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960A -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960A
KR20150095960A KR1020140015850A KR20140015850A KR20150095960A KR 20150095960 A KR20150095960 A KR 20150095960A KR 1020140015850 A KR1020140015850 A KR 1020140015850A KR 20140015850 A KR20140015850 A KR 20140015850A KR 20150095960 A KR20150095960 A KR 20150095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water tank
monitoring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넷
Priority to KR102014001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5960A/ko
Publication of KR2015009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빌딩형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급수저장용 물탱크;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는 수질계측센서;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모듈; 상기 수질계측센서와 수중카메라모듈에 연결되는 데이터전송선: 상기 데이터전송선에 연결되어, 수질계측센서와 수중카메라모듈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계노드;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하는 메인 데이터로거; 및 상기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받는 관리실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물탱크에 구비되는 수질계측센서 및 수중카메라모듈을 활용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외부인에 의한 유해물질의 투입을 감시하거나, 음용수에 대한 수질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Water Tank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이 한 건물 안에 여러 가구가 독립적으로 살고 있는 빌딩형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물탱크에 구비되는 수질계측센서 및 수중카메라모듈을 활용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외부인에 의한 유해물질의 투입을 감시하거나, 음용수에 대한 수질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구의 증가와 함께 주거용 건물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인구의 과밀지역인 도시 지역에는 인구의 과밀에 따른 주거용 공간의 부족분을 해소하기 위해 주거용 건물로서 주로 10층 내지 15층의 아파트가 널리 건설되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가구가 동시에 거주하는 상기의 공동주택 및 아파트의 급수시설은 지하급수 저장탱크에서 수돗물을 받아서 저장하고, 수돗물을 펌핑하여 옥상에 설치된 급수저장용 물탱크에 보내어 저장시키며,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에서는 낙차의 힘으로 각 가정에 수돗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수돗물이 지하급수 저장탱크와 옥상 급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동안 수 돗물에 남아있던 이물질과 녹찌거기 등이 급수저장탱크 하층에 침전되고 부패되어 수돗물을 오염시킨다.
이에 따라, 급수 저장탱크의 침전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1년에 1∼2회 정도 정기적으로 급수 저장탱크를 청소하고 있으나 급수 저장탱크에 수돗물이 저장되는 순간부터 침전물이 쌓이므로 급수 저장탱크는 항상 오염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 관리 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 및 아파트 수돗물 급수 저장탱크의 정수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0606호는, "공동주택의 급수저장탱크의 수돗물을 정수시킬 수 있는 정수기로서 수돗물 속에있는 이물질과 녹찌꺼기 등이 급수 저장탱크에 침전되어 수돗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돗물속에 있을수 있는 중금속 및 이온성물질을 천연활성탄인 숯으로 만든 필터에서 1차 흡착시킨후 천연광물인 일라이트(Illite. 絹雲母)로 만든 필터에서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및 아파트 수돗물 급수 저장탱크의 정수기"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공동주택 및 아파트 등의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92055호는, "건물의 취수탱크 내부에 설치된 수질감지부(10)의 센서들에 의해 수질 오염의 발생이 감지되면, 즉각적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질감시센터(61), 건물관리사무소(62),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에게 수질 오염 발생을 즉각적으로 경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질 오염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수질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등과 같이 한 건물 안에 여러 가구가 독립적으로 살고 있는 빌딩형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물탱크에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외부인에 의한 유해물질의 투입을 감시하거나, 음용수에 대한 수질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0606호 (2004. 01. 07. 공개)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92055호 (2003. 07. 07. 등록)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한 건물 안에 여러 가구가 독립적으로 살고 있는 빌딩형의 공동주택에 있어서, 각 세대의 홈오토, 관리실의 컴퓨터 또는 입주민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수질감시상황을 표시토록 함으로써, 물탱크에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외부인에 의한 유해물질의 투입을 감시하거나, 음용수에 대한 수질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빌딩형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급수저장용 물탱크;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는 수질계측센서;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모듈; 상기 수질계측센서와 수중카메라모듈에 연결되는 데이터전송선: 상기 데이터전송선에 연결되어, 수질계측센서와 수중카메라모듈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계노드;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하는 메인 데이터로거; 및 상기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받는 관리실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모바일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세대별 홈오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카메라모듈는, 외관을 구성하는 카메라케이싱; 상기 카메라케이싱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렌즈; 및 상기 카메라케이싱 일측에 설치되어,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을 조명시키는 엘이디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카메라모듈는, 수질계측센서에 연동되어, 수질계측센서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에 따라 엘이디램프가 조명됨과 동시에 카메라렌즈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의 물탱크 몸체 또는 물탱크 커버 일측에 설치되는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에 의하여 물탱크커버 열림감지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중카메라모듈은 카메라렌즈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 수질센서에 의하여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 수질센서에 의하여 물탱크 내의 수질이 안전규격의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되는 단계;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됨과 동시에, 수중카메라가 작동되는 단계;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홈오토메이션기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 수질센서에 의하여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 물탱크 뚜껑이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는 단계; 물탱크 뚜껑의 개방이 감지됨과 동시에, 수중카메라가 작동되는 단계;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홈오토메이션기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 급수저장용 물탱크커버가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는 단계; 물탱크커버의 개방이 감지됨과 동시에, 감시카메라모듈이 작동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모듈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카메라는 엘이디램프가 조명됨과 동시에 동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급수저장용 물탱크에 구비되는 수질계측센서 및 수중카메라모듈을 활용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에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ㆍ감독하되, 별도의 감시인원을 배치하지 않고서도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음으로써, 인원배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자의 계측에 의하지 않고서 수질계측센서를 활용함으로써, 정확하게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수질계측센서 및 수중카메라모듈을 활용하여, 상기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의 수질이 안전규격의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됨과 동시에, 곧 바로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로 전송됨으로써,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모바일기기 또는 세대별 홈오토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결과를 각 세대에서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급수저장용 물탱크의 물탱크 몸체 또는 물탱크 커버 일측에 설치되는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에 의하여 물탱크커버 열림감지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중카메라모듈는 카메라렌즈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됨으로써, 불측의 외부 침입자에 의한 물탱크 수질오염 사태를 사전에 적극적이며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빌딩형의 공동주택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물탱크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물탱크커버의 개ㆍ폐전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빌딩형의 공동주택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물탱크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빌딩형의 공동주택(A)에 설치되는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측에 설치되는 수질계측센서(140);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모듈(130); 상기 수질계측센서(140)와 수중카메라모듈(130)에 연결되는 데이터전송선(150): 상기 데이터전송선(150)에 연결되어, 수질계측센서(140)와 수중카메라모듈(130)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계노드(120); 상기 중계노드(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하는 메인 데이터로거(160); 및 상기 메인 데이터로거(160)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받는 관리실 컴퓨터(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기 관리실 컴퓨터(170)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모바일기기(180) 또는 상기 관리실 컴퓨터(170)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세대별 홈오토(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외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중카메라모듈(130)는, 외관을 구성하는 카메라케이싱(131); 상기 카메라케이싱(131)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렌즈(132); 및 상기 카메라케이싱(131) 일측에 설치되어,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측을 조명시키는 엘이디램프(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중카메라모듈(130)는 수질계측센서(140)에 연동되어, 수질계측센서(140)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에 따라 엘이디램프(133)가 조명됨과 동시에 카메라렌즈(132)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작동개시되는 단계(S110);수질계측센서(140)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S120); 수질계측센서(140)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의 수질이 안전규격의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되는 단계(S130);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됨과 동시에, 수중카메라모듈(130)이 작동되는 단계(S140);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120)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160)로 전송되는 단계(S150);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질계측센서(14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160)로부터 관리실 컴퓨터(170)로 전송되는 단계(S160); 및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질계측센서(14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170)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180)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190)로 전송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질계측센서(140)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의 수질이 안전규격의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됨과 동시에, 곧 바로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170)로 전송됨으로써,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자의 계측에 의하지 않고서 수질계측센서(140)를 활용함으로써, 정확하게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물탱크커버의 개ㆍ폐전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수질계측센서(140), 수중카메라모듈(130), 데이터전송선(150), 중계노드(120), 메인 데이터로거(160), 그리고 관리실 컴퓨터(170) 외에도,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110)의 물탱크 몸체(111) 또는 물탱크 커버(112) 일측에 설치되는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S);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따르면, 상기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S)에 의하여 물탱크커버 열림감지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중카메라모듈(130)는 카메라렌즈(132)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됨으로써, 불측의 외부 침입자에 의한 물탱크 수질오염 사태를 사전에 적극적이며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작동개시되는 단계(S210); 수질계측센서(140)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S220); 물탱크 커버(112)가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는 단계(S230); 물탱크 커버(112)의 개방이 감지됨과 동시에, 수중카메라모듈(130)이 작동되는 단계(S240);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120)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160)로 전송되는 단계(S250);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160)로부터 관리실 컴퓨터(170)로 전송되는 단계(S260); 및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170)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180)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190)로 전송되는 단계(S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중카메라모듈(130)을 대체하여 감시카메라를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S310);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S320); 급수저장용 물탱크커버가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는 단계(S330); 물탱크커버의 개방이 감지됨과 동시에, 감시카메라모듈이 작동되는 단계(S340);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S350);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S360); 및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모듈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로 전송되는 단계(S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100)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빌딩형의 공동주택(A)에 설치되는 급수저장용 물탱크(110)에 구비되는 수질계측센서(140)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을 활용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에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ㆍ감독하되, 별도의 감시인원을 배치하지 않고서도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음으로써, 인원배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자의 계측에 의하지 않고서 수질계측센서(140)를 활용함으로써, 정확하게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급수저장용 물탱크(110)에 구비되는 수질계측센서(140)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을 활용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에 대한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ㆍ감독하되, 상기 수질계측센서(140)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110) 내의 수질이 안전규격의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됨과 동시에, 곧 바로 수질계측센서(140)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130)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170)로 전송됨으로써, 수질감시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실 컴퓨터(170)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모바일기기(180) 또는 세대별 홈오토(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결과를 각 세대에서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급수저장용 물탱크(110)의 물탱크 몸체(111) 또는 물탱크 커버(112) 일측에 설치되는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S)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S)에 의하여 물탱크커버 열림감지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중카메라모듈(130)는 카메라렌즈(132)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됨으로써, 불측의 외부 침입자에 의한 물탱크 수질오염 사태를 사전에 적극적이며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110 : 급수저장용 물탱크 111 : 물탱크 몸체
112 : 물탱크 커버 120 : 중계노드
130 : 수중카메라모듈 131 : 카메라케이싱
132 : 카메라렌즈 133 : 엘이디램프
140 : 수질계측센서 150 : 데이터전송선
160 : 메인 데이터로거 170 : 관리실 컴퓨터
180 : 모바일기기 190 : 세대별 홈오토
A : 빌딩형의 공동주택 L1 : 세대별 홈오토디스플레이
L2 : 관리실 컴퓨터디스플레이 L3 : 모바일기기디스플레이
S :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

Claims (11)

  1. 빌딩형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급수저장용 물탱크;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는 수질계측센서;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모듈;
    상기 수질계측센서와 수중카메라모듈에 연결되는 데이터전송선:
    상기 데이터전송선에 연결되어, 수질계측센서와 수중카메라모듈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중계노드;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하는 메인 데이터로거; 및
    상기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중계받는 관리실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모바일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수질계측신호와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세대별 홈오토;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카메라모듈는,
    외관을 구성하는 카메라케이싱;
    상기 카메라케이싱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렌즈; 및
    상기 카메라케이싱 일측에 설치되어,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측을 조명시키는 엘이디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카메라모듈는,
    수질계측센서에 연동되어, 수질계측센서에서 생성된 수질계측신호에 따라 엘이디램프가 조명됨과 동시에 카메라렌즈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저장용 물탱크의 물탱크 몸체 또는 물탱크 커버 일측에 설치되는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커버 열림감지센서에 의하여 물탱크커버 열림감지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중카메라모듈은 카메라렌즈를 통하여 물탱크 내측의 동영상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8.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내의 수질이 안전규격의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되는 단계;
    설정범위를 초과했다고 감지됨과 동시에, 수중카메라모듈이 작동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로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
  9.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
    급수저장용 물탱크커버가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는 단계;
    물탱크커버의 개방이 감지됨과 동시에, 수중카메라모듈이 작동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수중카메라모듈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로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개시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에 의하여 급수저장용 물탱크 내의 수질이 감시되는 단계;
    급수저장용 물탱크커버가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는 단계;
    물탱크커버의 개방이 감지됨과 동시에, 감시카메라모듈이 작동되는 단계;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모듈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중계노드를 통하여 메인 데이터로거로 전송되는 단계;
    전송받은 수질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의 촬영되는 동영상이 메인 데이터로거로부터 관리용 컴퓨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받은 수질계측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감시카메라모듈 촬영되는 동영상이 관리실 컴퓨터로부터 거주민의 각 모바일기기 또는 거주민의 각 세대별 홈오토로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카메라모듈은 엘이디램프가 조명됨과 동시에 동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40015850A 2014-02-12 2014-02-12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095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850A KR20150095960A (ko) 2014-02-12 2014-02-12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850A KR20150095960A (ko) 2014-02-12 2014-02-12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960A true KR20150095960A (ko) 2015-08-24

Family

ID=540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850A KR20150095960A (ko) 2014-02-12 2014-02-12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596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695A1 (ko) * 2016-07-11 2018-01-18 손창우 스마트 물탱크 장치 및 그 안전 시스템
KR101887350B1 (ko) * 2017-07-28 2018-08-10 이병학 물탱크 내부 및 외부의 상태 실시간 감지, 경보, 및 경보방송 시스템
KR102100939B1 (ko) * 2019-10-30 2020-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중콘크리트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503813B1 (ko) * 2022-09-08 2023-02-24 주식회사 엠에스텍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KR102504241B1 (ko) 2021-08-18 2023-02-28 (주)동아씨앤지 인공지능 기반의 수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6022892A (zh) * 2023-02-08 2023-04-28 安徽舜禹水务股份有限公司 一种二次供水设备水质保障净化系统及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695A1 (ko) * 2016-07-11 2018-01-18 손창우 스마트 물탱크 장치 및 그 안전 시스템
KR101887350B1 (ko) * 2017-07-28 2018-08-10 이병학 물탱크 내부 및 외부의 상태 실시간 감지, 경보, 및 경보방송 시스템
KR102100939B1 (ko) * 2019-10-30 2020-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중콘크리트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504241B1 (ko) 2021-08-18 2023-02-28 (주)동아씨앤지 인공지능 기반의 수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03813B1 (ko) * 2022-09-08 2023-02-24 주식회사 엠에스텍 공동주택(공동건물)의 수돗물 저수조 오염도 모니터링시스템
CN116022892A (zh) * 2023-02-08 2023-04-28 安徽舜禹水务股份有限公司 一种二次供水设备水质保障净化系统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960A (ko) 물탱크 수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U20183047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leak detection
EP1210701B1 (en) Monitoring system
US10276032B1 (en) Interpreting presence signals using historical data
AU2010249499B2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30335550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WO2012115878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8471725B2 (en) Methods and supporting telemetry to determine, monitor and control the metagenomic and physical states of grease interceptors, FOGs, vaults and other waste collecting enclosures
KR101418707B1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기능 물관리자동화시스템
CN104079874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安防一体化系统及方法
AU2009308949A1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204066307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安防系统
KR20090095966A (ko) 맨홀 감시 시스템
KR101912898B1 (ko)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101829823B1 (ko) 건물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170076389A (ko)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CN109754579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系统及方法
KR20090107245A (ko)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8569B1 (ko) 복수의 수처리 시설에 대한 통합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
KR101122097B1 (ko) 가스 누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9941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208236463U (zh) 基于红外图像的矿井水灾报警系统
CN105652811A (zh) 智能家居控制装置
CN103079166A (zh) 一种智能家庭安防系统
CN112066518B (zh) 空调检测方法、装置以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