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25B1 -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25B1
KR102340325B1 KR1020210127766A KR20210127766A KR102340325B1 KR 102340325 B1 KR102340325 B1 KR 102340325B1 KR 1020210127766 A KR1020210127766 A KR 1020210127766A KR 20210127766 A KR20210127766 A KR 20210127766A KR 102340325 B1 KR102340325 B1 KR 10234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item
wate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동한
박선옥
Original Assignee
금동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동한 filed Critical 금동한
Priority to KR102021012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IoT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설치되어 음용 가능한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을 측정하기 위한 TDS 센서, 액체 매질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 액체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액체 매질의 잔류 염소를 측정하기 위한 잔류 염소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조마다 각각 설치되어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질 다항목을 측정하는 수질 다항목 IoT 센서, 상기 수질 다항목 IoT 센서에서 측정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인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p), 총 용존 고형물질(TDS),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질 분석에 활용하는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지역의 저수조별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여 발생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여 청소업체 단말로 해당 저수조에 대한 청소 요청 알림을 발송하는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 및 각 저수조의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로라 모뎀을 통해 로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로라 모뎀을 통해 전송받은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게이트웨이 내의 LTE망을 통해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수질 측정 항목에 대한 실시간 측정치와 실시간 측정치의 변화값을 포함하는 수질 상태를 분석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에서 분석된 수질 상태를 계절, 강우량을 포함하는 환경 요소와 연관하여 빅데이터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여 통합 인터페이싱 처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에 따른 수질 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수질 현황판을 통해 수소이온농도(Ph),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 탁도, 잔류염소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 상기 측정치에 기초하여 판정된 수질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전체 지역에 대한 수질현황 등급을 경고, 주의 및 정상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하고, 지역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수질점검, 정화장치, 염소투입 및 기타 중 하나로 도식화되는 현장점검 현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잔류염소 현황, 총 용존 고형물질(TDS) 현황 및 수소이온농도(Ph) 현황 정보를 각각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 다수의 저수조 각각에 대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를 포함하는 항목별 측정값을 수집하고, 각 항목별 측정값의 평균,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산출하여 다수의 저수조 중 각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저수조 수질의 위험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저수조 수질 비교부, 상기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의 기설정된 x배수 및 상기 평균편차의 기설정된 x배수보다 큰 경우, 해당 저수조의 수질 위험경고와 동시에 센서 오류 의심 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센서오류 감지부, 웹 서버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공유하는 홈페이지/앱 연동부,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수질 이상신호 알람을 발생시키는 수질 이상신호 알림부, 상기 저수조마다 설치된 수질 다항목 IoT 센서의 에러 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한 IoT 센서 검출 시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IoT 센서 에러 모니터링부 및 특정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에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된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저수조 수질 상태 모니터링 대상을 추가로 생성하는 모니터링 추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웹 서버 또는 상기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에 이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저수조의 위치를 전송하는 저수조위치제공부,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아래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에 음용수 재공급 알람을 전송하는 저수조수위알람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저수조온도조절부, 상기 이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음용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저수조에서 토출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토출하는 음용수온도조절부 및 상기 음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독액 또는 기설정된 온도의 물을 기설정된 시간마다 방출하는 음용수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수토출부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레버 또는 밸브의 개방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용수토출부의 방출을 중단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수위값이 음용수 교체 주기동안 기설정된 변동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를 전부 토출하고,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의 단말에 상기 저수조의 비움동작 및 음용수 재공급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WATER STORAGE TANK MANAGEMENT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DRINKING WATER WITH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저수조의 수질을 저수조 관리 플랫폼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수돗물을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는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수돗물 수질검사 항목은 주요선진국 수돗물 수질검사 항목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돗물을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는 물탱크나 낡은 수도관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또는 상수원이 깨끗하지 않을 것 같아서 또는 냄새와 이물질 때문에 또는 부정적 언론 보도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막연한 불안감으로 사회 심리적 수돗물 불신이 고착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수돗물을 안 마시는 사람은 대부분 정수기 물, 먹는 샘물(생수)을 사서 먹거나 지하수, 우물물, 약수 등을 먹고 있다. 이로 인하여 페트병 생수, 정수기에 의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사용 증가로 인한 환경 오염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9598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저수조의 수질을 저수조 관리 플랫폼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수돗물을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한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설치되어 음용 가능한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을 측정하기 위한 TDS 센서, 액체 매질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 액체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액체 매질의 잔류 염소를 측정하기 위한 잔류 염소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조마다 각각 설치되어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질 다항목을 측정하는 수질 다항목 IoT 센서, 상기 수질 다항목 IoT 센서에서 측정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인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p), 총 용존 고형물질(TDS),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질 분석에 활용하는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지역의 저수조별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여 발생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여 청소업체 단말로 해당 저수조에 대한 청소 요청 알림을 발송하는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 및 각 저수조의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로라 모뎀을 통해 로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로라 모뎀을 통해 전송받은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게이트웨이 내의 LTE망을 통해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수질 측정 항목에 대한 실시간 측정치와 실시간 측정치의 변화값을 포함하는 수질 상태를 분석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에서 분석된 수질 상태를 계절, 강우량을 포함하는 환경 요소와 연관하여 빅데이터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여 통합 인터페이싱 처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에 따른 수질 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수질 현황판을 통해 수소이온농도(Ph),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 탁도, 잔류염소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 상기 측정치에 기초하여 판정된 수질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전체 지역에 대한 수질현황 등급을 경고, 주의 및 정상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하고, 지역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수질점검, 정화장치, 염소투입 및 기타 중 하나로 도식화되는 현장점검 현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잔류염소 현황, 총 용존 고형물질(TDS) 현황 및 수소이온농도(Ph) 현황 정보를 각각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 다수의 저수조 각각에 대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를 포함하는 항목별 측정값을 수집하고, 각 항목별 측정값의 평균,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산출하여 다수의 저수조 중 각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저수조 수질의 위험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저수조 수질 비교부, 상기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의 기설정된 x배수 및 상기 평균편차의 기설정된 x배수보다 큰 경우, 해당 저수조의 수질 위험경고와 동시에 센서 오류 의심 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센서오류 감지부, 웹 서버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공유하는 홈페이지/앱 연동부,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수질 이상신호 알람을 발생시키는 수질 이상신호 알림부, 상기 저수조마다 설치된 수질 다항목 IoT 센서의 에러 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한 IoT 센서 검출 시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IoT 센서 에러 모니터링부 및 특정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에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된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저수조 수질 상태 모니터링 대상을 추가로 생성하는 모니터링 추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웹 서버 또는 상기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에 이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저수조의 위치를 전송하는 저수조위치제공부,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아래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에 음용수 재공급 알람을 전송하는 저수조수위알람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저수조온도조절부, 상기 이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음용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저수조에서 토출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토출하는 음용수온도조절부 및 상기 음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독액 또는 기설정된 온도의 물을 기설정된 시간마다 방출하는 음용수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수토출부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레버 또는 밸브의 개방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용수토출부의 방출을 중단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수위값이 음용수 교체 주기동안 기설정된 변동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를 전부 토출하고,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의 단말에 상기 저수조의 비움동작 및 음용수 재공급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저수조의 수질을 저수조 관리 플랫폼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수질의 이상 발생시 신속한 알림을 통해 안전한 수돗물 음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질 다항목 IoT 센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지역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질 현황판 및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IoT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질 다항목 IoT 센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저수조(100)와, 수질 다항목 IoT 센서(200)와, 게이트웨이(300)와,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400)와,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500)와,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600)과, 청소업체 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100)는 아파트, 학교, 공공기관 등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저수조 내부에는 음용 가능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100)는, 저수조위치제공부, 저수조수위알람부, 저수조온도조절부, 음용수온도조절부 및 토출구소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위치제공부는, 웹 서버 또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에 이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저수조(10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폰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저수조(100)의 위치에 따른 이동거리, 시간 등을 표시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수위알람부는,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아래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에 음용수 재공급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용수의 수위는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가 상기 저수조(100)의 바닥에서부터 시작하여 10cm이하 또는 0.328ft 이하인 경우 상기 음용수 재공급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온도조절부는, 상기 저수조(1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의 온도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의 온도가 11도 내지 30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수조(100) 내 마련된 저수조 가열 및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의 온도가 상기 범위 내 측정될 수 있도록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음용수온도조절부는, 상기 이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음용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저수조(100)에서 토출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가 토출구에서 토출되기까지 이동하는 관에 위치한 가열 및 냉각 장치를 마련하여 상기 이용자의 단말에서 전송받은 온도로 상기 음용수가 토출구에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용수토출부는, 상기 음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독액 또는 기설정된 온도의 물을 기설정된 시간마다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독액은 상기 저수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저장부를 마련하여 상기 토출구에 토출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소독액이 토출되면서 소독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독액저장부를 마련할 수 없거나 주변환경이 외부 오염요소가 적은 위치인 경우, 상기 음용수온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용수의 온도를 100도 이상으로 설정하여 상기 음용수토출부를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수토출부의 소독 주기는 8시간을 주기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상기 저수조(100)가 설치되는 환경과 상기 저수조(100)에 잔여한 음용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소독 주기를 환경안전 관리자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용수토출부는, 상기 이용자가 레버 또는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100)로부터 상기 음용수를 토출하는 동작을 최우선 동작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음용수토출부의 소독주기에 소독을 준비중이거나 소독중일 때, 이용자가 음용수를 토출할 경우 즉시 소독동작을 멈추고 상기 이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는 동작을 가장 최우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수토출부는, 상기 수위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수위값이 음용수 교체 기간동안 기설정된 음용수 교체 범위 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를 전부 토출하고,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의 단말에 상기 저수조(100)의 비움동작 및 음용수 재공급 요청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음용수 교체 범위는, 상기 수위측정센서에서 마지막으로 측정된 수위값의 -10% 내지 -50%까지 환경안전 담당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최소 3일 내지 최대 30일까지 설정하여 상기 저수조(100)에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음용수 교체 기간이 5일로 설정되어있고, 음용수 교체 범위가 -10%로 설정되어 있는 저수조(100)에 대하여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가 30cm로 측정된 시점으로부터 5일간 상기 수위가 29cm 내지 30cm로 측정되어 상기 수위값의 변화가 상기 음용수 교체 범위인 -10%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를 전부 토출하여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재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수조(100) 내 음용수가 오랜기간 잔류하여 향과 맛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용수 교체조건이 지속적으로 해당되어 상기 음용수 전체의 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시, 상기 음용수의 수요가 적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수질 다항목 IoT 센서(200)는 저수조(100)마다 설치되어 저수조 내 물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측정하여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질 다항목 IoT 센서(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210)와,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을 측정하기 위한 TDS 센서(211)와, 액체 매질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212)와, 액체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213)와, 액체 매질의 잔류 염소를 측정하기 위한 잔류 염소 센서(214)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0)는 저수조(100)마다 설치된 수질 다항목 IoT 센서(200)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수신하여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400)는 게이트웨이(300)를 통해서 전송된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수신하여 수신된 측정값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질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500)는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저수지 수질정보를 수질 현황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저수조 수질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수질 측정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각 저수조에 대한 수질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600)은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500)로부터 수질 측정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여 발생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알람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청소업체 단말(700)로 해당 저수조에 대한 청소 요청을 할 수 있다.
청소업체 단말(700)은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600)로부터 청소 요청 알림을 수신하는 경우 청소 요청 사항을 확인하여 해당 저수조에 대한 청소 후 청소 완료 알림 메시지를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400)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410)와,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411)와, 빅데이터 분석부(412)와, 모니터링 시스템 연동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410)는 게이트웨이(300)를 통해서 전송된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다항목 수질 측정값에는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p), 총 용존 고형물질(TDS),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등의 항목에 대한 측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411)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410)에서 수집한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분석할 수 있다. 즉, 각 수질 측정 항목에 대한 실시간 측정치와 실시간 측정치 변화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부(412)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411)에서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에 의해 분석된 수질 상태를 계절, 강우량 등의 환경 요소와 연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 연동부(413)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410)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500)로 전송하여 통합 인터페이싱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411)와 빅데이터 분석부(412)에서 분석된 결과 정보를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지역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질 현황판 및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500)는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510)와,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511)와, 홈페이지/앱 연동부(512)와, 수질 이상신호 알림부(513)와, IoT 센서 에러 모니터링부(514)와, 모니터링 추가 생성부(515)와, 저수조 수질 비교부(516)와, 센서오류 감지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510)는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400)의 모니터링 시스템 연동부(413)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수신할 수 있다.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511)는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수질 현황판을 통해서 저수조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전체 지역에 대한 수질현황을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지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수질점검, 정화장치, 염소투입, 기타 등으로 도식화된 현장점검 현황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잔류염소 현황, 총 용존 고형물질(TDS) 현황 및 수소이온농도(Ph) 현황 정보를 각각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질 현황판을 통해서는 수소이온농도(Ph),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 탁도, 잔류염소, 온도 등의 측정치 및 이러한 측정치에 기초하여 판정된 수질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홈페이지/앱 연동부(512)는 웹 서버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질 현황판 이외에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홈페이지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지역별로 설치된 저수조 내 수질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정보 또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수질 이상신호 알림부(513)는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수질현황을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분류하여 경고지, 주의지, 정상지에 대한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경고가 뜨는 장소, 주의가 뜨는 장소를 시각화된 정보를 통해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질 이상신호 알림부(513)는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발생시켜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센서 에러 모니터링부(514)는 저수조마다 설치된 IoT 센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 에러가 발생한 IoT 센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가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511)에 표시되거나 관리자 단말로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즉, IoT 센서 에러 모니터링부(514)는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중 어느 하나의 값이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511)를 통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에러 상태로 표시가 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니터링 추가 생성부(515)는 특정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에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된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저수조 수질 상태 모니터링 대상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저수조 수질 비교부(516)는, 다수의 저수조 각각에 대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를 포함하는 항목별 측정값을 수집하고, 각 항목별 측정값의 평균,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산출하여 다수의 저수조 중 각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저수조 수질의 위험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센서오류 감지부(517)는, 상기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의 기설정된 x배수 및 상기 평균편차의 기설정된 x배수보다 큰 경우, 해당 저수조의 수질 위험경고와 동시에 센서 오류 의심 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목별 측정값(xi)의 평균은 N개의 저수조에서 측정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의 평균(M)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111110462-pat00001
또한, 상기 N개의 저수조에서 측정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의 표준편차(Sd)를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111110462-pat00002
또한, 상기 상기 N개의 저수조에서 측정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의 평균편차(Md)를 하기 [수학식 3]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1111110462-pat00003
일례로, 7개의 저수조가 마련되어 있고, 1 내지 7번 저수조의 수소이온농도(pH)가 순서대로 6.5pH, 7pH, 7pH, 6.5pH, 8pH, 8.5pH, 8.5pH로 측정된 경우,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7.4pH의 평균(M) 수소이온농도(pH)를 산출하고,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약0.82의 표준편차(Sd)를 산출하며,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0.77의 평균편차(Md)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의 수소이온농도(pH)가 상기 표준편차(Sd) 및 상기 평균편차(Md)를 초과하는 1, 4, 6, 7번째 저수조에 대하여 해당 저수조의 수소이온농도(pH)의 위험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용존산소(DO)의 측정값과 평균과의 차이값이 표준편차의 1.5배 이상인 경우 해당 저수조의 수질 위험경고와 동시에 센서 오류의심 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5개의 저수조가 마련되어 있는, 1번 내지 5번 저수조의 용존산소(DO)가 10ppm, 12ppm, 13ppm, 12ppm, 5ppm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수학식 1] 내지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평균(M)이 8.4, 표준편차(Sd)가 2.87, 평균편차(Md)가 2.56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5번 저수조에 대하여 측정값과 평균과의 차이값이 5.4이며, 표준편차(Sd)인 2.87에 대하여 1.8배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5번 저수조의 수질 위험경고와 동시에 센서 오류 의심 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오류 의심 경고를 수신한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는 해당 센서를 상기 저수조내 위치한 상태 또는 탈착하여 센서정상 검사가 가능한 장소에 이동시켜 오류 의심 경고가 수신된 센서의 정상동작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의 정상동작 유무에 대한 검사는,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가 일정한 값으로 측정되고 있고, 그 값이 유지되고 있는 저수조에 상기 오류 의심 경고가 수신된 센서를 위치시켜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싱값이 상기 저수조에 마련된 정상센서에서 측정된 센싱값과의 차이가 10%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 정상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IoT 센서 데이터를 수집(S110)할 수 있다. 즉,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전송된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을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다항목 수질 측정값에는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p), 총 용존 고형물질(TDS),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등의 항목에 대한 측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S110단계에서 수집된 IoT 센서 데이터에 의해 저수조별 수질 상태를 분석(S120)할 수 있다. 즉,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수집한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및 실시간 측정치 변화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어서,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분석된 저수조별 수질 상태와 관련하여 계절, 강우량 등 환경 요소 연관 빅데이터를 분석(S130)할 수 있다. 즉,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S120단계에서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에 의해 분석된 수질 상태를 계절, 강우량 등의 환경 요소와 연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수집된 저수조별 IoT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고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저수조별 IoT 센서 데이터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수질 현황판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모니터링(S140)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수질 현황판을 통해서 저수조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전체 지역에 대한 수질현황을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지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수질점검, 정화장치, 염소투입, 기타 등으로 도식화된 현장점검 현황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잔류염소 현황, 총 용존 고형물질(TDS) 현황 및 수소이온농도(Ph) 현황 정보를 각각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질 현황판을 통해서는 수소이온농도(Ph),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 탁도, 잔류염소, 온도 등의 측정치 및 이러한 측정치에 기초하여 판정된 수질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IoT 센서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에 기초한 수질 상태에 따라 경고지, 주의지, 정상지 등으로 분류하여 표시함으로써 경고가 뜨는 장소, 주의가 뜨는 장소를 시각화된 정보를 통해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질 측정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발생시켜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로 전송(S150)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수질현황을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분류하여 경고지, 주의지, 정상지에 대한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경고가 뜨는 장소, 주의가 뜨는 장소를 시각화 된 정보를 통해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별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발생시켜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마다 설치된 IoT 센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 에러가 발생한 IoT 센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가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511)에 표시되거나 관리자 단말로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즉, 저수조별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값(DO, Ph, DRP, Cond, Temp) 중 어느 하나의 값이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511)를 통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에러 상태로 표시가 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서,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특정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에 IoT 센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경우 추가된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를 선택하여 모니터링 대상을 추가로 생성(S160)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특정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에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된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저수조 수질 상태 모니터링 대상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 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조 수질관리 플랫폼은 개방형 IoT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으며 IoT 센서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질정보 수질현황판, 홈페이지, 앱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LoRA 통신 장치 및 수질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다항목 수질정보 측정장비를 제공하고, LoRA 전송 모듈 및 LoRA 게이트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기준치 이상 분석 알고리즘, 계절, 강우량, 수질 연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질 다항목 IoT 센서를 이용하여 저수조 내 물의 맑고 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 수도관의 노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리,철 함유량, 물의 액성으로 산, 알칼리 상태를 나타내는 PH, 소독재 잔류농도, 물의 안전성 지표를 나타내는 잔류염소 등을 확인하여 저수조 내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돗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감소시켜 수돗물 직접 음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플라스틱 등의 환경 오염을 감소시켜 사회적 간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저수조 내 수질 이상 발생시에는 환경 담당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질 이상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건물 물탱크 내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저수조 내 수질센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수질측정 장비 설치 및 수질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Open IoT 플랫폼(Mobius)에 기반하여 플랫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고 IoT 센서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 내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측정지별 수질정보를 현황판, 홈페이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센서장치를 이용하여 저수조 내 다항목 수질 측정이 가능하고 LoRA 전송모듈 및 LoRA, LTE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의 수질관리 IoT 플랫폼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발 기간의 단축 및 신뢰성과 호환성을 보장하고 제품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새로운 서비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을 유연하게 추가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스터마이징된 IoT 플랫폼에 센서 디바이스 모니터링 시스템 통합 인터페이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성능, 고안정성이 검증된 솔루션을 낮은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 자동 측정기(센서 보드)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비 절감을 위해 LoRA망을 사설통신망으로 구성하여 반경 2km 이내 저수조의 수질 측정기 데이터를 LoRA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게이트웨이 내의 LTE망을 통하여 데이터 모니터링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질의 다항목(pH, TDS, 잔류염소, 탁도,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 자동측정기(센서 보드) 및 센서 데이터 수집 후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맞춰 로라 모뎀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로라 모뎀은 센서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뎀일 수 있으며, LoRA 게이트웨이는 센서보드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LTE 모뎀을 통해서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반경 2Km 내 센서 보드와 게이트웨이 간 통신시 통신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측정지 별 pH, TDS, 탁도, 잔류염소, 온도 등 수질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수질 정보를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안전하고 깨끗한 저수조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저수조별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저수조 별 pH, TDS, 탁도, 잔류염소, 온도 등 수질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저수조 수질 상태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비(센서보드) 에러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저수조 설치 지역별, 설치 장소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관 또는 장소 추가 시 원 클릭으로 해당 지역이나 장소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고지, 주의지, 정상지 등으로 분류해서 경고가 뜨는 장소, 주의가 뜨는 장소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수질 상황판,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측정지별 LED 수질상환판, 웹사이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저수조별 실시간 수질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저수조 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LED 수질상황판에서는 pH(수소이온농도), TDS, 탁도, 잔류염소, 온도 등의 항목을 표출할 수 있으며 5가지 측정항목 중 1개라도 이상 유무가 감지되면 주의 또는 위험 등의 메시지를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등 다수의 저수조를 측정할 때는 저수조 위치정보도 함께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별 저수조별 모니터링이 가능한 웹사이트, 안드로이드/iOS 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의 또는 경고 시 해당 저수조를 설정한 모든 사람에게 알림 메시지 발송시스템을 생성하여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저수조의 수질을 저수조 관리 플랫폼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수질의 이상 발생시 신속한 알림을 통해 안전한 수돗물 음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저수조
200 : 수질 다항목 IoT 센서
300 : 게이트웨이
400 :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
500 :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
600 :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
700 : 청소업체 단말

Claims (1)

  1.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설치되어 음용 가능한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을 측정하기 위한 TDS 센서, 액체 매질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 액체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액체 매질의 잔류 염소를 측정하기 위한 잔류 염소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조마다 각각 설치되어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질 다항목을 측정하는 수질 다항목 IoT 센서;
    상기 수질 다항목 IoT 센서에서 측정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인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p), 총 용존 고형물질(TDS),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질 분석에 활용하는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지역의 저수조별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여 발생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여 청소업체 단말로 해당 저수조에 대한 청소 요청 알림을 발송하는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 및
    각 저수조의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로라 모뎀을 통해 로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로라 모뎀을 통해 전송받은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게이트웨이 내의 LTE망을 통해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수질 측정 항목에 대한 실시간 측정치와 실시간 측정치의 변화값을 포함하는 수질 상태를 분석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에서 분석된 수질 상태를 계절, 강우량을 포함하는 환경 요소와 연관하여 빅데이터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질 분석부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여 통합 인터페이싱 처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는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
    상기 IoT 센서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에 따른 수질 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수질 현황판을 통해 수소이온농도(Ph),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 탁도, 잔류염소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 상기 측정치에 기초하여 판정된 수질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전체 지역에 대한 수질현황 등급을 경고, 주의 및 정상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하고, 지역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수질점검, 정화장치, 염소투입 및 기타 중 하나로 도식화되는 현장점검 현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잔류염소 현황, 총 용존 고형물질(TDS) 현황 및 수소이온농도(Ph) 현황 정보를 각각 경고, 주의, 정상 등급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IoT 센서 데이터 표시부;
    다수의 저수조 각각에 대한 수소이온농도(pH), 총 용존 고형 물질(TDS),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 온도(Temp) 및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를 포함하는 항목별 측정값을 수집하고, 각 항목별 측정값의 평균,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산출하여 다수의 저수조 중 각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 및 평균편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저수조 수질의 위험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저수조 수질 비교부;
    상기 항목별 측정값과 상기 평균과의 차이값이 상기 표준편차의 1.5배수 및 상기 평균편차의 1.5배수보다 큰 경우, 해당 저수조의 수질 위험경고와 동시에 센서 오류 의심 경고를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센서오류 감지부;
    웹 서버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공유하는 홈페이지/앱 연동부;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는 경우 수질 이상신호 알람을 발생시키는 수질 이상신호 알림부;
    상기 저수조마다 설치된 수질 다항목 IoT 센서의 에러 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한 IoT 센서 검출 시 IoT 센서 에러 검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IoT 센서 에러 모니터링부; 및
    특정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의 저수조에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질 다항목 IoT 센서가 추가된 지역의 기관이나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저수조 수질 상태 모니터링 대상을 추가로 생성하는 모니터링 추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웹 서버 또는 상기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에 이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저수조의 위치를 전송하는 저수조위치제공부;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아래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에 음용수 재공급 알람을 전송하는 저수조수위알람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저수조온도조절부;
    상기 이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음용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저수조에서 토출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토출하는 음용수온도조절부; 및
    상기 음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독액 또는 기설정된 온도의 물을 기설정된 시간마다 방출하는 음용수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수토출부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레버 또는 밸브의 개방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용수토출부의 방출을 중단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수위값이 음용수 교체 주기동안 기설정된 변동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 내 음용수를 전부 토출하고, 상기 환경안전 담당자의 단말에 상기 저수조의 비움동작 및 음용수 재공급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127766A 2021-09-28 2021-09-28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66A KR102340325B1 (ko) 2021-09-28 2021-09-28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66A KR102340325B1 (ko) 2021-09-28 2021-09-28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325B1 true KR102340325B1 (ko) 2021-12-16

Family

ID=7903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766A KR102340325B1 (ko) 2021-09-28 2021-09-28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3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915B1 (ko) * 2022-08-23 2022-11-11 (주)에스엔테크 인공지능 기반의 수질 전광판의 수질정보 표시 시스템
KR102482378B1 (ko) 2021-11-15 2022-12-29 가온플랫폼 주식회사 빅데이터 분석 및 진단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03813B1 (ko) 2022-09-08 2023-02-24 주식회사 엠에스텍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KR102535621B1 (ko) * 2022-09-26 2023-05-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수질 측정 장치
KR20240035366A (ko) 2022-09-08 2024-03-15 (주)에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저수조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52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물탱크 통합 수질관리 시스템
KR20110103255A (ko) * 2010-03-12 2011-09-20 (주) 큐알온텍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양식 관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KR101295851B1 (ko) * 2012-11-06 2013-08-12 정태선 원격수위관리장치
KR101909598B1 (ko) 2017-04-18 2018-10-18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52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물탱크 통합 수질관리 시스템
KR20110103255A (ko) * 2010-03-12 2011-09-20 (주) 큐알온텍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양식 관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KR101295851B1 (ko) * 2012-11-06 2013-08-12 정태선 원격수위관리장치
KR101909598B1 (ko) 2017-04-18 2018-10-18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378B1 (ko) 2021-11-15 2022-12-29 가온플랫폼 주식회사 빅데이터 분석 및 진단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65915B1 (ko) * 2022-08-23 2022-11-11 (주)에스엔테크 인공지능 기반의 수질 전광판의 수질정보 표시 시스템
KR102503813B1 (ko) 2022-09-08 2023-02-24 주식회사 엠에스텍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KR20240035366A (ko) 2022-09-08 2024-03-15 (주)에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저수조 관리 시스템
KR102535621B1 (ko) * 2022-09-26 2023-05-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수질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325B1 (ko)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6954701B2 (en)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water treatment systems
US9588094B2 (en) Water monitoring system
US8886482B2 (en) Predictive and internet-based sampler control
Lambrou et al. A low-cost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potable water quality at consumer sites
KR102331744B1 (ko)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이를 구비한 공동 주택용 스마트 수돗물 수질 진단 및 위험요소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02362037A (zh) 用于监测饮用水管网中的水质的设备和方法
FR2915755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controle en temps reel de la qualite de l'eau d'un reseau de distribution.
AU2020102377A4 (en) CNI-Water Management Technology: WATER COLLECTION AND NOTIFICATION INTELLIGENT MANAGEMENT TECHNOLOGY
KR102085122B1 (ko)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수돗물 실시간 스마트 관리 시스템
WO2004040389A1 (en) Monitoring system
CN117010863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市政管网健康度在线监测系统和方法
KR20180103295A (ko)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KR100809735B1 (ko) 간이상수도 수질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및통합관리방법
KR100387362B1 (ko) 원거리 수질오염원의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
KR20040056596A (ko) 수질검사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KR20220020065A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을 사용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46064B1 (ko) 수돗물의 수질 및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11786723U (zh) 基于区块链技术的水利信息化数据采集系统
JP5143458B2 (ja) 残り使用可能時間報知装置及び流体供給システム
JP2003103250A (ja) 水質データの提供方法
KR20240000251A (ko) 수질개선장치를 포함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363893Y1 (ko) 간이상수도 시설의 무인통합관리시스템
Shin et al. Seoul (Korea) online water quality monitoring of drinking water
KR200213504Y1 (ko) 원거리 수질오염원을 실시간으로 수질관리하고 자동으로 시료채취하기 위한 통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