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121A -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121A
KR20190067121A KR1020180156062A KR20180156062A KR20190067121A KR 20190067121 A KR20190067121 A KR 20190067121A KR 1020180156062 A KR1020180156062 A KR 1020180156062A KR 20180156062 A KR20180156062 A KR 20180156062A KR 20190067121 A KR20190067121 A KR 2019006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ser
recipe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황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
Publication of KR2019006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with table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상물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조리 방법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조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각 사용자의 상대 거리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에게 조리 장치 사용 가능 여부를 통보할 수 있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즉석 조리를 기다리는 동안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되,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COOKING SYSTEM HAVING COOKING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본 발명은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상물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조리 방법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조리 장치는, 외부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사용자의 정보와 관련된 광고를 표시하도록 한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국수를 증기로 익히고 기름에 튀겨서 말린 즉석 식품이다. 즉석식품으로 생산된 라면의 조리 방법은 가스나 전기 등을 열원으로 하여 냄비 등의 그릇에 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한 후 조리온도 수준으로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라면 및 스프를 첨가하여 끓이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은 라면은 최근 필수적 즉석식품이라 불릴만큼 대중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렇게 대중의 필수식품으로 자리잡은 라면은 대형식당이나 휴게소 또는 PC방 등에서도 많이 팔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2707호(라면 조리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310호(즉석 라면 조리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29047호(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등과 같은 라면 조리기가 대형식당이나 휴게소 또는 PC방 등에서 라면을 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라면 조리기와 같은 조리 장치는 미리 가열된 물을 라면 용기에 투입하여 약간의 가열로만 라면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의 조리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 장치는 라면의 조리중 발생되는 증기가 상승하면서 조리 장치상부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나 조작 패널에 맺혀 사용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유분이나 염분이 함유되어 오염된 증기가 조리 장치에 달라붙어 조리 장치가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라면 조리기의 전자 부품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2707호(라면 조리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8036호(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 한 라면 조리기)의 경우 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나, 통상 조리 장치가 간이로 설치되어 이동이 빈번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은 덕트와 같은 구성을 이동 가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2707호 '라면 조리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310호 '즉석 라면 조리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29047호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8036호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조리 용기가 놓이는 하우징, 해당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조리 용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조리대상물의 즉석 조리가 가능하고, 표시부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조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각 사용자의 상대 거리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에게 조리 장치 사용 가능 여부를 통보할 수 있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의 조리 기호를 조절할 수 있는 맞춤형 조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즉석 조리를 기다리는 동안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되,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리 장치와 외부기기를 상호 연동하여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정보와 관련된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조리대상물 및 조리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리더기 및 상기 바코드가 인식되면, 해당 바코드에 매칭된 조리 레시피를 호출하고, 호출된 조리 레시피를 기초로 상기 조리대상물을 즉석요리하는 조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대상물의 조리 레시피가 저장되는 서버 및 상기 조리 장치 및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맞춤 레시피를 제공하는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담길 조리용기가 놓이는 하우징,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수단, 상기 조리용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온수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조리 레시피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가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온수공급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온수탱크 및 상기 온수탱크의 온수를 상기 조리용기로 토출하는 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는, 복 수의 사용자 단말을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조리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광고가 저장되어 상기 조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리 장치가 위치하는 일정한 영역 내로 제1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일정한 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일정한 영역내에 이미 진입해 있는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상대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 거리에 따른 이동 시간과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는 조리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조리 시간보다 길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구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조리 시간보다 짧으면 대기 상태로 있다가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조리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구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조리 장치에 근접하게 될 때까지의 비사용 모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조리 장치에 근접하게 될 때의 조리 대기 모드,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동안의 조리 모드, 상기 조리대상물의 조리가 완료된 때의 조리 완료 모드로 나누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모드는,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맞춤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주 활동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가 타지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인근 관광지를 소개하는 맞춤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조리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바코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리 레시피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조리 레시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조리 레시피에 의해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 레시피에 재료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 재료를 반영한 취향 레시피로 조리하고, 상기 취향 레시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별로 조리 레시피를 변경하여 맞춤 레시피로 설정하고, 상기 맞춤 레시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별로 조리 레시피를 변경하여 맞춤 레시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의 바코드가 인식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맞춤 레시피를 제공받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조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정보 및 조리된 조리대상물의 레시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추천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2개의 가열수단 각각에 대응되는 온수공급수단이 별도로 구성되어 동시 또는 개별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온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수단으로 유도가열기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송풍수단이 구비되어 라면 조리중 발생되는 증기를 전방으로 불어냄으로써 증기가 조작 패널이나 표시부에 맺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조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각 사용자의 상대 거리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에게 조리 장치 사용 가능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의 조리 기호를 조절할 수 있어 개인의 기호에 따라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즉석 조리를 기다리는 동안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되,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맞춤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구매 유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 장치와 사용자의 정보 전달이 가능한 외부기기를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광고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편의 잡화점 분야, 특히 식품 조리기기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하부만 투시도로 표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전체 투시도로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전체 투시도로 표현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가 단말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광고가 포함되는 본 발명의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바코드를 인식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첨가물을 추가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광고를 수신하며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l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조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포스 연동 맞춤 광고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관광지 소개 맞춤 광고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나타난 조리 장치의 다른 조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는 주로 금속재질의 조리용기(3) 내에 수용되어 판매되는 조리대상물을 그 자체 또는 조리용기(3)에 인쇄된 바코드의 판독을 통해 바코드에 수록된 물 공급량, 조리온도, 조리시간 등의 조리정보에 따라 즉석에서 자동으로 조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는 상부면에 안착된 조리용기(3)를 가열하는 전기렌지(11)가 설치되고 하부 타측에는 정수용기(5)가 안착되는 정수대(12)가 구비되며 전기렌지(11)의 상부에는 조리용 노즐(13)이 구비되고 정수대(12)의 상부에는 정수용 노즐(14)이 구비되며 중앙 일측에는 작동버튼(15)이 구비되는 본체(미부호)와, 본체의 중앙 타측에 구비되고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3)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리더기(20)와, 본체 내에 구비되고 본체 내로 유입된 물을 정수한 후 냉각 또는 가열하여 조리용 노즐 또는 정수용 노즐로 공급하는 정수기(30)와, 본체 내에 구비되고 본체의 작동버튼(15)의 조작신호와 바코드리더기(20)로부터 판독된 조리정보에 따라 전기렌지(11) 및 정수기(3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본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부재이다.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전기렌지(11)가 설치되는데, 이 전기렌지(11)는 상부면에 안착된 조리용기(3)를 가열하여 즉석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전기렌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전기히터로 인한 위험성의 제거될 수 있도록 공지구성을 가지는 인덕션렌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리용기(3)는 인덕션렌지에 의한 조리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렌지(11)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전기렌지(11)가 구비되는 경우, 1회에 다수개의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인덕션렌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덕션회로부(11a)와, 이 인덕션회로부(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주파 자기장을 형성하는 인덕션코일부(11b)와, 이 인턱션코일부(11b)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조리용기(3)에 대한 안착지지면을 형성하는 강화유리판(11c)을 포함한다. 인덕션렌지의 작동원리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의 하부 타측에는 정수대(12)가 구비되는데, 이 정수대(12)는 차후에 설명될 정수용 노즐(14)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처리된 물이 수용되는 정수용기(5)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정수대(12)의 하부에는 통상의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정수용기(5)를 넘어 하부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는 오수용기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전기렌지(11)의 상부에는 조리용 노즐(13)이 구비되는데, 이 조리용 노즐(13)은 차후에 설명될 정수기(30)의 온수탱크(36) 내의 물을 최종적으로 조리를 위해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40)에 의해 설정된 양만큼 전기렌지(11) 상의 조리용기로 배출하는 노즐로,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정수대(12)의 상부에는 정수용 노즐(14)이 구비되는데, 이 정수용 노즐(14)은 정수대(12) 상에 안착된 정수용기(12) 내로 차후에 설명될 작동버튼(15)의 종류와 접촉 또는 가압 시간에 대응되도록 정수된 냉수 또는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의 중앙 일측에는 작동버튼(15)이 구비되는데, 이 작동버튼(15)은 조리용기(3)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의 조리의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조리시작버튼(15a)과, 정수용 노즐(14)로 접촉 또는 가압 시간동안 차후에 설명될 정수기(30)에 의해 정수처리된 냉수가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냉수토출버튼(15b)과, 정수용 노즐(14)로 접촉 또는 가압시간 동안 차후에 설명될 정수기(30)에 의해 정수처리된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온수토출버튼(15c)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의 상부에는 표시부(17)가 구비되는데, 이 표시부(17)는 차후에 설명될 바코드리더기(20)에 의해 판독된 조리정보 또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 통상의 엘시디(LCD) 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체의 후방에는 본체 내로의 외부 전원의 공급여부를 단속하는 전원스위치(18)가 별도 구비된다. 전술한 본체의 중앙 타측에는 바코드리더기(20)가 구비되는데, 이 바코드리더기(20)는 제품화된 조리대상물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신호를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40)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조리대상물이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제품화된 조리대상물에 인쇄된 바코드는 통상의 1차원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바코드도 포함하는 것은 자명하며, 본 발명에서 "바코드"라는 용어는 통상의 바코드뿐만 아니라 알에프아이디(RFID) 칩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밝혀둔다. 제품화된 조리대상물에 인쇄된 바코드는 물 투입량과 물 투입시간, 전기렌지(11)의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만 그 외 조리에 필요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코드리더기(20)는 제품화된 조리대상물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해당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정보를 판독하는 젓이라면 어떠한 형태든 무관하다.
전술한 본체 내에는 정수기(30)가 구비되는데, 이 정수기(30)는 본체 내로 유입된 물을 정수한 후 냉각 또는 가열하여 본체의 조리용 노즐(13) 또는 정수용 노즐(14)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물(원수)이 유입되는 입수관(31)과, 이 입수관(31)에 연결되어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32)와, 이 정수필터(32)에 연결되고 정수필터(32)에 의해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정수공급관(33)과, 이 정수공급관(33)에 연결되고 정수필터(32)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34)와, 정수공급관(33)에 분기 연결되고 정수필터(32)에 의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켜 정수용 노즐(14)로 제공하는 냉수탱크(35)와, 정수저장탱크(34)에 연결되고 정수필터(32)에 의해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조리용 노즐(13) 및 정수용 노즐(14)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온수탱크(36)와, 이 온수탱크(36)에 연결되고 세척 등과 같은 필요 시에 온수탱크(36) 내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온수탱크(36)를 비우는 배수관(37)을 포함한다.
정수필터(32)는 1개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물이 다단에 걸쳐 정수처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직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수필터(32)는 일반 여과막필터, 중공사막필터, 한외여과막필터, 역삼투막필터, 활성탄필터, 세라믹필터, 자외선살균필터, 광촉매필터, 이온교환수지필터 등 모든 종류의 정수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냉수탱크(35)는 냉매코일관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통상의 정수기의 냉수조에 해당하고 온수탱크(36)은 내부에 가열히터관이 삽입되는 통상의 정수기의 온수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온수탱크(36)는 82℃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당 온도는 별도 설정 또는 조정가능하다.
또한 냉수탱크(35)는 냉수관로(35a)에 의해 정수용 노즐(14)과 연결되는데, 이 냉수관로(35a) 상에는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밸브(35b)가 설치된다.
또한 온수탱크(36)는 온수관로(36a)에 의해 정수용 노즐(14)과 연결되고 조리용수관로(36c)에 의해 조리용 노즐(13)에 연결되는데, 온수관로(36a) 상에는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밸브(36b)가 설치되고 조리용수관로(36c) 상에는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는 제 3 밸브(36d)가 설치된다.
전술한 본체 내에는 컨트롤러(40)가 구비되는데, 이 컨트롤러(40)는 본체의 작동버튼(15), 즉 조리시작버튼(15a), 냉수토출버튼(15b) 및 온수토출버튼(15c)의 조작신호와 바코드리더기(20)로부터 판독된 조리정보에 따라 전기렌지(20) 및 정수기(3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의 전체 작동을 위한 제어알고리즘에 따라 설계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러(40)에는 바코드리더기(20)에 의해 스캐닝되는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카운터에 의한 신호는 표시부(17)로 전달되어 표시부(17)에 카운팅된 숫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40)에는 유무선 통신망이 연결될 수도 있다. 유무선 통신망이 연결되면, 컨트롤러(40)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또는 하드디스크에 콘텐츠를 저장한 후에 광고 콘텐츠를 표시부(17)를 통해 구동하거나 이벤트 등을 표시하는 등 콘텐츠의 관리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체의 전기렌지(11)의 상부면, 즉 강화유리판(11c)의 상부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조리용기(3)가 알루미늄 박판으로 제조되고 전기렌지(11)가 인덕션렌지로 구성되는 경우 인덕션 가열시 조리용기(3)에 상당한 진동이 발생되어 조리용기(3)가 강화유리판(11c)의 상부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는데, 미끄럼방지패드(50)는 이와 같은 조리용기(3)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내열성 실리콘, 내열성 우레탄, 내열고무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체의 전기렌지(11) 및 정수대(12)의 상부 후방면에는 용기유무감지센서(60a, 60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유무감지센서(60a)는 전기렌지(11)에 대한 조리용기(3)의 안착 유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로 제어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컨트롤러(40)로 하여금 조리용기(3)가 전기렌지(11) 상에 안착된 경우에만 조리용 노즐(13)을 통해 물이 토출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근접센서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유무감지센서(60b)는 정수대(12)에 대한 정수용기(5)의 안착유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로 제어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컨트롤러(40)로 하여금 정수용기(5)가 정수대(12) 상에 안착된 경우에만 정수용 노즐(14)을 통해 물이 토출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용기유무감지센서(60a)와 마찬가지로 근접센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제품화된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만 바코드리더기(20)에 근접시킨 후 조리대상물을 조리용기(3)에 넣고 전기렌지(11) 상에 올려둔 다음 작동버튼(15)만 누르기만 하면,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정보, 즉 물 투입량과 물 투입시간, 전기렌지(11)의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등이 컨트롤러(40)에 자동으로 설정되어, 해당 조리정보에 맞게 조리용 노즐(13)을 통해 조리용기(3) 내로 최적량의 온수가 투입되고 전기렌지(11)에 의해 최적 조리온도로 최적 조리시간동안 조리용기(3)가 가열됨에 따라 조리대상물이 즉석에서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의 경우에는, 본체 내로 유입된 물을 정수한 후 냉각 또는 가열하여 조리용 노즐(13) 또는 정수용 노즐(14)로 공급하는 정수기(30)가 본체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정수기(30)에 의해 정수된 물이 조리용수로 제공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조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버튼(15) 중 조리시작버튼(15a)를 제외한 냉수토출버튼(15b) 및 온수토출버튼(15c)과 정수용기(5)를 안착시키는 정수대(12)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정수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의 경우에는, 본체의 전기렌지(11)가 인덕션렌지로 구성될 경우 그 상부면에 내열성 실리콘, 내열성 우레탄, 내열고무재로 제조되는 미끄럼방지패드(50)가 부착됨에 따라 알루미늄 박판으로 제조되는 조리용기(3)의 인덕션 가열시 발생되는 조리용기(3)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조리용기(3)가 전기렌지(11) 상에서 미끄러지는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의 경우에는, 본체의 전기렌지(11) 및 정수대(12)의 상부 후방면에는 용기유무감지센서(60a, 60b)가 구비되어 조리용기(3) 또는 정수용기(5)가 안착된 경우에만 물이 토출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물의 소비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그에 따른 조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취향대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레시피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조리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고, 조리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전송된 경우, 사용자의 조리 레시피 정보를 조리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을 인식하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조리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 레시피 정보에 따라 조리대상물에 정수된 물을 공급하고, 조리대상물에 가하는 열의 세기와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이다.
조리 장치가 설치된 위치는, 조리 장치에 연결되는 수도시설, 전기시설이 구비된 장소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일반 소매점, 편의점, 휴게소, 마트 등을 들 수 있다.
휴대용 단말과 같은 외부기기와 또 다른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이란, 개인이 들고 이동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단말를 의미하며, 그 중의 한가지 예로 스마트폰을 들 수 있다.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주소, 사무소, 관심사 등의 개인정보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조리대상물을 개인의 취향에 따라 물의 양, 조리시간, 향신료 첨가 여부, 피하거나 넣지 말아야 할 성분 등에 관한 조리기호를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서버란,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기능적인 단위를 의미하는 것이고, 특별히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을 인식하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인식부,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조리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물을 정수하여 조리대상물에 공급하는 물 공급부, 조리대상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부 및 조리 레시피 정보에 따라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물 공급부의 물 공급량, 가열부의 출력 및 상기 가열부의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덧붙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서버로 수신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는 조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구매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수신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단말과 서버 간에 이루어지며, 단말의 위치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거나,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WiFi), 3G 또는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및 근거리 위치인식 기술(비콘, Beacon)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위에 열거된 수단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그 밖에 위치전송이 가능한 기술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위치전송 수단을 복수개로 조합하여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조리 장치 자체에 통신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조리 장치가 직접적으로 위치정보를 주고받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서버로 수신되면, 서버는 조리 장치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근방에 위치하는 조리 장치를 선별할 수 있다. 선별된 조리 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 근방의 조리 장치가 결정되면, 사용자에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정보의 전송은 서버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조리 장치 자체에 구비된 통신수단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정보라 함은, 사용자를 조리 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유도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할인정보, 이벤트 정보, 묶음판매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구매정보가 전송되는 것은 사용자의 위치를 독립변수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근방의 조리 장치가 결정되고, 구매정보가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 장치가 단말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조리 장치에 자신을 인식시켜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을 인식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통신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조리 장치에는, 단말 인식부로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 또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의 NFC 기능을 활성화시켜 조리 장치의 인식모듈에 스마트폰을 가까이하여 인식시킬 수 있다.
도 6은 광고가 포함되는 본 발명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광고주로부터 영상 광고, 음향 광고, 할인행사 광고 및 제품 이벤트 광고를 받아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광고를 사용자 정보와 연관시켜, 사용자와 관련된 광고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광고를 재배열하여 광고-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버에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광고-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조리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광고를 내보낼 수 있으므로,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유치할 수 있다. 광고의 대상은 제한이 없을 것이고, 광고의 종류는 영상 광고, 음향 광고, 영상과 음향이 결합된 광고, 할인행사 광고 및 제품 이벤트 홍보 등 다양한 종류의 광고가 가능하다. 또한 터치가 가능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간단한 게임을 이용한 이벤트 광고 등을 유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광고가 서버에 저장되면, 미리 구축된 사용자-데이터베이스와 연관 지어 광고를 재배열할 수 있다. 개인마다 관심 있는 광고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광고를 표시부에 선별적으로 재생하여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주소, 사무소, 관심사 등의 개인정보와 관련이 높은 광고들을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에 맞춰 재생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재생순서나 재생빈도를 달리하여 각 광고마다 단가를 달리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광고의 재생순서를 엮어, 각 사용자에 맞춘 광고-데이터베이스를 서버에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조리 장치와 서버를 통합 제어하여 상술한 광고의 선별 및 재배열 등을 관리하는 메인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바코드를 인식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조리 장치는,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대상물의 조리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 레시피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 및 바코드에 수록된 조리 레시피 정보와 서버로부터 수신한 조리 레시피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상충되는 부분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조리 레시피 정보에 따르도록 연산하여 조리 레시피 정보를 정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연산된 조리 레시피 정보에 따라 물 공급부와 가열부를 조절한다.
조리대상물에는 제품 바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므로, 조리 장치는 제품 바코드를 통해 조리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바코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에는 조리방법, 조리 예 등이 포함된다. 조리 장치가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과 제품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에는 선후가 중요하지 않으며, 각각이 인식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조리 장치가 사용자를 인식하게 되면, 서버를 통해 미리 구축된 사용자-데이터베이스가 조리 장치로 전송된다. 조리 장치에는 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있고, 수신된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조리기호와 제품 바코드를 통해 인식된 조리방법을 조합하게 된다. 조합의 실시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제품 바코드의 조리방법을 따르되, 사용자의 조리기호와 상반되는 부분이 있으면, 사용자의 조리기호를 우선으로 하여 조리방법을 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품 바코드의 실시예에서는, 조리대상물에 물을 300cc를 붓고, 5분간 가열한 후 스프를 넣을 것을 제시하는데, 사용자의 조리기호는 조리대상물에 물을 250cc를 붓고 4분30초간 가열하고 스프를 넣는 것으로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면, 조리 장치는 조리대상물에 물을 250cc를 붓고 4분30초간 가열하고 스프를 넣는 것으로 조리방법을 조합하여 조리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바코드를 이용하여 레시피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레시피 정보가 사용자 조리 정보와 다른 부분이 있다면 조리 장치는 표시부에 이를 나타내고 사용자에게 어느 정보를 이용하여 조리할 것인지 물어볼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조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조리 정보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첨가물을 추가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조리 장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리대상물에 첨가물을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조리 레시피 정보에 따라 첨가물을 조리대상물에 넣거나 넣지 않도록 조절한다.
도 10은 광고를 수신하며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조리 장치가 사용자를 인식하게 되면, 서버를 통해 미리 구축된 광고-데이터베이스가 조리 장치로 전송된다. 조리 장치에는 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있고, 수신된 광고-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재생순서에 따라 표시부를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동안, 조리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광고 또는 이벤트를 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l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는 라면이 담긴 조리용기(V)가 투입되면 그 조리용기(V) 미리 가열된 물을 붓고 가열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라면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는 하우징(111), 가열수단(120), 온수공급수단(130), 송풍수단(140), 조작패널(150), 표시부(160) 및 제어수단(17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1)은 가열수단(120), 온수공급수단(130), 송풍수단(140) 및 제어수단(170) 등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조작패널(150) 및 표시부(160)가 장착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은 상방으로 세워진 몸체부(111a)와 그 몸체부(111a)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평평한 평면을 갖도록 돌출된 지지부(111b)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L’자형 형상을 갖는다. 몸체부(111a)와 지지부(111b) 의 내부에는 다른 구성이 수용되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타워형으로 세워진 몸체부(111a)의 내부 공간에는 온수공급수단(130), 송풍수단(140) 및 제어수단(170)이 수용되어 설치되고, 그 전면 상부에는 조작패널(150)과 표시부(160)가 장착되며, 조작패널(150)과 표시부(160의 하부에 위치되게 토출부(113)가 지지부(111b)의 상부에 위치되게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조작패널(150)과 표시부(160)가 장착되는 몸체부(111a)의 전면 상부는 상방으로 진행할수록 후방으로 후퇴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의 전면에서 조작패널(150)과 표시부(160)를 용이하게 바라보면서 손으로 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몸체부(1lla)의 전면 상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하부에서 조리되는 라면의 증기가 상승되더라도 조작패널(150)과 표시부(160)에 곧바로 충돌되지 않게 된다.
표시부(160)의 하부에 위치된 토출부(113)에는 온수공급수단(130)에 구비된 토출관(134)의 토출구(134a, 134a')가 하방을 향하게 설치되어 그 토출구(134a, 134a')로부터 토출된 온수가 지지부(111b)의 상부에 놓인 조리용기(V)의 상부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열수단(120)이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이 지지부(111b)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고 그에 대응되어 각각에 온수탱크(131, 131')가 구비된 온수공급수단도 한 쌍(130, 13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은 토출구(134a, 134a') 한 쌍이 토출부(113)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몸체부(1ll)에는 토출부(113) 아래의 위치에서 송풍구(114)가 형성된다.
송풍구(114)를 통하여 송풍수단(140) 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하우징(111)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되며, 그 분사된 공기는 조리용기(V)에서 상승되는 증기를 몸체부(1ll)의 전방으로 불어내게 된다.
지지부(111b)는 내부에 가열수단(120)이 수용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가열수단(120)의 상부에 조리용기(V)가 위치되게 조리용기(V)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지지부(111b)의 상부는 가열수단(120)을 커버하면서 그 가열수단(120)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전자유도파와 같은 에너지가 투과되거나 전달되도록 하고, 조리용기(V)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123)로 커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수단(120)이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에 따라 지지부(111b)의 상부에 설치된 강화유리(123)에는 한 쌍의 화구(123a, 123a')가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비된다.
한편, 지지부(111b)의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중간 정도의 위치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파지홈(111b')이 형성되어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의 운반시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열수단(120)은 지지부(111b)의 상부에 투입된 조리용기(V)의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열수단(12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지지부(111b)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열수단(120)에는 유도가열 방식의 유도가열기(121)가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유도가열기(121)를 이용함으로써 가열수단(120)이 지지부(111b)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가 가능해지며 그에 따라 안전성이 확보된다.
한편, 가열수단(120)에는 전기 발열 방식의 전열기(122)가 구비되어 유도가열기(121)를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도가열기(121)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는 강화유리(123)를 통과하여 조리용기(V)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전열기(122)에 의해 발생된 열은 강화유리(123)의 열전도에 의해 조리용기(V)로 전달된다. 가열수단(120)의 작동은 제어수단(170)에 의해 제어된다.
온수공급수단(130)은 급수된 물을 가열하고, 그 가열된 물을 저장하였다가 조리용기(V)로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온수공급수단(130)은 온수탱크(131), 급수펌프(132), 급수개폐밸브(133), 토출관(134), 제 1 및 제 2 토출개폐밸브(135a, 1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수탱크(131)는 내부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온수탱크(131)의 내부에는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며, 유입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기(도면에 미도시) 및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수위감지기는 온수탱크(131)로 물이 유입되어 넘치지 않도록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 감지기와 온수탱크(131)에서 물이 배출되어 일정 이하의 수위가 되는 경우 그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 감지기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온수탱크(131)는 하부에 입구수(131a)가 구비되어 그 입수구(131a)는 물을 온수탱크(131)로 펌핑하는 급수펌프(132)로 이어지고, 하부에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131c)가 구비되어 그 출수구(131c)는 온수를 조리용기(V)로 토출하는 토출관(134)에 연결된다.
온수탱크(131)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13lb)가 구비되어 물이 온수탱크(131)를 넘치는 경우 그 넘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온수탱크(131)의 내부에서 물이 가열되는 경우 압력이 증가하는데 오버플로우(131b)는 그 증가된 압력이 해소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외부의 물은 급수입수관(133a)으로 공급되는데 그 급수입수관(133a)으로 유입된 물은 급수개폐밸브(133a)를 통해 급수펌프(132)에 의해 펌핑되어 온수탱크(131)로 공급된다.
토출관(134)은 온수탱크(131)에서 가열되어 저장된 온수를 토출부(113)에 구비된 토출구(134a, 134b')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토출관(134)에는 온수의 토출을 차단하고 개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토출개폐밸브(135a, 135b)가 구비된다.
제 1 및 제 2 토출개폐밸브(135a, 135b)는 조리용기(1V)로 온수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개방되어 온수탱크(131)에서 토출구(134a, 134a')로 온수가 흐르게 된다. 한편, 토출관(134)을 개폐하는 토출개폐밸브는 한 개만 구비되어 질 수 있다.
그런데, 도면에는 토출개폐밸브가 제 l 및 제 2 토출개폐밸브(135a, 135b)로 한 쌍이 구비되어 직렬로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토출개폐밸브의 고장으로 온수가 쏟아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토출개폐밸브(135a, 135b) 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온수탱크(131)에서 온수가 쏟이지는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한다,
송풍수단(140)은 몸체부(111a)에 구비되어 조리용기(V)상부에서 몸체부(111a)의 전방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조리용기(V)의 상부로 상승하는 증기가 몸체부(111a)를 포함하여 다른 구성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면과 같은 상품 조리시 발생된 증기에는 유분이나 염분이 함유되어 그 증기가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은 기름으로 오염되거나 부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송풍수단(140)에 의해 라면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를 전방으로 불어 내어 버림으로써 그 증기가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의 구성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송풍수단(140)은 몸체부(111a)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14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송풍팬(141)이 몸체부(111a)의 내부 공기를 송풍구(114)를 통하여 조리용기(V)의 상부로 송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팬(141)이 몸체부(111a)의 내부에 수용되어 그 내부 공기를 외부로 송풍함으로써 상술한 증기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기능뿐만 아니라 몸체부(111a) 내부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몸체부(111a)의 내부에는 온수탱크(131)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탱크(131)에서 방열된 열에 의해 몸체부(111a)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데, 그 온도의 상승은 몸체부(111a)의 내부에 수용 설치된 전기 부품(1예를 들어, 급수펌프(132), 밸브류(133, 135a, 135b), 제어수단(170) 등)의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송풍수단(140)은 몸체부(111a)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함으로써 몸체부(111a)의 내부가 냉각되게 된다.
한편, 송풍수단(140)도 한 쌍의 가열수단(120)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별도로 작동된다.
조작패널(150, 150')은 가열수단(120) 및 온수공급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151, 151'), 그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등이 구비된 구성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열수단(120)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중앙의 표시부(17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표시부(160)는 미리 저장되거나 통신망(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영상이나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의 작동 상태에 관한 화상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표시부(160)는 단순히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의 출력과 함께 터치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제어수단(170)은 가열수단(120)이나 온수공급수단(130)과 같이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1)의 다양한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수단(170)에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1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71)와, 가열수단(172)의 작동과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17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서 도면부호 '173'은 전력공급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수단(170)은 온수탱크(131)에 구비된 수위감지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온수탱크(131)로 물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급수펌프(132) 및 급수개폐밸브(133)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수단(170)은 온수탱크(131)에 구비된 온도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전기히터(도면에 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조리용기(V)를 지지부(111b)의 상부로 투입하고 조작패널(150, 150')을 통해 조리 메뉴, 조리 방법, 조리 시간, 온수 공급량 등을 선태하여 조리를 요청하면 제어수단(170)은 온수가 토출관(134)을 통해 조리용기(V)로 공급되도록 제 1 및 제 2 토출개폐밸브(135a, 135b)의 작동을 제어하며,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진 다음 라면을 조리하도록 가열수단(1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코드 리더기 또는 단말 인식부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조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미부호)이 조리 장치(100)가 위치하는 장소(예를 들면, 편의점) 근방으로 접근하게 되어 구매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한꺼번에 다수의 사용자가 편의점에 방문하게 되면 먼저 방문한 사용자가 조리 장치(100)를 이용하는 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는 대기하게 되며, 대기 시간이 길수록 구매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의도와 달리 오히려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남기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특정 조리 장치(100)가 위치하는 장소에 근접하더라도 곧바로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차를 두고 구매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조리 장치(100)는 일정한 영역 내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지 판단한다(S100).
일정한 영역은 예를 들면 조리 장치(100)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가 위치하는 장소가 편의점과 같은 경우 각 편의점이 담당하는 구역 또는 각 편의점에 할당된 구역이 일정한 영역이 될 수도 있다.
단계(S1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300)이 일정한 영역 내로 진입하면 조리 장치(100)는 이미 일정한 영역 내로 진입하여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상대 거리를 계산한다.
앞으로 사용자 단말(A)은 신규로 진입한 것을 의미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B)은 이미 진입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 장치(100)와 다른 사용자 단말(B) 사이의 제1 거리와 조리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A) 사이의 제2 거리의 차이를 상대 거리로 하여 계산한다.
사람의 걸음걸이로 상대 거리를 이동하는 시간과 조리 장치(100)에서 조리 대상물이 조리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상대 거리에 따른 이동 시간이 조리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S110), 판단 결과 그러하다고 판단하면 조리 장치(100)가 위치한 위치 정보 및 이벤트 광고 정보 등 구매 정보를 사용자 단말(A)에 전송한다(S130).
단계(S110)에서 상대 거리에 따른 시간이 조리 시간보다 작으면, 즉, 선진입한 사용자가 조리 장치(100)에 도달하여 조리가 끝나기 전에 후진입한 사용자가 조리 장치(100)에 도달한다고 판단하면 다른 사용자 단말(B)과의 상대 거리가 조리 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구매 정보를 사용자 단말(A)에 전송하지 않고 대기한다(S120).
물론 선진입된 다른 사용자 단말(B)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A)이 일정한 영역 내로 진입하면 곧바로 구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거리와 상대 거리는 직선적인 길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길을 따라 조리 장치(100)가 위치하는 곳을 방문할 것을 감안하면 직선적인 길이와 달리 길을 따라 가는 경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조리 장치(100)는 조리 장치(100)가 위치한 곳 주위의 지도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지도 정보에 대응시켜 사용자 단말(300)과의 거리 또는 경로에 따른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조리 장치(100)가 단계(S100) 내지 단계(S130)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조리 장치(100) 대신 또는 부분적으로 조리 장치(100)와 함께 서버(200)가 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16를 참고하여 조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이 조리 장치(100)에 접근하기까지 비사용 모드로서 광고 모드로 있게 된다. 이때 조리 장치(100)는 표시부(160)에 광고 또는 홍보와 관련된 콘텐츠를 표시한다.
조리 장치(100)는 미리 조리 장치(100) 내에 저장해두고 있는 영상 광고, 음향 광고, 할인 행사 광고 및 제품 이벤트 광고를 표시부(16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광고주로부터 직접 또는 서버(200)로부터 이들을 전송받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이 조리 장치(100)에 근접하게 되면 조리 장치(100)의 사용자 단말 인식부가 사용자 단말(300)을 인식하게 되고 조리 장치(100)는 조리 대기 모드로 돌입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조리 장치(100)에 접근하여 작동 버튼(150)을 누를 때 조리 대기 모드로 돌입할 수도 있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과 대응되는 사용자의 조리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리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조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기 시작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 모드로 돌입한다. 조리 장치(100)는 조리 모드에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함과 동시에 사용자 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선별하여 표시부(160)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간단한 게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조리 시간은 대략 2~5분 정도이므로 그 동안 사용자 관련 광고로 전환되거나 간단히 즐길 수 있는 게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 운영자는 조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비사용 모드이거나 조리 모드일 때 광고를 내보낼 수 있으므로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유치할 수 있다.
조리 대상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 장치(100)는 조리 완료 모드로 돌입하게 된다. 조리 완료에 따라 이벤트 정보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고 이벤트 쿠폰을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그런 후 조리 장치(100)는 다시 비사용 모드인 광보 모드로 진입하며,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포스 연동 맞춤 광고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관광지 소개 맞춤 광고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따른 광고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과 같은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따른 맞춤 광고 표시가 가능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 없이도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맞춤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의점은 제품 계산시 사용자의 정보를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점원이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와 같은 정보를 포스(POS) 단말기에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포스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과 같이 외부기기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사용자에 따른 맞춤 광고는 조리 장치가 편의점에 설치된 경우, 포스 단말기와 연동되어 포스 단말기에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포스 연동 맞춤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조리 장치와 포스 단말기는 상술한 서버를 포함하여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포스 단말기로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포스 단말기를 통한 맞춤 광고는, 구매의사가 있는 사용자의 정보가 포스 단말기를 통해 조리 장치에 입력(S1100)된다. 사용자 정보와 함께 구매한 상품의 정보도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조리 장치는 바코드 리더기에서 인식되는 상품과 포스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품이 일치하는지 비교(S1200)하여, 포스 단말기를 통해 미리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조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와 관련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분석(S1300)한다.
포스 단말기에 입력되는 연령대에 따른 조리 장치의 맞춤 광고는 다음과 같이 선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된 연령대가 성인이며, 시간이 낮 또는 오후인 경우, 가공식품, 도시락, 커피, 피로회복제 등과 관련된 광고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저녁인 경우에는 주류, 숙취음료 등과 관련된 광고가 우선적으로 표시(S1400)될 수 있다.
반면, 입력된 연령대가 청소년이며, 시간이 낮 또는 오후인 경우, 과자류, 우유, 음료, 학원 등의 광고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시간이 저녁인 경우에도 낮 또는 오후의 광고가 표시되되, 필요에 따라 공익 광고(흡연, 자살, 음주, 마약)가 우선적으로 표시(S1400)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조리 대기 모드일 때, 포스 단말기로 입력된 사용자 가 외국인일 경우, 포스 단말기로 판매 완료된 조리대상물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조리대상물의 조리 정보를 외국어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리 장치(100)의 바코드 리더기로 인식된 조리대상물의 조리 정보 출력도 가능하다. 외국인에 대한 광고는 조리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와 인접한 관광지에 대한 소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광고 모드의 광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주 거주지 또는 국적 정보에 따라 관광지 소개 맞춤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와 사용자의 주 활동 위치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표시부(160)는 편의점이 위치한 지역의 관광지를 소개하는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서울에 거주하는 사용자 또는 외국인이 부산에서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조리 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타지인으로 판단(S2100)하여 부산의 관광지를 소개하는 광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광고를 통해 관광지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관광지 소개 광고는 사용자의 선택(S2200)에 따라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광지 소개 광고를 확인 할 것을 선택하면, 관광지 소개가 표시부에 재생되며, 사용자가 관광지 소개 광고를 거부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광고가 표시(S2300)된다.
또한, 조리 장치(100)는 조리 대기 모드일 때, 단말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외국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바코드 리더기에 인식된 조리대상물의 조리 정보를 외국어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외국인인 것으로 판단되나 바코드 리더기의 인식 없이 용기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편적인 조리방법 또는 바코드 리더기에 조리대상물을 인식 할 것을 권하는 메시지가 표시부(16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상술한 조리 장치(10, 100)의 구성 및 바코드를 통한 조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조리 장치의 조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1은 도 19에 나타난 조리 장치의 다른 조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바코드 리더기), 조리 장치(400), 서버(500) 및 외부기기(600)를 포함한다.
바코드 리더기(300)는 조리대상물(미도시) 및 조리용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조리 장치(400)와 별도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조리 장치(4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조리용기의 바코드는, 조리대상물을 판매한 판매자 또는 조리대상물을 구매한 구매자가 부착할 수 있다.
조리 장치(400)는 바코드 리더기(300)에서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기초로 매칭되는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레시피를 호출하여 해당 조리 레시피를 기초로 조리한다.
조리 레시피는,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방법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라면과 같은 조리대상물에 명시되어 있는 조리 방법이 기본 조리 레시피로 호출된다.
일 예로, 조리대상물에 물을 300cc를 붓고, 5분간 가열한 후 스프를 넣을 것을 제시하는 조리 방법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조리 방법은 조리대상물에 유형에 따라 상이하므로 조리 레시피는 바코드 판독에 따라 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 레시피는 서버(500) 및 조리 장치(4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버(500)에 저장된 조리 레시피는 복 수대로 설치되는 조리 장치(400) 모두에 기저장된 조리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 장치(400)는 통신모듈(미도시)를 포함하여, 서버(500) 및 외부기기(600) 중 어느 하나와 연동이 가능하다.
조리 장치(400)에도 조리 레시피를 저장하는 것은, 서버(500) 또는 외부기기(600)와 연동하여 조리 장치(4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본 조리 레시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외부기기(600)는, 조리 장치(4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미도시) 및 조리 장치(4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미도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앱(APP)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입맛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맛 정보는 조리대상물별로 입력할 수 있다.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데 있어 투입되는 물 용량, 첨가제량, 선호추가재료, 면상태 등과 같은 조리재료 또는 짠맛, 매운맛, 싱거운 맛 등과 같은 선호맛이 될 수 있다.
첨가제는 스프와 같은 조리대상물의 맛을 대표하는 재료를 의미하며, 선호추가재료는 파, 달걀, 고추 등과 같은 맛을 보조하는 재료를 의미하고, 면상태는 가열에 의한 면이 익은 정도를 의미한다.
외부기기(600)는 사용자의 정보 및 입맛 정보를 서버(500) 및 조리 장치(400)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입맛 정보는 사용자의 맞춤 레시피로 생성되며, 맞춤 레시피를 이용한 조리대상물의 조리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자는 앱을 통해 조리 장치(400)의 기기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리 장치(400)는,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기기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의 앱을 통해 조리 장치(400)의 고장 유무, 사용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조리 장치(400)는, 부품 및 기능 중 부품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오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오류 확인은 제어부에서 수행한다.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 단말로 수신된 오류정보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 진동 및 알림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기기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기기상태정보는 조리 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부품별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전 오류발생 시점부터 현재 오류발생 시점까지의 각 부품의 정상동작시간을 포함하는 부품별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부품별 상태정보는 관리자 단말, 서버(500) 및 조리 장치(4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부품별 상태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부품별 수명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조리 장치(400)를 관리하는데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일 예로, 가열수단(미도시)의 고장으로 가열수단을 교체한 경우, 조리 장치(400)는 이전에 가열수단을 교체했던 제1 시점부터 새로 교체한 제2 시점까지의 제1 정상동작시간을 생성한다.
추후 다시 교체를 진행하게 될 경우, 제2 시점부터 새로 교체한 제3 시점까지의 제2 정상동작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조리 장치(400)는 제1 정상동작시간 및 제2 정상동작시간을 통해 평균적으로 사용을 하는 평균정상동작시간을 각 부품별로 생성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해당 평균정상동작시간을 확인하여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
조리 장치(400)는, 바코드 인식만을 통해 조리대상물의 조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기기(600)와의 연동을 통해 조리대상물의 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바코드 인식만을 통한 조리대상물 조리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의 바코드가 인식(S200)되면, 바코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리 레시피를 표시부(410)에 출력(S210)한다.
사용자는 표시부(410)에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 레시피를 선택(S220)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본 조리 레시피를 선택하는 경우, 조리 장치(400)는 해당 조리 레시피를 기초로 조리대상물 조리를 실행(S240)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기본 조리 레시피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입맛 정보를 기초로 레시피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조리 장치(400)는 해당 취향 레시피를 기초로 조리대상물 조리를 실행(S230)한다.
조리 장치(400)가 서버(500)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조치 장치는 서버(500)에 취향 레시피를 전송(S250)할 수 있다.
서버(500) 및 조리 장치(400) 중 어느 하나는 취향 레시피를 수집하여 조리대상물별로 선호도가 높은 추천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천 레시피는 취향 레시피에 투입되는 각 조리재료의 양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장치(400)는 외부기기(600)와의 연동을 통해 조리대상물의 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외부기기(600)와의 연동을 통한 조리대상물 조리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의 바코드가 인식(S300)되면, 바코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리 레시피를 표시부(410)에 출력할 수 있다.
조리 레시피는, 사용자가 외부기기(600)로 설정한 맞춤 레시피도 포함되며, 조리 장치(400)는, 외부기기(600)의 신호를 통해 맞춤 레시피 확인(S310)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외부기기(600)를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하지 않을 경우, 조리 장치(400)는, 전술한 기본 조리 레시피 또는 취향 레시피가 적용되어 조리대상물을 조리(S350)할 수 있다.
외부기기(600)로 조리 장치(400)에 맞춤 레시피를 확인시키는 것은 근거리 통신, 기기번호입력, 기기코드스캔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조리 장치(400)에 구성된 통신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기기번호입력은 조리 장치(400)에 부여된 고유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기코드스캔은, 조리 장치(400) 일측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조리 장치(400)는 맞춤 레시피가 확인(S310)되면, 바코드에 인식된 조리대상물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대상별로 설정한 레시피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410)에 제공된 맞춤 레시피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조리 장치(400)는 맞춤 레시피로 조리대상물을 조리(S340)하며, 만약, 사용자가 맞춤 레시피에서 재료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맞춤 레시피를 적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S330)한다.
조리 장치(400)는, 변경된 맞춤 레시피를 서버(500) 및 외부기기(600) 중 어느 하나에 전송(S36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 및 레시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추천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버(500)는, 외부기기(600)를 통해 조리 장치(400)를 이용한 사용자의 정보 및 조리된 조리대상물의 레시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이 될 수 있으며, 레시피 정보는 취향 레시피, 맞춤 레시피가 될 수 있다.
서버(500)는, 수집된 각 정보를 기초로 조리 장치(400)의 표시부(410)에 추천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추천 레시피를 선택하는 경우, 조리 장치(400)는 추천 레시피를 적용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서버(500)는 추천 레시피를 외부기기(600)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추천 레시피를 참고하여 자신이 맞춤 레시피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은, 반복적으로 소비되는 조리대상물을 파악하여 해당 조리대상물에 대한 광고를 표시부(410)에 출력할 수 있다.
조리대상물의 소비수량정보는 서버(500) 및 조리 장치(400)의 바코드 인식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소비수량정보를 통해 해당 조리대상물에 대한 광고를 출력하는 것은 조리 시스템의 광고 방법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 11 : 전기렌지
11a : 인덕션회로부 11b : 인덕션코일부
11c : 강화유리패널 12 : 정수대
13 : 조리용 노즐 14 : 정수용 노즐
15 : 작동버튼 17 : 표시부
18 : 전원스위치 20 : 바코드리더기
30 : 정수기 31 : 입수관
32 : 정수필터 33 : 정수공급관
34 : 정수저장탱크 35 : 냉수탱크
35a : 냉수관로 35b : 제 1 밸브
36 : 온수탱크 36a : 온수관로
36b : 제 2 밸브 36c : 조리용수관로
36d : 제 3 밸브 37 : 배수관
40 : 컨트롤러 50 : 미끄럼방지패드
60a, 60b : 용기유무감지센서
100 :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
111 : 몸체부 112 : 지지부
113 : 토출부 114 : 송풍구
120 : 가열수단 121 : 유도가열기
122 : 전열기 123 : 강화유리
130 : 온수공급수단 131 : 온수탱크
132 : 급수펌프 133 : 급수개폐밸브
134 : 토출관
135a, 135b : 제1, 2 토출개폐밸브
140 : 송풍수단 141 : 송풍팬
150, 150' : 조작패널 151, 151' : 입력패널
160 : 표시부
170 : 제어수단 171 : 주제어부
172 : 가열 제어부
200 : 서버
300 : 바코드 리더기
400 :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
410 : 표시부
500 : 서버
600 : 외부기기

Claims (12)

  1. 조리대상물 및 조리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리더기; 및
    상기 바코드가 인식되면, 해당 바코드에 매칭된 조리 레시피를 호출하고, 호출된 조리 레시피를 기초로 상기 조리대상물을 즉석요리하는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상물의 조리 레시피가 저장되는 서버; 및
    상기 조리 장치 및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맞춤 레시피를 제공하는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담길 조리용기가 놓이는 하우징;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수단;
    상기 조리용기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온수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조리 레시피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가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온수공급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조리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바코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리 레시피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조리 레시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조리 레시피에 의해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 레시피에 재료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 재료를 반영한 취향 레시피로 조리하고,
    상기 취향 레시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별로 조리 레시피를 변경하여 맞춤 레시피로 설정하고, 상기 맞춤 레시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별로 조리 레시피를 변경하여 맞춤 레시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대상물 또는 조리용기의 바코드가 인식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맞춤 레시피를 제공받아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조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정보 및 조리된 조리대상물의 레시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추천 레시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기기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부품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에 오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태정보는 상기 조리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별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장치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전 오류발생 시점부터 현재 오류발생 시점까지의 각 부품의 정상동작시간을 포함하는 부품별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1020180156062A 2017-05-19 2018-12-06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20190067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473A KR20180127096A (ko) 2017-05-19 2017-05-19 맞춤 광고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PCT/KR2017/014196 2017-12-06
PCT/KR2017/014196 WO2018212421A1 (ko) 2017-05-19 2017-12-06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86A Division KR20200072452A (ko) 2020-05-19 2020-05-19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121A true KR20190067121A (ko) 2019-06-14

Family

ID=642741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473A KR20180127096A (ko) 2017-05-19 2017-05-19 맞춤 광고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1020180156062A KR20190067121A (ko) 2017-05-19 2018-12-06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473A KR20180127096A (ko) 2017-05-19 2017-05-19 맞춤 광고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96001B2 (ko)
KR (2) KR20180127096A (ko)
MY (1) MY188360A (ko)
WO (2) WO20182123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56A (ko) * 2020-02-10 2021-08-19 (주)쿠첸 사용자 선호 레시피를 안내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32428A (zh) * 2019-01-30 2020-09-01 大陸商青島遠見控股集團有限公司 餐飲烹飪裝置、烹飪系統以及使用者終端及其操作方法
JP7296562B2 (ja) * 2019-09-17 2023-06-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調理器
CN111493671A (zh) * 2019-12-27 2020-08-07 李娟娟 辣椒锅底火锅即时调味平台及方法
CN113768366B (zh) * 2020-06-09 2023-06-02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一种下料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计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047B1 (ko) 1999-09-22 2005-11-16 진송 음성출력 도서
KR20090052707A (ko)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링크엠 라면 조리기
KR101223310B1 (ko) 2010-10-01 2013-01-16 홍성두 즉석 라면 조리기
KR101638036B1 (ko) 2014-12-29 2016-07-11 주식회사 제이엔지코리아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13A (ko) * 2000-10-17 2002-04-25 김종철 매장 광고 시스템
KR20110077402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라이프앤테크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KR20120108515A (ko) * 2011-03-24 2012-10-05 주식회사 옥타컴 광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5730A (ko) * 2012-07-20 2014-02-07 노영희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관광안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420137B1 (ko) * 2012-12-31 2014-07-24 서민호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진 라면 조리기
KR200475704Y1 (ko) * 2013-09-03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525350B1 (ko) * 2014-04-16 2015-06-11 (주)태연메디칼 스팀 조리기
KR101519465B1 (ko) * 2014-05-22 2015-05-12 주식회사 보배 간이식품 조리장치
KR101633037B1 (ko) * 2015-08-31 2016-06-23 주식회사 다윈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맞춤 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047B1 (ko) 1999-09-22 2005-11-16 진송 음성출력 도서
KR20090052707A (ko)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링크엠 라면 조리기
KR101223310B1 (ko) 2010-10-01 2013-01-16 홍성두 즉석 라면 조리기
KR101638036B1 (ko) 2014-12-29 2016-07-11 주식회사 제이엔지코리아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56A (ko) * 2020-02-10 2021-08-19 (주)쿠첸 사용자 선호 레시피를 안내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385A1 (ko) 2018-11-22
WO2018212421A1 (ko) 2018-11-22
JP2018194812A (ja) 2018-12-06
KR20180127096A (ko) 2018-11-28
MY188360A (en) 2021-12-03
JP6496001B2 (ja)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7121A (ko)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EP3870535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220112070A1 (en) Unattended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RU2553081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функциональные возможности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US201603144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controlling and purchasing a product through a dispenser
KR101633037B1 (ko)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맞춤 조리 시스템
US20160203698A1 (en) Serving utensil placement monitoring system
JP2003076757A (ja) メニューリコメンドシステム、メニューリコメンド方法、メニューリコメンド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リコメンド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667025B1 (ko) 스마트 주문 관리 시스템용 전자 테이블 장치
US20160275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Servers Using Vibrational Signals
JP2013037405A (ja) 飲食店用オーダシステム及び飲食店用オーダ方法
TW202032428A (zh) 餐飲烹飪裝置、烹飪系統以及使用者終端及其操作方法
JP2019040267A (ja) 商品提供システム、商品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料理注文システム
KR101565928B1 (ko) 정수기가 구비된 바코드 인식형 조리장치
KR20200072452A (ko)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JP2010182089A (ja) 注文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790547B1 (ko) 맞춤형 조리 시스템 및 방법
JP6839334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訪問支援方法
JP2021114185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837341B2 (ja) 電子機器及び管理システム
JP200828761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552979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729903B1 (ja) Posシステム、pos端末、テーブル端末、テーブル使用可能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78779A (ja) サービス利用者側状況の認識装置
CN210721676U (zh) 料理机、云端服务器以及用户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