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389A -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389A
KR20170076389A KR1020150186579A KR20150186579A KR20170076389A KR 20170076389 A KR20170076389 A KR 20170076389A KR 1020150186579 A KR1020150186579 A KR 1020150186579A KR 20150186579 A KR20150186579 A KR 20150186579A KR 20170076389 A KR20170076389 A KR 2017007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monitoring
water tank
water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규
Original Assignee
(주) 구보다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구보다십 filed Critical (주) 구보다십
Priority to KR102015018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389A/ko
Publication of KR2017007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상수도의 정수시설의 수질 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탱크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급관과, 상기 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외부로 방류할 수 있도록 된 방류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의 유출 경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제어기와, 상기 정수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온도, 수위, 산도, 탁도, 전기전도도, 잔류 염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부와, 상기 정수탱크 내로 고체 염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고체염소투입기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제어기 및 상기 고체염소 투입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주위에 형성되며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경계부;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간이 상수도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태정보를 저장 및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고,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provisional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이 상수도의 정수시설의 수질 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간이 상수도는 광역 상수도로부터 공급수 라인의 연결이 불가능한 산간벽지 및 도서지역에 설치된 것을 말한다. 계곡수, 지하수 또는 암반침출수 등을 수원으로 사용하는 간이 상수도의 경우 통상적으로 수원의 낙차를 이용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수 수용가 보다 높은 위치에 집수조를 설치한다.
또한, 집수조는 충분한 낙차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식수 수용가 보다 멀리 떨어진 산이나 언덕에 일일 식수 소비량을 고려하여 충분한 수량을 저수할 수 있는 크기로 설치된다. 이러한 간이 상수도의 경우 집수조에 취수된 물 속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살균 할 수 있는 소독설비가 집수조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집수조에 저수되는 물의 저수량이 많아 대형 설비가 필요한 점 때문에 실질적으로 집수조에 소독설비를 구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간이 상수도는 소독처리 시설이 없는 경우가 많고, 소독처리시설이 있는 경우 집수조와 수용가 사이에 정수용 저수조를 별도로 설치하고, 저수조로 유입된 물에 염소를 투입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간이 상수도 설비는 계절별로 수량의 변동이 심하여 장마철의 경우 과다하게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저수조가 범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그에 따른 저수조 주변에 설치된 전기 기기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소독장치가 타이머 방식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의 염소를 투입하도록 되어 있어 계절별 수온 및 수량 변동이 심한 혹서기에는 저수조 내부에서의 세균 번식이 왕성하여 수질 오염도가 높아지지만 이에 대응하여 연동적으로 소독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 정기적인 수질분석이 1년에 1회 내지 4회 정도 수행되는데 수질 성적이 부적합할 경우에는 정수 처리장치를 계속 가동시키고, 합격판정을 받으면 다음 수질분석시까지 가동을 시키지 않는 불합리한 관리를 하고 있어서 수질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간이 상수도 처리 시설은 정수탱크 내부를 모니터링할 뿐, 정수탱크 외부에 대한 실시간 감시 처리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사고 발생시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85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간이상수도의 수질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수질을 관리할 수 있는 간이 상수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탱크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급관과, 상기 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외부로 방류할 수 있도록 된 방류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의 유출 경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제어기와, 상기 정수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온도, 수위, 산도, 탁도, 전기전도도, 잔류 염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부와, 상기 정수탱크 내로 고체 염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고체염소투입기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제어기 및 상기 고체염소 투입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주위에 형성되며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경계부;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간이 상수도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태정보를 저장 및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고,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감시 카메라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탱크와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유속의 발생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력 발전기 또는 상기 정수탱크 외벽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태양열 발전기와, 상기 수력 발전기 또는 태양열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감시 카메라는 경계 구역, 금지 구역, 제외 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여 상기 경계부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장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경계부는 비접촉식 적외선을 이용한 온도 변화의 유무로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간이 상수도의 수질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이상수도의 수질이 관리 허용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간이 상수도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 외부에 대한 실시간 감시 처리가 가능하여, 사고 발생시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가 상세히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간이 상수도용 정수탱크 및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경계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와 관리서버(300)가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 주위에는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210)가 구비된 경계부(200)가 형성된다.
통신 네트워크(N)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N)은 공중 전화망(PSTN),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는 관리대상 간이 상수도의 정수탱크 내에 저수된 수질의 정보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간이 상수도의 정수 탱크별로 설치된다.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의 바람직한 예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는 센서부(110), 고체염소 투입기(120), 밸브제어기(130), 표시부(140), 통신장치(150), 제어부(160) 및 키 조작부(180)를 구비한다.
센서부(110)는 수질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10)는 수위 검출센서(111), 탁도 센서(112), 잔류 염소량 검출센서(113), 온도 센서(114), 산도(PH) 센서(115), 고체 염소량 검출센서(116), 배터리 충전량 검출센서(117) 및 전기전도도 검출센서(118)를 구비한다.
수위 검출센서(111)는 정수탱크(101)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탁도 센서(112), 잔류 염소량 검출센서(113), 온도 센서(114), 산도 센서(115), 전기전도도 검출센서(118)는 정수탱크(101) 내에 설치되며 공지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고체 염소량 검출센서(116)는 고체 염소 투입기(120)에 의해 정수탱크(101)내에 투입할 수 있는 고체 염소량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일 예로서, 고체염소가 환 형태로 비축되어 있는 경우 고체 염소량 검출센서(116)는 비축된 고체 염소의 개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터리 충전량 검출센서(117)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동 전력원으로서 배터리(미도시)가 적용되는 경우 적용되며 배터리의 충전량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동 전력원으로 상용 전원만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량 검출센서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부(110)에는 앞서 예시된 센서들과 검출 대상이 다른 수질 성분 분석용 센서가 더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체 염소 투입기(120)는 제어부(160)에 제어되어 정수탱크(101) 내에 비축된 고체 염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체 염소 투입기(120)의 고체 염소 투입방식은 고체 염소 수납실에 수납된 고체 염소를 정수탱크(101) 내로 토출할 수 있게 되면 된다.
밸브 제어기(130)는 정수탱크(101)로 입출되는 원수의 배출경로를 제어할 수 있게 배관상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취수관(103)이 'T'자형으로 분기되어 있고, 취수관(103)으로부터 분기된 공급관(104)은 정수탱크(101) 내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취수관(103)으로부터 분기된 또 하나의 방류관(105)은 취수를 방류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104)과 방류관(105) 상에는 밸브제어기(1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제1 및 제2 밸브(131, 1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수탱크(101)에 유입된 후 소독처리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정수탱크(101)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관(106)에는 제3 밸브(1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밸브(131, 132, 133)는 밸브 제어기(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구조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131, 132, 133)는 밸브 제어기(130)에 의한 자동 개폐 및 수동 개폐조작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된다. 밸브제어기(130)는 제 1 내지 제3 밸브(131, 132, 133)의 개폐를 제어한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송된 수질과 관련된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에 의해 표시부(140)를 통해 제공되는 표시정보는 수량, 수온, 산도, 충전상태, 전기전도도, 잔류 염소량, 관리서버(300)와의 송수신 상태 등 센서부(110)에 의해 검출된 정보 및 제어대상 기기의 작동상태와 관련된 정보 등 제공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통신장치(150)는 관리서버(300)와의 통신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되면 되고, 전화선 또는 케이블 방식의 경우 모뎀이 적용되고, 무선 통신의 경우 무선 송수기가 적용된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10)의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취득된 정보 및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처리 정보 및 작동상태 정보를 포함한 정보 중 모니터링 및 원격 관리 대상으로 설정된 상태정보를 통신 네트워크(N)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송출하고, 센서부(110)의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 관리서버(300)로부터 지시된 제어정보에 따라 각 기기를 제어한다.
제어부(160)의 각 기기의 제어 예를 들면 밸브제어기(130) 및 고체 염소 투입기(120)의 제어는 관리서버(300)로부터 별도의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된 자가진단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각 기기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어부(160)의 자가진단 처리프로그램은 정수탱크(101)의 수위가 설정된 하한과 상한 범위 내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60)는 수위검출센서(111)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정수탱크(101)에 저수된 물의 저수량이 설정된 상한 목표치에 도달하면 정수탱크(101)로의 원수의 유입이 차단되고, 원수가 방류관(132)을 통해 방류될 수 있도록 제1 밸브(131)는 폐쇄 및 제2 밸브(132)는 개방되도록 밸브 제어기(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위검출센서(111)의 출력신호가 설정된 하한치에 도달하면 정수탱크(101)로 원수가 유입되게 제1 밸브(131)가 개방되고, 제2 밸브(132)가 차단되게 밸브 제어기(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취수관(103)으로부터의 원수의 유입여부와 관계없이 정수탱크(101) 내에 저수된 담수가 외부로 넘치지 않게 적정범위 내로 담수 수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6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특정 밸브의 개폐명령이 전달되면, 센서부(110)의 출력신호와 관계없이 관리서버(300)의 명령에 따라 해당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축된다.
즉, 제어부(160)는 자가 진단 프로그램에 의한 각 기기의 제어 처리 보다 관리서버(300)로부터 지시된 제어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센서부(110)의 출력신호에 대응한 자가진단프로그램에 의한 각 기기의 제어와 관리서버(300)로부터 지시된 제어신호가 상호 상충될 때는 관리서버(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처리한다.
일 예로서, 수위검출센서(111)로부터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한 신호가 수신되어 급수를 위해 제1 밸브(131)가 오픈되게 하고 제2 밸브(132)를 차단한 경우 관리서버(300)로부터 급수 중단 신호가 수신되면 제1 밸브(131)가 잠기도록 밸브 제어기(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10)의 출력신호 즉, 담수의 수온, 탁도, 온도, 산도, 전기 전도도 및 잔류 염소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파악된 오염정도에 따라 정수탱크(101) 내에 저수된 담수의 잔류 염소량이 오염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 잔류 염소량 범위를 유지하도록 고체 염소 투입기(120)를 제어한다.
한편,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의 동력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발전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발전기는 취수관(103)으로부터 배출관(106)으로 이어지는 배관의 관로상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관로를 흐르는 물의 유속에 의해 발전될 수 있게 설치하거나 방류관(105)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수를 이용하여 발전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태양열 발전기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태양열 발전기는 상기 정수탱크 외벽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도 3의 참조부호 171 및 172는 관로 상에 설치된 발전기를 나타내고,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와 접속되면 된다. 또한, 상용 전원과 배터리를 함께 사용하도록 구축된 경우 발전기가 발전상태일 때는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고, 비발전시에는 배터리 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며, 배터리의 충전 필요시에는 발전기가 가동중일 때는 발전기의 전력으로 충전되게 하고, 비발전시에는 상용전원으로 충전하도록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제어 및 전력공급계통 제어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60)는 자가진단 프로그램에 의해 수질이 설정된 목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각 기기를 제어하여도 설정된 제어 시간 동안 제어한 후 수질이 설정된 목표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배출관(106)의 제3밸브(133)가 폐쇄되게 밸브 제어기(130)를 제어하고, 경고신호를 자체적으로 발생하고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160)에 제어되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경보기(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
제어부(160)는 정수탱크(101)의 수질 및 그 밖의 설정된 모니터링용 상태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설정된 주기로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키조작부(180)는 관리자가 현장에 가서 수동으로 각 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수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자동/수동 조작키를 포함한 각종 키가 마련될 수 있다. 키조작부(180)가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밸브제어기(130) 및 고체 염소투입기(120)의 제어를 중단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밸브(131)(132)(133)의 개폐 및 고체 염소투입기(120)를 조작할 수 있게 처리한다.
경계부(200)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 주위에 형성되며,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210)가 구비된다. 감시 카메라(210)는 HD급 고화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계부(200)는 비접촉식 적외선을 이용한 온도 변화의 유무로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 카메라(210)는 경계 구역, 금지 구역, 제외 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경계부(200)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감시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감시 카메라(210)에 장착된 외장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에 저장된다. 한편, 감시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통신네트워크(N)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를 저장 및 열람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관리서버(300)에서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를 표시 및 이를 근거로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컴퓨터 구조로 구축되면 된다. 관리서버(300)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표시장치(미도시)에 표시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서버(300)의 표시장치를 통해 관리 대상 각 간이 상수도의 수질 및 동작 상태를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 정수탱크(101)의 청소시기, 센서 및 기기의 점검시기, 고체 염소 보충 시기 등을 적절하게 결정하여 작업할 수 있고, 긴급상황시 간이 상수도의 급수 중단 등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가 복수개의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받고 각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구축된 경우 각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호 식별이 가능하게 독립적인 식별명 및 통신주소를 갖고 관리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간이 상수도의 수질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이상수도의 수질이 관리 허용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간이 상수도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 외부에 대한 실시간 감시 처리가 가능하여, 사고 발생시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101: 정수탱크
110: 센서부 120: 고체염소 투입기
130: 밸브 제어기 140: 표시부
150: 통신장치 160: 제어부
180: 키조작부 200: 경계부
210 : 감시 카메라 300: 관리서버
N : 통신 네트워크

Claims (4)

  1. 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탱크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급관과, 상기 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외부로 방류할 수 있도록 된 방류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의 유출 경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제어기와,
    상기 정수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온도, 수위, 산도, 탁도, 전기전도도, 잔류 염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부와,
    상기 정수탱크 내로 고체 염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고체염소투입기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제어기 및 상기 고체염소 투입기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주위에 형성되며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가 구비된 경계부;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간이 상수도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태정보를 저장 및 열람 가능하게 처리하고,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감시 카메라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탱크와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유속의 발생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력 발전기 또는 상기 정수탱크 외벽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태양열 발전기와,
    상기 수력 발전기 또는 태양열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간이 상수도 모니터링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는 경계 구역, 금지 구역, 제외 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여 상기 경계부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장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비접촉식 적외선을 이용한 온도 변화의 유무로 사람이나 동물의 출입을 검출하는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150186579A 2015-12-24 2015-12-24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70076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79A KR20170076389A (ko) 2015-12-24 2015-12-24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79A KR20170076389A (ko) 2015-12-24 2015-12-24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89A true KR20170076389A (ko) 2017-07-04

Family

ID=5935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579A KR20170076389A (ko) 2015-12-24 2015-12-24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38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45B1 (ko) * 2017-12-22 2019-01-24 (주)썬텍엔지니어링 수도시설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103444B1 (ko) 2019-01-07 2020-04-23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소규모 급수시설의 잔류염소 및 이물질 투입 실시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210046137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렌즈 연마가공폐수 자동처리장치
KR102271690B1 (ko) 2020-12-29 2021-07-01 청정테크주식회사 염소 농도 자동 교정 기능이 구비된 수질 계측기
KR102434028B1 (ko) * 2022-01-26 2022-08-23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20230136799A (ko) 2022-03-18 2023-09-27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계측기반 ict 정수처리시스템
KR20230136798A (ko) 2022-03-18 2023-09-27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계측기반 ict 상수도 통합관리시스템
KR102641798B1 (ko) 2023-06-20 2024-02-28 (주) 디케이금속 밸브실용 탁도계시스템, 이를 구비한 스마트밸브실 및 스마트밸브실의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45B1 (ko) * 2017-12-22 2019-01-24 (주)썬텍엔지니어링 수도시설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103444B1 (ko) 2019-01-07 2020-04-23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소규모 급수시설의 잔류염소 및 이물질 투입 실시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210046137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렌즈 연마가공폐수 자동처리장치
KR102271690B1 (ko) 2020-12-29 2021-07-01 청정테크주식회사 염소 농도 자동 교정 기능이 구비된 수질 계측기
KR102434028B1 (ko) * 2022-01-26 2022-08-23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20230136799A (ko) 2022-03-18 2023-09-27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계측기반 ict 정수처리시스템
KR20230136798A (ko) 2022-03-18 2023-09-27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계측기반 ict 상수도 통합관리시스템
KR102641798B1 (ko) 2023-06-20 2024-02-28 (주) 디케이금속 밸브실용 탁도계시스템, 이를 구비한 스마트밸브실 및 스마트밸브실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6389A (ko)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AU2020291441B2 (en) Smart water valve
KR101782040B1 (ko) 드론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물 측량장치 및 위치측정방법
JP5512032B1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の課金装置、循環水利用システム
KR101173846B1 (ko) 하천과 지하수의 수질 및 생태 모니터링 시스템
JP5563142B1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
KR101912898B1 (ko)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US8471725B2 (en) Methods and supporting telemetry to determine, monitor and control the metagenomic and physical states of grease interceptors, FOGs, vaults and other waste collecting enclosures
KR101418707B1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기능 물관리자동화시스템
CN10398432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企业雨水排放口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1171836B1 (ko)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KR20060013339A (ko)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US11781673B2 (en) Water level control system
CN106647552A (zh) 污水处理监控系统
KR101194167B1 (ko) 소규모 수도시설의 침입감지 및 영상녹화 시스템
JP2011094368A (ja) 受水槽監視システム
CN115728305A (zh) 水处理状况监视系统和水处理状况监视方法
CN108225834A (zh) 阀式废水执法取证采样机器人
JP3004786B2 (ja) 貯水槽経由水道水水質安全監視システム
CN203849606U (zh) 一种企业雨水排放口监控系统
CN106547231A (zh) 水质处理装置的监控系统
CN205604349U (zh) 一种自动消毒水箱
DE102011078824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Qualitätsüberwachung eines Mediums in einem Versorgungsnetz
KR101112040B1 (ko) 지능형 퇴수로 자동 관리 장치
JP2018189539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