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13B1 -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13B1
KR102503813B1 KR1020220113863A KR20220113863A KR102503813B1 KR 102503813 B1 KR102503813 B1 KR 102503813B1 KR 1020220113863 A KR1020220113863 A KR 1020220113863A KR 20220113863 A KR20220113863 A KR 20220113863A KR 102503813 B1 KR102503813 B1 KR 10250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mination
water tank
uni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813B9 (ko
Inventor
이민수
김광석
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텍
Priority to KR102022011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13B1/ko
Publication of KR10250381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1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돗물 저수조 내벽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저수조에 저장된 수돗물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오염된 수돗물의 공급에 의한 것인지 저수조 내부의 오염에 의한 것인지 파악하여 저수조 청소의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은, 저수조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 오염도를 측정하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 상기 저수조의 외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된 측정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무선 송신된 측정 신호를 저장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로부터 측정 신호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마다 전달받고,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의 청소 및 관리를 지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Water Tank Pollution Level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이나 건물(이하 '공동건물'로 통칭한다)의 수돗물 저수조 내부 오염도를 모니터링하여 저수조에 저장되는 수돗물의 수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공동건물)의 경우 수돗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조(물탱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저수조는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하여 내부에 저장되는 수돗물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저수조의 오염 정도와 상관없이 일정 주기별로 저수조를 청소하기 때문에 저수조의 재질과 노후화 정도, 설치 환경 및 저수조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오염 등의 요인으로 저수조의 청소 주기보다 빠르게 저수조가 오염되는 경우에는 수돗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수조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여 오염도에 따라 저수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340325호의 IoT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설치되어 음용 가능한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 물속에 들어있는 총 용존 고형물질(TDS)을 측정하기 위한 TDS센서, 액체 매질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 액체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액체 매질의 잔류 염소를 측정하기 위한 잔류 염소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저수조마다 각각 설치되어 저수조 내 음용수의 수질 다항목을 측정하는 수질 다항목 IoT 센서; 상기 수질 다항목 IoT 센서에서 측정된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인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p), 총 용존 고형물질(TDS),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탁도(NTU),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전도도(Cond)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질 분석에 활용하는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 상기 수질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저수조별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지역의 저수조별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준치에 근접하거나 도달하여 발생된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여 청소업체 단말로 해당 저수조에 대한 청소 요청 알림을 발송하는 환경안전 담당자 단말; 및 각 저수조의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로라 모뎀을 통해 로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로라 모뎀을 통해 전송받은 수질 다항목 측정값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게이트웨이 내의 LTE망을 통해 상기 실시간 수질정보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저수조 내부의 오염과 상관없이 저수조 내부 수돗물의 수질 오염 여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 경우 저수조 내부에 물때가 생기거나 수돗물의 이물질이 장기간 저수조에 누적되어 발생하는 저수조 내벽의 오염을 검출할 수 없으며, 저수조 내부의 수돗물 오염이 저수조 내부로 오염된 수돗물의 공급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저수조가 오염되어 저수조 내부의 수돗물을 오염시킨 것인지 원인을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저수조 내부의 오염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저수조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질 오염 유/무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저수조 자체의 오염 여부는 서로 별개의 문제로 따로 관리될 필요와 저수조에 저장된 수돗물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오염된 수돗물의 공급에 의한 것인지 저수조 내부의 오염에 의한 것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음에도 종래에는 저수조에 저장되는 수돗물의 수질만을 측정하여 저수조 내부의 오염 유/무를 판단하여 청소 필요성을 정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공급되는 수돗물이 오염된 경우에도 저수조의 오염으로 인지하여 저수조를 불필요하게 청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저수조가 오염된 상태에서도 물의 수질만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오염된 저수조가 그대로 사용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내부의 오염을 정확히 감지하여 저수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오염발생시 적시에 청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돗물 저수조 오염 측정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340325 B1 (2021. 12. 13.) KR 10-1200727 B1 (2012. 11. 07.) KR 10-1867400 B1 (2018. 06. 07.) KR 10-1824330 B1 (2018. 01.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돗물 저수조 모니터링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돗물 저수조 내벽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저수조에 저장된 수돗물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오염된 수돗물의 공급에 의한 것인지 저수조 내부의 오염에 의한 것인지 파악하여 저수조 청소의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은, 저수조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 오염도를 측정하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 상기 저수조의 외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된 측정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무선 송신된 측정 신호를 저장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로부터 측정 신호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마다 전달받고,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의 청소 및 관리를 지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저수조의 오염 상태를 분석하고, 오염 진행률을 예측하여 상기 저수조의 청소 및 관리 주기를 판단하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대신, 상기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결과 값을 수신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가 상기 저수조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가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설치판;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를 커버하면서 상기 설치판에 결합되어 내부의 기밀이 담보되도록 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투명커버를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변화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 수질측정센서; 및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 수질측선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2 수질측정센서 및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를 비교하여 오염 원인이 분석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염도 측정부를 통해 저수조의 내벽에 물 때 등의 오염이 발생한 정도를 검출하여 저수조 청소의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수조의 오염도와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물의 오염 원인을 다각도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 수돗물 수질 분석 시스템을 통해 물의 오염 원인을 분석하며, 저수조의 오염 상태와 더불어 오염도를 예측하여 저수조의 상태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 오염도 측정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 오염도 측정부를 통해 저수조 오염도가 측정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 오염도 측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돗물 저수조 내벽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저수조에 저장된 수돗물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오염된 수돗물의 공급에 의한 것인지 저수조 내부의 오염에 의한 것인지 파악하여 저수조 청소의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 오염 측정부(10), 제어부(20), 무선통신부(30), 웹서버(40) 및 모니터링부(50)를 포함한다.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는 저수조(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저수조(1)의 내측면(표면)의 오염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 내부의 오염을 다각도로 측정하기 위해 내부 측면과 바닥면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저수조 오염도 측정부(10)는 후술되는 제어부(2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오염도 측정값이 송신된다.
이러한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의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설치판(11)과, 상기 설치판(11)에 설치되는 광센서(12) 및 상기 광센서(12)를 커버하면서 설치판(11)에 결합되는 투명커버(13)를 포함한다.
이때 설치판(11)의 일측면에는 접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저수조(1)의 내부에 쉽게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커버(13)는 설치판(11)에 기밀이 담보되도록 밀착 조립되어 설치판(11)과 투명커버(13)를 통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치판(11)과 투명커버(13) 사이에 고무 재질의 O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 다음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밀착 조립되거나 또는 설치판(11)과 투명커버(13)가 접착제 또는 실링재 등에 의해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12)는 광원과 검출기로 구성되어 물체로부터 반사광을 검출하는 투과형 광센서(reflection-type photosensor)로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검출기는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투명커버(13)는 광센서(12)의 수광부와 2~5㎝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투명커버(13)가 광센서(12)와 2㎝미만으로 근접 설치되는 경우에는 투명커버(13)의 오염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빛의 반사가 감지될 수 있고, 투명커버(13)와 광센서(12)가 5㎝를 초과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투명커버(13)에서 반사되는 빛의 손실 없이 감지하기가 어려우므로 결과적으로 빛의 투과량(반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렵고, 그 결과 오염도 측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지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광센서(12)는 저수조의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투명커버(13)가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물에 의한 물 때가 생성될 때 투명커버(13)에도 함께 생성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와 같이 광센서(12)가 반사형 광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커버(13)가 물 때 등으로 인해 오염되어 투명커버(13)를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는 빛의 양을 검출(투과율)하는 것으로 저수조(1) 내측면의 오염도가 판단된다.
위와 달리 광센서(12)가 투과형 포토 센서(transmission photosensor)로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공간 사이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투과광을 검지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투명커버(13)가 물 때 등으로 인해 오염되어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지 못하게 되면, 수광소자가 발광소자의 빛을 검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 경우 저수조(1)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어부(20)는 저수조(1)의 외부에 설치되어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0)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신호가 유선으로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어부(20)와 저수조 오염 측정부(10)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는 개별적으로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소형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30)는 제어부(20)에 설치되어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로부터 수신된 측정 신호를 무선 송신을 통해 후술되는 웹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무선통신부(30)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모듈 중에서 당업자가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웹서버(40)는 무선통신모듈(30)에서 송신되는 측정 신호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웹서버(40)는 웹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위치와 시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 접속만으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링부(50)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40)로부터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달받아 저수조(1)의 오염도에 따라 저수조(1)에 대한 청소 또는 관리를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니터링부(50)는 관리자용 휴대단말기(51), 모니터(52) 및 관리사무소(5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웹서버(40)에 저장된 측정 신호 데이터가 모니터링부(50)로 전달되어 관리자 등이 모니터링부(50)로 수신된 측정 신호 데이터를 확인하여 저수조(10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서버(40)에 저장된 측정 신호 데이터가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60)로 전달된 다음,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60)에서 분석 및 예측된 저수조(1)의 오염도가 모니터링부(50)로 전달되도록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60)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측정 신소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염도의 진행률을 예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저수지(1)의 청소가 필요한 시기를 예측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저수조(1)의 급수배관(1A)과 배수배관(1B)에는 각각 배관을 통과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 2 수질측정센서(S1, S2)가 설치되고,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60)는 제1, 2 수질측정센서(S1, S2)에서 측정된 수질 정보에 기초하여 저수조(1)의 오염 원인과 수질 오염의 원인 등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급수배관(1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 이내이고, 배수배관(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 경우에는 저수조(1) 내부 오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배관(1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 이내이고, 배수배관(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저수조(1) 내부에 오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의 측정값에 따라 저수조(1) 및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의 점검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급수배관(1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에 미달되고, 배수배관(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 경우에는 급수배관(1A)을 차단하여 저수조(1) 내에 저장된 물의 추가 오염을 방지한다.
이에 더해 급수배관(1A) 및 배수배관(1B)을 통해 공급 및 배출되는 물의 수질이 설정된 기준치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를 통해 저수조(1)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저수조(1)를 청소 및 관리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염도 측정부를 통해 저수조의 내벽에 물 때 등의 오염이 발생한 정도를 검출하여 저수조 청소의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수조의 오염도와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저수조 내의 오염 정도를 다각도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 수돗물 수질 분석 시스템을 통해 분석하여 저수조의 오염 원인과 더불어 오염도를 예측하여 저수조의 상태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저수조 1A: 급수배관
1B: 배수배관 10: 저수조 오염 측정부
11: 설치판 12: 광센서
13: 투명커버 20: 제어부
30: 무선통신부 40: 웹서버
50: 모니터링부 60: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
L: 이격 거리 S1: 제1 수질측정센서
S2: 제2 수질측정센서

Claims (5)

  1. 저수조(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1)의 내측면 오염도를 측정하는 저수조 오염 측정부(10);
    상기 저수조(1)의 외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20);
    상기 제어부(20)에서 수신된 측정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30);
    상기 무선통신모듈(30)에서 무선 송신된 측정 신호를 저장하는 웹서버(40); 및
    상기 웹서버(40)로부터 측정 신호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마다 전달받고,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1)의 청소 및 관리를 지시하는 모니터링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는,
    상기 저수조(1)의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설치판(11);
    상기 설치판(11)에 설치되는 광센서(12); 및
    상기 광센서(12)를 커버하면서 상기 설치판(11)에 결합되어 내부의 기밀이 담보되도록 하는 투명커버(13);
    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12)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투명커버(13)를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변화를 측정하여 전달하며,
    상기 투명커버(13)가 물 때로 인해 오염되어 상기 투명커버(13)를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는 빛의 양을 검출하거나 또는 발광소자의 빛 검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1) 내측면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40)에 저장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저수조(1)의 오염 상태를 분석하고, 오염 진행률을 예측하여 상기 저수조(1)의 청소 및 관리 주기를 판단하며, 상기 저수조(1)의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부(50)는,
    상기 웹서버(40)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대신, 상기 인공지능 수돗물 수질 분석부(60)로부터 분석된 결과 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는,
    상기 저수조(1)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 수질측정센서(S1); 및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 수질측선센서(S2);
    가 설치되고,
    상기 제1, 2 수질측정센서(S1, S2) 및 상기 저수조 오염 측정부(10)를 통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를 비교하여 오염 원인이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KR1020220113863A 2022-09-08 2022-09-08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KR10250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863A KR102503813B1 (ko) 2022-09-08 2022-09-08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863A KR102503813B1 (ko) 2022-09-08 2022-09-08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813B1 true KR102503813B1 (ko) 2023-02-24
KR102503813B9 KR102503813B9 (ko) 2023-09-07

Family

ID=8533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863A KR102503813B1 (ko) 2022-09-08 2022-09-08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8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41A (ko) * 1995-08-14 1997-03-27 백태숙 부분적 가발 등의 머리장식품 및 머리장식품용 고착구
KR2007004552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물탱크 통합 수질관리 시스템
KR20150095960A (ko) * 2014-02-12 2015-08-24 주식회사 지아이넷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24330B1 (ko) 2016-09-21 2018-02-01 한국수자원공사 수질정보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수질정보 제공시스템
KR20180058602A (ko) * 2016-11-24 2018-06-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1867400B1 (ko) 2017-02-17 2018-06-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질관리 시스템
KR20200042239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복수 수조 수질 관리 장치
KR102340325B1 (ko) 2021-09-28 2021-12-16 금동한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41A (ko) * 1995-08-14 1997-03-27 백태숙 부분적 가발 등의 머리장식품 및 머리장식품용 고착구
KR2007004552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물탱크 통합 수질관리 시스템
KR101200727B1 (ko) 2005-10-27 2012-1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물탱크 통합 수질관리 시스템
KR20150095960A (ko) * 2014-02-12 2015-08-24 주식회사 지아이넷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24330B1 (ko) 2016-09-21 2018-02-01 한국수자원공사 수질정보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수질정보 제공시스템
KR20180058602A (ko) * 2016-11-24 2018-06-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1867400B1 (ko) 2017-02-17 2018-06-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질관리 시스템
KR20200042239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복수 수조 수질 관리 장치
KR102340325B1 (ko) 2021-09-28 2021-12-16 금동한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813B9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brou et al. A low-cost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potable water quality at consumer sites
US10048242B2 (en) Inline water contaminant detector
US200600204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quality monitoring using portable sensors in connection with supply and service entities
CN102362037A (zh) 用于监测饮用水管网中的水质的设备和方法
US200501187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etection and remote monitoring of pathogens
US20050247114A1 (en) Multi-sensor system for fluid monitoring with selective exposure of sensors
KR102340325B1 (ko) IoT 기반 음용수용 저수조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5652B1 (ko) 원격 자동 수질 감시시스템
EP2145051A2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controle en temps reel de la qualite de l'eau d'un reseau de distribution
CN101208727A (zh) 遥感和通信系统
US20050247113A1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with input and output fluid sensing
EP2349932A1 (en)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GB25618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measurement of a liquid-quality parameter
US20050251366A1 (e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testing
JP2022523745A (ja) 水質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2503813B1 (ko)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KR102104757B1 (ko) 관로의 관리 및 제어시스템
KR20150095960A (ko)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FR2922625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surveillance d'un reseau de conduites de liquides et reseau equipe d'un tel dispositif
KR20090124777A (ko) 자동 유량조절 양수시험 계측과 지하수 공내 촬영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2460023B1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을 사용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JP3004786B2 (ja) 貯水槽経由水道水水質安全監視システム
KR102062035B1 (ko) 상수관망 최적 관리 시스템
US20190041376A1 (en) DETERMINATION OF FLUID QUALITY USING pH AND CONDUCTIVITY/ORP
KR10098805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하수관망 유지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