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176A -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176A
KR20210047176A KR1020190130905A KR20190130905A KR20210047176A KR 20210047176 A KR20210047176 A KR 20210047176A KR 1020190130905 A KR1020190130905 A KR 1020190130905A KR 20190130905 A KR20190130905 A KR 20190130905A KR 20210047176 A KR20210047176 A KR 20210047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tance
water
water outl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176A/ko
Publication of KR2021004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25Weighing
    • B67D1/1227Weighing the cup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cup detection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원발명의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한다. 각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는 정수기에 인접하게 용기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연산하기 위해 활용된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위치에 용기 등이 존재하는 경우만 물을 출수하고, 그 외의 경우 출수를 중단한다. 따라서, 용기 등이 임의 이탈되는 경우 출수가 중단되어, 잔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센서는 용기의 존재 여부, 용기와 정수기 사이의 거리 및 용기의 무게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보다 정확하게 연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의 출수 여부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통칭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구비하여 정수된 물을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원수(raw water)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정화된 물을 출수(discharge)하기 위한 출수부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구조의 정수기는, 출수부 근처에 배치되는 레버(lever)가 조작되어 물이 출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레버를 가압하면, 그에 따라 출수부를 폐쇄하던 부재가 이동되어 출수부를 통해 물이 출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물을 출수하는 동안 레버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물을 출수할 수 있는 구조의 정수기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물이 출수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버튼을 일 회 누르면 물이 출수되고, 다시 버튼을 일 회 누르면 출수가 중단되는 방식으로 출수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출수를 위한 조작이 간명해져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컵 등으로 레버를 가압하지 않고도 물이 출수되므로, 컵 등이 정수기에서 임의 이탈되더라도 출수가 중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측의 상황에 의해 컵 등이 정수기에서 이탈될 경우, 출수된 물이 잔수 트레이 또는 정수기가 설치된 실내 등에 흐르게 될 염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6-0141530호는 자동 잔수 배출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정수필터 등을 교체하기 위해 보호문을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여 관로 내의 잔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직수형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잔수 트레이 등을 통해 포집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이미 잔수가 발생됨을 전제하는 것으로, 잔수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2-0100221호는 이온정수기의 출수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출수 버튼부가 입력되고 인체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출수가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출수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물의 출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버튼이 조작되고 사용자가 감지되면 물이 출수되므로, 컵 등의 용기가 비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위와 같은 상황에서 잔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물을 출수를 중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6-0141530호 (2016.12.09.)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2-0100221호 (2012.09.1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용기의 배치와 관련된 상황이 변경된 경우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구비된 경우에만 출수가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가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다양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출수가 진행된 후, 용기의 배치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출수를 진행하거나 종료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잔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출수 유닛; 상기 출수 유닛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물이 출수되도록 구성되는 출수 코크; 및 상기 전면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위치되는 용기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상기 출수 코크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거리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보다 상기 출수 코크에서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위치되는 잔수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상기 전면 커버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3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제3 거리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3 거리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전면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물체 감지 센서는, 상기 출수 코크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물체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보다 상기 출수 코크에서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제2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물체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2 물체 감지 센서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물체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잔수 트레이; 및 상기 잔수 트레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센서부가 잔수 트레이에 안착된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b) 출수 정보 연산부가 수신된 상기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C) 출수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1) 물체 감지 센서가 상기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물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2) 거리 감지 센서가 전면 커버와 상기 용기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잔수 트레이와 상기 용기 사이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3) 무게 감지 센서가 상기 용기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인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b1)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물체 정보,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센서부가 상기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e) 변화 정보 연산부가 감지된 상기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f) 상황 정보 연산부가 연산된 상기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물체 감지 센서가 상기 물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d2) 상기 거리 감지 센서가 상기 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3)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상기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물체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e2)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e3)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f) 단계는, (f1) 이격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거리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격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f2) 이탈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물체 변화 정보, 상기 거리 변화 정보 및 상기 무게 변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탈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출수 정보 연산부가 연산된 상기 이격 정보 및 상기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h) 상기 출수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거나,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센서부는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감지한다. 센서부가 감지한 각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황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는 연산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출수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용기의 배치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센서부가 감지한 각 정보에 따라 출수 진행이 능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가 출수를 진행하기 전에 센서부는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출수 개시 정보가 연산되는 경우에만 출수를 개시한다.
따라서, 용기가 없는 경우 출수가 개시되지 않게 되어, 오조작으로 인해 잔수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는 물체 감지 센서, 거리 감지 센서 및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각 센서는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일 유형의 정보에 의존하여 출수를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의 배치 여부가 더욱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센서부가 감지한 각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된다. 제어부는 출수 개시 전의 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된 각 정보와 비교하여, 용기의 이격 및 이탈 여부를 연산한다.
따라서,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용기가 임의로 이탈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출수의 진행 및 종료가 능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정을 통해 용기의 배치 상황에 따라 출수가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가 출수된 물을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 될 경우 자동으로 출수가 종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임의 출수가 방지된다. 그 결과, 임의 출수에 따른 잔수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수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S1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S2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S3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S4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S5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S6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S7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6의 S8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6의 S9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6의 S10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6의 S11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원수"라는 용어는 음용을 위해 정수가 수행되지 않은 물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는 수돗물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물체 감지"라는 용어는 임의의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거리 감지"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부재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무게 감지"라는 용어는 임의의 부재의 질량 또는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센서"라는 용어는 임의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의미한다. 상술한 정보들은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출수"라는 용어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정수기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물체 변화 정보"라는 용어는 물체의 유무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즉, 물체 변화 정보는 물체의 존재와 관련된 정보 및 물체의 부존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거리 변화 정보"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부재 사이의 거리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즉, 거리 변화 정보는 거리가 감소되는 정보, 유지되는 정보 및 증가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무게 변화 정보"는 임의의 부재의 질량 또는 중량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즉, 무게 변화 정보는 질량 또는 중량이 감소되는 정보, 유지되는 정보 및 증가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캐비닛(cabinet)(100),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센서부(400) 및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을 설명하되, 센서부(400) 및 제어부(5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캐비닛(cabinet)(100)의 설명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정수기(10)가 원수를 정수하고,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즉, 캐비닛(100)은 정수기(10)의 하우징(housing)으로 기능된다.
캐비닛(100)에는 출수부(200)가 연결된다.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출수부(20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캐비닛(100)에는 조작부(30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 및 선택된 물을 출수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캐비닛(100)은 다른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캐비닛(10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길쭉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10)가 협소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본체(110) 및 잔수 트레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정수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술한 여러 구성 요소(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후술될 제어부(500)가 실장될 수 있다.
본체(110)는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11), 측면 커버(112), 후면 커버(113) 및 상부 커버(1140는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각 커버(111, 112, 113, 114)는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111)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전면 커버(111)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는 반원(half circle)의 형상일 수 있다.
전면 커버(111)에는 상부 커버(114)에 치우치도록 위치되며, 라운드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수부(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전면 커버(111)에는 후술될 센서부(400)가 구비된다. 전면 커버(111)에 구비된 센서부(400)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존재 여부 또는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와 연결된다. 전면 커버(111)의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에 대향하는 전면 커버(1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트레이(120)는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탈착 가능하게 전면 커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측면 커버(112)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좌측 및 우측에서 덮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커버(112)는 평면(plane) 형상이다.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전면 커버(111)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후면 커버(113)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측면 커버(11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양측 단부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후면 커버(113)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후방 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후면 커버(113)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11)와 후면 커버(113)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112)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단부는 측면 커버(112)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후면 커버(11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커버(114)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114)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형성된다. 상부 커버(114)는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진 부분은 전면 커버(111) 및 후면 커버(11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4)에는 조작부(3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용기(C)로 진입되지 못한 물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정수기(1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탈된 물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결합된다.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잔수 트레이(120)는 출수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소정의 양 이상으로 포집되면, 사용자는 잔수 트레이(120)를 분리하여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는 전면 커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가 회전되면, 잔수 트레이(120) 또한 출수부(200) 및 조작부(3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물이 출수되는 경우에도 잔수 트레이(120)에 잔수가 포집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 중 잔수가 수용된다. 잔수 트레이(120)의 상측에는 창살(grating)이 형성된다. 잔수는 상기 창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20)에는 후술될 센서부(400)가 구비된다. 잔수 트레이(120)에 구비된 센서부(400)는 용기(C)의 이탈 여부를 연산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출수부(200)의 설명
출수부(20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부분이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필터(미도시), 가열 장치(미도시) 및 냉각 장치(미도시)와 연통된다.
출수부(200)는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통 및 차단은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부(2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부(200)를 통해 용기(C)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부(200)를 통해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임의로 출수되지 않게 된다.
출수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0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는 후술될 제어부(500)에서 연산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출수부(200)는 캐비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수부(200)는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즉, 출수부(200)는 전면 커버(111)가 측면 커버(112)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 회전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제어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에서 연산된 제어 신호는 출수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가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00)에서 출수된 물과 관련된 정보가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부(200)는 로테이터(rotator)(210), 출수 유닛(220) 및 출수 코크(cock)(230)를 포함한다.
로테이터(210)는 출수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로테이터(2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로테이터(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로테이터(210)의 곡률은 전면 커버(111)의 곡률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테이터(21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배관 구조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관 구조체(미도시)는 로테이터(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원통형의 로테이터(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외주는 전면 커버(1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로테이터(210)의 상기 전방 측의 외주에는 출수 유닛(220)이 연결된다. 출수 유닛(220)은 상기 개구부에 관통된다.
출수 유닛(220)은 전면 커버(111)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수된 물이 전면 커버(11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용기(C)에 수용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은 상부 커버(114)를 향하는 방향 또는 잔수 트레이(12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는 출수 코크(230)가 구비된다.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는 조작부(300)가 위치된다.
출수 유닛(220)은 로테이터(210)와 연결된다. 로테이터(210)가 회전되면, 출수 유닛(22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조작부(300) 및 하측에 위치되는 출수 코크(23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배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미도시)은 로테이터(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관 구조체(미도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관(미도시)은 출수 코크(2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은 배관 구조체(미도시) 및 배관(미도시)을 통과하여 출수 코크(230)로 유동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이 출수되는 통로이다. 출수 코크(230)는 정수,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하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출수 코크(230)는 출수 유닛(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배관(미도시)과 연통된다. 출수 유닛(220)을 통과한 물은 출수 코크(230)를 통해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수 코크(230)의 하측에는 잔수 트레이(120)가 위치된다.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출수 코크(230)와 잔수 트레이(1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출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C)가 배치될 수 있다.
(3) 조작부(300)의 설명
조작부(300)는 출수될 물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출수될 물의 종류, 용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조작부(300)에 입력된 제어 신호는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제어부(500)는 입력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출수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상부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300)는 전면 커버(111)를 향하는 상부 커버(1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조작부(300)는 출수부(2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는 출수 유닛(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200)가 캐비닛(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조작부(300) 또한 출수부(20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출수부(200)를 회전시킨 방향 및 각도로 조작부(300) 또한 회전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제어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는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에서 연산된 제어 신호는 조작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버튼 유닛(310) 및 인디케이터(320)를 포함한다.
버튼 유닛(31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유닛(310)은 물리적으로 누름 조작되는 스위치 또는 터치(touch) 패널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버튼 유닛(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버튼 유닛(310)은 좌우 방향으로 두 개, 전후 방향으로 세 개씩 배치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되나, 그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복수 개의 버튼 유닛(310)은 각각 소정의 제어 신호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복수 개의 버튼 유닛(310)은 출수될 물의 종류, 양 등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디케이터(320)는 정수기(1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인디케이터(320)는 정수기(10)의 상태를 시각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디케이터(320)는 발광 및 소광이 가능한 LED 램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320)는 버튼 유닛(310)에 입력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가 선택된 경우 인디케이터(320)는 녹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온수가 선택된 경우 인디케이터(320)는 적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3. 센서부(4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센서부(400)는 전면 커버(111)에 인접하게 위치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정수기(10)가 작동되는 동안 연속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200) 및 잔수 트레이(120)는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 트레이(120)가 전면 커버(111)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경우, 센서부(400)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출수부(200)와 잔수 트레이(12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센서부(400)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센서부(400)는 제어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각 정보는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센서부(400)가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부(400)는 물체 감지 센서(410), 거리 감지 센서(420) 및 무게 감지 센서(430)를 포함한다.
(1) 물체 감지 센서(410)의 설명
물체 감지 센서(410)는 물체 정보를 감지한다. 즉, 물체 감지 센서(410)는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410)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물체 감지 센서(410)는 적외선 센서(IR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4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물체 감지 센서(410)는 전면 커버(111)에 배치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410)는 제1 물체 감지 센서(411), 제2 물체 감지 센서(412) 및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를 포함한다.
제1 물체 감지 센서(411)는 잔수 트레이(120)와 출수 코크(230) 사이에 위치되되, 출수 코크(230)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물체 감지 센서(41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물체 감지 센서(411)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1 물체 감지 센서(411)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물체 감지 센서(411)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상측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안착된 용기(C)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컵 등의 용기(C)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됨에 기인한다.
제2 물체 감지 센서(412)는 잔수 트레이(120)와 출수 코크(230) 사이에 위치되되, 잔수 트레이(120)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즉, 제2 물체 감지 센서(412)는 제1 물체 감지 센서(41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제2 물체 감지 센서(41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물체 감지 센서(412)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2 물체 감지 센서(41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물체 감지 센서(412)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하측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안착된 용기(C)의 최소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거리는 제1 물체 감지 센서(411)가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일반적인 컵 등의 용기(C)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됨에 기인한다.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는 잔수 트레이(120)와 출수 코크(23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는 제1 물체 감지 센서(411) 및 제2 물체 감지 센서(412) 사이에 위치된다.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3 물체 감지 센서(413)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중간 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제1 물체 감지 센서(411)가 이격되는 거리보다는 짧되, 제2 물체 감지 센서(412)가 이격되는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 및 우측의 제1 내지 제3 물체 감지 센서(411, 412, 41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들 사이의 거리는 상측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컵 등의 용기(C)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됨에 기인한다.
(2) 거리 감지 센서(420)의 설명
거리 감지 센서(420)는 거리 정보를 감지한다. 즉, 거리 감지 센서(420)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가 정수기(10)와 이격된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420)는 임의의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리 감지 센서(42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4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거리 감지 센서(420)는 전면 커버(111) 또는 잔수 트레이(120)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420)는 제1 거리 감지 센서(421), 제2 거리 감지 센서(422), 제3 거리 감지 센서(423) 및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를 포함한다.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전면 커버(11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전면 커버(111)에 위치된다.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잔수 트레이(120)와 출수 코크(230) 사이에 위치되되, 출수 코크(230)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제1 물체 감지 센서(41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상측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안착된 용기(C)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컵 등의 용기(C)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됨에 기인한다.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전면 커버(11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전면 커버(111)에 위치된다.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잔수 트레이(120)와 출수 코크(230) 사이에 위치되되, 잔수 트레이(120)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즉,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제1 거리 감지 센서(42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제2 물체 감지 센서(41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거리 감지 센서(422)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하측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안착된 용기(C)의 최소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제1 거리 감지 센서(421)가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일반적인 컵 등의 용기(C)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됨에 기인한다.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잔수 트레이(1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잔수 트레이(120)에 위치된다.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잔수 트레이(120)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출수 코크(230)에서 잔수 트레이(120)로 내린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r)을 지나는 가상의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최대 직경보다 작되, 최소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전면 커버(11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전면 커버(111)에 위치된다.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잔수 트레이(120)와 출수 코크(23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제1 거리 감지 센서(421) 및 제2 거리 감지 센서(422) 사이에 위치된다.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4 거리 감지 센서(424)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중간 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제1 거리 감지 센서(421)가 이격되는 거리보다는 짧되, 제2 거리 감지 센서(422)가 이격되는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 및 우측의 제1, 제2 및 제4 거리 감지 센서(421, 422, 42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들 사이의 거리는 상측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컵 등의 용기(C)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됨에 기인한다.
(3) 무게 감지 센서(430)의 설명
무게 감지 센서(430)는 무게 정보를 감지한다. 즉, 무게 감지 센서(430)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 및 용기(C)에 수용된 물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430)는 임의의 부재의 질량 또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 감지 센서(430)는 로드 셀(load cell)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4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게 감지 센서(430)는 잔수 트레이(120)에 구비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430)는 제1 무게 감지 센서(431) 및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를 포함한다.
제1 무게 감지 센서(431)는 잔수 트레이(120)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무게 감지 센서(431)는 출수 코크(230)에서 잔수 트레이(120)로 내린 수선의 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게 감지 센서(431)는 복수 개의 제3 거리 감지 센서(4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게 감지 센서(431)와 각 제3 거리 감지 센서(423) 사이의 거리는 같을 수 있다.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제1 무게 감지 센서(43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출수 코크(230)에서 잔수 트레이(120)로 내린 수선의 발을 지나는 가상의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제3 거리 감지 센서(423)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두 개 구비된다. 각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최소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4. 제어부(500)의 설명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출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제어부(500)는 출수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는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500)는 조작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는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출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제어부(500)는 센서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는 연산된 제어 정보 및 출수 정보 등을 외부의 단말기(E.D, External Device)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외부의 단말기(E.D)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는 정보의 입, 출력 및 연산 등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00)는 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부(500)의 각 구성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의 각 구성에서 입력, 연산 및 출력된 정보는 다른 구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감지 정보 수신부(510), 출수 정보 연산부(520), 변화 정보 연산부(530), 상황 정보 연산부(540), 출수 제어부(550) 및 출수 정보 출력부(560)를 포함한다.
(1) 감지 정보 수신부(510)의 설명
감지 정보 수신부(510)는 센서부(400)에서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감지 정보 수신부(510)는 물체 정보 수신 모듈(511), 거리 정보 수신 모듈(512) 및 무게 정보 수신 모듈(513)을 포함한다.
물체 정보 수신 모듈(511)은 물체 감지 센서(410)가 감지한 물체 정보를 전달받는다. 물체 정보 수신 모듈(511)과 물체 감지 센서(41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거리 정보 수신 모듈(512)은 거리 감지 센서(420)가 감지한 거리 정보를 전달받는다. 거리 정보 수신 모듈(512)과 거리 감지 센서(42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무게 정보 수신 모듈(513)은 무게 감지 센서(430)가 감지한 무게 정보를 전달받는다. 무게 정보 수신 모듈(513)과 무게 감지 센서(43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수신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는 출수 정보 연산부(520)로 전달된다. 또한,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수신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는 변화 정보 연산부(530)로 전달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는 "용기(C)와 관련된 정보"로 통칭하기로 한다.
(2) 출수 정보 연산부(520)의 설명
출수 정보 연산부(520)는 감지 정보 수신부(510)에서 전달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 또는 상황 정보 연산부(540)에서 전달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정보는 출수 개시 정보, 출수 지속 정보 및 출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출수 개시 정보는 출수를 개시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된다. 출수 지속 정보는 진행 중인 출수를 지속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된다. 출수 종료 정보는 진행 중인 출수를 종료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된다.
출수 정보 연산부(520)는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 및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을 포함한다.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전달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전달된 물체 정보가 잔수 트레이(120)에 용기(C)가 안착됨을 의미할 경우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전달된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정보 이하일 경우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기준 거리 정보는 전면 커버(111) 또는 잔수 트레이(120)와 용기(C) 사이의 거리가, 출수 코크(230)에서 출수된 물이 용기(C)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최대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전달된 무게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무게 정보 이상일 경우,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기준 무게 정보는 잔수 트레이(120)에 용기(C)가 안착된 경우, 무게 감지 센서(430)가 감지할 수 있는 최소 무게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준 무게 정보는, 용기(C)가 비어 있는 경우의 무게일 수 있다.
또한,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상황 정보 연산부(540)가 연산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이 연산한 이격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변화 정보 이하일 경우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이 연산한 이탈 정보가 잔수 트레이(120)에 용기(C)가 배치되었음을 의미할 경우,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전달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이 연산한 이격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변화 정보 이하일 경우,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이 연산한 이탈 정보가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서 이탈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경우,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한다.
대안적으로,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감지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감지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 과정은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이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과 유사할 수 있다.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전달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한다.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이 연산한 이격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변화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이 연산한 이탈 정보가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서 이탈되었음을 의미하는 경우,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한다.
대안적으로,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감지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감지된 물체 정보가 잔수 트레이(120)에 용기(C)가 안착되지 않음을 의미할 경우,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감지된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정보를 초과하거나, 감지된 무게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무게 정보 미만일 경우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개시 정보, 출수 지속 정보 및 출수 종료 정보는 출수 제어부(550) 및 출수 정보 출력부(560)에 전달된다.
(3) 변화 정보 연산부(530)의 설명
변화 정보 연산부(530)는 출수부(200)에서 출수가 개시되기 전과 후, 센서부(400)에서 감지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변화 정보 연산부(530)는 출수가 개시되기 전 감지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를, 출수가 개시된 후 감지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와 비교하여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변화 정보는 출수가 개시되기 전후 센서부(400)에서 감지한 용기(C)와 관련된 정보의 변화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변화 정보는 물체 변화 정보, 거리 변화 정보 및 무게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변화 정보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변화 정보 연산부(530)는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1),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2) 및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3)을 포함한다.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1)은 출수가 개시되기 전후 물체 감지 센서(410)가 감지한 각 물체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물체 변화 정보는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된다는 정보 및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서 이탈되었다는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2)은 출수가 개시되기 전후 거리 감지 센서(420)가 감지한 각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거리 변화 정보는 전면 커버(111) 또는 잔수 트레이(120)와 용기(C) 사이의 거리의 변화량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3)은 출수가 개시되기 전후 무게 감지 센서(430)가 감지한 각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무게 변화 정보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무게의 변화량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변화 정보 연산부(530)에서 연산된 변화 정보는 상황 정보 연산부(540)로 전달된다.
(4) 상황 정보 연산부(540)의 설명
상황 정보 연산부(540)는 변화 정보 연산부(530)에서 연산된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연산한다.
상황 정보는 출수가 개시된 후,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상황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를 포함한다.
이격 정보는 전면 커버(111) 또는 잔수 트레이(120)와 용기(C) 사이의 거리가 잔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범위 내인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탈 정보는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황 정보 연산부(540)는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 및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을 포함한다.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은 전달된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격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은, 전달된 거리 변화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변화 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이격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기준 거리 변화 정보는 출수 코크(230)에서 출수된 물이 용기(C)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최대 거리 변화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은 전달된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탈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은 전달된 물체 변화 정보에 포함된,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이탈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은 전달된 거리 변화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이탈 거리 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이탈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기준 이탈 거리 정보는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 변화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은 전달된 무게 변화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무게 변화 정보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이탈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기준 무게 변화 정보는 용기(C)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 무게 변화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황 정보 연산부(540)에서 연산된 상황 정보는 출수 정보 연산부(520)로 전달된다.
(5) 출수 제어부(550)의 설명
출수 제어부(550)는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출수 제어부(500)는 출수 진행 모듈(551) 및 출수 정지 모듈(552)을 포함한다.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이 연산한 출수 개시 정보가 전달된 경우, 출수 진행 모듈(551)은 출수가 개시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이 연산한 출수 지속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출수 진행 모듈(551)은 진행 중인 출수가 지속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53)이 연산한 출수 종료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출수 정지 모듈(552)은 진행 중인 출수가 종료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
(6) 출수 정보 출력부(560)의 설명
출수 정보 출력부(560)는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출수 정보를 통해 출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출수 정보 출력부(560)는 시각화 정보 출력 모듈(561), 청각화 정보 출력 모듈(562) 및 통신 모듈(563)을 포함한다.
시각화 정보 출력 모듈(561)은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각화 정보 출력 모듈(561)은 점멸 가능한 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청각화 정보 출력 모듈(562)은 출수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청각화 정보 출력 모듈(562)은 스피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듈(563)은 출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563)은 외부의 단말기(E.D)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563)은 와이파이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출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의 단말기(E.D)는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의 단말기(E.D)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은 출수 전 용기(C)와 정수기(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출수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은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용기(C)와 정수기(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화 여부를 이용하여 출수 진행 여부 또는 출수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센서부(400)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00)의 설명
센서부(400)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관련된 각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00)이다.
물체 감지 센서(410)는 물체 정보를 감지한다(S110). 제1 내지 제3 물체 감지 센서(411, 412, 413)는 전면 커버(111)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물체 감지 센서(411, 412, 413)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전면 커버(11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물체 감지 센서(411, 412, 413)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의 존재 여부를 다양한 높이 및 방향에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체 감지 센서(410)는 잔수 트레이(120)에 용기(C)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420)는 거리 정보를 감지한다(S120). 제1, 제2 및 제4 거리 감지 센서(421, 422, 424)는 전면 커버(111)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제2 및 제4 거리 감지 센서(421, 422, 424)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전면 커버(11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및 제4 거리 감지 센서(421, 422, 424)는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전면 커버(111) 사이의 거리를 다양한 높이 및 방향에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감지 센서(420)는 전면 커버(111)와 용기(C) 사이의 거리를 용기(C)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양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잔수 트레이(120)에 배치된다. 제3 거리 감지 센서(423)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거리 감지 센서(420)는 잔수 트레이(120)와 용기(C) 사이의 거리 또한 감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리 감지 센서(420)는 정수기(10)와 용기(C) 사이의 거리를 3차원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된 거리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430)는 무게 정보를 감지한다(S130). 제1 무게 감지 센서(431)는 잔수 트레이(120)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무게 감지 센서(432)는 제1 무게 감지 센서(4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무게 감지 센서(430)는 잔수 트레이(120)의 여러 지점에서 용기(C)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된 무게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센서부(400)가 감지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는 감지 정보 수신부(510)로 전달된다.
(2)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감지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의 설명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S200)이다.
물체 정보 수신 모듈(511)은 물체 감지 센서(410)가 감지한 물체 정보를 전달받는다(S210). 거리 정보 수신 모듈(512)은 거리 감지 센서(420)가 감지한 거리 정보를 전달받고(S220), 무게 정보 수신 모듈(513)은 무게 감지 센서(430)가 감지한 무게 정보를 전달받는다(S230).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전달받은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는 출수 정보 연산부(520)로 전달된다.
(3)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수신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300)의 설명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감지 정보 수신부(510)에서 전달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300)이다.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전달받은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한다(S310).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이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전달받은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한다(S320).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이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전달받은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한다(S330).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이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정보는 출수 제어부(550)에 전달된다. 또한,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정보는 출수 정보 출력부(560)에 전달된다.
(4) 출수 제어부(550)가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거나 정지하는 단계(S400)의 설명
출수 제어부(550)가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 의해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하여, 출수가 진행되거나, 지속, 종료되는 단계(S400)이다.
출수 제어부(550)에 출수 개시 정보 또는 출수 지속 정보가 전달된 경우, 출수 진행 모듈(551)은 전달된 출수 개시 정보 또는 출수 지속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한다(S410).
출수 제어부(550)에 출수 종료 정보가 전달된 경우, 출수 정지 모듈(552)은 전달된 출수 종료 정보에 따라 출수를 종료 또는 정지한다(S420).
(5) 센서부(400)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500)의 설명
출수가 개시된 후, 센서부(400)가 잔수 트레이(120)에 안착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연속적으로,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S500)이다.
물체 감지 센서(410)는 물체 정보를 감지한다(S510). 거리 감지 센서(420)는 거리 정보를 감지하며(S520), 무게 감지 센서(430)는 무게 정보를 감지한다(S530).
각 감지 센서(410, 420, 43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각 감지 센서(410, 420, 430)가 감지한 정보는 다시 감지 정보 수신부(510)에 전달된다.
(6)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감지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00)의 설명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출수가 개시된 후, 다시 감지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00)이다.
물체 정보 수신 모듈(511)은 물체 감지 센서(410)가 감지한 물체 정보를 수신한다(S610). 거리 정보 수신 모듈(512)은 거리 감지 센서(420)가 감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하며(S620), 무게 정보 수신 모듈(513)은 무게 감지 센서(430)가 감지한 무게 정보를 수신한다(S630).
감지 정보 수신부(510)가 수신한, 출수가 개시된 후의 각 정보는 변화 정보 연산부(530)로 전달된다.
(7) 변화 정보 연산부(530)가 수신된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700)의 설명
변화 정보 연산부(530)가 출수가 개시되기 전후의 용기(C)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700)이다.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1)은 감지 정보 수신부(510)에서 전달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물체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S710).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1)은 출수 전후에 감지된 물체 정보를 연산하여 물체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2)은 감지 정보 수신부(510)에서 전달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거리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S720).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2)은 출수 전후에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3)은 감지 정보 수신부(510)에서 전달된 물체 정보, 거리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무게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S730).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3)은 출수 전후에 감지된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 변화 정보를 연산한다.
변화 정보 연산부(530)가 연산한 변화 정보는 상황 정보 연산부(540)에 전달된다.
(8) 상황 정보 연산부(540)가 연산된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800)의 설명
상황 정보 연산부(540)가 변화 정보 연산부(530)에서 연산된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800)이다.
이격 정보 연산 모듈(541)은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532)이 연산한 거리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격 정보를 연산한다(S810). 또한, 이탈 정보 연산 모듈(542)은 연산된 물체 변화 정보, 거리 변화 정보 및 무게 변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탈 정보를 연산한다(S820).
변화 정보 연산부(530)가 연산한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는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 전달된다.
(9)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900)의 설명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출수 개시 이후의 변화된 상황에 대한 정보인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900)이다.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521)은 연산된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한다(S910). 본 단계는 출수 개시 후, 특정 상황에서 출수가 종료된 후 다시 출수가 개시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522)은 연산된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지속 정보를 연산한다(S920). 본 단계는, 출수 개시 후, 출수가 지속되어도 무방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523)은 연산된 이격 정보 및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종료 정보를 연산한다(S930). 본 단계는 출수 개시 후, 출수를 종료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정보는 출수 제어부(550) 및 출수 정보 출력부(560)에 전달된다.
(10) 출수 제어부(550)가 연산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거나 정지하는 단계(S1000)의 설명
출수 제어부(550)가 출수 개시 후, 출수 정보 연산부(520)가 연산한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부(200)를 제어하여 출수를 진행하거나 정지하는 단계(S1000)이다.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서 출수 개시 정보 또는 출수 지속 정보가 전달된 경우, 출수 진행 모듈(551)은 연산된 출수 개시 정보 또는 출수 지속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S1010).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서 출수 종료 정보가 전달된 경우, 출수 정지 모듈(552)은 연산된 출수 종료 정보에 따라 출수를 종료하도록 출수부(200)를 제어한다(S1020).
(11) 출수 정보 출력부(560)가 연산된 출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100)의 설명
출수 정보 출력부(560)가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 의해 연산된 출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출력하는 단계(S1100)이다.
시각화 정보 출력 모듈(561)은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서 전달된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로 연산하고, 출력한다(S1110). 상기 시각화 정보는 인디케이터(320)의 색상 또는 점멸 방식의 변경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청각화 정보 출력 모듈(562)은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서 전달된 출수 정보를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고, 출력한다(S1120). 상기 청각화 정보는 "출수가 시작됩니다.", "출수가 계속됩니다.", "출수가 종료됩니다."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통신 모듈(563)은 출수 정보 연산부(520)에서 전달된 출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송한다(S1130).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를 조작하여 출수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정수기
100: 캐비닛(cabinet)
110: 본체
111: 전면 커버
112: 측면 커버
113: 후면 커버
114: 상부 커버
120: 잔수 트레이
200: 출수부
210: 로테이터(rotator)
220: 출수 유닛
230: 출수 코크(cock)
300: 조작부
310: 버튼 유닛
320: 인디케이터
400: 센서부
410: 물체 감지 센서
411: 제1 물체 감지 센서
412: 제2 물체 감지 센서
413: 제3 물체 감지 센서(제1, 제2 사이에 위치)
420: 거리 감지 센서
421: 제1 거리 감지 센서
422: 제2 거리 감지 센서
423: 제3 거리 감지 센서
424: 제4 거리 감지 센서(제1, 제2 사이에 위치)
430: 무게 감지 센서
431: 제1 무게 감지 센서
432: 제2 무게 감지 센서
500: 제어부
510: 감지 정보 수신부
511: 물체 정보 수신 모듈
512: 거리 정보 수신 모듈
513: 무게 정보 수신 모듈
520: 출수 정보 연산부
521: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
522: 출수 지속 정보 연산 모듈
533: 출수 종료 정보 연산 모듈
530: 변화 정보 연산부
531: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
532: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
533: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
540: 상황 정보 연산부
541: 이격 정보 연산 모듈
542: 이탈 정보 연산 모듈
550: 출수 제어부
551: 출수 진행 모듈
552: 출수 정지 모듈
560: 출수 정보 출력부
561: 시각화 정보 출력 모듈
562: 청각화 정보 출력 모듈
563: 통신 모듈

Claims (16)

  1.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출수 유닛;
    상기 출수 유닛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물이 출수되도록 구성되는 출수 코크; 및
    상기 전면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위치되는 용기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상기 출수 코크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거리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보다 상기 출수 코크에서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보다 긴,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위치되는 잔수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상기 전면 커버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3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거리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3 거리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 센서는,
    상기 출수 코크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물체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보다 상기 출수 코크에서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제2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물체 감지 센서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2 물체 감지 센서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물체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물체 감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는 상기 소정 거리보다 긴,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출수 코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잔수 트레이; 및
    상기 잔수 트레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a) 센서부가 잔수 트레이에 안착된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b) 출수 정보 연산부가 수신된 상기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C) 출수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물체 감지 센서가 상기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물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2) 거리 감지 센서가 전면 커버와 상기 용기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잔수 트레이와 상기 용기 사이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3) 무게 감지 센서가 상기 용기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인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출수 개시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물체 정보,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무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개시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센서부가 상기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e) 변화 정보 연산부가 감지된 상기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f) 상황 정보 연산부가 연산된 상기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물체 감지 센서가 상기 물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d2) 상기 거리 감지 센서가 상기 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3)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상기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물체 변화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물체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e2) 거리 변화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e3) 무게 변화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 변화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이격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거리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격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f2) 이탈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물체 변화 정보, 상기 거리 변화 정보 및 상기 무게 변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탈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출수 정보 연산부가 연산된 상기 이격 정보 및 상기 이탈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수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h) 상기 출수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출수 정보에 따라 출수를 진행하거나,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0190130905A 2019-10-21 2019-10-21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7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05A KR20210047176A (ko) 2019-10-21 2019-10-21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05A KR20210047176A (ko) 2019-10-21 2019-10-21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76A true KR20210047176A (ko) 2021-04-29

Family

ID=7572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05A KR20210047176A (ko) 2019-10-21 2019-10-21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1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221A (ko) 2011-03-03 2012-09-1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의 출수 제어 장치
KR20160141530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잔수 배출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221A (ko) 2011-03-03 2012-09-1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의 출수 제어 장치
KR20160141530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잔수 배출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72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제어방법
KR101441240B1 (ko)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EP2986552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able of determining a beverage volume of receptacles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21004717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6592A (ko) 출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1457A (ko) 자동 급수기의 상태 표시장치
KR1023702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8900821U (zh) 水龙头和制水设备
KR101947996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CN107978079B (zh) 饮料供给装置
KR20200124134A (ko) 출수장치
KR101685880B1 (ko) 물 배출 장치
KR10237606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509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904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9245435U (zh) 出水部件和制水设备
KR102366740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5511A (ko) 추출량 가변 정수기
KR2023003962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5753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300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1136730A (ja) 燃料供給装置
JP6564234B2 (ja) 飲料自動注出装置
KR101977026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20210083939A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