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220B1 -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220B1
KR101986220B1 KR1020170122752A KR20170122752A KR101986220B1 KR 101986220 B1 KR101986220 B1 KR 101986220B1 KR 1020170122752 A KR1020170122752 A KR 1020170122752A KR 20170122752 A KR20170122752 A KR 20170122752A KR 101986220 B1 KR101986220 B1 KR 10198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supply device
cov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960A (ko
Inventor
정휘동
김필규
유장현
남진오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20B1/ko
Priority to CN201811033818.8A priority patent/CN109527992B/zh
Publication of KR2019003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Abstract

취수 코크를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한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음용수 공급 장치는,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를 장치의 정면에 구비한다. 상기 취수부는, 상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취수 코크가 장착되는 취수부 커버; 및 취수부 커버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쪽으로 돌출되어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는 위치와,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취수부 커버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Description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본 발명은 정수기나 생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용수 공급 장치의 취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음용수 공급 장치로서 정수기나 생수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사용자가 취수 가능하도록 취수 코크를 포함한 취수부가 항상 노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노출된 취수부는 오염에 취약하여 위생상 문제가 있다.
이에, 특허문헌 1에서는, 장치본체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전후진 가능한 이동부를 구비하고, 이 이동부에 물배출구(취수 코크)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정수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이동부 안에는 물배출구가 수용되는 살균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취수하고자 할 때 물배출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장치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전진)시켜 물배출구를 노출시켜 취수가 가능하게 하고, 대기시(비취수시)에는 이동부를 장치본체의 상부에 원위치(후퇴)시켜 물배출구의 상시 노출을 방지한다. 또한, 대기시에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살균공간으로 살균수를 공급하여 상기 살균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배출구의 내부와 외부를 살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수처리장치는, 장치본체 상부 전체에 걸쳐 이동부를 형성하고, 필요시 이동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동부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하고, 슬라이딩 구동기구도 대형화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가 전진해 있는 동안 장치본체의 뒤쪽 상부표면이 노출되어 이를 통해 오염물질이 이동부 안쪽에 배치된 물배출구나 살균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가 원위치에 있을 때에는 살균공간으로 공급된 살균수가 장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장치본체와 이동부 사이는 완벽한 씰링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완벽한 씰링과 이동부의 원활한 슬라이딩은 양립하기 어렵다. 즉, 씰링을 완벽하게 하면 그만큼 이동부의 슬라이딩이 어려워지고, 적은 힘(저용량, 저전력 모터)으로 이동부를 원활하게 슬라이딩하게 하려면 완벽한 씰링을 희생해야 한다. 또한, 이동부의 잦은 진퇴에 따라 씰링이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살균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특허문헌 1의 수처리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장치 상부(이동부의 상부)에 물건을 올려놓는 경우, 이동부가 전후진시 물건이 떨어지거나 무거운 물건의 경우 이동부의 슬라이딩에 방해가 되거나 씰링의 마모를 촉진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73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취수 코크의 상시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특별한 씰링이 필요없고 간단하고 소형의 구동기구로 취수 코크의 출몰이 가능한 구조의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는, 음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를 장치의 정면에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로서, 상기 취수부는, 상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상기 취수 코크가 장착되는 취수부 커버; 및 상기 취수부 커버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는 위치와,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취수부 커버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를 수용하는 수용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통은 상방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취수 코크가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취수 코크의 하단보다 높이가 높은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상기 정면 커버 쪽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이 연질의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취수부 커버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상기 취수 코크의 하단이 상기 전방 측벽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는,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취수 코크를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살균수 생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음용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취수 코크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축이 T자형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T자형 배관의 하단이 상기 취수 코크로 연결되며, 상기 T자형 배관의 상단 양측은 성질이 서로 다른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구동기구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수부 커버에 연결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기구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취수부 커버 또는 상기 회동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취수부 커버를 밀거나 당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 장치는, 취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상기 취수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고, 취수가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취수 코크의 상시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취수 코크의 오염을 방지하고 음용수 공급 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만을 회동 구동하므로 간단하고 소형의 구동기구로 적은 힘으로 취수 코크의 노출과 은폐가 가능하다.
또한, 회동되는 취수부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 사이에 특별한 씰링이 필요없어 취수부의 출몰에 따른 씰링의 마모 문제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정수기)의 대기시(비취수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내부 구성과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취수부가 설치되는 정면 커버를 정수기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비취수시에 취수 코크가 정수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취수시에 취수 코크가 정수기 전방에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취수부의 출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정수기의 취수부의 출몰 동작을 위한 다른 다양한 구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용수 공급 장치로서 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생수기 등 다른 음용수 공급 장치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이른바 직수형 정수기로서, 상수도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받아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형태의 정수기이다. 즉, 사용자가 취수 버튼을 누르면 비로소 정수를 생성하여 바로 공급한다. 다만, 본 발명이 직수형 정수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탱크를 가지는 비직수형 정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대기시(비취수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내부 구성과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구성부품들을 내장하는 커버로서, 정면 커버(11), 측면 및 상면 커버(12), 배면 커버(도시생략)를 가진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커버를 포함한 전체적인 정수기의 외관은 일예에 지나지 않고, 커버의 구분과 형태는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정면 커버(11)의 상부에는 취수 코크(51, 도 2 및 도 4 등 참조)를 포함한 취수부(50, 도 3 등 참조)가 설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상태(대기시)에서는 취수 코크(51)가 노출되지 않고 취수부(50)를 구성하는 취수부 커버(52)만이 정수기의 정면에 노출되어 있다. 정면 커버(11)에서 취수부(50) 아래에는 취수 버튼(15)이 노출되어 있는데, 대개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로 이 취수 버튼(15)을 누르는 동안 정수의 생성 및 취수 동작이 개시되어 지속된다. 또한, 정면 커버(11)의 전방 아래쪽에는 물받이(13)가 배치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면 커버(11)에는 정수, 냉수, 온수 등의 성질이 서로 다른 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나, 정수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등과 같은 요소들이 배치, 표시되는 조작 패널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조작 패널은 취수부 커버(52) 표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정면 커버(11)의 배면, 즉 안쪽에는 조작 패널에 대응되는 회로기판(60, 도 3 등 참조)이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필터 유닛(20), 냉수 생성 모듈(30), 온수 생성 모듈(32) 및 살균수 생성 모듈(34)을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유닛(20)은 원수 공급원(S)으로부터 원수를 받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전형적으로 전처리 필터(21), 본처리 필터(22) 및 후처리 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필터(21)로는 침전 필터 및/또는 선카본 필터, 또는 침전 필터와 선카본 필터가 통합 일체화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처리 필터(22)로는 UF 중공사막 필터나 역삼투압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역삼투압 필터의 경우 여과 속도와 용량이 작아 소형의 직수형 정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후처리 필터(23)로는 후카본 필터나 살균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유닛(20)을 구성하는 필터들의 개수, 종류 및 배치는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과 직접 관련되지 않고 필터의 상세한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냉수 생성 모듈(30)은 필터 유닛(20)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냉각하여 공급하기 위한 모듈로서, 이중관 타입의 냉각기, 빙축열조 방식의 냉각기, 전열소자를 사용한 냉각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온수 생성 모듈(32)은 필터 유닛(20)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모듈로서, 순간 가열에 적합한 히터를 내장한 소형 탱크 형태의 가열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냉수 생성 모듈(30)과 온수 생성 모듈(32)은 실시형태에 따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타입의 냉각기 또는 가열기를 사용하면 되고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 관련되지 않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살균수 생성 모듈(34)은 후술하는 취수 코크(51)를 살균,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전술한 살균 필터와는 다른 구성요소이다. 즉, 살균 필터는 전형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정수를 살균하고 살균한 정수는 음용수로서 음용하게 되는 반면, 살균수 생성 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정수기의 유로 배관과 취수 코크 등을 살균 소독하는 용도로 이용하고, 살균수 자체는 음용하지 않고 배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살균수 생성 모듈(34)로서는 전형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로서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생성하는 전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기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 관련되지 않고 정수기에 사용하는 전해기의 상세한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필터 유닛(20)의 모든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고형 성분이나 이온 성분이 적어 전기분해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으므로, 전해기를 채용한 살균수 생성 모듈(34)로는 일부의 필터(21)만을 통과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필터(21) 및 살균수 생성 모듈(34)을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는 유로(41)를 통해 궁극적으로 취수 코크(51)로 공급되고, 필터 유닛(20)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수와, 냉수 생성 모듈(30) 또는 온수 생성 모듈(32)을 통과하여 생성된 냉수 또는 온수도 각각의 유로(42,43,44)를 통해 궁극적으로 취수 코크(51)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수기(100)는 이러한 물의 흐름에 따라 필요한 유로 배관(41 내지 45)을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유로 배관을 개폐조작하기 위한 밸브들(47)을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도시생략)나, 펌프(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유로 배치 및 밸브(47)는 예에 지나지 않고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가지는 취수부(50)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취수부 커버(52)는 도 1에서는 그 표면만이 정면 커버(1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만,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후방 즉, 정면 커버(11) 안쪽으로 연장되어(52a 참조)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7 참조)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취수부 커버(52)의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2a)에 대응하여 정면 커버(11)에는 취수부 커버(52)가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취수부 커버(52)의 상단(52b)은 정면 커버(11) 안쪽 상부에 마련된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취수부 커버(52)는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그 상단(52b)은 정수기(10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52c)이 정수기(100) 정면으로, 즉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취수부 커버(52)의 하단(52c)에는 취수 코크(51)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취수 코크(51)는 취수부 커버(52)의 하단 위치에 따라 정수기(100) 외부로 노출되거나(도 6 및 도 7 참조), 정수기(100) 내부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게 된다.
취수부(50)는 취수부 커버(52)를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여 결과적으로 취수 코크(51)를 출몰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구는, 모터(55)와 링크(56)로 이루어진다. 모터(55)는 정교한 회전제어가 가능한 스텝 모터나 서보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56)는 그 일단이 모터(55)의 회전축(55a)에 연결되고 타단이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에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링크(56)는 크랭크축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이 커넥팅 로드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55)의 회전운동을 취수부 커버(52)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다만, 크랭크 기구에서 커넥팅 로드의 역할을 하는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은, 통상적인 크랭크 핀과는 달리 크랭크 축인 링크(56)가 일정 범위에서 유동가능한 장공(53)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원활한 운동의 변환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동기구의 동작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의 (a)는 취수부 커버(52)가 닫힌 상태, 즉 도 1 및 도 4의 상태로서, 모터(55)의 회전축(55a)에 대해, 링크(56)의 타단, 즉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에 형성된 장공(53)에 위치하는 링크 부분은 도면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장공(53) 내부에서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취수부 커버(52)를 열기 위해 모터(55)의 회전축(55a)을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6)의 타단이 장공(53)의 내부에서 장공(53)의 상단쪽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취수부 커버(52)를 왼쪽으로 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55)의 회전축(55a)을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6)의 타단이 취수부 커버(52)를 왼쪽으로 더욱 밀면서 장공(53)의 내부에서 장공(53)의 하단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장공(53)의 하단에 도달하면 취수부 커버(52)는 열린 상태가 된다.
열려있는 취수부 커버(52)를 닫기 위해서는, 위와는 반대로, 모터(55)의 회전축(55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이러한 구동기구는 본 실시예와 같은 크랭크 기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구동기구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5)와, 모터의 회전축(55a)에 마련된 기어(61a)와, 취수부 커버(52)의 일단에 마련된 기어(61b)를 구비하는 기어 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동축(54)을, 직접 또는 기어를 개재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기구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부 커버(52)를 밀거나 당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62)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취수부(50) 구조와 구동기구에 의해, 취수시에는 취수부 커버(52)의 하단을 정수기(100)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취수 코크(51)를 노출시키고, 대기시에는 취수부 커버(52)의 하단을 정수기(100)의 후방으로 후퇴시켜 취수 코크(51)를 은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취수 버튼(15, 도 1 참조)을 누르면, 취수 코크(51)가 노출되는 위치로 취수부 커버(52)를 회동하고, 취수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다시 취수 코크(51)가 은폐되는 위치로 취수부 커버(52)를 회동함으로써, 취수 코크(51)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성과 간단한 동작(적은 힘과 에너지)으로 취수 코크(51)의 출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취수부 커버(52)와 정면 커버(11)의 개구부 사이에는 특별한 씰링이 필요없다. 따라서, 취수 코크(51)의 출몰 동작과 관련하여 씰링이 마모되는 문제도 없다.
한편, 대기시(취수 코크가 은폐 위치에 있을 때)에는 취수 코크(51)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취수 코크(51)를 세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로는 음용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전술한 살균수 생성 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살균수 생성 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취수 코크(51)를 세정, 살균하는 경우에는 살균수에 이어 음용수를 취수 코크(51)로 공급하여 헹굴 필요가 있다.
어느 경우든 세정수(살균수, 헹굼수)는 배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은폐 위치에 있는 취수 코크(51)의 아래에는 세정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통(57)이 마련되거나, 적어도 취수 코크(51)의 은폐 위치에 정렬되어 배수 유로(57b)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정수기(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 코크(51)가 은폐 위치에 있을 때, 취수 코크(51)를 수용하는 수용통(5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수용통(58)은 특히 취수 코크(51)의 내부만이 아니라 취수 코크(51)의 선단부 주변의 바깥 부분까지 세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취수 코크(51)가 수용통(58)에 수용된 상태에서 취수 코크(51)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수용통(58)을 가득 채우면 취수 코크(51)의 선단부는 세정수에 잠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세정수에 잠기는 취수 코크(51)의 선단부 주변의 바깥 부분까지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용통(58)은 상방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그 측벽은 취수 코크(51)가 은폐 위치에 있을 때 취수 코크(51)의 최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취수부 커버(52)의 회동에 따라 취수 코크(51)가 회동할 때 수용통(58)의 측벽 중 정면 커버(11) 쪽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58a)에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걸리게 되어, 취수 코크(51) 및 취수부 커버(52)의 회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통(58)의 측벽 중 적어도 전방 측벽(58a)을 연질의 고무나 수지로 형성하여, 취수부 커버(52)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전방 측벽(58a)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전방 측벽(58a)을 밀고 넘어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전방 측벽(58a)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적어도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통과하는 높이만큼 절개하거나(도 5의 화살표 a 참조), 나아가 전방 측벽(58a)의 두께를 다른 측벽보다 얇게 하여 전방 측벽(58a)의 탄성변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용통(58)의 하부 일측에는 세정수, 특히 살균수 및 헹굼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58b)가 형성되어 있어 취수 코크(51)를 세정한 세정수를 배수통(57)으로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배수구(58b)의 직경이 너무 크면, 수용통(58)이 세정수로 채워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58b)의 크기는, 취수 코크(51)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 유량이 배수구(58b)를 통해 세정수가 배수되는 유량 이상이 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는, 배수구(58b)의 직경을 크게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취수 코크(51)의 하단이 세정수에 잠기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배수통(57)의 배수 유로(52b)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마련하고, 배수통(57) 내에 수위 센서(59)를 마련하여 배수통(57)의 수위(결국, 배수구(58b)에 의해 배수통과 연통되는 수용통(58)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에 따라 배수 유로(57b)의 개폐를 제어하면 된다. 이 경우, 수용통(58)을 생략하고 배수통(57)이 수용통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동축(54)은 취수 코크(51)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부 커버(52)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축(54)은 T자형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이 T자형 배관의 하단이 취수 코크(51)로 연결되며, T자형 배관의 상단 양측이 온수, 정수 또는 냉수와 같이 성질이 서로 다른 음용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유로(44,4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구성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정수기(음용수 공급 장치)
11: 정면 커버
12: 측면 및 상면 커버
13: 물받이
15: 취수 버튼
20: 필터 유닛
21: 전처리 필터
22: 본처리 필터
23: 후처리 필터
30: 냉수 생성 모듈
32: 온수 생성 모듈
34: 살균수 생성 모듈
41,42,43,44,45: 유로 배관
47: 밸브
50: 취수부
51: 취수 코크
52: 취수부 커버
52a: 취수부 커버 연장부
52b: 취수부 커버 상단
52c: 취수부 커버 하단
53: 장공
54: 회동축
55: 모터
55a: 모터 회전축
56: 링크
57: 배수통
57b: 배수 유로
58: 수용통
58a: 전방 측벽
58b: 배수구
59: 수위 센서
60: 회로기판
61a: 기어
61b: 기어
62: 공압(또는 유압) 실린더

Claims (11)

  1. 음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 코크를 포함하는 취수부를 장치의 정면에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는,
    상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 커버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상기 취수 코크가 장착되는 취수부 커버; 및
    상기 취수부 커버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는 위치와,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취수부 커버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를 수용하는 수용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용통은 상방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취수 코크가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취수 코크의 하단보다 높이가 높은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상기 정면 커버 쪽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이 연질의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취수부 커버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상기 취수 코크의 하단이 상기 전방 측벽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의 상기 전방 측벽의 일측 또는 양측은 적어도 상기 취수 코크의 하단이 통과하는 높이만큼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의 상기 전방 측벽의 두께가 다른 측벽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 코크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취수 코크를 세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 장치는 살균수 생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공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이 상기 취수 코크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이 T자형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T자형 배관의 하단이 상기 취수 코크로 연결되며, 상기 T자형 배관의 상단 양측은 성질이 서로 다른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수부 커버에 연결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취수부 커버 또는 상기 회동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취수부 커버를 밀거나 당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 장치는 취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상기 취수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고,
    취수가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취수부 커버의 하단이 음용수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취수 코크가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정면 커버 안쪽에 은폐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1020170122752A 2017-09-22 2017-09-22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10198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52A KR101986220B1 (ko) 2017-09-22 2017-09-22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CN201811033818.8A CN109527992B (zh) 2017-09-22 2018-09-05 带隐现式取水部的饮用水供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52A KR101986220B1 (ko) 2017-09-22 2017-09-22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60A KR20190033960A (ko) 2019-04-01
KR101986220B1 true KR101986220B1 (ko) 2019-06-05

Family

ID=6584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52A KR101986220B1 (ko) 2017-09-22 2017-09-22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6220B1 (ko)
CN (1) CN1095279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383B1 (ko) * 2019-05-07 2021-02-01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20220146894A (ko) 2021-04-26 2022-11-02 코웨이 주식회사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4876B1 (en) * 2001-03-06 2004-11-09 Vortech Latinoamerica Versatile, modular,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system
IL167788A (en) * 2004-04-02 2008-04-13 Tana Ind 1991 Ltd Water sprayer and portable filter and use inside the water sprayer
US7670485B2 (en) * 2005-11-30 2010-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treatment assembly
CN201185851Y (zh) * 2008-04-05 2009-01-28 日本罗伯-博亚有限公司 饮水机
CN102592363A (zh) * 2011-01-07 2012-07-18 李维效 多功能饮料机
KR101308492B1 (ko) * 2011-10-06 2013-09-17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EP2896332B1 (en) * 2014-01-15 2016-08-17 De'Longhi Appliances S.r.l. Device associable with a steam dispensing nozzle of a coffee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 milk-based beverage
CN203970119U (zh) * 2014-07-18 2014-12-03 东联(上海)创意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公园直饮水机
WO2016014584A1 (en) * 2014-07-21 2016-01-28 Abbott Laboratories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modular water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unit
CN204091734U (zh) * 2014-09-25 2015-01-14 江左 一种带多重消毒功能的饮水机
KR101897565B1 (ko) 2015-09-01 2018-09-13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17039347A1 (ko) * 2015-09-01 2017-03-09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987798B1 (ko) * 2015-09-01 2019-06-1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110143704B (zh) * 2015-10-08 2022-04-22 福库好希士株式会社 水处理系统以及杀菌杯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5581656B (zh) * 2015-12-19 2018-07-24 覃鸿飞 一种直饮水机出水口的清洁装置
DE102016100724A1 (de) * 2016-01-18 2017-07-20 Miele & Cie. Kg Getränkeautomat mit automatischer Reinigungsvorrichtung
CN105902170A (zh) * 2016-07-01 2016-08-31 杭州杰富睿科技有限公司 一种直饮水机
KR101884560B1 (ko) * 2017-02-17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7992B (zh) 2021-02-19
KR20190033960A (ko) 2019-04-01
CN109527992A (zh)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758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8621676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986220B1 (ko)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JP5970729B2 (ja) 流体作動アクチュエータ組立体
KR20150126406A (ko) 워터 서버
CN106277443A (zh) 一种全自动净水器
KR20150125713A (ko) 워터 서버
CN105858945B (zh) 杀菌系统
KR20150133823A (ko) 워터 서버
CN211324671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马桶
CN216494869U (zh) 多功能饮水机的水箱组件和多功能饮水机
JP2004250893A (ja) 吐水装置
CN212564468U (zh) 一种水龙头及应用其的净水设备
JP2006131251A (ja) 飲料供給装置
ES2871798T3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agua que incluye un dispositivo de descarga de agua de esterilización
JP2006089112A (ja) 飲料供給装置
KR20070022841A (ko) 엠렛(mret) 활성수를 이용한 정수장치
JP2007260518A (ja) 軟水装置
CN206128221U (zh) 一种电子坐便器
CN114747958B (zh) 一种自动切换排液的食品加工机
CN216997763U (zh) 净水机
CN213387905U (zh) 净水机
CN219429758U (zh) 流动水杀菌装置
CN210532767U (zh) 制冰机
KR101358277B1 (ko) 슬림형 살균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