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532B1 -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532B1
KR102457532B1 KR1020190174392A KR20190174392A KR102457532B1 KR 102457532 B1 KR102457532 B1 KR 102457532B1 KR 1020190174392 A KR1020190174392 A KR 1020190174392A KR 20190174392 A KR20190174392 A KR 20190174392A KR 102457532 B1 KR102457532 B1 KR 10245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ter
water extraction
unit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949A (ko
Inventor
최훈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5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조작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수 정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가 입력되어 출수가 진행되던 중 조작부에 누름 정보가 입력되면, 출수 정지 제어부는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진행 중인 출수를 정지하기 위한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보다 신속하게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의 발생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출수 진행 중 조작부가 누름 조작되어,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통칭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구비하여 정수된 물을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원수(raw water)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정화된 물을 출수(discharge)하기 위한 출수부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구조의 정수기는, 출수부 근처에 배치되는 레버(lever)가 조작되어 물이 출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레버를 가압하면, 그에 따라 출수부를 폐쇄하던 부재가 이동되어 출수부를 통해 물이 출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물을 출수하는 동안 레버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레버의 조작 없이 음성으로 출수를 위한 명령을 발하여 물을 출수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 또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음성을 입력하여 물의 출수를 개시할 수 있고, 출수를 정지하기 위한 명령 또한 음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그런데, 음성을 이용하여 진행 중인 물의 출수를 정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음성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라 제어 정보가 연산되며,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즉, 음성을 이용하여 출수를 정지하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출수의 정지가 어렵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1-0007004호는 비상정지기능을 갖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비상상황센서가 비상상황임을 감지한 경우, 출수를 정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정수기는 오직 비상상황인 경우에만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통상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수를 정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620579호는 정수기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정수기 초기화와 유사한 상태로 정수기를 유지하는 정수기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정수기는 정수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절전을 위해 정수기가 특정 모드로 작동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통상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수를 정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1-0007004호 (2011.07.1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620579호 (2006.08.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발하여 원하는 물을 출수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진행 중인 출수를 정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더라도 출수가 정지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출수가 정지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출수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음성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정보 입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음성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출수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출수 제어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누름 조작되어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은, 상기 출수부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조작 버튼이 누름 조작되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조작 버튼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은, 상기 출수부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복수 개의 상기 조작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누름 조작되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 버튼과 인접하게 위치되며, 누름 조작되어 출수를 개시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 출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은, 상기 출수부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조작 버튼 및 상기 출수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누름 조작되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은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감지된 상기 음성 정보를 기 저장된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음성 정보 출력부; 및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시각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각화 정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산된 상기 시각화 정보에 따라 발광되거나 소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어 정보 입력 모듈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1) 음성 정보 입력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제1 음성 정보 연산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제1 음성 정보로 연산하고,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음성 정보 연산부가 연산한 상기 제1 음성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에 해당할 경우, 제2 음성 정보 연산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제2 음성 정보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b1) 입출력 모듈이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전달하는 단계; (b2)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b3)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d1) 입출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를 상기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2) 출수 온도 제어부가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 및 (d3) 출수량 제어부가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상기 (d3) 단계 이후에, (d4)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및 (d5) 상기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정보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조작부의 조작 버튼 및 출수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누름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e2) 상기 조작부가 입력된 상기 누름 정보를 출수 정지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e3) 상기 출수 정지 제어부가 상기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지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e4) 상기 출수 정지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상기 (e4) 단계 이후에, (e5) 상기 출수 정지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지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f) 단계는, (f1) 음성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력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f2) 시각화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력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음성 정보 입력부를 통해 정수기에 입력된다. 입력된 음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와의 통신을 통해, 출수 정보로 연산된다. 연산된 출수 정보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정보를 발하여 원하는 온도 및 양의 물을 출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누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누름 정보는 출수 정지 제어부에 전달된다. 출수 정지 제어부는 누름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출수를 즉각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부는 복수 개의 조작 버튼 및 출수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복수 개의 조작 버튼 및 출수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누름 조작하면, 누름 정보가 입력된다. 출수 정지 제어부는 누름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진행 중인 출수를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출수 정지 제어부가 연산한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에 전달된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은 전달된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출력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 또는 시각화 정보 출력부를 통해, 각각 청각화 정보 및 시각화 정보로 연산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출수가 정지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 중 S1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 중 S2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 중 S4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 중 S5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 중 S6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누름 정보가 입력되어 출수가 정지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원수"라는 용어는 음용을 위해 정수가 수행되지 않은 물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는 수돗물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누름 조작"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눌림으로써 수행되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누름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음성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누름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발광 정보"라는 용어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각 구성 요소의 발광 또는 소광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정보는 발광 여부 정보, 발광 형태 정보 및 발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출수 정보"라는 용어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되는 물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정보는 출수 온도 정보, 출수량 정보 및 출수 지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전류 또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출력 정보"라는 용어는 출수 정보가 연산되는 정보의 일 형태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유형의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 정보는 음성 정보 및 시각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캐비닛(cabinet)(100),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을 설명하되, 제어부(400) 및 데이터베이스부(5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캐비닛(cabinet)(100)의 설명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정수기(10)가 원수를 정수하고,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즉,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하우징(housing)으로 기능된다.
캐비닛(100)에는 출수부(200)가 연결된다.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출수부(20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캐비닛(100)에는 조작부(30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을 선택하기 위한 누름 정보 및 선택된 물을 출수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제어부(400)가 실장된다. 제어부(400)는 출수부(200), 조작부(300) 및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비닛(100)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캐비닛(100)은 다른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캐비닛(10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길쭉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10)가 협소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본체(110) 및 잔수 트레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술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후술될 제어부(400)가 실장될 수 있다.
본체(110)는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0는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각 커버(111, 112, 113, 114)는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전면 커버(111)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는 반원(half circle)의 형상일 수 있다.
전면 커버(111)에는 상부 커버(114)에 치우치도록 위치되며, 라운드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수부(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와 연결된다. 전면 커버(111)의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에 대향하는 전면 커버(1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트레이(120)는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탈착 가능하게 전면 커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좌측 및 우측에서 덮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커버(112)는 평면(plane) 형상이다.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후면 커버(113)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후면 커버(113)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3)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상부 커버(114)는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진 부분은 전면 커버(111) 및 후면 커버(11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4)에는 조작부(3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커버(114)에는 음성 정보 입력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은 음성 정보 입력부(411)를 통해 정수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상부 커버(114)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명령을 전달받기 위해, 음성 정보 입력부(411)가 위치되는 상부 커버(114)의 부분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용기로 진입되지 못한 물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정수기(1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탈된 물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결합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소정의 양 이상으로 포집되면, 사용자는 잔수 트레이(120)를 분리하여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가 회전되면, 잔수 트레이(120) 또한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물이 출수되는 경우에도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포집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잔수가 수용된다. 잔수 트레이(120)의 상측에는 창살(grating)이 형성된다. 잔수는 상기 창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2) 출수부(200)의 설명
출수부(20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부분이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필터(미도시), 가열 장치(미도시) 및 냉각 장치(미도시)와 연통된다.
출수부(200)는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통 및 차단은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부(20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부(200)를 통해 용기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부(200)를 통해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임의로 출수되지 않게 된다.
출수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00)에 인가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후술될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부(200)는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즉, 출수부(200)는 전면 커버(111)가 측면 커버(112)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 회전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제어부(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출수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과 관련된 정보가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로테이터(rotator)(210), 출수 유닛(220) 및 출수 코크(cock)(230)를 포함한다.
로테이터(210)는 출수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로테이터(2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로테이터(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로테이터(210)의 곡률은 전면 커버(111)의 곡률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테이터(21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배관 구조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관 구조체(미도시)는 로테이터(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원통형의 로테이터(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외주는 전면 커버(1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로테이터(210)의 상기 전방 측의 외주에는 출수 유닛(220)이 연결된다. 출수 유닛(220)은 상기 개구부에 관통된다.
출수 유닛(220)은 전면 커버(111)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수된 물이 전면 커버(11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은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방향 또는 잔수 트레이(12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는 출수 코크(230)가 구비된다.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는 조작부(300)가 위치된다.
출수 유닛(220)은 로테이터(210)와 연결된다. 로테이터(210)가 회전되면, 출수 유닛(22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조작부(300) 및 하측에 위치되는 출수 코크(23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미도시)은 로테이터(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관 구조체(미도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관(미도시)은 출수 코크(2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배관 구조체(미도시) 및 배관(미도시)을 통과하여 출수 코크(230)로 유동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통로이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배관(미도시)과 연통된다. 출수 유닛(220)을 통과한 물은 출수 코크(230)를 통해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의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3) 조작부(300)의 설명
조작부(300)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의 종류, 용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조작부(300)에 입력된 제어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된다. 제어부(400)는 입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300)는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상부 커버(1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는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가 캐비닛(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조작부(300) 또한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출수부(200)를 회전시킨 방향 및 각도로 조작부(300) 또한 회전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제어부(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31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 버튼(310)은 제어부(400)의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버튼(310)에 입력된 누름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터치(touch) 조작되어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을 "누름 조작"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소정의 시간 동안 누름 조작되어 누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오조작에 의해 의도치 않은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제어부(400)의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출수 정보는 조작 버튼(31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누름 조작되어 제어부(400)와 통전되거나, 제어부(4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스위치,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발광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이 누름 조작되거나, 정수기(10)가 작동되는 동안 조작 버튼(310)은 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 버튼(31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310)은 전후 방향으로 각 세 개, 좌우 방향으로 각 두 개씩 구비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조작 버튼(31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은 각각 소정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310)을 누름 조작하면, 그 조작 버튼(310)에 할당된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조작 버튼(310)에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누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각 조작 버튼(310)에는 출수량, 출수 시간 또는 정수기(10)의 세정과 관련된 누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를 향하는 조작 버튼(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출수 버튼(320)이 위치된다.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면, 각종 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출수부(200)를 통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버튼(320)은 출수부(200) 및 각종 밸브(미도시)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버튼(320)은 일 회 누름 조작되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조작 버튼(310)을 통해 입력된 물의 온도, 출수량 및 출수 지속 시간 등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버튼(320)은 누름 조작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는 시간 동안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출수 버튼(320)이 일 회 누름 조작되면 물의 출수가 개시되고, 출수 버튼(320)이 재차 누름 조작되면 물의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출수 버튼(320)은 조작부(300)의 가장 전방 측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버튼이므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부(300)는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가 작동 상태인지 여부, 정수기(10)가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정수기(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400)의 설명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입력된 음성 정보, 누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정수기(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출수부(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작부(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누름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누름 정보에 근거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400)와 출수부(200) 또는 조작부(300) 사이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이 유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도선 부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가 전달받은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매칭된 출수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0)와 데이터베이스부(500) 사이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은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수기(10)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출수부(200)를 통한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출수를 진행하기 위한 각종 밸브(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부(400)의 각 구성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를 이용한 유선 통신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부(400)의 각 구성은 정보의 입력, 출력, 연산 및 저장 등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에 구비되는 각 모듈들은 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의 각 모듈들은 RAM, ROM, SD 메모리 등 저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 입출력 모듈(430),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 출수 제어 모듈(450) 및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을 포함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에 입력된 입력 정보는 정수기(10)의 제어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back data)로 활용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에 입력된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는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상기 입력 정보를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은 음성 정보 입력부(411) 및 누름 정보 입력부(412)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음성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인 진폭, 진동수 및 파형을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마이크(Mic)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상부 커버(114)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상부 커버(114)가 연장되는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 및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음성 정보 입력부(411)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 및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로 전달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는 사용자가 입력한 누름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누름 정보는, 사용자가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310)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출수 버튼(320)을 누름 조작하여 입력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는 조작부(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버튼(310)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되는 누름 정보는 누름 정보 입력부(412)에 전달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는 누름 정보 연산부(42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누름 정보 입력부(412)에 입력된 누름 정보는 누름 정보 연산부(423)에 전달될 수 있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에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또는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입출력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은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 및 누름 정보 연산부(423)를 포함한다.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전달받은 음성 정보가 제1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연산한다.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음성 정보 입력부(41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가 연산한 결과는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에 전달된다.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와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에 따라 정수기(10)에서 출수가 진행되기 전 단계로 정수기(10)를 작동시키는 명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음성 정보는 일종의 "개시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명령 중 먼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제1 음성 정보로 연산한다.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연산된 제1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한다.
이때, 제1 기준 음성 정보는 출수와 관련이 없는 단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준 음성 정보는 인사 문구 및 제조사 명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산된 제1 음성 정보와 제1 기준 음성 정보가 같을 경우,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정수기(1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연산된 제1 음성 정보가 제1 기준 음성 정보에 해당함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에 전달한다.
연산된 제1 음성 정보와 제1 기준 음성 정보가 다를 경우,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잘못 발하였거나, 주변의 소음 등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연산된 제1 음성 정보가 제1 기준 정보에 해당하지 않음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에 전달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전달받은 음성 정보가 제2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연산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음성 정보 입력부(41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가 연산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음성 정보를 연산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음성 정보"는 정수기(10)에서 원하는 물이 출수되도록 정수기(1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명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음성 정보는 일종의 "메인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음성 정보는 출수량과 관련된 문구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성 정보는 "찬 물 한 잔 줘" 또는 "정수 500 ml 줘"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2 음성 정보는 출수량과 관련된 문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성 정보는 "물 줘", "한 번 더"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제2 음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와의 통신을 통해 각각 출수 정보로 연산되어, 입력된 제2 음성 정보에 따른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입력된 음성 정보 중, 제1 음성 정보로 연산된 음성 정보 이후에 입력된 음성 정보를 제2 음성 정보로 연산한다.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입출력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제2 음성 정보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용량의 정보를 포함함에 기인한다.
즉,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가 제2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를 진행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연산 및 저장을 위해 과다한 구성 요소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하여, 출수될 물과 관련된 출수 정보를 처리한다.
대안적으로,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가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 음성 정보는 출수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2 기준 음성 정보에는, 출수될 물의 종류(즉, 온수, 냉수 또는 정수), 출수될 물의 양(즉, 120 ml 또는 500 ml 등) 및 물이 출수되는 시간(즉, 1분 또는 3분 등)과 관련된 문구가 포함될 수 있다.
누름 정보 연산부(423)는 전달받은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3)는 조작 버튼(3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누름 정보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어 입력된다. 이때, 조작 버튼(310)에는 임의의 출수 정보가 할당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3)는 누름 조작된 조작 버튼(310)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3)가 연산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에 전달된다. 누름 정보 연산부(423)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출력 모듈(430)은 제어부(400)와 데이터베이스부(50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입출력 모듈(430)은 제어부(400)의 각 구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모듈(410, 420)에서 연산된 각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매칭 및 연산된 출수 정보 및 출수 제한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출수 정보 및 출수 제한 정보는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에 전달된다.
입출력 모듈(43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30)은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모듈(410, 420)에서 연산된 각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43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 모듈(430)은 Wi-Fi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입출력 모듈(430)은 Wi-Fi 통신이 가능한 Wi-Fi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누름 정보 연산부(423)가 연산한 출수 정보를 전달받는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누름 정보 연산부(42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데이터베이스부(500)로부터 입출력 모듈(430)이 수신한 출수 정보 및 출수 제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입출력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41) 및 출수량 정보 수신부(442)를 포함한다.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41)는 출수 정보 중 출수 온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출수 온도 정보는 누름 정보 연산부(423) 또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전달된다.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될 물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온도 정보는 ℃의 단위를 갖는 특정 수치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41)가 수신한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 온도 제어부(451)로 전달된다.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41)와 출수 온도 제어부(451)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량 정보 수신부(442)는 출수 정보 중 출수량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출수량 정보는 누름 정보 연산부(423) 또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전달된다.
출수량 정보는 출수될 물의 양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량 정보는 ml의 단위를 갖는 특정 수치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출수량 정보 수신부(442)가 수신한 출수량 정보는 출수량 제어부(452)로 전달된다. 출수량 정보 수신부(442)와 출수량 제어부(452)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출수 제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 제한 정보는 출수 제어 모듈(45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특정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출수가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로 활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은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는 누름 정보 연산부(423) 및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출수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출수 시간 정보는 물의 출수가 지속되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시간 정보는 분 또는 초의 단위를 갖는 특정 수치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가 수신한 출수 시간 정보는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로 전달된다. 이때,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와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에서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출수부(20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에 대응되는 물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부(200) 및 출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밸브(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부(200) 및 물의 출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 온도 제어부(451), 출수량 제어부(452), 출수 개시 제어부(453), 출수 제한 제어부(454) 및 출수 정지 제어부(455)를 포함한다.
출수 온도 제어부(451)는 출수될 물의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는 출수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출수 온도 제어부(451)는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44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 온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량 제어부(452)는 출수될 물의 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는 출수량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출수량 제어부(452)는 출수량 정보 수신부(44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량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출수 정보에 따른 물의 출수 개시 여부를 제어한다. 즉,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출수부(200)가 출수 정보에 따른 물의 출수를 개시하는 시점을 제어한다.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출수 버튼(320)이 누름 조작되어 전달되는 누름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출수가 진행되는 실시 예에서,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소정의 시간 동안 출수를 지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출수 버튼(320)을 누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됨이 전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컵 등의 용기를 출수부(200)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출수 버튼(320)을 눌러 출수를 진행함이 일반적이다.
반면,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출수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되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가 정수기(10)와 이격되어 있더라도, 정수기(10)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항상 사용자가 출수부(200)의 하측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위치시킨 후 출수가 진행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용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어, 잔수가 발생되거나 넘칠 염려가 있다.
이에,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음성 정보에 따라 출수가 진행되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출수를 진행시키는 출수 지연 정보를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6초 내외로 결정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에게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 정보가 출력되는 시간일 수 있다.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에 따라,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출수가 진행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다만, 사용자에게 해당 상황을 인지시키는 별도의 과정 없이 출수가 지연될 경우, 사용자는 정수기(10)가 오작동된다고 오해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을 통해 출력한다. 출수 지연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에 따라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출수가 진행될 예정임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로 전달되어, 청각화 정보 또는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출수 개시 제어부(453)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된 출수 지연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461)에 의해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거나,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에 의해 시각화 정보로 연산될 수 있다.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 지연 정보가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는 경우,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461)를 통해 출력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소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지연 정보는 출수가 지연되는 상황 및 남은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지연 정보는 "물 흘림 방지를 위해 5초 후 출수가 시작될 예정입니다."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지연 정보는 사용자가 출수부(200)의 하측에 용기를 배치하였는지 여부를 환기하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지연 정보는 "컵이 잘 놓였는지 확인해 주세요."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지연 정보는 사용자가 출수부(200)의 하측에 출수량에 대응되는 용기를 배치하였는지 여부를 환기하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지연 정보는 "큰 용기가 놓였는지 확인해 주세요."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는, 사용자가 500 ml, 1,200 ml 등 통상의 컵의 용량보다 큰 출수량을 입력한 경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수 지연 정보가 시각화 정보로 연산되는 경우,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은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에 따라 발광 또는 소광되어 사용자가 출수 지연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이 모두 짧은 시간 간격으로 점멸을 반복하며 출수가 임박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 개시 제어부(453)는 출수 지연 정보가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시간 동안 출수의 개시가 지연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지연 시간이 경과된 후 출수가 진행되는 것이 아닌, 상기 시각화 정보 또는 상기 청각화 정보가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자체가 지연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출수 제한 제어부(454)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출수 제한 정보에 해당될 경우, 출수가 개시되지 않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출수 제한 제어부(454)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온도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일 경우, 출수가 진행되지 않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출수 버튼(320)을 누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됨이 전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컵 등의 용기를 출수부(200)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출수 버튼(320)을 눌러 출수를 진행함이 일반적이다.
반면,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출수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되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가 정수기(10)와 이격되어 있더라도, 정수기(10)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항상 사용자가 출수부(200)의 하측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위치시킨 후 출수가 진행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용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어, 잔수가 발생되거나 넘칠 염려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용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가 출수되면 화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가사, 사용자가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출수의 정지 시점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화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에, 출수 제한 제어부(454)는 입력된 음성 정보가 출수 제한 정보로 연산된 경우, 음성 정보가 입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수가 개시되지 않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출수 제한 제어부(454)는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는 출수 제한 제어부(454)에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해당 상황을 인지시키는 별도의 과정 없이 출수가 개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정수기(10)가 오작동된다고 오해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출수 제한 제어부(454)는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을 통해 출력한다. 출수 제한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출수가 진행되지 않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로 전달되어, 청각화 정보 또는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제한 제어부(454)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된 출수 제한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461)에 의해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거나,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에 의해 시각화 정보로 연산될 수 있다.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 제한 정보가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는 경우,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461)를 통해 출력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소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제한 정보는 출수가 제한되는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제한 정보는 "온수를 선택하셨네요. 안전 상의 이유로 온수는 음성 출수가 제한됩니다."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제한 정보는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제한 정보는 "온수를 선택하셨네요. 온수는 버튼을 누르셔야 출수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출수 제한 정보가 시각화 정보로 연산되는 경우,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은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에 따라 발광 또는 소광되어 사용자가 출수 지연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은 모두 붉은색으로 발광되며, 출수가 제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출수 진행 중, 조작부(300)의 누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출수를 정지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누름 정보가 추가로 입력된 경우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출수 버튼(320)을 누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됨이 전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컵 등의 용기를 출수부(200)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출수 버튼(320)을 눌러 출수를 진행함이 일반적이다.
반면,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출수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정수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되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가 정수기(10)와 이격되어 있더라도, 정수기(10)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항상 사용자가 출수부(200)의 하측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위치시킨 후 출수가 진행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용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어, 잔수가 발생되거나 넘칠 염려가 있다.
또는, 사용자가 물이 출수되는 동안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출수를 정지하고자 할 경우, 상술한 제1 음성 정보 및 제2 음성 정보가 모두 입력되어야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음성 정보를 입력하고, 제2 음성 정보를 입력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출수가 지속될 염려가 있다.
이에,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출수가 진행되던 중 임의의 누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조작부(3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누름 정보는 출수 정지 제어부(455)에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출수 버튼(320)이 일 회 누름 조작되면 출수가 개시되고, 재차 누름 조작되면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출수 진행 중에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튼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출수 정지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하여, 출수를 정지시킨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와 출수부(200) 및 각 밸브(미도시)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가 연산한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정보는, 사용자가 누름 정보를 입력하였으며, 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됨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로 전달되어, 청각화 정보 또는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된 출수 정지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461)에 의해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거나,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에 의해 시각화 정보로 연산될 수 있다.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 정지 정보가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는 경우,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는 음성 정보 출력부(461)를 통해 출력된다. 이를 위해,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소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가 정지되었음을 표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정지 정보는 "버튼을 누르셨네요. 진행 중인 출수를 종료합니다."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가 다시 시작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 정지 정보는 "버튼이 눌려 진행 중인 출수를 종료합니다. 출수 버튼을 누르시면 출수가 다시 진행됩니다."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정보가 시각화 정보로 연산되는 경우,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된다.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은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발광 또는 소광되어 사용자가 출수 정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은 모두 노란색으로 발광되며, 출수가 정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수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실시 예에서, 출수 제어 모듈(450)은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은 물이 출수되는 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는 출수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출수 시간 제어 모듈(미도시)은 출수 시간 정보 수신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수 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진행되는 출수의 근거가 되는 출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수신 모듈(440)에 전달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된 출수 지연 정보, 출수 제한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상기 각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출력한다. 이에,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출력 정보를 연산 및 출력한다고 할 수 있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출수 제어 모듈(4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된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제어 모듈(450)에서 연산된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음성 정보 출력부(471) 및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전달받은 출수 정보,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출력부(471)에서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출수 정보에는 출수되는 물의 온도, 양 및 출수가 지속되는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수 중인 물과 관련된 정부(즉, 온도 정보 또는 양 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 출력부(471)는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가 청각화 정보로 연산되어 출력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는 전달받은 출수 정보,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가 연산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와 조작부(30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72)가 연산한 시각화 정보는, 출수 정보,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르게 연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정보,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이 발광 또는 소광되는 형태, 시간 및 색상 등이 서로 다르게 연산될 수 있다.
시각화 정보로 연산된 출수 정보는, 출수되는 물의 종류, 온도 및 출수량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발광되거나 소광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출수 제한 정보, 출수 지연 정보 및 출수 정지 정보가 시각화 정보로 연산되어 출력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500)의 설명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정수기(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정수기(10)의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0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 및 이들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베이스부(500)에는 사용자가 물을 출수한 이력과 관련된 정보인 출수 이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정보의 입력, 출력 및 저장과 연산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5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를 포함하며, 저장을 위한 SSD, HDD, RAM, ROM 또는 S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정수기(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통신 가능한 연결은 정수기(10)의 입출력 모듈(430)에 의해 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연산 또는 매칭된 출수 정보 및 출수 제한 정보는 정수기(1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에 입력된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 및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를 포함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 중 제2 음성 정보로 연산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에서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을 통해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 전달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전달받은 제2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음성 정보가 의미하는 출수 정보를 대응시킨다.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정보 중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성 정보가 "찬 물 한 잔 줘"일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음성 정보는 "찬 물" 및 "한 잔"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상기 문구들을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에 대응시킨다. 상기 과정은 일종의 매칭(matching) 작업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찬 물"은 "냉수"를 의미하는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한 잔"은 "120 ml"와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다양한 문구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냉수"를 의미하는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는 "찬 물", "차가운 물", "냉각된 물" 등의 다양한 문구로 저장될 수 있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서 매칭된 결과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 전달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와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2 음성 정보가 "물 줘" 등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제2 음성 정보로 연산되는 상기 음성 정보 및 직전 진행되었던 출수의 제어 근거가 된 제2 음성 정보가 입력된 시간 간격을 연산한다.
연산된 시간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 이상일 경우, 직전 출수가 진행된 후 긴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전 출수된 물의 온도 및 출수량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어렵다.
이에,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연산된 제2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기 저장된 기준 음성 정보(즉,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가 없는 것으로 매칭 결과를 연산하고, 그 결과를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 전달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서 매칭된 결과는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전달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와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음성 정보가 "물 줘" 등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연산된 시간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 미만일 경우, 직전 출수가 진행된 후 짧은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전 출수된 물의 온도 및 출수량을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 줘"와 같은 음성 정보를 입력함은, 직전 출수된 물과 동일한 출수 정보를 갖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에,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연산된 제2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기 저장된 기준 음성 정보가 없는 것으로 매칭 결과를 연산하고, 그 결과를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전달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은, 정수기(10)가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작동될 수 있는 상태로 진입된 후, 해당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은 5분일 수 있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 중 제2 음성 정보로 연산된 정보에 상응하는 출수 정보를 저장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서 수행된 매칭 결과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 전달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서 수행된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대응시킨다. 또한,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서 수행된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제한 정보를 연산한다.
기 저장된 출수 정보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저장된 출수 정보는 기 저장된 출수 온도 정보, 기 저장된 출수량 정보 및 기 저장된 출수 지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음성 정보가 "물 줘" 등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기 설정된 기본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로 연산한다.
기 설정된 기본 출수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출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출수되는 물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기본 출수 정보는 기본 출수 온도 정보 및 기본 출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본 출수 온도 정보는 "정수"로, 기본 출수량 정보는 "120 ml"일 수 있다.
즉, 직전 출수가 진행된 후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 이상의 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가 제1 음성 정보로 연산되는 음성 정보 및 출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기본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 및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를 포함한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매칭된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온도 정보를 매칭시킨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될 수 있는 물의 다양한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는 기 저장된 출수 온도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가 매칭한 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매칭된 출수 온도 정보를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와 입출력 모듈(43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매칭된 출수 온도 정보를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 전달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매칭된 출수 온도 정보를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전달할 수 있다.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매칭된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량 정보를 매칭시킨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정수기(10)에서 출수될 물의 다양한 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는 기 저장된 출수량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가 매칭한 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매칭된 출수량 정보를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할 수 있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와 입출력 모듈(43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매칭된 출수량 정보를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전달할 수 있다.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매칭된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제한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에서 매칭된 출수 온도 정보를 전달받는다.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연산된 출수 온도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을 비교하여 출수 제한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연산된 출수 온도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할 경우,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출수가 진행되지 않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출수 제한 정보를 연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수 제한 정보는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온수를 출수하고자 하는 경우에 연산된다. 이에,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은 출수가 제한되어야 하는 온수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은 40℃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은 범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연산된 출수 제한 정보를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할 수 있다.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는 입출력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 또한,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누적 저장된 출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를 진행하기 위한 새로운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매칭된 출수 정보, 즉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전달받는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에서 출수가 진행된 이력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 이력 정보는 출수 시각 이력 정보,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및 출수량 이력 정보를 포함한다.
출수 시각 이력 정보는 출수가 개시된 시간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출수 시각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진행된 각 출수의 개시 시간과 관련된 정보이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전달받은 출수 온도 정보, 출수량 정보를 출수 시각 이력 정보와 각각 매핑(mapping)하여 저장한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된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 온도 이력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된 출수량 정보는 출수량 이력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된 출수 시각 이력 정보,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및 출수량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출수 정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출수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정보는 "찬물 한 잔 줘"와 같이,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 및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 의해 출수 정보가 연산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정보가 출수 정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물 줘"라는 식으로, 출수 정보가 생략된 음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 이후에 입력된 경우,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가 기본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 정보를 연산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 이내에 입력된 경우,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저장된 각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즉,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저장된 출수 이력 정보 중 가장 최신의 것을 출수 정보로 연산한다.
즉, 직전 출수가 진행된 후 기 설정된 기준 시간 간격 미만의 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가 출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2 음성 정보로 연산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직전 출수 이력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를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전달한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출수 시각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1),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2) 및 출수량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3)를 포함한다.
출수 시각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1)는 출수 시각 이력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 출수 시각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음성 정보 또는 누름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출수가 개시된 각 시각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2)는 각 출수시마다 출수된 물의 출수 온도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 누적 저장된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 온도 이력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량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3)는 각 출수시마다 출수된 물의 출수량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 누적 저장된 출수량 정보는 출수량 이력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된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및 출수량 이력 정보는 출수 시각 이력 정보와 각각 매핑되어 각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1, 532, 533)에 저장된다.
즉,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는, 각 출수시 물이 출수된 출수 온도 및 출수량과 관련된 정보가 출수가 개시된 각 시각 정보에 따라 저장된다.
연산된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및 출수량 이력 정보는 상기 음성 정보에 따른 출수 정보로 연산된다. 연산된 출수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된다.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입출력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에 따라 물을 출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사용자가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할 경우,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행 중인 출수를 용이하게 정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은,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전달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연산된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하는 단계(S300), 출수 제어 모듈(450)이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단계(S400), 출수 제어 모듈(4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300)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출수 제어 모듈(450)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단계(S500) 및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이 전달된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의 설명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제어부(400)의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이 입력받는 단계(S100)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의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음성 정보 입력부(411)는 입력받은 음성 정보를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로 전달한다.
입력 정보 연산 모듈(420)의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전달된 음성 정보를 제1 음성 정보로 연산한다. 또한, 제1 음성 정보 연산부(421)는 연산된 제1 음성 정보와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를 비교한다(S120).
비교 결과, 연산된 제1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에 해당하면,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정수기(10)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제2 음성 정보 연산부(422)는 전달된 음성 정보 중, 제1 음성 정보로 연산된 음성 정보 다음에 입력된 음성 정보를 제2 음성 정보로 연산한다(S130).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로 전달된다. 제어 정보 입력 모듈(410)과 입출력 모듈(430)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2)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전달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의 설명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된 제2 음성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되고,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전달된 제2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단계(S100)를 통해 연산된 제2 음성 정보는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된다. 입출력 모듈(43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 모듈(430)은 Wi-Fi 모듈로 구비되어, 데이터베이스부(500)와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입출력 모듈(430)은 전달받은 제2 음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한다(S210). 입출력 모듈(430)과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전달받은 제2 음성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한다(S220). 제2 기준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 정보 중 제2 음성 정보로 연산된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제2 음성 정보와 제2 기준 음성 정보의 비교 결과를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 전달한다.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510)와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전달받은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S230).
구체적으로,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출수 온도 정보를 연산하고,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출수량 정보를 연산한다.
(3)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연산된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하는 단계(S300)의 설명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에서 연산된 출수 정보가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되는 단계(S300)이다. 이하,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산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는 각각 입출력 모듈(430)로 전달된다.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520)는 입출력 모듈(4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출력 모듈(430)에 전달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는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된다. 입출력 모듈(430)과 출수 제어 모듈(45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4) 출수 제어 모듈(450)이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단계(S400)의 설명
출수 제어 모듈(450)이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연산되어 전달된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단계(S400)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입출력 모듈(430)은 전달받은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450)에 전달한다(S410). 입출력 모듈(430)과 출수 제어 모듈(45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출수 온도 정보는 출수 온도 제어부(451)에 전달된다(S420). 출수 온도 제어부(451)는 전달받은 출수 온도 정보에 따라, 출수될 물의 온도를 제어한다(S420).
출수량 정보는 출수량 제어부(452)에 전달된다(S430). 출수량 제어부(452)는 전달받은 출수량 정보에 따라, 출수될 물의 양을 제어한다(S430).
출수 제어 모듈(450)은 전달된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한다(S440). 출수 제어 모듈(450)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출수 온도 제어부(451)는 전달된 출수 온도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한다. 또한, 출수량 제어부(452)는 전달된 출수량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한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전달된 출수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정보를 연산하여 출력한다(S450).
구체적으로,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전달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또한,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는 전달된 출수 온도 정보 및 출수량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연산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5) 출수 제어 모듈(4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300)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출수 제어 모듈(450)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단계(S500)의 설명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통해 누름 정보를 입력할 경우, 출수 제어 모듈(450)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는 단계(S500)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단계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물의 출수가 진행 중임을 전제한다.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어느 하나에 누름 정보가 입력된다(S510).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누름 정보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누름 조작하여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누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입력된 누름 정보를 출수 정지 제어부(455)에 전달한다(S520). 조작부(300)와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전달받은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지 정보를 연산한다(S530). 출수 정지 정보는,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S54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누름 정보에 의해, 진행 중이던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출수 정지 제어부(455)는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에 전달한다(S550). 출수 정지 제어부(455)와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6)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이 전달된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600)의 설명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이 전달받은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연산하고, 출력하는 단계(S600)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은 출수 정지 제어부(455)에서 전달받은 출수 정지 정보를 출력 정보로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 정보는 청각화 정보 또는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전달받은 출수 정지 정보, 즉 출력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S610).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는 전달받은 출수 정지 정보, 즉 출력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S620). 일 실시 예에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의 조작 버튼(310) 또는 출수 버튼(320)이 발광 또는 소광되는 형태로 연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가 연산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와 조작부(300)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한 누름 정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에 누름 정보가 입력되어,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되는 실시 예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 또는 출수 버튼(320)에 입력된 누름 정보에 따라 물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누름 조작하면,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300)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진행 중인 출수를 정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에 누름 정보가 입력되어,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되는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에서 출수가 개시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누름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출수를 개시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물 줘"와 같은 음성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음성 정보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출수 정보를 구체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에 의해 출수 정보가 연산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가 연산한 출수 정보에 따른 물이 출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출수 온도 정보는 "냉수"로, 출수량 정보는 "120 ml"로 연산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출수부(200)에서 출수가 진행되던 중 사용자가 조작부(300)에 누름 정보를 입력하여,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 중 어느 하나를 누름 조작하여 누름 정보를 입력한다. 조작부(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조작 버튼(310) 및 출수 버튼(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누름 조작되어 누름 정보가 입력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누름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진행 중인 출수가 정지된다. 이는, 출수 정지 제어부(455)가 입력된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지 정보를 연산하고, 그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하여 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 구체적으로,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를 전달받아 청각화 정보로 연산 및 출력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출력부(461)는 "출수를 정지합니다."와 같이 청각화 정보를 연산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각화 정보 출력부(462) 또한 연산된 출수 정지 정보를 전달받아 시각화 정보로 연산 및 출력한다. 연산된 시각화 정보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행 중인 출수를 임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버튼을 조작하여 출수가 정지되므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출수 정지를 위한 정보가 입력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출수 정지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 모듈(460)을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한 누름 정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정수기
100: 캐비닛
110: 본체
111: 전면 커버
112: 측면 커버
113: 후면 커버
114: 상부 커버
120: 잔수 트레이
200: 출수부
210: 로테이터
220: 출수 유닛
230: 출수 코크
300: 조작부
310: 조작 버튼
320: 출수 버튼
400: 제어부
410: 제어 정보 입력 모듈
411: 음성 정보 입력부
412: 누름 정보 입력부
420: 입력 정보 연산 모듈
421: 제1 음성 정보 연산부
422: 제2 음성 정보 연산부
423: 누름 정보 연산부
430: 입출력 모듈
440: 출수 정보 수신 모듈
441: 출수 온도 정보 수신부
442: 출수량 정보 수신부
450: 출수 제어 모듈
451: 출수 온도 제어부
452: 출수량 제어부
453: 출수 개시 제어부
454: 출수 제한 제어부
455: 출수 정지 제어부
460: 출수 정보 출력 모듈
461: 음성 정보 출력부
462: 시각화 정보 출력부
500: 데이터베이스부
510: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520: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
521: 출수 온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522: 출수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523: 출수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
530: 출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531: 출수 시각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532: 출수 온도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533: 출수량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제어 정보 입력 모듈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음성 정보 입력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제1 음성 정보 연산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제1 음성 정보로 연산하고,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음성 정보 연산부가 연산한 상기 제1 음성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제1 기준 음성 정보에 해당할 경우, 제2 음성 정보 연산부가 상기 음성 정보를 제2 음성 정보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9. (a) 제어 정보 입력 모듈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입출력 모듈이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전달하는 단계;
    (b2)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기준 음성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b3) 출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0. (a) 제어 정보 입력 모듈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d1) 입출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를 상기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2) 출수 온도 제어부가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 및
    (d3) 출수량 제어부가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d3) 단계 이후에,
    (d4)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및
    (d5) 상기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정보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a) 제어 정보 입력 모듈이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베이스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를 출수 제어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물이 출수되도록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수 제어 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부에 누름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수 제어 모듈이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조작부의 조작 버튼 및 출수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누름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e2) 상기 조작부가 입력된 상기 누름 정보를 출수 정지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e3) 상기 출수 정지 제어부가 상기 누름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지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e4) 상기 출수 정지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수가 정지되도록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e4) 단계 이후에,
    (e5) 상기 출수 정지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지 정보를 출수 정보 출력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출수 정보 출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출수 정지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음성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력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f2) 시각화 정보 출력부가 상기 출력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0190174392A 2019-12-24 2019-12-2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92A KR102457532B1 (ko) 2019-12-24 2019-12-2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92A KR102457532B1 (ko) 2019-12-24 2019-12-2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49A KR20210081949A (ko) 2021-07-02
KR102457532B1 true KR102457532B1 (ko) 2022-10-21

Family

ID=7689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392A KR102457532B1 (ko) 2019-12-24 2019-12-24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5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79B1 (ko) 2005-05-20 2006-09-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제어방법
KR20110007004U (ko) 2010-01-06 2011-07-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상정지기능을 갖는 정수기
KR20140070270A (ko) * 2012-11-30 2014-06-10 정광영 음성인식 정수기
KR101597184B1 (ko) * 2013-10-04 2016-02-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장치
KR101918383B1 (ko) *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84461B1 (ko) * 2019-07-18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49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2621B1 (en) Refrigerator with water purifying means
KR2016004033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02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43830A1 (en)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KR10245753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36232B2 (en) Water dischar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1241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674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904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6736B1 (ko)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KR20200008866A (ko) 인공지능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KR102388584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509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300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EP3106792A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enser assembly
KR2021004717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31803A (ko) 정수기의 온수 배출 장치
KR102235306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JP2020124691A (ja) 浄水器
KR20210037650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1092B1 (ko) 화상 방지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7085A (ko) 정수기의 온수 배출 방법
JP2005274106A (ja) ふろ給湯機のリモコン
KR101114675B1 (ko) 물 공급 장치
KR20160039020A (ko) 커피 추출 정수기 및 이의 유로 압력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