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621B1 - 수질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수질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621B1
KR102535621B1 KR1020220121631A KR20220121631A KR102535621B1 KR 102535621 B1 KR102535621 B1 KR 102535621B1 KR 1020220121631 A KR1020220121631 A KR 1020220121631A KR 20220121631 A KR20220121631 A KR 20220121631A KR 102535621 B1 KR102535621 B1 KR 10253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information
icon
state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최연규
박규성
윤인준
홍성문
지은정
송승일
김권석
박지수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는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수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수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센서입력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수질 정보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관리자로부터 임계치 및 임계 범위를 입력 받으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1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2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제3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3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4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받는 관리자입력부; 상기 수질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제1-1 아이콘, 상기 제2 정보와 대응되는 제1-2 아이콘, 상기 제3 정보와 대응되는 제1-3 아이콘, 상기 제4 정보와 대응되는 제1-4 아이콘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인 제1 영역에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와 대응되는 아이콘인 제1 아이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 측정 장치{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수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외부 센서로부터 수질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수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수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로 인한 생활하수의 증가와, 산업 발달에 따른 폐수의 증가 및 오염물질의 다양화로 인하여 상수원이 점점 오염되어 가고 있다.
물은 인류의 생존에 있어서 중대한 물질로서, 오염되지 않은 안전한 물의 섭취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공장에서 방류하는 폐수나 다른 오염물질들에 의해 강, 하천 또는 상수원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강, 하천, 호소 또는 정수처리 및 하수처리 시설에 한 상시 감시를 목적으로 수질을 검사함으로써, 상수원 보호는 물론, 오염물질 배출업소의 관리 및 규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하수처리장 처리수의 수질기준 및 바이러스 처리기준이 강화됐을 뿐만 아니라, 수용가의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까지 실시간 감시가 제도적으로 도입되어 수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18109 A호에서는, 용수가 저장되는 수조의 다수의 항목에 대한 수질계측을 위한 센서장치와, 상기 센서장치(1로부터의 수질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판단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수질개선을 위한 작용제를 투입하기위한 투입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수질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수질측정데이터 각각에 대한, 허용 범위 또는 임계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관리자가 현재 수질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질 정보 각각에 대해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 이상 또는 임계치 미만인 경우, 수질정보가 출력되는 색상을 다르게 하여, 관리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현재의 수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수질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는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수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수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센서입력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수질 정보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관리자로부터 임계치 및 임계 범위를 입력 받으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1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2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제3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3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4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받는 관리자입력부; 상기 수질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제1-1 아이콘, 상기 제2 정보와 대응되는 제1-2 아이콘, 상기 제3 정보와 대응되는 제1-3 아이콘, 상기 제4 정보와 대응되는 제1-4 아이콘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인 제1 영역에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와 대응되는 아이콘인 제1 아이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에 의하면, 수질 정보 각각에 대해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 이상 또는 임계치 미만인 경우, 수질정보가 출력되는 색상을 다르게 하여, 관리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현재의 수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1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1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2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2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는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수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수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센서입력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수질 정보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관리자로부터 임계치 및 임계 범위를 입력 받으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1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2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제3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3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4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받는 관리자입력부; 상기 수질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제1-1 아이콘, 상기 제2 정보와 대응되는 제1-2 아이콘, 상기 제3 정보와 대응되는 제1-3 아이콘, 상기 제4 정보와 대응되는 제1-4 아이콘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인 제1 영역에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와 대응되는 아이콘인 제1 아이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1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2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1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2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3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4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3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4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인디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 및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인 제2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이콘은,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인 제5 상태와 대응되는 제2-1 아이콘,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인 제6 상태와 대응되는 제2-2 아이콘,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인 제7 상태와 대응되는 제2-3 아이콘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상태인 경우, 상기 제2-1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6 상태인 경우, 상기 제2-1 아이콘에서 상기 제2-2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제2-1 아이콘에서 상기 제2-3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이콘은, 상기 센서 장치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재부팅되는 상태인 제8 상태와 대응되는 제2-4 아이콘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재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센서 장치를 재부팅하며, 상기 제2-4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입력부가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복수의 상기 수질 정보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분할된 화면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며, 동시에,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 중 다른 하나인 제2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 장치가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재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 장치를 상기 제8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 장치가 상기 제6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센서 장치를 상기 제5 상태로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1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1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2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2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장치(10)는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장치와 연결되어,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전달 받아, 수질 정보로 산출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에 의해 현재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의 수질에 대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정수장은 착수정, 침전지, 여과지, 소독시설, 정수지, 송수펌프장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러한 수 처리 시설에 대해 현장에서 각각 수질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를 통해 각각의 시설에 대한 수질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착수정, 침전지, 여과지, 소독시설, 정수지, 송수펌프장 등에 설치된 외부 센서로부터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는 센서입력부(200)를 통해 수질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전달 받고, 제어부(100)를 통해 수질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측정 값인 수질 정보로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수질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1 에서 볼 수 있듯이, 관리자는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를 통해 여러 시설에 대한 수질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수처리 시설에 설치된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센서입력부(200),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수질 정보로 산출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수질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입력부(200)는 유/무선을 통해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입력부(200)는 일종의 포트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입력부(200)는 센서 장치와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센서입력부(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치는 pH 센서, 전기전도도 센서(COND), 잔류 염소 측정 센서(RC), 용존산소량(DO) 센서,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센서, 탁도 센서(TBD)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는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관리자로부터 임계치 및 임계 범위를 입력 받으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1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2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제3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3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4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받는 관리자입력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관리자는 수질 측정 장치(10)와 연결되는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클릭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관리자입력부(300)를 통해 수질 정보 각각에 대한 수처리 시설의 허용치 또는 허용 범위를 의미하는 임계치 및 임계 범위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질 정보가 탁도인 경우, 상수도에서는 0.5 NUT 이하를 허용치로 규정하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수질 정보가 탁도인 경우, 임계치로 0.5 NUT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수처리 시설에서 탁도 센서에 의해 탁도를 측정할 시, 측정 농도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수도의 탁도에 대한 임계치가 0.5NUT 이며, 수처리 시설에서 측정된 현재 탁도가 0.4NUT 라면,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특정 위치(A1)에 출력되는 제1 아이콘(410)을 통해 현재 수처리 시설에서 측정되는 탁도가 임계치 이하 임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입력부(300)를 통해 수질 정보 각각에 대한 임계 범위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질 정보가 잔류 염소인 경우, 상수도에서는 0.1 내지 4.0mg/L의 농도를 허용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처리 시설에서 잔류 염소를 측정 할 경우, 임계 범위를 0.1 내지 4.0mg/L로 설정할 수 있으며, 현재 측정된 잔류 염소 농도가 임계 범위 내인 제3 상태인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제1 아이콘(410)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아이콘(410)은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Low를 의미하며 제1-1 아이콘인 L (411), High를 의미하며 제1-2 아이콘인 H (413), In을 의미하며 제1-3아이콘인 I (415), Out을 의미하며, 제1-4아이콘인 O (41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아이콘(411)은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1 정보와 대응되며, 상기 제1-2 아이콘(413)은 상기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2 정보와 대응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2 아이콘(413)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1-2 아이콘(413)이 제어부(100)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에 출력된다.
여기서,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부(100)는 측정된 수질 정보가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출력되는 상기 제1-2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되는 상기 제1-2 아이콘의 색상과 상이하게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는 상기 제1-2 아이콘의 색상(413)을 통해 수질 정보가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제1-1 아이콘(411) 또한 상기 제1-2 아이콘(413)과 동일하게, 측정된 수질 정보가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른 색상으로 출력된다.
상기 제1-3아이콘(415)은 상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제3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3 정보와 대응되며, 상기 제1-4아이콘(417)은 상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4 정보와 대응된다.
상기 제1-3아이콘(415)은 상기 제1-2 아이콘(413)과 동일하게, 측정된 수질 정보가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른 색상으로 출력되며, 상기 제1-4아이콘(417) 또한 상기 제1-2 아이콘(413)과 동일하게, 측정된 수질 정보가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른 색상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아이콘(410)이 상기 제1-2아이콘(413)이며, 수질 정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2아이콘(413)의 색상이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입력부(300)를 통해 상기 제1-1 아이콘(411) 내지 상기 제1-4아이콘(417)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4 정보와 대응되는 아이콘이 제1 아이콘(410)으로 디스플레이부(400)의 특정 영역(A1)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제1 아이콘(410)을 통해 현재 수질 정보 및 수질 정보가 임계치 이상인지, 임계치 미만인지, 임계 범위 이내인지, 임계 범위 밖인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된다.
즉, 관리자는 임계치를 기준으로 특정 수치 값이 필요한 수질 정보에는 상기 제1-1 아이콘(411) 및 상기 제1-2 아이콘(413)을 상기 제1 아이콘(410)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1 아이콘(410)을 통해 현재 수처리 시설에서 측정되는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지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이내인지 임계 범위 밖 인지가 필요한 수질 정보에는 상기 제1-3 아이콘(415) 및 상기 제1-4 아이콘(417)이 상기 제1 아이콘(410)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여, 현재 수처리 시설에서 측정되는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지 임계 범위 밖 인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관리자는 현재 측정되는 수질 정보에 대해 임계치를 기준으로 임계치 미만인지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 뿐만 아니라,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임계 범위 이내인지 임계 범위 밖인지 여부를 상기 제1 아이콘(410)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b)의 좌측 화면을 보면, 수처리 시설에서 현재 측정되는 수질 정보는 탁도(TBD)이며, 현재 수처리 시설의 탁도는 0.49NUT이며, 상기 제1 영역(A1)에 출력된 상기 제1 아이콘(410)은 I, H, H, L, C이다.
색상이 다르게 출력된 상기 제1 아이콘(410)은 I 및 L이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현재 수처리 시설의 탁도가 임계 범위 이내이며, 임계치 미만임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다른 일례로, 도 4의 (b)의 우측 화면을 보면, 현재 수 처리 시설의 잔류 염소 농도는 5.0mg/L이며, 상기 제1 영역(A1)에 출력된 상기 제1 아이콘(410)은 O, L, H, H, C 이다.
색상이 다르게 출력된 상기 제1 아이콘(410)은 O, H, H이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현재 수처리 시설의 잔류 염소 농도가 임계 범위 밖이며, 임계치 이상임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임계치 및 임계 범위는 측정되는 수질 정보 및 수 처리 시설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는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제1 아이콘(410)중 어느 하나에 대해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 받을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관리자는 상기 제1-1 아이콘(L, 411), 상기 제1-2 아이콘(H, 413), 상기 제1-3 아이콘(I, 415), 상기 제1-4 아이콘(O, 417) 중에서 관리자가 특정 수처리 시설에 필요한 아이콘만 선택해서 입력 받으며,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폐수처리장에서 포기조와 같은 경우, 폐수 내 BOD 농도가 중요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관리자는 포기조와 같은 수 처리 시설에서는 현재 BOD 농도의 수치가 수치가 임계치 이상인지, 포기조 내의 허용 농도 밖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보다 현재 BOD 농도의 수치가 수치가 임계치 미만인지, 포기조 내의 허용 농도 안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우선일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이에 대한 정보를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도 3의 (c) 내지 (d)와 같이 상기 제1 아이콘(410) 중 중복을 허용하여 관리자가 선택하도록 한다.
다만, 관리자는 도 3의 (b)와 같이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상기 제1 아이콘(410)을 선택해도 무방하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아이콘(410)이 4개로 도시하였으나, 도1과 같이 관리자가 선택한 개수만큼 상기 제1 아이콘(410) 상기 제1 영역(A1)에 출력 됨은 물론이다.
도 4의 제1 영역(A1)에 출력된 아이콘(419)는 센서의 클리닝 여부를 알리는 아이콘일 수 있으며, 센서가 클리닝 되는 경우, 상기 제1-1 아이콘 내지 상기 제1-4아이콘과 같이 제어부(100)에 의해 출력되는 색상이 다르게 출력된다.
한편, 상기 수질 측정 장치(10)는 수 처리 시설에 설치된 외부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인디케이터부(Indicator, 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500)는 수처리 시설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 현재 수 처리 시설에서 측정되는 수질 정보에 대한 수질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입력부(200)는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 데이터를 전달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 및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43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상기 제1 영역(A1)과 다른 영역인 제2 영역(A2)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아이콘(430)은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인 제5 상태와 대응되는 제2-1 아이콘(431),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인 제6 상태와 대응되는 제2-2 아이콘(433),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인 제7 상태와 대응되는 제2-3 아이콘(435)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상기 제2 영역(A2)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인 상기 제5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위치(A2)에서 상기 제2-1 아이콘(431)이 상기 제2 아이콘(430)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인 상기 제6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아이콘(431)과 색상이 상이한 상기 제2-2 아이콘(433)이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는 상기 제2-2 아이콘(433)을 통해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한 것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더라도,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인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제2-1아이콘이(431)이 출력된 이 후, 상기 제2-2 아이콘(433)이 아닌 상기 제2-3 아이콘(435)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2-3 아이콘(435)은 상기 제2-1 아이콘(431) 및 상기 제2-2 아이콘(433)과 상이한 색상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제2 아이콘(430)의 색상을 통해 현재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파악 하게 되며, 상기 제2 아이콘(430)의 색상을 통해 현재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가 상기 센서입력부(200)로 전달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관리자는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제2 아이콘(430)이 변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함을 알 수 있게 되며,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제2 아이콘(430)이 변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더라도,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아이콘(430)은 도 5의 (d)와 같이 상기 제2-3 아이콘(435)과 동일한 색상이 아이콘의 전체를 채우는 제2-4 아이콘(43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4 아이콘(437)은 상기 센서 장치가 재부팅 되는 상태인 제8 상태와 대응되며, 이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더라도,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인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센서 장치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재 요청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2 아이콘(430)은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제2-1 아이콘(431), 상기 제2-3 아이콘(435) 상기 제 2-4 아이콘(437)이 순차적이며 반복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영역(A2)에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 장치를 재부팅 하며, 상기 제2-4 아이콘(437)이 상기 제2 아이콘(430)으로 소정의 시간(재부팅 시간) 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기 센서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전달 받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센서 장치를 재부팅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관리자는 상기 제2-4 아이콘(437) 상기 제2 아이콘(430)으로 소정의 시간 출력되는 경우, 상기 센서 장치의 재부팅이 실시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다만, 상기 인디케이터부(500)는 항시 전원을 공급 받아 정상적으로 작동함은 물론이다.
즉, 관리자는 상기 제2 아이콘(430)을 통해 시각적으로 센서 장치의 재부팅 및 센서 장치의 오작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400)의 제3 영역(A3)에 센서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알리는 알림(Measurement), 및 센서 장치의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Error)가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상기 제3 영역(A3)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정상적인 작동 또는 오작동을 확인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복수의 상기 수질 정보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500)는 상기 센서 장치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탁도 센서(TBD) 및 잔류 염소 센서(RC)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전기전도도에 대한 수질 정보 및 pH에 대한 수질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전기전도도 센서(COND) 및 pH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전기전도도에 대한 수질 정보 및 pH에 대한 수질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다만, 도 1 및 도 4, 도 7에서는 인디케이터부(500)에 연결된 센서 장치가 2개이므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00)와 연결된 센서 장치와 대응되도록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을 2개로 분할되었으나, 상기 인디케이터부(500)와 연결된 센서 장치의 개수와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이 대응되도록 분할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1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부(100)는 분할된 화면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아이콘(410) 및 상기 제2 아이콘(430)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센서입력부(200)가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더라도, 각각의 측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아이콘(410)을 통해 임계치 미만인지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 및 임계 범위 내인지 임계 범위 밖인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아이콘(430)을 통해 센서 장치, 센서입력부(200), 인디케이터부(500)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디케이터부(500)는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며, 동시에,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 중 다른 하나인 제2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는 도 7의 좌측 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인디케이터부(500)에 의해 상기 제1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더라도,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인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500)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 데이터를 재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는 이와 같은 과정이 상기 제2 영역(A2)에 상기 제2 아이콘(430)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 장치를 재부팅 되도록 하는 상기 제8 상태로 제어한다.
이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00)는 이와 같은 과정이 상기 제2 영역(A2)에 상기 제2 아이콘(430)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2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센서입력부(200)가 상기 제2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인 제6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제2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인 상기 제5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00)는 복수의 센서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이 발생된 경우, 오작동이 발생된 센서 장치가 재부팅이 되도록 제어하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센서 장치는 상기 센서입력부(200)로 측정 데이터를 계속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복수의 센서 장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수질 측정 장치
100: 제어부
200: 센서입력부
300: 관리자입력부
400: 디스플레이부
410: 제1 아이콘, 430: 제2 아이콘
500: 인디케이터부

Claims (7)

  1.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자에게 수질 정보를 표시하는 수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질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센서입력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수질 정보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관리자로부터 임계치 및 임계 범위를 입력 받으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미만인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1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치 이상인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2 정보,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제3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3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가 임계 범위 밖인 제4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인 제4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을 허용하여 선택받는 관리자입력부;
    상기 수질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정보와 대응되는 제1-1 아이콘,
    상기 제2 정보와 대응되는 제1-2 아이콘,
    상기 제3 정보와 대응되는 제1-3 아이콘,
    상기 제4 정보와 대응되는 제1-4 아이콘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인 제1 영역에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와 대응되는 아이콘인 제1 아이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인디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 및 상기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인 제2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아이콘은,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요청한 상태인 제5 상태와 대응되는 제2-1 아이콘,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인 제6 상태와 대응되되, 상기 제2-1 아이콘과 색상이 상이한 제2-2 아이콘,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인 제7 상태와 대응되되, 상기 제2-1 아이콘 내지 상기 제2-2 아이콘과 색상이 상이한 제2-3 아이콘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상태인 경우,
    상기 제2-1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6 상태인 경우,
    상기 제2-1 아이콘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제2-2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제2-1 아이콘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제2-3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아이콘은,
    상기 센서 장치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재부팅되는 상태인 제8 상태와 대응되
    는 제2-4 아이콘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
    터를 재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
    우,
    상기 센서 장치를 재부팅하며, 소정의 시간 시간 동안 상기 제2-4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1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2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1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1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2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2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3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제1-4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임계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3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3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4 아이콘의 색상이 상기 제4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입력부가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복수의 상기 수질 정보가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분할된 화면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며,
    동시에, 복수의 상기 센서 장치 중 다른 하나인 제2 센서 장치에 대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 장치가 상기 제7 상태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데이터를 재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입력부가 상기 제1 센서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 장치를 상기 제8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 장치가 상기 제6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센서 장치를 상기 제5 상태로 제어하는,
    수질 측정 장치.

KR1020220121631A 2022-09-26 2022-09-26 수질 측정 장치 KR10253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31A KR102535621B1 (ko) 2022-09-26 2022-09-26 수질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31A KR102535621B1 (ko) 2022-09-26 2022-09-26 수질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621B1 true KR102535621B1 (ko) 2023-05-26

Family

ID=865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631A KR102535621B1 (ko) 2022-09-26 2022-09-26 수질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8912B2 (ja) * 2001-12-19 2006-09-06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および生産用設定器
KR101623920B1 (ko) * 2015-12-18 2016-05-24 (주)한국알파시스템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7810A (ko) * 2014-08-15 2017-03-10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프로그래밍된 그래픽 인디케이터들을 갖는 저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닌 혈당 계측기
KR102340325B1 (ko) * 2021-09-28 2021-12-16 금동한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8912B2 (ja) * 2001-12-19 2006-09-06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および生産用設定器
KR20170027810A (ko) * 2014-08-15 2017-03-10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프로그래밍된 그래픽 인디케이터들을 갖는 저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닌 혈당 계측기
KR101623920B1 (ko) * 2015-12-18 2016-05-24 (주)한국알파시스템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40325B1 (ko) * 2021-09-28 2021-12-16 금동한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56357B2 (en) Management arrangement
US9100728B2 (en) Server monitoring of flow and sampling apparatus and/or logger
EP2580731B1 (en) Blind logger dynamic caller
KR100455654B1 (ko)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US20150219612A1 (en) Water monitoring system
HUE028733T2 (en) Sensor arrangement for controlling water softening tanks
CN107258658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斑马鱼养殖系统
KR102535621B1 (ko) 수질 측정 장치
JP2007130512A (ja) 水質管理システム、水質管理方法
JPH08306654A (ja) 薬液処理装置の中央管理装置
JP2019103979A (ja) 水処理施設の管理装置、水処理施設の洗浄薬液発注システム、水処理施設の薬液発注方法及び水処理施設の薬液洗浄計画策定方法
CN114578008A (zh) 一种用于污水厂水质风险管理的决策支持系统及方法
KR20060087797A (ko) 간이상수도 통합관제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50017306A (ko) 응집제 투입장치
KR101772558B1 (ko) 수영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12445185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污水管理系统
KR20010069973A (ko) 하수처리장치의 원격 전문가 제어 관리 시스템
JP3115339B2 (ja) 浄化槽の遠隔管理方法
JP2018194899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方法
CN111047831A (zh) 应用于污水处理系统的报警方法、报警装置及终端
JP5972724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329691Y1 (ko) 마을 하수 처리장의 자동화 제어반 시스템
KR100736555B1 (ko) 컴퓨터 제어를 이용한 필터 여과 장치
Ali et al. The use of technology in a water treatment process
TW200933358A (en)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