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240B1 -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240B1
KR101441240B1 KR1020130040463A KR20130040463A KR101441240B1 KR 101441240 B1 KR101441240 B1 KR 101441240B1 KR 1020130040463 A KR1020130040463 A KR 1020130040463A KR 20130040463 A KR20130040463 A KR 20130040463A KR 101441240 B1 KR101441240 B1 KR 10144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intake
cup
intak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제
윤동환
강덕훈
임승민
이경민
이상호
이수경
양용재
정효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6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size of vessels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84Ratio control
    • B67D1/1286Ratio control by mechanical construction
    • B67D1/1293Means for changing the ratio by acting on comm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취수량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컵의 크기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 비율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는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비율 설정하는 취수설정부, 상기 취수설정부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취수 작업을 제어하는 취수제어부 및 상기 취수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냉수관 또는 온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Automatic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supply wat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취수량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컵의 크기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 비율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 문제가 증대되면서 대부분의 가정이나 회사에서는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하거나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를 이용하여, 식수를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주로 급수를 원하는 컵이나 용기를 급수 밸브 하부에 거치하여, 급수 버튼을 가압하는 수동 방식으로 급수를 하며, 사용자가 컵을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양의 물이 취수된 것을 확인 후, 급수 버튼의 가압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물이 취수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물의 양을 확인해야 하며, 취수 도중에 잠시 주의가 산만할 경우, 컵의 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배출되어, 정수기 주변에 물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온수를 취수 시, 사용자의 손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내부가 투시되지 않고 입구가 좁은 컵이나 용기를 이용 시, 취수된 양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수기에서 물을 공급받아 커피나 차 종류를 마실 때 물의 양을 매번 일정하게 공급받기 어려워 농도 조절이 불편하며, 컵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농도가 변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0-0111852호(2010. 10. 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컵 또는 취수용기의 높이에 따라 물받이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컵 또는 취수용기의 크기에 따라 매번 물받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물받이 조절에 따른 조절 수단을 정수기에 장착해야 함에 따라 정수기 몸체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자동 취수 버튼이 장착되어 버튼 입력 시, 일정량 취수 가능하도록 하는 정수기가 출시되었지만 이러한 종래 정수기의 경우, 컵의 크기와 형태를 고려되지 않고, 1회 취수량이 적어 여러 번 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10-2010-0111852A, 2010. 10. 18, 4쪽 내지 5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의 목적은 컵 높이를 감지하고,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 비율을 설정하여, 컵의 크기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 비율의 물을 자동 공급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취수설정부를 포함하여, 냉/온수, 취수 모드 및 취수 비율을 설정 변경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취수감지부를 포함하여, 컵의 거치 여부, 거치되는 컵의 높이 및 현재 취수 상태를 감지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치된 복수개의 수/발광 센서를 이용하여 거치된 컵의 높이를 감지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거치된 컵의 상측에 위치에 초음파 센서로 급수된 물(매질)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수위를 감지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취수 조건의 설정 상태 및 취수 진행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의 목적은, 취수 모드를 확인하여, 자동모드 일 경우, 컵 거치 여부 및 컵 높이를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설정된 취수 조건에 따라 취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컵 내부에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취수 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취수 모드를 확인하여, 수동모드일 경우, 수동 취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수동 취수가 입력되는 시간동안 급수를 수행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는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비율 설정하는 취수설정부, 상기 취수설정부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취수 작업을 제어하는 취수제어부 및 상기 취수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냉수관 또는 온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취수설정부는 취수 동작을 수동 또는 자동모드로 설정하는 취수모드설정부 및 상기 취수모드설정부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비율을 설정하는 취수비율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는 취수제어부와 연결되어, 거치되는 컵의 크기와 취수 상태를 감지하는 취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취수감지부는 상기 취수모드설정부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정수기에 컵이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컵거치감지부, 상기 컵거치감지부에서 컵 거치를 감지 시, 컵의 높이를 감지하는 컵높이감지부 및 상기 컵의 취수상태를 감지하는 취수상태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컵높이감지부는 적외선, LED,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면에 두 개 이상의 센서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취수상태감지부는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상측에 위치하여, 취수되는 물(매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로 수위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은 (a) 취수설정부를 이용하여, 취수 모드 및 취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 확인하여, 자동모드일 경우, 컵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컵 거치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컵 거치가 감지되면, 컵높이감지부를 이용하여, 컵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컵 높이가 감지되면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취수 조건으로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취수 조건은, 설정된 냉/온수 조건과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설정한 취수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에 있어서, (d) 단계는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 수/발광 센서의 감지 신호로 컵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에 있어서, (e) 단계는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상측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로 급수된 물(매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은 (b) 단계에서 상기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가 아닌 수동모드일 경우, (g) 취수제어부를 이용하여, 수동취수부의 수동 취수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 수동 취수가 입력되면, 입력 시간과 비례하여,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는 컵 높이를 감지하고,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컵의 크기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 비율의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취수 조건을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취수설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냉/온수, 취수 모드 및 취수 비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취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취수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컵의 거치 여부, 거치되는 컵의 높이 및 현재 취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치된 복수개의 수/발광 센서를 이용하여 거치된 컵의 높이를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취수 기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된 컵의 상측에 위치에 초음파 센서로 급수된 물(매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취수된 물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정된 취수 비율을 만족하는 즉시, 급수를 중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취수 조건의 설정 상태 및 취수 진행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은, 취수 모드를 확인하여, 자동모드 일 경우, 컵 거치 여부 및 컵 높이를 순차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설정된 취수 조건에 따라 취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 내부에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취수 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취수 모드를 확인하여, 수동모드일 경우, 수동 취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수동 취수가 입력되는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급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취수설정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취수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에 있어서, 취수감지부의 감지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전원부(10), 취수설정부(20), 취수제어부(30), 취수감지부(40), 급수밸브구동부(50) 및 상태표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0)는 상기 취수제어부(30)와 연결되어, 자동 취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취수설정부(20)는 상기 취수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편의상, 취수할 수 있는 모든 용기를 총칭하는 단어로 기재)의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비율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수설정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설정부(21), 취수모드설정부(22), 취수비율설정부(23) 및 수동취수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냉온수설정부(21)는 취수되는 물을 냉수 또는 온수로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냉온수설정부(21)에서 설정된 냉/온수 정보는 상기 상태표시부(60)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냉온수설정부(21)는 토글 키(toggle key) 기능을 가지며, 온수관과 냉수관의 각 일측과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여, 온수 또는 냉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현하였다.
상기 취수모드설정부(22)는 취수 모드를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는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높이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의 물을 취수하는 동작모드이며, 상기 수동모드는 종래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물을 수동으로 취수하는 동작모드이다.
상기 취수비율설정부(23)는 상기 취수모드설정부(22)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비율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수비율설정부(23)는 취수되는 수위뿐만 아니라 온수와 냉수의 비율도 설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컵의 크기에 따른 취수 비율을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물의 양 및 온도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수비율설정부(23)의 설정 정보는 취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취수부(24)는 상기 취수모드설정부(22)에서 수동모드가 설정되면 버튼 입력 시간에 따라 취수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취수제어부(30)는 상기 취수설정부(20)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취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취수감지부(40)의 신호를 실시간을 수집하고, 상기 취수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구동부(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취수감지부(40)는 상기 취수제어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취수모드설정부(20)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거치되는 컵의 크기와 취수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수감지부(40)는 컵거치감지부(41), 컵높이감지부(42) 및 취수상태감지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컵거치감지부(41)는 정수기에 컵이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컵거치감지부(41)는 적외선 조도센서로 구현하였으며,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하부에 배치하여, 컵의 거치여부를 감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컵높이감지부(42)는 상기 컵거치감지부에서 컵 거치를 감지 시, 컵의 높이를 감지하는 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컵높이감지부(42)는 적외선, LED,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구현되며,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면에 두 개 이상의 수/발광 센서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치되도록 구현하고 상기 센서의 신호는 별도의 멀티플렉서(MUX)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벽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타측벽면에 수광소자를 배치 후, 컵이 거치되면, 컵의 높이와 대응되는 수광소자는 광신호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컵의 높이가 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컵높이감지부(42)는 수/발광 센서의 배치 간격이 좁아지고 센서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컵 높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취수상태감지부(43)는 컵의 취수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수상태감지부(43)는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상측에 위치하여,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음파 센서의 경우, 음파가 매질이 바뀜에 따라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하며, 이러한 시간으로 초음파 센서와 취수된 물의 표면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수상태감지부(43)를 통해 취수된 물의 양이 상기 취수설정부(20)에서 설정된 취수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급수밸브구동부(50)는 상기 취수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밸브구동부(5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하여, 냉수 또는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상기 상태표시부(60)는 상기 취수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취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태표시부(60)는 상기 취수설정부(60)에서 설정한 냉/온수 정보, 취수모드, 취수 비율을 표시하고, 상기 취수감지부(40)에서 감지한 취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를 적용 시, 컵 높이를 감지하고,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컵의 크기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 비율의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이를 통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취수 조건을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의 자동 취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먼저 상기 취수설정부(20)를 이용하여, 취수 모드 및 취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는 상기 취수설정부(20)를 통해 냉/온수를 설정하고, 취수 모드를 자동모드/수동모드로 설정하고, 컵의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다음으로, 상기 취수제어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 확인(S20)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자동모드일 경우, 상기 컵거치감지부(41)를 이용하여, 컵 거치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31)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1 단계는 컵이 거치된 공간의 하부에 배치된 적외선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컵의 거치여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S31 단계에서 컵 거치가 감지되면, 상기 컵높이감지부(42)를 이용하여, 컵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S33)를 수행하고, 상기 S31 단계에서 컵 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S31 단계를 재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3 단계는 일측벽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타측벽면에 수광소자를 배치 후, 컵이 거치되면, 컵의 높이와 대응되는 수광소자는 광신호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컵의 높이가 산출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S33 단계에서 컵 높이가 감지되면 상기 S10 단계에서 설정된 취수 조건으로 급수하는 단계(S34)를 수행하며, 상기 취수 조건은 설정된 냉/온수 조건과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설정한 취수비율 조건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취수상태감지부(43)를 이용하여, 컵 내부에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취수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5)를 수행하고, 상기 S35 단계에서 상기 취수비율을 만족하면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S50)를 수행하며, 만일 상기 S35단계에서 상기 취수비율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S34 단계를 재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5 단계는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상측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로 급수된 물(매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수위를 감지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취수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가 아닌 수동모드일 경우, 상기 취수제어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수동취수부(24)의 수동 취수가 입력되는지 확인(S41)하고, 수동 취수가 입력되면, 입력 시간과 비례하여, 물을 급수하는 단계(S43)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취수제어부(30)를 이용하여, 수동 취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S45)하여, 종료가 확인되면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S50)를 수행하고, 계속해서 수동 취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S43 단계를 재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수 방법을 적용 시,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 일 경우, 컵 거치 여부 및 컵 높이를 순차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설정된 취수 조건에 따라 취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취수 비율을 만족할 수 있도록 컵 내부에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 : 정수기 몸체
5 : 급수밸브
10 : 전원부
20 : 취수설정부
21 : 냉온수설정부
22 : 취수모드설정부
23 : 취수비율설정부
24 : 수동취수부
30 : 취수제어부
40 : 취수감지부
41 : 컵거치감지부
42 : 컵높이감지부
43 : 취수상태감지부
50 : 급수밸브구동부
60 : 상태표시부
100 :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Claims (13)

  1.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비율 설정하는 취수설정부;
    상기 취수설정부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취수 동작을 제어하는 취수제어부;
    상기 취수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냉수관 또는 온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구동부 및
    상기 취수제어부와 연결되어, 거치되는 컵의 크기와 취수 상태를 감지하는 취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수설정부는, 취수 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모드로 설정하는 취수모드설정부 및
    상기 취수모드설정부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비율을 설정하는 취수비율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수감지부는 상기 취수모드설정부에서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정수기에 컵이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컵거치감지부;
    상기 컵거치감지부에서 컵 거치를 감지 시, 컵의 높이를 감지하는 컵높이감지부 및
    상기 컵의 취수상태를 감지하는 취수상태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높이감지부는 적외선, LED,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면에 두 개 이상의 수/발광 센서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설정부는,
    취수되는 물을 냉수 또는 온수로 설정하는 냉온수설정부 및
    상기 취수모드설정부에서 수동모드가 설정되면 버튼 입력 시간에 따라 취수량을 조절하는 수동취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상태감지부는,
    정수기에 거치되는 컵의 상측에 위치하여, 취수되는 물(매질)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로 수위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제어부와 연결되어, 정수기의 취수 모드 및 취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9. (a) 취수설정부를 이용하여, 취수 모드 및 취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 확인하여, 자동모드일 경우, 컵거치감지부를 이용하여, 컵 거치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컵 거치가 감지되면, 컵높이감지부를 이용하여, 컵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컵 높이가 감지되면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취수 조건으로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취수 조건은, 설정된 냉/온수 조건과 컵 높이를 기준으로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설정한 취수비율을 포함하며,
    (d) 단계는,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 수/발광 센서의 감지 신호로 컵의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취수상태감지부를 이용하여, 컵 내부에 취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취수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취수비율을 만족하면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수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컵이 거치되는 공간의 상측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로 급수된 물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수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취수 모드가 자동모드가 아닌 수동모드일 경우,
    (g) 취수제어부를 이용하여, 수동취수부의 수동 취수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 수동 취수가 입력되면, 입력 시간과 비례하여,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수 방법.
KR1020130040463A 2013-04-12 2013-04-12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KR10144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63A KR101441240B1 (ko) 2013-04-12 2013-04-12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63A KR101441240B1 (ko) 2013-04-12 2013-04-12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240B1 true KR101441240B1 (ko) 2014-09-17

Family

ID=5176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463A KR101441240B1 (ko) 2013-04-12 2013-04-12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4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944A (ko) * 2015-01-15 2015-05-13 정종현 컵 기울기에 대응한 급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KR101669091B1 (ko) * 2016-02-23 2016-10-25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정수기
WO2017022979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78591B1 (ko) * 2015-12-08 2017-09-14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맥주 디스펜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03698B1 (ko) * 2017-02-27 2017-12-28 주창영 물 디스펜서 자동 급수 장치
KR101901614B1 (ko) * 2017-03-17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정수위 급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90108310A (ko)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에이유이 컵 수위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장치
KR20190118840A (ko) 2018-04-11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58235B2 (en) 2015-07-06 2020-12-08 Lg Innotek Co., Ltd.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04B1 (ko) * 2006-08-11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정량 출수 장치
KR100808138B1 (ko) * 2006-12-29 2008-02-29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04B1 (ko) * 2006-08-11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정량 출수 장치
KR100808138B1 (ko) * 2006-12-29 2008-02-29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944A (ko) * 2015-01-15 2015-05-13 정종현 컵 기울기에 대응한 급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KR101603864B1 (ko) * 2015-01-15 2016-03-15 정종현 컵 기울기에 대응한 급수 제어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US10858235B2 (en) 2015-07-06 2020-12-08 Lg Innotek Co., Ltd.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US10589977B2 (en) 2015-08-03 2020-03-17 Lg Electronics Inc.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16193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22979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11844B1 (ko) 2015-08-03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78591B1 (ko) * 2015-12-08 2017-09-14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맥주 디스펜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69091B1 (ko) * 2016-02-23 2016-10-25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정수기
KR101803698B1 (ko) * 2017-02-27 2017-12-28 주창영 물 디스펜서 자동 급수 장치
WO2018155879A1 (ko) * 2017-02-27 2018-08-30 주창영 자동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901614B1 (ko) * 2017-03-17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정수위 급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90108310A (ko)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에이유이 컵 수위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장치
KR102116767B1 (ko) 2018-03-14 2020-06-01 주식회사 에이유이 컵 수위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장치
KR20190118840A (ko) 2018-04-11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2565B1 (ko) * 2018-04-11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240B1 (ko)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US10793415B2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56053B2 (en) Combination device for measuring tire temperature, pressure, and depth
US5551598A (en) Water run-on timer
RU2297601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отребления газа и газовой энергии и газовый счетчик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110277679A1 (en) Hand held particle sensor device
CA2463343A1 (en) Fuel level indicator for combustion tools
MY154818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operating states of a cooking vessel
US10520300B2 (en) Optical liquid level measurement system for dispensing apparatus
CN105266593A (zh) 自动呼叫供水方的多功能饮水机
JP4806450B2 (ja) ガス体積流量の測定及び制御によってバブル存続期間を自動的に制御するハンドヘルド・テンシオメーター
US201803210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n amount of water dispensed through a faucet spout
KR20180001348U (ko) 컵 기울기에 대응한 급수량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장치
KR101947996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20150073603A (ko)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5511A (ko) 추출량 가변 정수기
KR101947999B1 (ko)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CN115211727A (zh) 一种智能安全饮水机及其控制方法
EP1734347A2 (en) Apparatus for metering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content of natural gas
KR101977026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102325841B1 (ko)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CN106501129B (zh) 一种用于毛细管法粘度测量单元的粘度测量方法
US10513425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universal portable top-mounted beverage condition status light indicator, universal portable top-mounted beverage condition status light indicator and method
KR101503138B1 (ko) 농축액의 유동성 측정 장치
KR100972848B1 (ko) 적색 엘이디 센서를 이용한 액상음료 배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