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99B1 -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99B1
KR101947999B1 KR1020120116198A KR20120116198A KR101947999B1 KR 101947999 B1 KR101947999 B1 KR 101947999B1 KR 1020120116198 A KR1020120116198 A KR 1020120116198A KR 20120116198 A KR20120116198 A KR 20120116198A KR 101947999 B1 KR101947999 B1 KR 10194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etection signal
unit
amoun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215A (ko
Inventor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반사된 얼음감지신호가 상기 센서부로 되돌아오는 비율인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추출되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원하는 얼음량만큼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필터로 여과하여 생성한 정수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생성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얼음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얼음을 만드는 얼음생성부 및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를 구비하며,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얼음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얼음저장부에 구비된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켜 얼음을 토출한다. 즉, 회전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은 회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며, 상기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스크류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회전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양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얼음이 뭉쳐 있는 경우에는 갑자기 많은 양의 얼음이 한번에 제공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출되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원하는 양만큼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되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원하는 얼음량만큼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반사된 얼음감지신호가 상기 센서부로 되돌아오는 비율인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발신부; 및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한계수신율 이하이면, 얼음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반비례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상기 기준시간동안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공급받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정수기는 상기 판별부가 계산한 토출된 얼음의 양이 기 설정된 얼음설정량에 해당하면,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이상 쌓인 얼음이 상기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얼음커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간격,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및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은,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얼음감지단계; 및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얼음토출량판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감지단계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입력되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토출량판별단계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반비례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상기 기준시간동안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얼음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얼음이 갑작스럽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의 센서부에 의한 얼음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의 얼음 추출량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는 센서부(10) 및 판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설명한다.
센서부(10)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이송수단(60), 예를들어 회전스크류를 따라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얼음이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기 직전의 얼음을 감지하여, 판별부(20)가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0)는 발신부(11) 및 수신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감지신호는 상기 얼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활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infra red) 신호를 상기 얼음감지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부(11)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a)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감지신호(a)의 수신율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부(12)를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을 가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얼음(1)이 없는 경우에는 반사된 얼음감지신호(a)는 대부분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되며 이때 상기 수신부(12)의 수신율은 최대가 될 수 있다.
반면에,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1)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부(11)가 출력한 얼음감지신호(a)가 상기 얼음의 표면에서 난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감지신호(a)는 대부분이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되지 못하게 되며 이때의 수신율은 상기 얼음(1)이 없을 때와 비교할 때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2에서는 상기 얼음감지신호(a)가 하나의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발신부(11)가 출력하는 얼음감지신호(a)의 입시각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발신부(11)는 출력하는 얼음감지신호(a)는 원뿔형일 수 있으며, 상기 원뿔형의 얼음감지신호 중 일부는 상기 얼음(1)의 표면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1)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얼음감지신호(a)를 일부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얼음(1)의 개수가 많아질 수록 상기 반사된 얼음감지신호(a)가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될 수 있는 가능성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수신부(12)의 얼음감지신호(a) 수신율과 상기 얼음(1)의 개수는 반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감지신호(a)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별부(20)는,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은 얼음의 양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판별부(20)는 상기 수신율과 얼음의 양에 대한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20)는, 상기 센서부(10)가 감지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한계수신율 이하이면 얼음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0)가 측정한 수신율의 크기에 대응하는 얼음의 토출량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율이 90% 이상이면 얼음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수신율이 50% 미만이면 1개의 얼음, 수신율이 10% 미만이면 2개의 얼음이 있는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계수신율은 90%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10)가 측정하는 얼음감지신호는, 상기 얼음(10 이외에도 상기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수단(60) 예를들어, 회전스크류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얼음 이외에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얼음감지신호가 난반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판별부(20)의 얼음 양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스크류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므로,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차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회전스크류가 1회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되는 수신율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수신율에 해당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기준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은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할 때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이 회전 스크류에 의하여 토출되는 경우, 상기 회전 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에 얼음이 위치하게 되며, 센서부(10)는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별부(20)가 상기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 스크류의 주기에 따라 얼음의 개수를 판별한 후, 상기 얼음의 개수를 적산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판별부(2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토출되는 얼음의 개수를 판별한 후, 상기 토출된 얼음의 개수를 적산하여 전체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개수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의 간격, 상기 블레이드(61)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개수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의 간격, 상기 블레이드(61)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에 2개의 얼음이 위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의 간격 및 상기 블레이드(61)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판별부(20)는 보다 용이하게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측정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구별해야하는 경우의 수가 3가지(얼음이 없는 경우, 1개인 경우, 2개인 경우)로 한정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얼음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은 센서부(10)의 얼음감지신호에 대한 수신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기 그래프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신율이 100% 이면 얼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을 의미하고, 수신율이 50%이면 얼음이 1개, 수신율이 0%이면 얼음이 2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0 ~ t1 시간 동안에는 수신율이 100% 이므로 회전스크류를 통하여 이송되는 얼음은 0개이고, t1 ~ t2 시간동안에는 수신율이 50%이므로 1개의 얼음이 이송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t2 ~ t4 시간동안에는 수신율이 0%이므로 2개의 얼음이 이송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t4 ~ t5의 경우도 동일한 방법으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별부(20)는 상기 각각의 시간구간에서 토출된 얼음의 양을 적산하여, 전체 0 ~ t5 동안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6개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커튼부재(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음커튼부재(62)는 상기 회전스크류가 이송하는 얼음의 양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상기 얼음커튼부재(62)에 의하여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에 포함되는 얼음의 최대 개수가 2개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별부(20)가 감지하는 얼음의 양에 대한 정확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도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센서부(10), 판별부(20), 필터부(30), 얼음생성부(40), 얼음저장부(50), 이송수단(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설명한다.
얼음정수기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입된 원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한 원수는 필터부(3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30)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nano 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부(30)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얼음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얼음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탱크(w)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탱크(w)는 공급되는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정냉유로를 따라 얼음생성부(40)로 공급되거나, 정수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얼음정수기는 별도의 정수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식 정수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30)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정수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직접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필터부(30)에서 직접 얼음생성부(40)로 공급될 수 있다.
얼음생성부(40)는, 상기 정냉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스 트레이에 상기 정수를 공급받은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냉각기를 침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침지된 냉각기를 냉각하여 상기 냉각기 표면에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냉각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탈빙히터를 동작시켜 얼음을 상기 얼음저장부(50)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회전시켜 상기 얼음의 낙하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얼음저장부(50)는 상기 얼음(1)을 저장할 수 있으며, 얼음의 추출이 요청되면 상기 이송수단(60)이 상기 저장된 얼음(1)을 상기 얼음토출구(b)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의 추출이 요청되면 얼음도어(d)를 개방한 후, 상기 이송수단(60)이 얼음추출모터(63)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을 얼음토출구(b)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얼음(1)은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6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1)의 토출량은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2)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개수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토출하는 얼음의 양을 제어하면 정확하게 목표하는 양의 얼음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얼음의 뭉쳐있는 경우 등에는 갑자기 많은 양의 얼음이 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센서부(10) 및 판별부(20) 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정수기에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얼음의 양이 토출하고자 하는 얼음설정량에 해당하면 제어부(70)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60)에는 상기 얼음을 얼음토출구(b)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와 함께, 얼음커튼부재(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커튼부재(63)는 상기 회전 스크류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2) 높이 이상 쌓인 얼음이 상기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커튼부재(63)에 의하면, 얼음이 뭉쳐있는 경우 등에도,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얼음이 한꺼번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부(10) 및 판별부(20)를 이용하여, 토출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내용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은 얼음감지단계(S10) 및 얼음토출량감지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얼음감지단계(S10)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감지신호는 적외선 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센서의 발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한 후, 상기 적외선 센서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반사된 얼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신부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입력되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얼음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감지신호가 반사되어 상기 수신부로 대부분이 입력되지만, 상기 얼음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감지신호가 얼음의 표면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수신부로 입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따라 상기 얼음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얼음토출량판별단계(S20)는,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얼음감지단계(S10)에서 발신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얼음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은 얼음의 개수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토출량판별단계(S20)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을 토출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회전스크류를 이용하여 얼음을 얼음토출구까지 이송한다. 이 경우, 상기 얼음감지신호는 상기 얼음뿐만아니라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수신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시간 동안 일정한 수신율을 유지하는 얼음감지신호에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센서부 20: 판별부
30: 필터부 40: 얼음생성부
50: 얼음저장부 60: 이송수단
61: 블레이드 62: 얼음커튼부재
63: 얼음추출모터 70: 제어부
a: 얼음감지신호 b: 얼음토출구
d: 얼음도어
S10: 얼음감지단계 S20: 얼음토출량판별단계

Claims (10)

  1.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발신된 얼음감지신호가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로 되돌아오는 비율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 단위로 측정한 값인 수신율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발신부; 및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한계수신율 이하이면, 얼음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반비례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상기 기준시간동안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7. 공급받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발신된 얼음감지신호가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로 되돌아오는 비율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 단위로 측정한 값인 수신율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계산한 토출된 얼음의 양이 기 설정된 얼음설정량에 해당하면,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이상 쌓인 얼음이 상기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얼음커튼부재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간격,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및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얼음정수기.
KR1020120116198A 2012-10-18 2012-10-18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KR10194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98A KR101947999B1 (ko) 2012-10-18 2012-10-18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98A KR101947999B1 (ko) 2012-10-18 2012-10-18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15A KR20140050215A (ko) 2014-04-29
KR101947999B1 true KR101947999B1 (ko) 2019-02-14

Family

ID=5065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98A KR101947999B1 (ko) 2012-10-18 2012-10-18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74B1 (ko) * 2016-03-24 2016-09-01 구봉석 얼음 배출 장치
KR102036638B1 (ko) * 2017-04-28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KR102289170B1 (ko)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얼음이 배출되는 싱크대용 수도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408B1 (ko) 1996-07-18 1999-06-15 구자홍 아이스 디스펜서의 이빙 및 취출장치
KR200243161Y1 (ko) * 2000-12-29 2001-09-29 주식회사 에스 씨디 제빙기능을 가진 냉온 정수기의 얼음 자동 취출장치
KR100565616B1 (ko)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100577184B1 (ko) 2003-05-28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408B1 (ko) 1996-07-18 1999-06-15 구자홍 아이스 디스펜서의 이빙 및 취출장치
KR200243161Y1 (ko) * 2000-12-29 2001-09-29 주식회사 에스 씨디 제빙기능을 가진 냉온 정수기의 얼음 자동 취출장치
KR100577184B1 (ko) 2003-05-28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565616B1 (ko)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15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72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제어방법
KR101947999B1 (ko)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CN101478903B (zh) 在磨碎装置中探测粒料的量的方法
KR101441240B1 (ko)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EP2249942B1 (en) A water supply unit for providing purified water
WO2007021562A3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kitchen warewasher
US20110011807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fuel filter
KR20120034928A (ko) 상수관로 수질 측정 및 대응시스템
JP4274940B2 (ja) 家庭用の浄水ポット
CN205748509U (zh) 磁流量计和用于检测过程流中的曳出流体的设备
RU2014101028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контролирования состоя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форсунки
CN105658337A (zh) 利用离心机连续地澄清能流动的悬浮液的方法
CN105658338A (zh) 用于利用离心机、尤其是分离机澄清可流动的产品的方法
KR101256479B1 (ko)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5511A (ko) 추출량 가변 정수기
KR101977026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EP2940491B1 (en) Container sensing devic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having same
JP7387651B2 (ja) ろ過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01321999B (zh) 具有水过滤器的家用设备
KR100585496B1 (ko) 정수장의 활성탄 자동 정량 투입장치
KR101463118B1 (ko) 거리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정수기 누수감지 시스템
KR20130136878A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102190123B1 (ko) 얼음추출장치
KR20080095682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정수기 모니터링 장치
CN104643937A (zh) 一种直饮水机流量检测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