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140B1 -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140B1
KR102162140B1 KR1020180136288A KR20180136288A KR102162140B1 KR 102162140 B1 KR102162140 B1 KR 102162140B1 KR 1020180136288 A KR1020180136288 A KR 1020180136288A KR 20180136288 A KR20180136288 A KR 20180136288A KR 102162140 B1 KR102162140 B1 KR 10216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mensional
cultural property
capsul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815A (ko
Inventor
이산홍
김화정
이일락
Original Assignee
이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산홍 filed Critical 이산홍
Priority to KR102018013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1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B44B1/02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wherein three-dimensional copies are ma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B44B1/006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using compute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B44B1/0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삼차원 푸드 프린팅의 결과물인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문화재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상기 삼차원 성형물의 성형 재료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성형 재료를 내장한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실행하여 상기 삼차원 성형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AND PRINTING SERVICE UTILIZING 3D CULTURAL PROPERTY DRAWINGS}
본 발명은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여 식품 재료로 삼차원 프린팅을 수행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세대 성장동력인 3D 프린터의 보급과 활용이 가속화되고 특허 만료 등에 따라 삼차원 프린터 적용 분야가 광범위해지면서 프린팅 재료 및 목적의 다양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의료, 설비, 건축,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하게 확산되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콘텐츠 확보 및 활용을 위한 정책이 수행되고 있다.
그 일례로, 문화재청에서는, 우리 문화유산 50건(58점)의 3D 프린팅 자료를 국가적 차원에서 제작하였으며, 지속적인 문화재 3D 프린팅 자료에 대한 제작을 통해 3D 프린팅 산업에서 해당 자료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3D 데이터를 활용하는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이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3D 데이터가 도시 관리, 관광·여행·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통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문화재와 같은 3D 데이터 구축 대상에 대한 보존 및 접근 가치를 넘어서 활용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3D 형식으로 감상만 하는 수준을 넘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3D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나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이와 함께 차별화된 제조 절차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프린터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삼차원 데이터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차별화된 방식의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반해 식품 재료로 삼차원 프린팅을 수행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문화재에 기반한 차별화된 방식의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문화재의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각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삼차원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가공 및 2차 저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삼차원 푸드 프린팅의 결과물인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문화재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상기 삼차원 성형물의 성형 재료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성형 재료를 내장한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실행하여 상기 삼차원 성형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는, 상기 문화재의 기본정보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시기별 지역 특산물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한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재료 캡슐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캡슐의 상태는,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의 장착 여부, 상기 재료 캡슐의 잔여 재료량 및 유통기한 만료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상기 삼차원 성형물의 성형 재료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와 현재 일시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일시에 대응되는 시기에 존재하는 상기 지역 특산물을 기반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된 성형 재료를 내장한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이 부재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현재 일시정보와 대응하지는 않으나 상기 문화재의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지역 특산물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성형 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상기 재료 캡슐, 기설정된 상기 재료 캡슐 및 랜덤한 방식으로 선정된 임의의 상기 재료 캡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한편,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에 대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에 대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단계는, 상기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에 기반한 삼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화재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로 다른 성형 재료를 내장한 복수의 재료 캡슐이 장착된 캡슐부; 상기 캡슐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부로부터 공급된 성형 재료를 토출하는 압출부; 상기 캡슐부 내의 성형 재료를 상기 압출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캡슐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상기 캡슐부를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재료 캡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압출부와 연결하는 캡슐부 회전 장치; 상기 압출부를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복수의 문화재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성형물의 성형 재료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성형 재료를 내장한 상기 재료 캡슐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캡슐부, 압출부, 가압부, 캡슐부 회전 장치 및 이송 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품 재료로 삼차원 프린팅을 수행해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여행·문화·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통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및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각 문화재의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각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관광 재화와 문화재별 맞춤형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문화재에 대한 관광 가치와 홍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이 어렵거나 위험한 문화재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재에 대한 관광·홍보·교육 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위한 성형 데이터를 가공 및 2차 저작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 맞춤 상품을 프린팅할 수 있는 창조적인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별 맞춤 상품을 삼차원 푸드 프린터를 통해 빠르게 생산하고 제공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의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원활히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의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화재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에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위해 사용할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에서 선정된 재료 캡슐의 부재에 대한 알람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가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여 삼차원 성형물을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문화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별로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문화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별 퀴즈를 제공하여 그에 따라 구성요소별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 삼차원 스캐너(400) 및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 삼차원 푸드 프린터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예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도 2a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베이스부(10), 이송장치(20), 캡슐부 회전 장치(30), 캡슐부(110), 검출부(120), 가압부(130), 압출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입력부(160), 통신부(170), 메모리(180) 및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부(10)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의 결과물인 삼차원 성형물이 제작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베이스부(10)는, 이송장치(20)의 지지바(21) 상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넓은 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압출부(140)로부터 토출된 재료가 베이스부(10) 상에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는, 히팅(Heating) 및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하여 삼차원 성형물을 가열하거나 빠르게 굳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송장치(20)는, 지지바(21)와 지지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각종 구성요소가 탈부착이 가능하고 X, Y 및 Z축 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캡슐부 회전 장치(30)는, 캡슐부(110)의 회전을 위한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캡슐부(110)가 캡슐부 회전 장치(3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부 회전 장치(30)는, 캡슐부(11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회전 장치 케이스(31), 하측 커버(32) 및 상측 커버(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캡슐부(110)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를 통하여 삼차원 성형물을 제작하기 위한 각종 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복수의 재료 캡슐(111)이 장착될 수 있으며, 캡슐부 회전 장치(3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출부(120)는, 제 1 검출부(121) 및 제 2 검출부(122)를 포함하며, 캡슐부 회전 장치(30) 상에 설치되어 캡슐부(110)에 삽입된 복수의 재료 캡슐(111)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자세히, 제 1 검출부(121)는, 광출력부(121a)와 광센싱부(121b)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캡슐부(110)의 회전에 따라서 재료 캡슐(111)들 각각에 포함된 식재료의 양을 순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검출부(122)는, 회전 장치 케이스(31) 또는 상측 커버(33)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재료 캡슐(111)의 상부캡(111a)의 상부면에 형성된 식별 정보(111b)를 스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 2 검출부(122)는, 자신의 하측에 위치한 재료 캡슐(111)의 상부캡(111a)에 형성된 식별 정보(111b)를 스캔하여 재료 캡슐(111)에 내장된 재료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0)는, 캡슐부(110)의 회전을 위한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캡슐부(110)를 회전시키고, 회전에 따른 복수의 재료 캡슐(111)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그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검출부(121, 122) 각각의 검출 결과와 복수의 캡슐(111)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출부(120)를 포함한 프로세서(190)는, 복수의 재료 캡슐(111)들 각각의 재료 정보와 위치 정보 그리고 잔여 재료량 정보 등과 같은 검출 결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압부(130)는, 피스톤(131) 및 가압장치(1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131)은, Z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피스톤(13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복수의 재료 캡슐(111) 중 어느 하나의 캡슐의 상부캡(111a)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피스톤(131)은, 재료 캡슐(111)의 상부캡(111a)이 외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재료 캡슐(111) 내의 식재료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압장치(132)는, 피스톤(131)의 Z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부(140)는, 가압부(130)로 인해 압력을 받아 재료 캡슐(111)로부터 배출된 재료를 프로세서(190)의 컨트롤에 따라 베이스부(10) 상에 토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0)는, 등록된 문화재에 관한 데이터, 제 1 및 제 2 검출부(121, 122)에 의한 검출 결과 정보(실시예로, 재료 캡슐(111)에 대한 재료 정보, 위치 정보, 잔여 재료량 정보, 재료의 유통기한 정보 등), 삼차원 프린팅 실시간 진행정보, 실시간 일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60)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부(160)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려는 문화재에 대한 선택 정보, 삼차원 푸드 프린팅에 사용할 재료 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6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50)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7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처리 중 일부를 외부 장치 및/또는 외부 서버가 수행할 경우, 관련 데이터를 외부 장치 및/또는 외부 서버와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7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8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8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9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9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9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삼차원 스캐너 및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삼차원 스캐너(400) 및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는,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등과 같은 외부 서버 및/또는 외부 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실시예에서 삼차원 스캐너(400)는, 프린팅할 대상물인 문화재를 삼차원으로 스캔하여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형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형상 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는, 설계자가 3차원 모델링 툴을 통해 가상의 3차원 입체 물체로서 문화재를 설계하도록 할 수 있고, 설계된 가상의 3차원 입체 문화재를 기반으로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삼차원 스캐너(400) 및/또는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를 포함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는, 삼차원 스캐너(400)에서 출력할 대상물인 문화재를 스캔하고,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에서 문화재의 스캔 데이터를 처리하여 삼차원 문화재 도면으로 설계한 후, 설계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따라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가 해당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성형물을 프린팅함으로써,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 문화재를 실시간으로 조형할 수도 있다.
-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데이터 수집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데이터 송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데이터 수집부(21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에 기반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외부 서버 및/또는 외부 장치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 등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데이터 수집부(210)는, 외부의 웹 서버로부터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예를 들면, 문화재 이름, 위치 등),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문화재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 특산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데이터 수집부(210)에서 획득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송신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에 관련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문화재 기본정보,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 Head Mounted Display, HMD)는, 사용자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문화재에 기반한 가상현실 영상(VR: Virtual Reality)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새롭고 차별화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한쪽 또는 양쪽 눈들의 앞에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헬멧 또는 안경(eyeglasses)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메인바디(301), 메인바디(301)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디스플레이유닛(340), 센싱유닛(330), 광학유닛(303), 광학홀더(304), 하우징(305), 광간섭 방지유닛(306), 고정밴드(307)와 입력유닛(320), 통신유닛(310), 배터리(350), 저장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과 도 6에 도시된 구성들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에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여서,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바디(301) 후면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을 가리키고, 메인바디(301)의 전면은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메인바디(301)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의 단단한 구조(solid structure)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선 및 컴포넌트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내부적으로 라우팅(Routing)되기 위해 상호 연결되도록 유사한 물질의 속이 빈 구조(hollow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유닛(32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를 (on)/오프(off)하거나,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유/무선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와 연결되는 입력유닛(3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유닛(340)은, 사용자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문화재에 기반한 가상현실 영상을 3차원의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유닛(34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싱유닛(330)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등과 같은 주변정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제어부(370) 및/또는 외부 유닛과 연결시키는 회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학유닛(303)은, 광학홀더(304)에 고정되어 센싱유닛(330)과 하우징(305)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삼차원의 가상현실 영상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광학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305)은, 메인바디(301)의 개구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유닛(340), 센싱유닛(330), 광학유닛(303), 광학홀더(304) 및/또는 메인바디(301) 등을 광학적 얼라인을 유지시키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를 착용할 경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양안 사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간섭 방지유닛(306)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의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및 우안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광이 서로의 영역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밴드(307)는, 메인바디(301)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헬멧 형태, 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복수의 밴드들로 구성된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유닛(310)은,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시스템의 타 구성요소 및/또는 외부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유닛(310)은,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35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350)는, 배터리본체,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370)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360)는, 제어부(3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70)는, 전술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의 각 유닛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할 수 있다.
-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 먼저 정의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란,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의미한다.
또한, 관리자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를 관리하는 자로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또는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프린팅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프린팅하고자 하는 삼차원 문화재를 자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국사 삼층석탑 문화재 관리기관의 관리자일 경우, 해당 관리기관에서 제공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의 메인 도면을 불국사 삼층석탑 삼차원 도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항과 같은 공공기관의 관리자일 경우, 해당 관리기관에서 제공하는 문화재 푸드 프린팅 서비스의 메인 도면을 접근이 어려운 문화재 또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삼차원 문화재 도면 데이터(이하, 문화재 도면 데이터)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를 이용해 특정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성형물을 출력하기 위한 기반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삼차원 스캐너(400) 및/또는 삼차원 모델링 컴퓨터(500) 등을 이용한 다양한 삼차원 모델링 방법을 통해 생성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삼차원의 물체를 성형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는, 해당 문화재의 상태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훼손된 부분이 복구된 문화재의 삼차원 도면 데이터 업데이트 등)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기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이름 정보, 외형 이미지 정보, 위치 정보 및 이론 정보(예를 들면, 문화재의 역사적 기록 내용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문화재 기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문화재 기본정보를 외부 서버 및/또는 외부 장치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화재 기본정보를 등록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등록된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등록된 기본정보에 기반하여 자체적으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 및/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등록된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등록된 기본정보의 문화재 외형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yobi3D와 같은 외부 웹 서버로부터 등록된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등록된 각 문화재에 대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각 문화재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등록된 복수의 문화재 각각에 대하여 외부 서버 및/또는 외부 장치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 등을 통해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란, 각 문화재의 기본정보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시기별 특산물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생성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는, 제 1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1월부터 12월까지 각 시기별로 생산되는 특산물에 대한 데이터(예컨대, 1월-2월: 제 1-1 지역 특산재료, 3월-5월: 제 1-2 지역 특산재료, 6월-9월: 제 1-3 지역 특산재료, 10월-12월: 제 1-4 지역 특산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2 문화재, 제 3 문화재, …, 제 n 문화재 각각에 대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수집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수집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각 문화재에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등록된 복수의 문화재 기본정보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 및/또는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를 해당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복수의 문화재 기본정보를 해당 장치로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문화재 기본정보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문화재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예컨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등)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가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하고자 하는 특정 문화재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수신된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매칭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추출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로 송신할 수 있다. (S111, S113)
자세히,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수신된 선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하려는 특정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판정할 수 있고, 판정된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그에 매칭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문화재를 삼차원 푸드 프린팅 결과물로 원활히 출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는, 각 문화재의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각 문화재에 매칭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이용해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보조함으로써,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가 차별화된 관광 재화와 문화재별 맞춤형 삼차원 성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각 문화재의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그에 매칭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의 수집을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에서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에서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의 일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로부터 복수의 문화재 기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1)
자세히,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메모리(180)에 기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로부터 문화재 기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문화재 기본정보를 수신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복수의 문화재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문화재에 대한 선택정보를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S203)
자세히,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입력부(160)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한 복수의 문화재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하고자 하는 특정 문화재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입력받은 선택정보를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특정 문화재에 대한 선택정보를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로 송신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로부터 특정 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그에 매칭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5)
그리고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와 실시간 일시 정보를 비교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에 사용할 재료 캡슐(111)을 선정할 수 있다. (S207)
이때, 실시간 일시 정보란, 현지에서 사용되는 날짜, 시간 참조 정보를 의미한다. 즉, 연·월·일·시·분을 현지 시간으로 표시한 정보를 말한다.
또한, 재료 캡슐(111)이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캡슐부(110)에 장착되어 삼차원 프린팅을 통해 삼차원 성형물을 제작하기 위한 각종 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캡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재료 캡슐(111)은, 성형이 가능한 식재료(예컨대 초콜릿, 밀가루 반죽 등)를 베이스(Base) 재료로 하고, 해당 베이스 재료에 지역별 특산물(예컨대, 제주도일 경우에 천혜향, 마늘, 콜라비, 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경주일 경우에 토마토, 체리, 멜론, 신라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등)이 첨가되어 만들어진 지역 특산재료가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료 캡슐(111)은, 제 1 문화재인 불국사 삼층석탑이 위치한 지역인 경주의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즉, 제 1-1 지역 특산재료인 신라봉, 제 1-2 지역 특산재료인 토마토, 제 1-3 지역 특산재료인 체리, 제 1-4 지역 특산재료인 멜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베이스 재료인 초콜릿에 첨가되어 만들어진 제 1 재료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자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특정 문화재의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와 현재 일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일시에 대응되는 시기에 존재하는 특정 문화재의 지역 특산재료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제 1 문화재인 불국사 삼층석탑의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와 현재 일시(예컨대, 1월 15일, 13시)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의 결과 현재 일시에 대응되는 제 1 문화재의 지역 특산재료가 1월-2월에 해당하는 제 1-1 지역 특산재료인 신라봉임을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일시에 대응되는 특정 문화재의 지역 특산재료를 판별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해당 지역 특산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재료 캡슐(111)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검출부(120)를 통해 복수의 재료 캡슐(111)에 내장된 재료 정보를 획득하고, 판별된 지역 특산재료와 매칭되는 재료 캡슐(111)을 도출하여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시기(즉, 일시/계절)에 따른 특정 문화재의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시기별로 해당 문화재에 최적화된 맞춤형 삼차원 성형물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에 사용할 재료 캡슐(111)을 선정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판별된 지역 특산재료와 매칭되는 재료 캡슐(111)이 존재할 경우, 수신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09, S211)
여기서, 삼차원 성형정보란,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한 기반 정보로서, 프린팅할 대상물의 크기, 외형, 재료 정보, 재료 캡슐(111) 번호 및 성형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기초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한 최종적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삼차원 푸드 프린팅에 사용할 재료 캡슐(111)을 선정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판별된 지역 특산재료와 매칭되는 재료 캡슐(11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재료 캡슐(111)의 부재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S209, S213)
자세히,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필요한 재료 캡슐(111)이 없음을 알리는 알람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음향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필요한 재료 캡슐(111)이 없음을 알리는 알람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람 화면은, 필요한 재료 정보 및 재료 캡슐(111) 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캡슐 알림창(5)을 포함할 수 있고, 캡슐부(110)에 장착된 복수의 재료 캡슐(111)들의 번호 및 잔여 재료량 등을 표시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판별된 지역 특산재료와 매칭되는 재료 캡슐(11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재료 캡슐(111)의 장착을 위한 교체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필요한 재료 캡슐(111)의 부재를 알림과 동시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재료 캡슐(111)들의 잔여 재료량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잔여 재료량이 비교적 적은 재료 캡슐(111)과의 교체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삼차원 성형물이 보다 정확하고 원활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필요한 재료 캡슐(111)의 부재에 대한 알람을 출력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필요한 재료 캡슐(111)로의 교체가 수행된 경우, 수신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15, S211)
한편,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필요한 재료 캡슐(111)로의 교체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임의의 재료 캡슐(111)을 선정할 수 있다. (S215, S217)
자세히,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임의의 재료 캡슐(111)을 선정하기 위한 기설정된 기준으로 1)현재 일시와는 대응하지 않으나 해당 문화재의 지역 특산물 중 어느 하나의 지역 특산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재료 캡슐(111), 2)상기 1)의 조건을 충족하는 재료 캡슐(111)이 없을 경우, 기설정된 캡슐 번호를 가지는 재료 캡슐(111) 또는 랜덤(Random)한 방식으로 선정된 임의의 재료 캡슐(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재료 캡슐(111)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1분)이 경과한 후에도 재료 캡슐(111)의 교체가 수행되지 않을 시,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임의의 재료 캡슐(111)을 선정할 수 있고, 임의의 재료 캡슐(111)을 선정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선정된 재료 캡슐(111)과 수신한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11)
이처럼,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기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필요한 재료 캡슐(111)이 없을 때에도 해당 문화재에 가장 최적화된 재료 캡슐(111)을 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체계적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생성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프린팅을 실행하여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S219)
자세히, 도 13을 참조하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최종 생성한 삼차원 성형정보를 이용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의 대상물로 선택된 특정 문화재를 해당 문화재에 최적화된 상태로 베이스부(10) 상에 출력하여 삼차원 성형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사용자가 특정 문화재에 방문한 시기에 따라서 특정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성형물을 상이한 지역 특산재료를 사용해 제공함으로써, 해당 문화재를 포함하는 관광지에 대한 사용자의 재방문 의사를 증진시킬 수 있고, 해당 관광지 및 지역에 대한 홍보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삼차원 성형물의 프린팅을 위한 재료 캡슐(111)의 잔여 재료량 및/또는 유통기한에 기반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S221)
실시예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캡슐부(110)에 장착된 복수의 재료 캡슐(111)들 각각의 잔여 재료량이 기설정된 용량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해당 재료 캡슐(111)의 재료 충전 혹은 교체의 필요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검출부(120)를 통하여 제 1 재료 캡슐의 잔여 재료량이 기설정된 용량인 10%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제 1 재료 캡슐에 대한 재료 충전 또는 교체를 요청하는 알람을 디스플레이부(150) 및/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캡슐부(110)에 장착된 복수의 재료 캡슐(111)들 각각의 재료 유통기한 정보에 기반하여 내장된 재료의 유통기한이 만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재료 캡슐(111)의 교체의 필요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검출부(120)를 통해 제 1 재료 캡슐의 유통기한이 만료된 것을 확인한 경우, 제 1 재료 캡슐에 대한 교체를 요청하는 알람을 디스플레이부(150) 및/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재료 캡슐(11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적절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식재료를 이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이처럼,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품 재료로 삼차원 프린팅을 수행해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여행·문화·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통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각 문화재의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각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관광 재화와 문화재별 맞춤형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문화재에 대한 관광 가치와 홍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 및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로부터 특정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 및 삼차원 성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1)
상기와 같은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수신한 데이터와 정보들을 기반으로 특정 문화재와 관련된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S303)
자세히, 도 15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디스플레이유닛(340)을 통하여 특정 문화재의 이름(2) 및 특정 문화재를 삼차원의 입체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가 특정 문화재를 삼차원의 가상현실 공간에서 실감나게 체험하고 감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출력된 가상현실 영상에 기반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특정 문화재의 삼차원 성형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S305)
자세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가상현실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상현실 화면 상에서 삼차원 성형정보에 대한 변경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특정 문화재를 삼차원 푸드 프린팅할 때 사용될 성형 재료에 대한 재료변경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재료변경 입력에 기반하여 특정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성형정보의 재료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특정 문화재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문화재를 보다 적극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 방식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특정 문화재를 2차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가 사용자별 맞춤형의 삼차원 성형물을 프린팅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문화재(1)를 삼차원 푸드 프린팅 하기 위해 기설정된 성형 재료인 제 1 재료(예컨대, 제 1 문화재(1)의 해당 시기에 대응하는 지역 특산재료)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임의의 제 2 재료(예컨대,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에 내장된 복수의 재료 캡슐(111)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문화재(1)에 대한 삼차원 성형정보의 재료 및 재료 캡슐(111) 번호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특정 문화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별로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특정 문화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성형 재료의 변경을 원하는 임의의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선택한 구성요소에 대한 성형 재료의 변경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구성요소란, 특정 문화재를 기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경계선)에 따라 각각의 부분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영역을 의미한다.
자세히, 도 15를 더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문화재(1)의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제 1 구성요소(1-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①)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료 변경창(3)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재료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구성요소(1-1)의 성형 재료를 변경할 수 있다. (②)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문화재(1)의 제 1 구성요소(1-1)에 대한 사용자의 재료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문화재(1)에 대한 삼차원 성형정보의 재료 및 재료 캡슐(111)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특정 문화재를 각 구성요소별로 나누어 성형 재료를 변경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의 유일성을 가지는 문화재 관광 재화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특정 구성요소가 선택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 또는 해당 구성요소를 일부로 포함하는 특정 문화재와 관련된 퀴즈(Quiz)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구성요소에 대해 제공된 퀴즈의 정답을 맞출 경우에, 해당 특정 구성요소의 성형 재료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문화재(1)의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제 1 구성요소(1-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①)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구성요소(1-1)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되는 퀴즈를 퀴즈창(4)을 통해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퀴즈창(4)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퀴즈에 대한 답안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②)
이때, 제 1 구성요소(1-1)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되는 퀴즈는, 제 1 구성요소(1-1) 또는 제 1 구성요소(1-1)를 일부로 포함하는 제 1 문화재(1)와 관련된 퀴즈일 수 있으며, 제 1 문화재(1)의 문화재 기본정보가 포함하는 이론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퀴즈는, 객관식(예컨대, 5지 선다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된 답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답안 선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답안 선택 입력을 받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입력 받은 답안이 정답일 경우에 선택된 제 1 구성요소(1-1)의 성형 재료를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가 제 1 구성요소(1-1)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된 퀴즈의 정답을 맞출 경우에,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료 변경창(3)을 활성화할 수 있고, 활성화된 재료 변경창(3)을 통해 입력된 제 1 구성요소(1-1)에 대한 사용자의 재료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구성요소(1-1)의 성형 재료를 변경할 수 있다. (③)
그리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문화재(1)의 제 1 구성요소(1-1)에 대한 사용자의 재료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문화재(1)에 대한 삼차원 성형정보의 재료 및 재료 캡슐(111)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입력 받은 답안이 정답이 아닐 경우, 선택된 제 1 구성요소(1-1)에 대한 성형 재료의 변경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상기와 같은 퀴즈에 기반한 성형 재료의 변경 기능을 제 1 문화재(1)의 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할 특정 문화재와 관련된 가상현실 영상에서 특정 문화재의 각 구성요소별 퀴즈를 제공하고, 제공된 각 구성요소별 퀴즈의 정답 횟수에 비례하여 다양한 성형 재료를 이용해 삼차원 성형물을 프린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가 특정 문화재와 관련된 이론적 정보를 많이 습득할수록, 최종 보상으로 제공되는 특정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성형물이 보다 다양한 재료로 성형되어 고품질의 상품으로 제공되게 함으로써, 문화재에 대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차별화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특정 문화재의 삼차원 성형정보가 제공하는 외형 데이터를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제 1 문화재(1)의 제 1 구성요소(1-1)의 크기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상기 크기를 변경하는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문화재(1)의 삼차원 성형정보의 외형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가 보다 자유로운 방식으로 삼차원 성형물을 2차 저작하도록 할 수 있고, 개인에게 최적화된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황에 따라 상호 유기적으로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특정 문화재의 삼차원 성형정보를 변경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변경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07)
이때,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란, 특정 문화재에 대한 기존의 삼차원 성형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새롭게 업데이트하여 생성한 가공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기존의 삼차원 성형정보의 재료 정보를 변경하는 재료변경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재료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기존의 삼차원 성형정보의 재료 정보를 업데이트한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생성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생성된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로 송신할 수 있다. (S309)
이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와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차별화된 문화재 관광 서비스와 관광 재화를 제공할 수 있고, 문화재에 대한 홍보와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로부터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수신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수신한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실행하고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삼차원 성형 변경정보를 수신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는, 사용자별로 각기 다르게 커스터마이징된 삼차원 성형물을 기계적으로 빠르게 프린팅하여 제공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의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원활히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가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수집하고 송신하며,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가 수신한 각종 정보들을 이용해 식재료를 활용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가 수신한 각종 정보들을 기반으로 삼차원 성형정보를 업데이트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가 삼차원 문화재 도면서버(200) 및/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300)가 수행하는 일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등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문화재 도면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품 재료로 삼차원 프린팅을 수행해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여행·문화·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통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및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각 문화재의 문화재 도면 데이터와 각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관광 재화와 문화재별 맞춤형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문화재에 대한 관광 가치와 홍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문화재 도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이 어렵거나 위험한 문화재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재에 대한 관광·홍보·교육 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위한 성형 데이터를 가공 및 2차 저작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 맞춤 상품을 프린팅할 수 있는 창조적인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별 맞춤 상품을 삼차원 푸드 프린터(100)를 통해 빠르게 생산하고 제공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의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를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원활히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18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복수의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삼차원 푸드 프린팅의 결과물인 삼차원 성형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문화재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상기 삼차원 성형물의 성형 재료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성형 재료를 내장한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실행하여 상기 삼차원 성형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는,
    상기 문화재의 기본정보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가 위치하는 지역의 시기별 지역 특산물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한 정보이고,
    상기 삼차원 성형물의 성형 재료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와 현재 일시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일시에 대응되는 시기에 존재하는 상기 지역 특산물을 기반으로 상기 성형 재료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성형 재료를 내장한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이 부재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현재 일시정보와 대응하지는 않으나 상기 문화재의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지역 특산물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성형 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상기 재료 캡슐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캡슐은 상기 성형 재료인 베이스 재료와 상기 베이스 재료에 첨가된 지역 특산재료를 내장하고,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은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에 매칭된 문화재의 형상을 가지고,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에는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에 매칭된 문화재가 위치한 지역의 상기 지역 특산재료가 첨가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캡슐의 상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캡슐의 상태는,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의 장착 여부, 상기 재료 캡슐의 잔여 재료량 및 유통기한 만료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획득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에 대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삼차원 성형정보에 대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단계는,
    상기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에 기반한 삼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화재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성형 재료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7. 서로 다른 성형 재료를 내장한 복수의 재료 캡슐이 장착된 캡슐부;
    상기 캡슐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부로부터 공급된 성형 재료를 토출하는 압출부;
    상기 캡슐부 내의 성형 재료를 상기 압출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캡슐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상기 캡슐부를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재료 캡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압출부와 연결하는 캡슐부 회전 장치;
    상기 압출부를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복수의 문화재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문화재 도면 데이터 및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삼차원 푸드 프린팅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와 현재 일시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일시에 대응되는 시기에 존재하는 지역 특산물을 기반으로 상기 성형 재료를 판단해 상기 재료 캡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이 부재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현재 일시정보와 대응하지는 않으나 상기 문화재의 시기별 지역 특산재료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지역 특산물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성형 재료를 내장하고 있는 상기 재료 캡슐을 선정하고,
    상기 재료 캡슐은 상기 성형 재료인 베이스 재료와 상기 베이스 재료에 첨가된 지역 특산재료를 내장하고,
    출력되는 삼차원 성형물은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에 매칭된 문화재의 형상을 가지고,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에는 출력되는 상기 삼차원 성형물에 매칭된 문화재가 위치한 지역의 상기 지역 특산재료가 첨가되는
    상기 선정된 재료 캡슐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문화재에 대한 삼차원 푸드 프린팅 동작의 기반 정보인 삼차원 성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삼차원 성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캡슐부, 압출부, 가압부, 캡슐부 회전 장치 및 이송 장치를 제어하는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KR1020180136288A 2018-11-08 2018-11-08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6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88A KR102162140B1 (ko) 2018-11-08 2018-11-08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88A KR102162140B1 (ko) 2018-11-08 2018-11-08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15A KR20200055815A (ko) 2020-05-22
KR102162140B1 true KR102162140B1 (ko) 2020-10-06

Family

ID=7091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88A KR102162140B1 (ko) 2018-11-08 2018-11-08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1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3374A (ja) * 2009-11-27 2011-06-09 Sharp Corp 献立決定支援装置、献立決定支援システム、献立決定支援方法、献立決定支援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514821B1 (ko) * 2014-08-28 2015-04-23 성도건설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문화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문화재 정보 제공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885A (ja) * 2013-05-24 2016-09-01 ナチュラル マシー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atural Machines, Inc. 3dプリント技術を用いた食品製造装置
KR20180006833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조리 시스템
KR101940063B1 (ko) * 2016-11-30 2019-01-18 전영권 3d 인쇄 기술을 이용한 식품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3374A (ja) * 2009-11-27 2011-06-09 Sharp Corp 献立決定支援装置、献立決定支援システム、献立決定支援方法、献立決定支援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514821B1 (ko) * 2014-08-28 2015-04-23 성도건설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문화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문화재 정보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815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7368B1 (en) System for wireless devices and intelligent glasses with real-time connectivity
US116987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with precise tracking
US11095781B1 (en) Image and augmented reality based networks using mobile devices and intelligent electronic glasses
JP7382617B2 (ja) 光ナローキャスティングを用いたソーシャルメディア
AU2017202044B2 (en) A display device and content display system
US9380177B1 (en) Image and augmented reality based networks using mobile devices and intelligent electronic glasses
CN105122119B (zh) 提供影像的系统、装置、和/或方法
US20140225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software application
US20140377130A1 (en)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to provide olfactory sensations
CN110945489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CN105051648A (zh) 混合现实过滤
CA2749208A1 (en) Communication to an audience at an event
JP2010164928A (ja) 移動型広告装置および移動型広告方法
US20200387930A1 (en) Display device and content display system
US20210044795A1 (en) Light Field Display System Based Digital Signage System
KR102162140B1 (ko) 삼차원 문화재 도면을 활용하는 삼차원 푸드 프린터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Peddie Key Applications
KR101864871B1 (ko)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103426A1 (en) Messaging novelty device
Silvéria Virtual windshields: merging reality and digital content to improve the driving experience
KR20240056623A (ko) 무선 라디오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캡처하는 것에 의한 현실 증강
JP2020148861A (ja) 移動体による広告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Body The Horror of Mim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