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211B1 - 역세척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역세척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211B1
KR102379211B1 KR1020200085104A KR20200085104A KR102379211B1 KR 102379211 B1 KR102379211 B1 KR 102379211B1 KR 1020200085104 A KR1020200085104 A KR 1020200085104A KR 20200085104 A KR20200085104 A KR 20200085104A KR 102379211 B1 KR102379211 B1 KR 10237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coupled
outlet pipe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213A (ko
Inventor
송인명
이상란
강민정
김경욱
황성택
백승남
정영석
권병도
김미현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코리아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코리아,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8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2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중공의 수용부를 갖고,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입 및 유출하기 위한 유입관, 유출관 및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중심축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상에 상기 유체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필터부 및 상기 중심축바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 및 상기 배출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키는 전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관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관으로 배출되도록하고, 상기 전환판이 회전하여 상기 유출관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의 필터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전환판이 상기 중심축바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역세척 스트레이너{Strainer of back wash}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역세척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혹은 유류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관을 이용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는 그 자체적으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거나,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녹 등의 오물 또는 용접 시 발생된 슬러지와 함께 모래, 스케일, 금속 쓰레기 등이 존재하게 되어 배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들로 인한 배관의 막힘 현상은 특히, 유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이송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밸브 및 기타 조절 밸브 등을 고장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배관, 펌프, 각종 밸브 등을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주거생활에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여 생활에 불편함을 준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로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게 되면, 스트레이너의 후단에 있는 각종설비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트레이너에 걸러져서 누적되는 이물질들은 정기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관로에 설치되는 특성상 내부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KR 0337362 Y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동중에 효과적으로 필터기능을 함과 동시에, 동일한 유동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별도 장치나 공정 없이 필터를 역방향으로 세척할 수 있는 역세척 스트레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중공의 수용부를 갖고,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입 및 유출하기 위한 유입관, 유출관 및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중심축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상에 상기 유체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필터부 및 상기 중심축바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 및 상기 배출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키는 전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관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관으로 배출되도록하고, 상기 전환판이 회전하여 상기 유출관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의 필터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전환판이 상기 중심축바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연결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축바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어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면 연결홀 외측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된 단차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단차홈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조절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바가 관통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조절부가 상하부 탄성운동 하되,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축방향 이동거리만큼 이격된 스토퍼 및 상기 압축스프링 내부에 결합되어 연장된 상기 중심축바 일단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 중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심축부, 상기 중심축바의 일측방향의 제1 필터와, 타측방향의 상기 제1 필터에 연장되도록 상기 제1 필터에 일체로 결합된 제2 필터 및 상기 중심축바의 일측 방사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전환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상기 제2 필터 및 상기 전환판은 상기 중심축바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 중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심축부, 상기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일측방사방향의 제1 필터와 타측방사방향 제2 필터 및 상기 중심축부의 일측 방사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전환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상기 제2 필터 및 상기 전환판은 상기 중심축바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 중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심축부, 상기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되도록 일측방사방향의 제1 필터와 타측방사방향 제2 필터 및 상기 중심축부의 방사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전환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상기 제2 필터 및 상기 전환판은 상기 중심축바에 결합되되, 각각 별개로 회전구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 상면에 돌출된 스토퍼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판이 상기 배출관을 폐쇄하고,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중심축부가 회전한 후,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케이스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스토퍼홈에 결합되고, 상기 전환판이 상기 유출관을 폐쇄하고 상기 필터부의 필터가 상기 필터 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중심축부가 회전한 후,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케이스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스토퍼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가 상기 중심축바를 축방향 하부로 가압될 때, 상기 스토퍼블록과 상기 제1 스토퍼홈 또는 상기 제2 스토퍼홈은 축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상기 중심축바가 회전하고, 상기 필터의 스토퍼블록이 상기 케이스 내주면 제1 스토퍼홈 또는 상기 제2 스토퍼홈의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된 후, 상기 조절부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스토퍼블록이 상기 제1 스토퍼홈 또는 상기 제2 스토퍼험에 축방향 결합하여 상기 필터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축방항 하단에 하부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중심축바를 가압하거나 가압력을 해제할 때, 상기 필터부가 일체로 상하부 탄성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 하면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결합면에 형성된 탄성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의의 유체의 필터링을 함과 동시에 필터세척을 유체의 유동압력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체유동의 흐름에 의한 압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필터의 역방향 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 유동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시킴으로서, 유체유동중에 필터의 세척 및 필터의 재배치가 가능함으로서 유체 유동에 의한 압력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배관내의 유체유동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제1 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평면도
도 3c는 도 3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제2 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제3 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동시 필터가 작동하는 부분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작동에 대한 작동 모식도
도 6c는 도 6a의 작동에 대한 변형된 작동 모식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동시 필터가 작동하는 부분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작동에 대한 작동 모식도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중공의 수용부를 갖고,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입 및 유출하기 위한 유입관(13),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 중심축바(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상에 상기 유체가 필터(22)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필터부(20) 및 상기 중심축바(21)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14) 및 상기 배출관(15)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키는 전환판(24);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판(24)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관(15)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20)의 상기 필터(22)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22) 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관(14)으로 배출되도록하고, 상기 전환판(24)이 회전하여 상기 유출관(14)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20)의 필터(22)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22) 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15)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부(20) 및 상기 전환판(24)이 상기 중심축바(2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케이스(10), 케이스(10)에 수용된 필터부(20) 및 필터부(20)를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해 케이스(10) 상단에 결합된 조절부(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중공의 수용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입관(13),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이 형성된다.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 사이나 배관과 배관의 연결부에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유동방향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2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필터링 함과 동시에,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필터(22)의 역방향으로 세척을 할 수 있다.
케이스(10)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입관(13),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은 그 명명한 명칭에 불구하고 외부 유체의 유입이나 유출 또는 배출에 모두 혼용가능한 구성이며, 예시적인 명칭으로 각 구성을 명명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10)의 유입관(13)으로 외부 배관이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고, 유출관(14)으로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10) 내부에 결합된 필터부(20)를 통해 유체는 이물질이 한단계 걸러진 상태로 유출관(14)으로 흘러가게 된다. 배출관(15)은 필터부(20)의 내부 필터(22)를 세척하는 경우 세척과정에서 필터(22)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별도의 경로로 외부 배출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은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각 유출 또는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필터(22)로 정화시켜 흐르는 방향은 최대한 유속의 흐름의 저항을 최소화 하도록 일직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배관의 배치나 흐름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절곡되거나 소정각도 절곡된 부분에 스트레이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해당 배관을 통한 유체 흐름의 방향에 맞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유입관(13),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터(22) 세척시에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15)이 필터(22)의 역방향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관(15)을 통해 배출하기 위해, 필터(22)의 후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작동이나 배치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필터부(20)는 케이스(10) 내부 중심축상에 배치된 중심축바(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상에 필터(22)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필터부(20)는 필터(22)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세정 및 필터링 하고, 필터(22)의 세척시에는 유입되는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기 위해 필터(22)의 후면이 유체의 유압에 대향하도록 필터부(20)를 회전하여 필터방향을 바꿀 수 있다.
필터부(20)는 케이스(10) 중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심축바(21), 중심축부의 일측방향의 제1 필터(221)와 타측방향의 제2 필터(22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축바(21)의 일측 방향에 결합되어 유출관(14) 또는 배출관(15)을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필터(22)의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환판(24)을 포함한다.
제1 필터(221), 제2 필터(222) 및 전환판(24)은 모두 중심축바(21)에 결합되어 일체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가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 하기 위해 필터(22) 전면이 유체를 향하고 있을 때, 전환판(24)은 배출관(15)을 폐쇄함으로써 유체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 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를 세척하기 위해 필터(22) 후면을 유체 유입방향에 대향하도록 회전시킬 때, 동일한 회전에 의해 전환판(24)은 유출관(14)을 폐쇄함으로써 세척에 의한 이물질이 배출관(15)으로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작용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필터(221), 제2 필터(222) 및 전환판(24)은 중심축바(21)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호 회전구동하는 경우의 각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각각읠 중심축바(21)에 결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필터(221) 및 제2 필터(222)와 전환판(24)은 각각의 별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전환판(24)으로 유출관(14)을 먼저 폐쇄환 후,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의 후면을 유체 유입방향에 대향하게 배치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필터(22)의 역방향 세척시의 이물질이 유출관(14)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시간차를 두어 작동시킬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는 중심축바(21)를 기준으로 동일선상 또는 소정각도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필터(22) 세척시에 이물질이 배출관(15)으로 배출되기 위해서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가 중심축바(21)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를 갖도록 하여 배출관(15)으로의 이물질 배출을 원활하게 하도록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유입관(13),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필터(22)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한 유압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부(30)는 필터부(20)의 회전작동을 조절하기 위해 필터부(20)의 중심축바(21)를 케이스(10) 상면의 연결홀(11)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연장하여 일단을 축결합부(32)에 결합하여 조절부(30)와 함게 일체로 필터부(20)의 중심축바(21)가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는 케이스(10) 상면에 배치되고, 필터부(20) 중심축바(21)가 결합되되, 상하부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한 압축스프링(34)이 케이스(10) 상면의 단차홈(12)에 지지되어 중심축바(21)를 내측에 수용 결합되도록 한다. 조절부(30)의 축방향 하부로의 가압시의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케이스(10)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축방향 상하부의 소정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스토퍼(33)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절부(30)를 통해 축방향 하부로 가압할 때, 소정거리만큼만 가압된 상태에서 중심축바(21)를 회전시켜 필터부(20)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에 배치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회전한 후, 가압력을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압축스프링(34)에 의해 조절부(30)가 축방향 상부의 최초 지점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에 대한 케이스(10) 내부에서의 구체적인 작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제1 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평면도, 도 3c는 도 3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제2 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제3 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주요 작동 모습을 도시한 일부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유입관(13)과 유출관(14)이 오픈된 상태로, 필터(22)에 의해 유입관(13)으로 유입된 유체가 필터(22)를 거쳐 유출관(14)으로 흘러가는 상태의 역세척 스트레이너의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단의 내측면의 제1 스토퍼홈(16)과 필터부(20)의 스토퍼블록(23)이 상하부로 결합된 상태, 조절부(30)의 압축스프링(34)에 의해 조절부(30)가 중심축바(21)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제1 스토퍼홈(16)과 스토퍼블록(23)이 상하부 결합력을 유지한 채 고정된다. 도 3b와 같이, 유입관(13)으로 유입된 유체는 유출관(14)으로 필터(22)를 통과하여 유동하게 되며, 이 때, 전환판(24)은 배출관(15)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의 압축스프링(34)이 케이스(10) 상단면의 단차홈(12)에 결합되어 중심축바(21)와 결합된 조절부(30)와 함께 상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하고 있어, 케이스(10) 상단 내측면의 제1 스토퍼홈(16)과 필터부(20)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블록(23)이 결합력을 유지한채 필터(22)전면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하도록 필터부(20)가 고정된다.
다음, 필터(22)전면으로 유체가 일정시간 유동한 후, 필터(22)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필터(22)를 회전시켜, 필터(22) 반대면인 후면으로 유체를 유동시킴으로써,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 필터(22)를 세척하게 된다. 이 때, 필터(22)의 전면방향을 후면방향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전환판(24)을 유출관(14)으로 배치시키기 위해, 조절부(30)를 통해 필터부(20) 및 전환판(24)을 회전시킨다.
앞서 설면한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단의 내측면의 제1 스토퍼홈(16)에 결합된 필터부(20)의 스토퍼블록(23)을 이격시켜 고정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조절부(30)를 회전시켜, 필터부(20)의 스토퍼블록(23)이 케이스(10) 상단 내측면의 제2 스토퍼홈(17)에 상하부방향으로 대응시켜 재차 조절부(30)의 압축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결합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를 압축스프링(34)에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축방향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면, 중심축바(21)에 결합된 필터부(20)의 가이드프레임(25)이 케이스(10) 내주면에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되면서 축방향 하부로의 이동방향을 가이드 한다. 이 때, 케이스(10) 상단 내측면의 제1 스토퍼홈(16)과 필터부(20)의 스토퍼블록(23)이 이격되어, 제1 스토퍼홈(16)과 스토퍼블록(23)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필터부(20)가 축방향 상하부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하부케이스(18)는 필터부(20)의 하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됨으로써 필터부(20)의 축방향 상하부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8)의 내측면에 탄성체(19)와 필터부(20)의 하면을 결합함으로써, 케이스(10) 내부공간에서 중심축바(21)를 포함한 필터부(20)가 상하부로 탄성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19)는 일예로 도 2에 도시되었지만,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필터부(20)가 케이스(10) 내부공간에서 축방향 상하부로 소정거리로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탄성지지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스토퍼블록(23)이 제1 스토퍼홈(16)에서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필터부(20)의 스토퍼블록(23)을 케이스(10) 상단 내측면의 제2 스토퍼홈(17)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시킨다. 케이스(10) 상단 내측면의 제2 스토퍼홈(17)에 필터부(20)의 스토퍼블록(23)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환판(24)은 유출관(14)을 폐쇄하고, 필터(22)의 후면으로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하도록 필터(22)가 배치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단 내측면의 제2 스토퍼홈(17)과 필터부(20) 상단의 스토퍼블록(23)이 축방향 상하부로 고정결합되어, 중심축바(2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단면에 결합된 압축스프링(34)을 통해 중심축바(21)가 결합된 조절부(30)가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제2 스토퍼홈(17)에 스토퍼블록(23)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동시 필터(22)가 작동하는 부분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작동에 대한 작동 모식도, 도 6c는 도 6a의 작동에 대한 변형된 작동 모식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동시 필터(22)가 작동하는 부분의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작동에 대한 작동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상술한 도 5a의 상태에서의 유입관(13)과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을 흐르는 유체와 필터(22)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유출관(14)으로 유동하도록 전환판(24)은 배출관(15)을 폐쇄한다. 그리고, 유입관(13)과 유출관(14)으로 흐르는 유체는 필터(22) 전면을 통해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링 될 수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필터(22)의 전면으로 통과하여 유출관(14)으로 배출되면서, 이물질은 필터(22)의 전면부에서 걸러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가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대해 대향하여 중심축바(2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소정각도(θ)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1 필터(221) 및 제2 필터(222)와 케이스(10) 내주면의 접촉면상에서의 접촉력을 유체에 대향하여 보다 강화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된 유체에 의한 필터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필터(22)전면방향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체를 필터링함으로써 유입관(13)으로부터 유동되는 유체를 필터링 하여 유출관(14)으로 배출한 후, 필터(22)의 전면상에 이물질이 다량 부착되는 경우에는 필터(22)가 막히거나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과도하게 방해하여 유체의 유동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필터(22)의 적절한 세척이 필요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특별히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거나, 별도의 우회관을 설치하여 필터(22)를 세척하지 않고,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필터(22)를 세척한 후, 다시 원래의 유체 유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와 전환판(2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22)의 후면으로 유입관(13)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과 통과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전환판(24)은 유출관(14)을 폐쇄하여 필터(22) 후면을 통과한 유체가 배출관(15)으로 배출되도록 유체 유동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2)의 후면을 통과하여 필터(22)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관(15)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필터(22)의 위치는 적어도 배출관(15)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필터(22)후면으로 유체가 통과하면서 가해지는 유압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관(15)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제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중심축바(21)에 결합된 필터(22)의 제1 필터(221) 및 제2 필터(222)는 소정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필터(22)가 전면과 후면의 유체의 통과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유출관(14)과 배출관(15)으로 효과적인 유체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제1 필터(221) 및 제2 필터(222)의 소정각도와 유입관(13), 유출관(14) 및 배출관(15)의 배치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적용되는 환경과 필터(22)의 배치에 따른 적절한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필터(221)와 제2 필터(222)의 경우에는 필터(22)의 전면과 후면방향에서 통과하는 유체의 유압을 최대로 하기 위해 유체의 통과방향과 필터(22)의 통과면을 가능한 수직에 가깝도록 배치하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스트레이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케이스 11: 연결홀
12: 단차홈 13: 유입관
14: 유출관 15: 배출관
16: 제1 스토퍼홈 17: 제2 스토퍼홈
18: 하부케이스 19: 탄성체
20: 필터부 21: 중심축바
22: 필터 221: 제1 필터
222: 제2 필터 23: 스토퍼블록
24: 전환판
30: 조절부 31: 방향키
32: 축결합부 33: 스토퍼
34: 압축스프링

Claims (9)

  1. 중공의 수용부를 갖고,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입 및 유출하기 위한 유입관, 유출관 및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중심축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상에 상기 유체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필터부; 및
    상기 중심축바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 및 상기 배출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상기 외부 유체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키는 전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관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전환판이 회전하여 상기 유출관을 폐쇄할 때 상기 필터부의 필터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전환판이 상기 중심축바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연결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축바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어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 상면 연결홀 외측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된 단차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단차홈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조절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바가 관통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조절부가 상하부 탄성운동 하되,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축방향 이동거리만큼 이격된 스토퍼 및 상기 압축스프링 내부에 결합되어 연장된 상기 중심축바 일단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 상면에 돌출된 스토퍼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판이 상기 배출관을 폐쇄하고, 상기 필터부의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중심축부가 회전한 후,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케이스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스토퍼홈에 결합되고,
    상기 전환판이 상기 유출관을 폐쇄하고 상기 필터부의 필터가 상기 필터 후면으로 상기 외부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중심축부가 회전한 후,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케이스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스토퍼홈에 결합되되,
    상기 조절부가 상기 중심축바를 축방향 하부로 가압될 때, 상기 스토퍼블록과 상기 제1 스토퍼홈 또는 상기 제2 스토퍼홈은 축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상기 중심축바가 회전하고,
    상기 필터의 스토퍼블록이 상기 케이스 내주면 제1 스토퍼홈 또는 상기 제2 스토퍼홈의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된 후, 상기 조절부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스토퍼블록이 상기 제1 스토퍼홈 또는 상기 제2 스토퍼험에 축방향 결합하여 상기 필터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역세척 스트레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축방항 하단에 하부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중심축바를 가압하거나 가압력을 해제할 때, 상기 필터부가 일체로 상하부 탄성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 하면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결합면에 형성된 탄성체와 결합되는 역세척 스트레이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85104A 2020-07-10 2020-07-10 역세척 스트레이너 KR10237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04A KR102379211B1 (ko) 2020-07-10 2020-07-10 역세척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04A KR102379211B1 (ko) 2020-07-10 2020-07-10 역세척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13A KR20220007213A (ko) 2022-01-18
KR102379211B1 true KR102379211B1 (ko) 2022-03-28

Family

ID=8005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04A KR102379211B1 (ko) 2020-07-10 2020-07-10 역세척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2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295B1 (ko) * 2013-09-10 2015-01-05 황인주 가스밸브 안전장치
JP2016001018A (ja) * 2014-06-11 2016-01-07 中国電力株式会社 ストレーナ付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362B1 (ko) 1999-12-30 2002-05-22 이계안 차량용 디젤 엔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295B1 (ko) * 2013-09-10 2015-01-05 황인주 가스밸브 안전장치
JP2016001018A (ja) * 2014-06-11 2016-01-07 中国電力株式会社 ストレーナ付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13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6297B2 (ja) フィルタ装置
CN109789347B (zh) 具有用于防止旁路水用于反洗的旁路水控制的框架型盘式过滤器
JP5189549B2 (ja)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JP5967816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当該フィルタエレメントを備えた逆洗型ろ過装置
JP2012157799A (ja) 逆流洗浄ストレーナー
US4564451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swimming pool strainer
KR102379211B1 (ko) 역세척 스트레이너
KR100949076B1 (ko) 여과수단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JP7057736B2 (ja) 逆止弁
JP2022132669A (ja) ろ過装置
KR200346473Y1 (ko) 역세척 가능한 정수장치
JPH05138164A (ja) 浄水器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46621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590945B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RU2224577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шепелёва
KR102590939B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버터플라이밸브
JP6183933B2 (ja) オートストレーナ
KR200191877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943206B1 (ko) 역류방지 장치를 형성한 엘보형 스트레나 체크 밸브
US20170072346A1 (en) Back-flushable filtered valve
KR101106580B1 (ko) 유로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