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45B1 -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45B1
KR102590945B1 KR1020230080908A KR20230080908A KR102590945B1 KR 102590945 B1 KR102590945 B1 KR 102590945B1 KR 1020230080908 A KR1020230080908 A KR 1020230080908A KR 20230080908 A KR20230080908 A KR 20230080908A KR 102590945 B1 KR102590945 B1 KR 10259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check valve
valve body
pipe
collec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식
오병훈
최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정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to KR102023008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는 밸브본체(A0)의 전후방 관로(A1,A2) 중 전방 관로(A1)를 디스크(A3)로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밸브본체(A0) 전후방 관로(A1,A2)의 중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수집공간(10); 상기 수집공간(10)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전후방의 관로(A1,A2) 사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스트레이너(20); 상기 스트레이너(20)는 밸브본체(A0)의 디스크(A3)가 개방될 때 전방 관로(A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스트레이너(20)에 여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Check valve with strainer}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밸브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밸브로서, 일반적으로 펌프의 후방 관로에 설치되어 펌프로부터 유체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되 펌프의 작동이 멈췄을 때 후방 관로로부터 펌프 측으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정수장으로 유출입되는 물에는 관로, 수집조 등에서 물을 이송 및 저장하는 동안 각종 녹이나 모래 등과 같은 고형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고형물들이 각종 밸브나 펌프에 달라붙어 수명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식수나 생활용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체크밸브는 여과기능이 없이 역류만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수장으로 유출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체크밸브"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공개번호: 1025300870000, 1025020760000, 1025421180000, 1025392720000.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체크밸브에 스트레이너를 부가하여 관로를 따라 이송하는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려는 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밸브본체의 전후방 관로 중 전방 관로를 디스크로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밸브본체 전후방 관로의 중간에 하방으로 함몰된 수집공간을 형성하고, 그 수집공간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전후방의 관로를 가로막는 스트레이너를 구성하여서, 디스크가 개방될 때 전방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스트레이너에 여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체크밸브의 작동시 작동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을 스트레이너를 통해 여과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정수장으로 유출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에 의한 밸브나 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식수나 생활용수를 청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본체(A0)의 전후방 관로(A1,A2) 중 전방 관로(A1)를 디스크(A3)로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밸브본체(A0) 전후방 관로(A1,A2)의 중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수집공간(10); 상기 수집공간(10)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전후방의 관로(A1,A2) 사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스트레이너(20); 상기 스트레이너(20)는 밸브본체(A0)의 디스크(A3)가 개방될 때 전방 관로(A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스트레이너(20)에 여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체크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관로가 연결되는 밸브본체(A0); 그 밸브본체(A0)의 전방 관로(A1) 상부 힌지축(A30)으로부터 스윙하여 전방 관로(A1)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디스크(A3); 그 밸브본체(A0)의 상단으로부터 디스크(A3)를 장착되도록 한 후 상단을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망체 또는 타공으로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 밸브본체(A0)의 전방 관로(A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공(21); 상부에 후방에 밸브본체(A0)의 전후방 관로(A1,A2)의 중간을 가로막도록 결합되는 시트판(30); 그 시트판(30)에 중앙에 후방 관로(A2)와 연통되면서 디스크(A3)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유출공(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공간(10)의 하방에 스트레이너(20)를 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수집공간(10)을 덮는 마개(11); 그 마개(11)의 하방으로부터 스트레이너(20)를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구(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디스크(A3)가 스트레이너(20)의 시트판(30)을 막은 상태로 되어 밸브본체(A0)의 전방으로부터 유체가 후방으로 이송될 때에는 수압에 의해 디스크(A3)가 개방되어 후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되, 유체가 역류할 때에는 디스크(A3)가 시트판(30)을 폐쇄하게 되어 역류를 방지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밸브본체(A0)의 전방으로부터 유체가 후방으로 이송될 때 전방 관로(A1)의 유체가 스트레이너(20)의 유입공(21)을 통해 스트레이너(20) 내부를 거쳐 시트판(30)의 유출공(31)을 통해 후방 관로(A2)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은 중량에 의해 스트레이너(20)의 하부로 낙하하여 수집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스트레이너(20)에 수집된 고형물은 주기적으로 마개(11)를 개방하여 스트레이너(20)를 교체하거나 청소함으로써 제거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발명의 효과에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의 작동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으므로 정수장으로 유출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에 의한 밸브나 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식수나 생활용수를 청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유출공(31) 내측면에 설치되는 여과망(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여과망(40)을 스트레이너(20)의 망체 또는 타공의 간극보다 작게 하여 시트판(30)의 유출공(31)을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 중 비중이 가볍거나 부피가 작은 고형물까지 정밀하게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이너(20)의 하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공(22); 상기 마개(11)의 중간 하부에 스트레이너(20) 내부에 수집된 고형물을 개방공(22)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관(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주기적으로 배출관(12)을 개방하여 스트레이너(20) 내부에 수집된 고형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마개(11)를 분해하여 스트레이너(20)를 직접 꺼내서 청소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의 후방 관로(A2) 후단에 설치되어 체크밸브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압밸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밸브(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밸브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며, 연결공간이 좁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유로의 개폐가 신속한 버터플라이밸브가 적합하고, 볼밸브, 제수밸브 등 타 밸브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체크밸브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압시켜 느려지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시트판(30)에 여과망(40)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스트레이너(20)에 비중에 낮은 고형물까지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밸브본체(A0)의 전후방 관로(A1,A2) 중 전방 관로(A1)를 디스크(A3)로 폐쇄하도록 설치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밸브본체(A0) 전후방 관로(A1,A2)의 중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수집공간(10);
    상기 수집공간(10)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전후방의 관로(A1,A2) 사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스트레이너(20);
    상기 스트레이너(20)는 밸브본체(A0)의 디스크(A3)가 개방될 때 전방 관로(A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스트레이너(20)에 여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이너(20)는 전체적으로 망체 또는 타공으로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 밸브본체(A0)의 전방 관로(A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공(21); 상부에 후방에 밸브본체(A0)의 전후방 관로(A1,A2)의 중간을 가로막도록 결합되는 시트판(30); 그 시트판(30)에 중앙에 후방 관로(A2)와 연통되면서 디스크(A3)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유출공(31);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유출공(31) 내측면에 설치되는 여과망(40);
    상기 수집공간(10)의 하방에 스트레이너(20)를 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수집공간(10)을 막는 마개(11); 상기 스트레이너(20)의 하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공(22); 상기 마개(11)의 중간 하부에 스트레이너(20) 내부에 수집된 고형물을 개방공(22)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관(12);
    상기 체크밸브의 후방 관로(A2) 후단에 설치되어 체크밸브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압밸브(5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2. 삭제
KR1020230080908A 2023-06-23 2023-06-23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KR10259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908A KR102590945B1 (ko) 2023-06-23 2023-06-23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908A KR102590945B1 (ko) 2023-06-23 2023-06-23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945B1 true KR102590945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908A KR102590945B1 (ko) 2023-06-23 2023-06-23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9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484U (ko) * 1990-07-31 1992-04-03
KR200179235Y1 (ko) * 1999-11-29 2000-04-15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버터플라이밸브를 갖춘 스트레이너
KR20180099333A (ko) * 2017-02-28 2018-09-05 (주)이지테크 하이브리드 밸브
CN208703199U (zh) * 2018-09-20 2019-04-05 浙江凯利德阀门有限公司 一种止回阀
KR102530087B1 (ko) 2022-11-25 2023-05-04 김정선 워터제트직기용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484U (ko) * 1990-07-31 1992-04-03
KR200179235Y1 (ko) * 1999-11-29 2000-04-15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버터플라이밸브를 갖춘 스트레이너
KR20180099333A (ko) * 2017-02-28 2018-09-05 (주)이지테크 하이브리드 밸브
CN208703199U (zh) * 2018-09-20 2019-04-05 浙江凯利德阀门有限公司 一种止回阀
KR102530087B1 (ko) 2022-11-25 2023-05-04 김정선 워터제트직기용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9236B2 (en) Intake filter for water collection system with pressure activated backwash valve
CN206872488U (zh) 一种车载污水再生循环利用装置
KR102590945B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체크밸브
NZ587435A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by drawing through filtration membranes with pump providing a backwash to membranes actuated by treatment tank level
JP6469198B1 (ja) 濾過装置
KR102590939B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버터플라이밸브
CN107174951A (zh) 一种滤芯总成
AU759162C (en) Waste water filtration tank
CN216798959U (zh) 净水器
CN103157317A (zh) 一种水过滤器装置及其冲洗方法
WO2021020138A1 (ja) 水処理装置
CN208499380U (zh) 一种垃圾车过滤系统以及垃圾车
JP4982612B1 (ja) ろ過システム
CN107583338A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钛合金过滤管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KR102379211B1 (ko) 역세척 스트레이너
CN208561919U (zh) 一种净水机
CN212854817U (zh) 一种环保型多级污水处理装置
CN110759499B (zh) 一种列车灰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2041515B (zh) 用于运行废水提升设备的方法
KR100943206B1 (ko) 역류방지 장치를 형성한 엘보형 스트레나 체크 밸브
DE102008004583A1 (de) Abwasserkraftwerk Turbine
CN211836724U (zh) 一种利用好水进行反冲洗的水过滤器
JPH06262007A (ja) 堆積物排出機構を有するストレーナー
KR20170109853A (ko)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