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894A -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894A
KR20220146894A KR1020210053729A KR20210053729A KR20220146894A KR 20220146894 A KR20220146894 A KR 20220146894A KR 1020210053729 A KR1020210053729 A KR 1020210053729A KR 20210053729 A KR20210053729 A KR 20210053729A KR 20220146894 A KR20220146894 A KR 2022014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water outlet
cover plat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환
박찬정
진성월
박만욱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894A/ko
Publication of KR2022014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수용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덮거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입수유로부재와,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추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입수구가 삽입되는 피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갖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출수유로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NON EXPOSED EXTRACTION MEMBER}
본 발명은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출수구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정수기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은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지나 코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추출부재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출수된다.
여과된 물이 출수되는 추출부재는 통상적으로 정수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추출부재가 외부의 먼지나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노출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오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부재를 통해 추출되는 정수가 추출부재 표면의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추출부재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고 추출 시 추출부재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필터부나 저장탱크 등의 내부유로와 추출부재의 연결을 위하여 플렉서블(flexible) 튜브(유연관 또는 주름관) 등을 사용하므로, 추출부재의 출수구가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할 때 플렉서블 튜브가 추출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이에 따라 추출부재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의 이동 경로를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튜브가 이동할 때 다른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해 추출부재로부터 이탈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추출부재 이동식 정수기의 경우, 추출부재의 단부에 단 하나의 출수구만 형성되어 있어서, 온수의 냉수와 같이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이 동일한 출수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연속 추출하는 경우 나중에 추출되는 물의 온도가 이전에 추출된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물을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추출부재 이동식 정수기의 경우, 추출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품의 전체 부피가 크거나, 추출부재를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의 안정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37301호 (2013.04.16.)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33960호 (2019.04.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37호 (2020.11.17.)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추출부재의 출수구가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할 때 추출부재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플렉서블 튜브가 추출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수의 출수구를 통해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출수구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추출부재의 출수구 이동을 위한 구성품의 전체 부피가 작은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수용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덮거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입수유로부재와,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추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입수구가 삽입되는 피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갖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출수유로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기준축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유로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부재의 유입구는 유연한 재질의 튜브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일측과 타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수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입수구와 제2 입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팅부재는 상기 제1 입수구가 삽입되는 제1 피팅부재와 상기 제2 입수구가 삽입되는 제2 피팅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제1 입수구와 상기 2 입수구가 각각 상기 제1 피팅부재와 상기 제2 피팅부재에 삽입되어 양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유로부재는 제1 유입구를 갖는 제1 유입부와 제2 유입구를 갖는 제2 유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제1 유입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제1 입수구를 갖는 제1 출수부와, 상기 제2 유입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제2 입수구를 갖는 제2 출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제1 유입부와 상기 제1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유입부와 상기 제2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1 입수구와 연결된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입수구와 연결된 제2 출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수용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덮거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입수유로부재와,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추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입수구가 삽입되는 피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갖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일측과 타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상기 츨수유로부재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과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물의 추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추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추출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를 통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제3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를 통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초과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상기 출수구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출수구를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부는 자외선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출수구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출수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출부재의 출수구가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시 추출부재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튜브의 이동을 위한 공간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추출부재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므로 출수구의 이동과정에서 플렉서블 튜브가 추출부재로부터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출부재에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이 유동하도록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고, 복수의 출수구를 통해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연속 추출하는 경우에도 나중에 추출되는 물의 온도가 이전에 추출된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유로와 복수의 출수구를 갖는 경우에도 추출부재의 안정적 회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수유로부재와 유로연결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출수유로부재만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출수구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출수구의 이동을 위한 구성품의 전체 부피가 작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유로부재의 양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출수구 회전 구조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추출부재, 커버 플레이트 및 회전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추출부재, 커버 플레이트 및 회전 구동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출수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하우징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
도 7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추출부재, 커버 플레이트 및 회전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와 출수유로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출수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하우징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
도 15는 도 9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0)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추출부재(ET), 커버 플레이트(120) 및 회전 구동부(17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추출부재(ET), 커버 플레이트(120) 및 회전 구동부(17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출수구(14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하우징(110), 커버 플레이트(120) 및 추출부재(ET)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회전 구동부(170), 조작부(102), 제어부(103), 이동제한부(180), 살균부(104)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구비된 조작부(102), 조작부(102)에 연결된 제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0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조작부(102)에 연결된 제어부(103)는 조작부(102)에 의해 입력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정수기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102)에 의해 정수 추출 과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103)는 필터부(미도시)를 통한 정수 생성을 위하여 유로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 형성된 개구부(112)에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는 개구부(112) 를 덮도록 설치되어 하우징(110)과 함께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는 개구부(112)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추출부재(ET)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정수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추출부재(ET)는 입수유로부재(130), 출수유로부재(140) 및 유로연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130)의 유입구(도 3의 131)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101)에 연결될 수 있고, 필터부로부터 여과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필터부(101)와 입수유로부재(130) 사이에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140)는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도 3의 142)와, 입수구로부터 물이 토출되는 출수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140)는 커버 플레이트(120)에 연결되어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130)와 출수유로부재(140)는 유로연결부재(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고, 입수유로부재(130)는 지지 플레이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입수유로부재(130)는 지지 플레이트(111)를 통해 하우징(1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11)와 입수유로부재(130)는 일 예로서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볼트 이외의 다른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유로연결부재(150)는 출수유로부재(140)의 입수구(도 3의 142)가 삽입되고, 출수유로부재(140)의 일측을 지지하는 피팅부재(F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팅부재(FT)는 출수유로부재(1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피팅부재(FT)는 출수유로부재(140)의 양측을 지지하며, 출수유로부재(140)와 입수유로부재(1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추출부재(ET)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우징(110)의 외부로 비노출되도록 하우징(110)에 구비됨으로써 여과된 물이 토출되는 출수구(141)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토출되는 출수구(141)가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이 토출되는 출수구(141)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커버 플레이트(120)에 의해 개구부(도 1의 112)를 덮도록 함으로써 정수기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수를 공급받도록 조작부(102)를 조작하면 제어부(103)는 조작부(102)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필터부(101)에 연결된 유로를 개방하여 여과된 물이 입수유로부재(130) 및 유로연결부재(150)를 통해 출수유로부재(140)의 출수구(141)로 공급하도록 하거나, 저장탱크(미도시)와 추출부재(ET)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여 저장탱크(미도시)에 미리 수용된 정수가 입수유로부재(130) 및 유로연결부재(150)를 통해 출수유로부재(140)의 출수구(14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작부(102)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03)는 상온의 정수, 냉수, 온수가 출수구(141)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110)의 개구부(도 1의 112)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출수유로부재(140)가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이동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출수유로부재(140)는 입수구(도 3의 142)가 피팅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수구(도 2의 142)가 피팅부재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도 3의 D)으로 하여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수유로부재(140)는 양단이 피팅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출수유로부재(140)의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출수유로부재(140)가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하면 출수유로부재(140)의 출수구(141)는 하우징(110)의 개구부(도 1의 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 및 출수유로부재(140)가 회전 이동할 때 입수유로부재(130)와 유로연결부재(150)는 형상을 유지하면서 하우징(11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입수유로부재(130)는 지지 플레이트(111)에 결합되어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가지며, 입수유로부재(130)에 연결되는 유로연결부재(150)도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유로부재(140)의 회전 시 입수유로부재(130)와 유로연결부재(150)는 고정된 위치 및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출수유로부재(140)만이 피팅부재(FT)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입수유로부재(130)의 유입구(131)에 연결되는 튜브(미도시)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추출부재(ET)의 출수구(141)가 하우징(110)의 내외부로 이동 시 에 유입구(131)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튜브의 이동을 위한 공간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추출부재(ET)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므로 출수유로부재(140)의 이동과정에서 플렉서블 튜브가 입수유로부재(130)로부터 이탈되어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유로부재(140)가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이동에 의해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출수유로부재(140)와 커버 플레이트(120)에는 슬라이딩 안내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안내부재(160)는 출수유로부재(140)와 커버 플레이트(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161)과,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출수유로부재(140)와 커버 플레이트(12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홈(161)은 커버 플레이트(120)에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 돌기(162)는 출수유로부재(140)에 구비되어 가이드 홈(16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61)은 커버 플레이트(120)의 일측 내면에 구비된 제1 가이드 홈(161a) 및 커버 플레이트(120)의 타측 내면에 구비된 제2 가이드 홈(161b)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140)는 제1 가이드 홈(161a)에 대응되는 제1 가이드 돌기(162a) 및 제2 가이드 홈(161b)에 대응되는 제2 가이드 돌기(1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61a)에는 제1 가이드 돌기(162a)가 삽입되고, 제2 가이드 홈(161b)에는 제2 가이드 돌기(162b)가 삽입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이동에 의해 제1,2 가이드 홈(161a,161b) 내에서 제1,2 가이드 돌기(162a,162b)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안내부재(160)에 따르면 링크 등의 추가적 부품 없이도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이동에 의해 출수유로부재(140)를 용이하고도 안정적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출수구(141)의 이동을 위한 구성품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부품 수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안내부재(160)는 출수유로부재(140)의 타측 하단 즉, 출수구(141)의 주변에서 출수유로부재(140)를 지지하게 되므로 출수구(141)의 떨림이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출수유로부재(140)의 일측이 유로연결부재(150)에 의해 지지되고, 출수유로부재(140)의 타측이 슬라이딩 안내부재(160)에 의해 지지되므로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이동시, 출수유로부재(140) 및 출수구(141)의 진동을 방지하면서 이들을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출수유로부재(140)의 안정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출수유로부재(140)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출수유로부재(1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도 2의 110)에 구비되어 커버 플레이트(120)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는 하우징(도 2의 110)에 지지되는 모터커버(174), 모터커버에 수용되고, 제어부(도 2의 103)에 연결된 구동모터(171), 구동모터의 회전축(172)에 감속기(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게 구비되는 회전샤프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의 일측에는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173a)가 구비되고, 회전샤프트의 타측은 커버 플레이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71)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의 회전축(172)과 기준축(D)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130)의 유입구(131)는 제1 유입구(131a)를 갖는 제1 유입부(132a)와 제2 유입구(131b)를 갖는 제2 유입부(13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2 유입부(132a,132b)는 필터부(도 2의 102)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제공된다.
입수유로부재(130)는 유입구(13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출수유로부재(140)로 공급하는 제1 유출구(133a) 및 제2 유출구(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출구(133a) 및 제2 유출구(133b)는 각각 유로연결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130)는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이동 시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입수유로부재(130)는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이동 시나, 비회전 시나 그 형상이나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입수유로부재(130)의 유입구(131)는 유연한 재질의 튜브(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140)의 입수구(142)는 출수유로부재(1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입수구(142a)와 제2 입수구(142b)를 포함하며, 제1 입수구(142a)와 2 입수구(142b)는 각각 피팅부재(FT)에 삽입되어 출수유로부재(140)의 양측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유로부재(140)는 양단이 각각 피팅부재(FT)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안정적인 회전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출수유로부재(140)는 제1 유입부(132a)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제1 입수구(142a)를 갖는 제1 출수부(143a)와, 제2 유입부(132b)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제2 입수구(142b)를 갖는 제2 출수부(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출수부(143a) 및 제2 출수부(143b)는 제1,2 유입부(132a,132b)로부터 유입된 정수된 물을 출수구(141)로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유로연결부재(150)는 피팅부재(FT)를 포함하며, 피팅부재(FT)는 제1 입수구(142a)가 삽입되는 제1 피팅부재(151), 제2 입수구(142b)가 삽입되는 제2 피팅부재(152), 제1 유출구(133a) 및 제1 피팅부재(151)를 연결하는 제3 피팅부재(153) 및 제2 유출구(133b) 및 제2 피팅부재(152)를 연결하는 제4 피팅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유로연결부재(15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입수유로부재(130)의 제1 유입부(132a)와 출수유로부재(140)의 제1 출수부(143a)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55)와, 제2 유입부(132b)와 출수유로부재(140)의 제2 출수부(143b)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55)와 제2 연결부(156)는 각각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연결부재(150)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도 2의 110)의 내부에서 추출부재(도 2의 ET)의 배치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고, 하우징(도 2의 110)의 체적을 줄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02)를 조작함에 의하여 회전샤프트(173)가 회전하고, 커버 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개구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며,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출수구(141)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출수구(141)는 제1 출수구(141a)와 제2 출수구(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수구(141a)는 제1 입수구(도 3의 142a)와 연결되어 정수를 출수하고, 제2 출수구(141b)는 제2 입수구(도 3의 142b)와 연결되어 정수를 출수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서, 제1 출수구(141a)는 상온의 정수와 냉수의 추출을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제2 출수구(141b)는 온수의 추출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수유로부재(130), 유로연결부재(150) 및 출수유로부재(140)에 각각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여, 각각의 유로에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할 수 있고, 복수의 출수구(141a,141b)를 통해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연속 추출하는 경우에도 나중에 추출되는 물의 온도가 이전에 추출된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로와 복수의 출수구(141a,141b)를 갖는 경우에도 출수유로부재(140)의 안정적 회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살균부(104)는 출수구(141)을 위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살균부(104)는 자외선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살균부(104)는 제어부(10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구(141) 및 그 주변의 살균을 통하여 오염되지 않은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살균부(104)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개구부(112)를 덮는 위치에서, 즉 출수구(141)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때 출수구(141)를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치위치나 장착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20)의 하부에는 보조플레이트(113)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플레이트(113)는 노치 형태의 토출부(113a)를 포함할 수 있고, 토출부(113a)가 출수구(141)에 대면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플레이트(113)는 출수구(141)를 외부 오염 물질 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어부(103)는 전술한 회전 구동부(도 의 170)의 구동을 제어하고, 추출부재(도 2의 ET)를 통해 정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재(ET)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개구부(도 1의 112)를 덮는 위치인 제1 위치에서 출수구(141)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있도록 커버 플레이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재(ET)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도 6의 103)는 조작부(102)에 추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커버 플레이트(120)가 제1 위치(도 7)에서 커버 플레이트(120)가 개구부(도 1의 112)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제2 위치(도 8)로 이동하도록 회전 구동부(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6의 103)는 추출이 종료된 경우 커버 플레이트(120)가 제2 위치(도 8)에서 제1 위치(도 7)로 이동하도록 회전 구동부(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도 6의 103)는 제1 위치에서 출수구(141)가 살균되도록 살균부(도 6의 10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6의 103)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제3 위치에 존재하도록 회전 구동부(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3 위치는 제2 위치보다 커버 플레이트(120)가 개구부(도 1의 112)를 덜 개방한 상태이다.
이때, 제어부(도 6의 103)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출수구(141)를 통한 정수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추출부재(ET)를 통한 출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출수구(141)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외측방향에 위치하므로,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출수구(141)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추출된 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큰 경우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 위치에서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각도가 대략 45도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45도 이상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회전 각도의 다양한 변경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 구동부(170)의 구동모터(도 3의 171)는 스텝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2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초과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우징(110)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1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180)가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180)는 제1 위치에서 커버 플레이트(120)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 스토퍼(181) 및 제2 위치에서 회전샤프트(173)의 연장부(173a)와 접촉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제2 스토퍼(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18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20)와 제1 스토퍼(181)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에 연장부(173a)와 접촉할 수 있고, 연장부(173a)와 접촉함으로써 회전샤프트(173)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위치에서는 출수구(141)를 통한 정수의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가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 있는 동안 가이드 돌기(162)는 가이드 홈(161)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가는 동안,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가는 동안, 제3 위치에서 제2 위치로 가는 동안 가이드 돌기(162)는 가이드 홈(161)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62)의 슬라이딩 운동은 위에서 말한 순서의 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210)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추출부재(ET), 커버 플레이트(220) 및 회전 구동부(25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220)와 출수유로부재(240)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출수구(14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일부분에 대한 내측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9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을 관통하는 개구부(212)를 덮거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220) 및 추출부재(E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회전 구동부(250),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202), 제어부(203), 이동제한부(280), 살균부(204)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식 추출부재(ET)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정수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추출부재(ET)의 형상 및 그 작동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201)가 구비되고, 정수의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추출부재(ET)가 구비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230)는 필터부(201)에 유연한 재질의 튜브로 연결되며, 필터부(201)에 의해 여과된 물은 입수유로부재(230)로 유입되게 제공될 수 있다.
추출부재(ET)는 입수유로부재(230), 출수유로부재(240) 및 유로연결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230)는 유로연결부재(260)에 의해 출수유로부재(240)에 연결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240)는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구(도 11의 241)를 구비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240)는 커버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240)는 회전 구동부(250)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250)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2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260)는 출수유로부재(240)와 입수유로부재(230)를 연결하는 피팅부재(FT)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부재(FT)에는 출수유로부재(240)의 입수구(도 11의 242)가 삽입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250)는 제어부(203)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203)는 조작부(202)의 조작 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부(250)의 회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250)는 출수유로부재(240)에 연결되고, 출수유로부재(240)는 회전 구동부(2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220)는 출수유로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21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230)와 피팅부재(FT)는 커버 플레이트(220)의 회전 이동 시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하우징(21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240)는 입수구(도 11의 242)가 유로연결부재(260)를 구성하는 피팅부재(FT)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수구(도 11의 242)가 피팅부재(FT)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D)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출수유로부재(240)를 기준축(D) 방향으로 피팅부재(FT)에 삽입하면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출수유로부재(240)의 일측은 회전 구동부(250)에 의해 지지되고, 출수유로부재(240)의 타측은 유로연결부재(260), 즉 피팅부재(FT)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출수유로부재(240)는 회전 구동부(250)와 피팅부재(FT)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출수유로부재(240)의 회전이 진동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출수유로부재(24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출수유로부재(240)의 회전을 위한 부품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입수유로부재(230)의 유입구(231)는 피팅부재(FT)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 유입구(231a) 및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유입구(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유입구(231a,231b)는 유연한 재질의 튜브(미도시)에 의해 필터부(201)에 연결될 수 있고, 필터부(201)에 의해 여과된 물이 제1,2 유입구(231a,231b)를 통해 입수유로부재(2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유로부재(240)의 회전 시 입수유로부재(230)와 유로연결부재(260)는 고정된 위치 및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출수유로부재(240)만이 피팅부재(FT)와 회전 구동부(25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입수유로부재(230)의 유입구(231)에 연결되는 튜브(미도시)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추출부재(ET)의 출수구(141)가 하우징(210)의 내외부로 이동 시 에 유입구(231)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튜브의 이동을 위한 공간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추출부재(ET)에 연결된 플렉서블 튜브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므로 출수유로부재(240)의 이동과정에서 플렉서블 튜브가 입수유로부재(230)로부터 이탈되어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250)는 모터커버(254), 모터커버에 수용되는 구동모터(251), 구동모터의 회전축(252)에 감속기(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회전샤프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253)는 출수유로부재(24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251)의 회전 구동에 의해 출수유로부재(240)가 회전할 수 있다.
출수유로부재(240)의 일측에 배치된 입수구(242)는 피팅부재(FT)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출수유로부재(240)에 구비된 출수구(241)는 입수구(24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커버 플레이트(220)에 수용된 상태로 정수를 토출한다.
출수구(241)에는 살균부(204)가 연결되고, 살균부(204)는 제어부(203)에 연결되어 제어부(20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살균부(204)는 자외선 살균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유로부재(240)는 커버 플레이트(220)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243)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브라켓(243)에는 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고, 볼트의 단부는 커버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회전샤프트(253)가 관통되는 관통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253)는 커버 플레이트(220)의 관통구멍(221)에 삽입되어 출수유로부재(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샤프트(253)의 회전에 따라 회전샤프트(253)에 연결된 출수유로부재(240) 및 출수유로부재(240)에 연결된 커버 플레이트(22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3에는 사용자가 조작부(202)를 통해 정수를 추출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20)는 회전하여 개구부(212)를 개방한 상태로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이동제한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280)는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커버 플레이트(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8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20)가 스토퍼(281)와 접촉한 상태에서 커버 플레이트(220)는 하우징(21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220)와 스토퍼(281)가 접촉한 상태에서 출수유로부재(24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존재한다.
이처럼 커버 플레이트(220)가 하우징의 개구부(212)를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는 제1 위치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출수구(241)가 하우징(210)의 내부에 존재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20)가 스토퍼(281)와 접촉 해제된 상태에서 출수유로부재(240)가 하우징(210)의 바깥 방향으로 회전 이동을 완료하면 출수구(241)가 하우징(210)의 외부에 존재하게 되고, 이는 제2 위치가 된다. 제2 위치에서는 출수구(241)를 통한 정수의 토출이 진행될 수 있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는 제3 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제3 위치는 커버 플레이트(220)가 개구부(212)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한 상태가 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커버 플레이트(220)는 제3 위치에서보다 개구부(212)를 더 많이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는 커버 플레이트(220)가 제1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일 수 있고, 제3 위치는 커버 플레이트(220)가 제1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90도보다 작은 각도만큼(일 예로서, 45도)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도 11의 203)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출수구(도 11의 241)를 통한 정수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추출부재(도 10의 ET)를 통한 출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10, 210 : 하우징 101, 201 : 필터부
102, 202 : 조작부 103, 203 : 제어부
104, 204 : 살균부 112, 212 : 개구부
120, 220 : 커버 플레이트 130, 230 : 입수유로부재
131, 231 : 유입구 133 : 유출구
140, 240 : 출수유로부재 141, 241 : 출수구
142, 242 : 입수구 150, 260 : 유로연결부재
160 : 슬라이딩 안내부재 161 : 가이드 홈
162 : 가이드 돌기 170, 250 : 회전 구동부
180, 280 : 이동제한부 ET : 추출부재
FT : 피팅부재

Claims (20)

  1.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수용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덮거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입수유로부재와,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추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입수구가 삽입되는 피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갖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출수유로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기준축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유로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유로부재의 유입구는 유연한 재질의 튜브와 연결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일측과 타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입수구와 제2 입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팅부재는 상기 제1 입수구가 삽입되는 제1 피팅부재와 상기 제2 입수구가 삽입되는 제2 피팅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제1 입수구와 상기 2 입수구가 각각 상기 제1 피팅부재와 상기 제2 피팅부재에 삽입되어 양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유로부재는 제1 유입구를 갖는 제1 유입부와 제2 유입구를 갖는 제2 유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제1 유입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제1 입수구를 갖는 제1 출수부와, 상기 제2 유입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제2 입수구를 갖는 제2 출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제1 유입부와 상기 제1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유입부와 상기 제2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1 입수구와 연결된 제1 출수구와, 상기 제2 입수구와 연결된 제2 출수구를 구비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갖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3.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수용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덮거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입수유로부재와,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유로부재와,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추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출수유로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의 입수구가 삽입되는 피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유로부재와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 시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갖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된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일측과 타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츨수유로부재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구동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출수유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로부재를 회전시키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부재는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피팅부재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6. 제3항 내지 제5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과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물의 추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추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추출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를 통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출수를 제어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제3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를 통한 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추출부재를 통한 출수를 제어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초과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를 살균하는 살균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출수구를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자외선 살균유닛을 포함하는,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0210053729A 2021-04-26 2021-04-26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20146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29A KR20220146894A (ko) 2021-04-26 2021-04-26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29A KR20220146894A (ko) 2021-04-26 2021-04-26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94A true KR20220146894A (ko) 2022-11-02

Family

ID=8404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29A KR20220146894A (ko) 2021-04-26 2021-04-26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89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301A (ko) 2011-10-06 2013-04-16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KR20190033960A (ko) 2017-09-22 2019-04-0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20200128837A (ko)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301A (ko) 2011-10-06 2013-04-16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KR20190033960A (ko) 2017-09-22 2019-04-0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20200128837A (ko)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3142C (zh) 流控筒
TW510813B (en) Water purifier
EP2433693A1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easily replaced using a connector, and a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80079937A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US20130068979A1 (en) Switching apparatus for a fluid flow
KR20220146894A (ko)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US20230027542A1 (en) Water providing station
KR20200128302A (ko)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의 제거율 조절이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
CN211231648U (zh) 龙头式净水器及用于龙头式净水器的控制阀
US20230278890A1 (en) Water purifier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12439236B (zh) 前置过滤组件、前置过滤器和净水系统
CN210751529U (zh) 前置过滤组件、前置过滤器和净水系统
JP4800818B2 (ja) シリンダ式弁装置
KR102210383B1 (ko)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10190312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46621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379211B1 (ko) 역세척 스트레이너
CN108430910B (zh) 排水装置
KR20240016865A (ko)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WO2019228399A1 (zh) 水处理机及其外壳
ATE338904T1 (de) Selbstschliessendes ventil
CA2600077C (en) Improvements to diaphragm pressure balancing valves
JP2024532080A (ja) フィルタ装置
KR20230175026A (ko) 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