera
EP3116358B1 (en) Wirelessly operable cooking appliance
CN204698314U (zh) 一种智能厨房烹饪系统
US20140377417A1 (en) Automated Cooking System And Method
CN108347992A (zh) 用于打印食物的打印单元
KR20190057020A (ko) 요리 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6264065A (zh) 一种智能厨房烹饪系统及智能辅助烹饪的方法
US11767983B2 (en) Automatic oven
KR20130128297A (ko) 계란말이장치
KR20130065745A (ko)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의 양념 공급장치
KR101462045B1 (ko) 음식물 양념 자동 토출기 및 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20110210115A1 (en) Conveyor oven with dual heater sources
CN107846906A (zh) 用于食品打印机的加热设备
US20230057981A1 (en) Smart hot plates
CN109923563A (zh) 食物加工管理系统
CN118103862A (zh) 食材储藏设备、服务器及界面显示方法
KR20240004359A (ko) 식사 준비 기계
KR101553258B1 (ko) 누룽지 구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