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295A -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295A
KR20180103295A KR1020170030028A KR20170030028A KR20180103295A KR 20180103295 A KR20180103295 A KR 20180103295A KR 1020170030028 A KR1020170030028 A KR 1020170030028A KR 20170030028 A KR20170030028 A KR 20170030028A KR 20180103295 A KR20180103295 A KR 2018010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purifier
raw
quality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규
김기철
이영재
정정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3295A/ko
Publication of KR2018010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수질 관리 시스템은,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ER}
본 출원은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 냉수, 온수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로, 가정, 학교, 병원, 회사 등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수기의 주 기능은 물을 정화하는 것으로, 수질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또한, 정수기의 성능이 동일하더라도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수의 수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원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정수기의 수질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더 나아가 원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은,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수질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수질 정화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 이를 정수기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정수기의 문제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음용을 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정수기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원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은, 정수기(100), 수질 측정기(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수기(100)는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며, 유입되는 물(즉, 원수)과 여과된 물(즉, 정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관리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각종 분석 정보, 알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기(100)는 필터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역삼투압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 필터 등과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처리 필터, 후처리 필터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필터부(110)에 포함되는 필터의 개수 및 종류는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정수기(100) 내부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2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는 필터부(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된 2개의 TDS(Total Dissolved Solids)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TDS 센서에 의해 원수 및 정수의 TDS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센서부(120)는 탁도 센서, 온도 센서, 유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정수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필터부(110)에 의해 정수를 생성하는 동안 센서부(120)가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예를 들어, 원수 및 정수의 TDS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 예를 들어 원수 및 정수의 TDS값을 후술하는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각종 분석 정보, 알람 등을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관리서버(300) 등과 같은 원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LCD,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질 측정기(200)는 정수기(100)와 이격 설치되어, 정수기(100)로 제공되는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관리서버(3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210) 및 통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TDS 센서, 탁도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관리서버(300) 등과 같은 원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질 측정기(200)는 정수기(100)가 설치된 장소로 물을 제공하기 위해 정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정수장 또는 정수 처리된 물을 분배하는 배수지에 설치되어 정수 처리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질 측정기(200)는 정수장 또는 배수지로부터 정수기(100)로 물이 공급되는 경로(예를 들어, 아파트/건물 내의 물탱크, 배관 등)상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질 측정기(200)가 정수장으로부터 정수기(100)까지의 경로 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물의 수질을 측정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300)는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 수질 측정기(2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정수기(100) 등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정수기(100), 수질 측정기(200), 사용자 단말(10), 관리자 단말(20) 등과 같은 원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 수질 측정기(2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정수기(100)의 수질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대비하여 정수의 수질이 원수의 수질에 비해 기 설정된 정도(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만큼 개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수기(100)의 수질 정화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정수기(100), 사용자 단말(10), 관리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수기(100)의 사용자가 정수기(100)의 문제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음용을 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정수기(100)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원수의 이상 징후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현재 수신한 원수의 수질 정보와 저장부(330) 내에 기 저장된 과거의 원수의 수질 정보를 대비하여 현재의 원수의 수질이 과거의 원수의 수질(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값)에 비해 기 설정된 정도(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만큼 나빠진 경우 원수 자체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고, 정수기(100), 사용자 단말(10), 관리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시간에 따른 원수의 수질 변화가 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특정 현상(예를 들어, 녹조 현상 등), 기후 변화(예를 들어, 우기, 건기 등), 기타 인위적 행위 또는 설비 노후(예를 들어, 오염물질 유입 또는 배관 노후 등) 등에 의한 것인지 상관성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원수의 수질 정보에 더하여, 현상 발생 여부, 기후 정보, 설비 정보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주변의 일정 구역 내에 설치된 다른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원수의 수질 차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정수기(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기 분류된 복수의 구역 중 정수기(100)가 설치된 위치가 속하는 구역 내에 속하는 다른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지역에 속하는 각 가정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 차이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를 토대로 해당 가정의 원수의 수질이 타 가정에 비해 떨어지는 경우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정수장, 배수지, 또는 이로부터 정수기(100)로 물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질 측정기(200)로부터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물이 정수장으로부터 가정으로 공급되는 동안의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정수장에서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기(100)에서 측정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대비하여 물이 공급되는 동안 수질이 어느 정도로 떨어졌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복수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수질 측정기(200)로부터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어느 구간에서 수질이 떨어졌는지 파악하여 배관 설비의 위생 조건 또는 문제점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정수기(100) 내에 포함된 필터의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필터의 사용량 정보 또는 이를 기초로 예측한 필터의 교체 시기 정보를 정수기(100), 사용자 단말(10), 관리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관리서버(300)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정수기(100) 또는 수질 측정기(200)로부터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320)에 의한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관리자 단말
100: 정수기
110: 필터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수질측정기
210: 센서부
220: 통신부
300: 관리서버
310: 통신부
320: 제어부
330: 저장부

Claims (21)

  1.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기 내부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부;
    원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가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필터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원수 및 정수의 TDS를 측정하는 2개의 TDS(Total Dissolved Solids) 센서를 포함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로 제공되는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수질 측정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수질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측정기는 상기 정수기가 설치된 장소로 물을 제공하기 위해 정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정수장 또는 정수 처리된 물을 분배하는 배수지에 설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측정기는 상기 정수장 또는 배수지로부터 상기 정수기로 물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원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정수기의 수질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대비하여 정수의 수질이 원수의 수질에 비해 기 설정된 비율만큼 개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수기의 수질 정화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알람을 전송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원수의 이상 징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수신한 원수의 수질 정보와 상기 저장부 내에 기 저장된 과거의 원수의 수질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현재 수신한 원수의 수질이 상기 과거의 원수의 수질에 비해 기 설정된 비율만큼 나빠진 경우 원수 자체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알람을 전송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 분류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정수기가 설치된 위치가 속하는 구역 내에 속하는 다른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원수의 수질 차이를 분석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수장 및 상기 정수장로부터 상기 정수기로 물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물이 상기 정수장으로부터 상기 정수기로 공급되는 동안의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정수기 내에 포함된 필터의 사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의 사용량 정보 또는 상기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예측한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수질 관리 시스템.
  16. 원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수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질관리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정수기의 수질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질관리서버.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원수의 이상 징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수질관리서버.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 분류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정수기가 설치된 위치가 속하는 구역 내에 속하는 다른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원수의 수질 차이를 분석하는 수질관리서버.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수장 및 상기 정수장로부터 상기 정수기로 물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물이 상기 정수장으로부터 상기 정수기로 공급되는 동안의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는 수질관리서버.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정수기 내에 포함된 필터의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 정보를 예측하는 수질관리서버.
KR1020170030028A 2017-03-09 2017-03-09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KR20180103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28A KR20180103295A (ko) 2017-03-09 2017-03-09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28A KR20180103295A (ko) 2017-03-09 2017-03-09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95A true KR20180103295A (ko) 2018-09-19

Family

ID=6371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28A KR20180103295A (ko) 2017-03-09 2017-03-09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329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826B1 (ko) * 2020-11-02 2021-05-13 서승현 녹물 감지 알림 기능을 구비한 수전용 필터
KR20210065521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양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7925A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20210137926A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20210137927A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가전제품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05771A (ko) 2021-01-21 2022-07-28 코웨이 주식회사 고객에게 정수기를 추천하기 위한 방법 및 정수기 추천 장치
KR102648680B1 (ko) * 2023-06-28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엠티 실시간 수질분석을 통해 필터 교체와 음용적합여부를 알려주는 무전원 가정용 정수기와 그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21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양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7925A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20210137926A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20210137927A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가전제품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230627A1 (ko) * 2020-05-11 2021-11-18 애터미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251826B1 (ko) * 2020-11-02 2021-05-13 서승현 녹물 감지 알림 기능을 구비한 수전용 필터
KR20220105771A (ko) 2021-01-21 2022-07-28 코웨이 주식회사 고객에게 정수기를 추천하기 위한 방법 및 정수기 추천 장치
KR102648680B1 (ko) * 2023-06-28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엠티 실시간 수질분석을 통해 필터 교체와 음용적합여부를 알려주는 무전원 가정용 정수기와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295A (ko)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US1140765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ter quality and flow
ES2785653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ón de control en tiempo real de la calidad del agua de una red de distribución
CN102362037B (zh) 用于监测饮用水管网中的水质的设备和方法
CN108264106B (zh) 一种净水器的滤芯预警方法及系统
KR102340325B1 (ko)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0102377A4 (en) CNI-Water Management Technology: WATER COLLECTION AND NOTIFICATION INTELLIGENT MANAGEMENT TECHNOLOGY
CN204143214U (zh) 一种水质预警及控制排放系统
KR102210644B1 (ko) 지능형 상수관망 자동 드레인 시스템
WO2016011580A1 (en)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KR20160112229A (ko) 스마트 염소처리시스템
WO2015192795A1 (zh) 净水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20034928A (ko) 상수관로 수질 측정 및 대응시스템
WO2018179494A1 (ja) 水質測定装置
JP6256143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CN109187900A (zh) 一种水质安全监测与管理系统
KR101589127B1 (ko) 체크밸브 개폐특성 모니터링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장치
JP2015231606A (ja) 逆浸透膜分離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CN204065048U (zh) 一种反渗透水处理阻垢剂质量评价试验装置
CN113811513A (zh) 在线水硬度传感器和软水器控制系统
KR101772558B1 (ko) 수영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16012158A (ja) プラント異常予知装置、異常予知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040056596A (ko) 수질검사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JP2015182069A (ja) 除濁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CN108002456B (zh) 净水器及更换滤芯的提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