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301A -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301A
KR20130037301A KR1020110101633A KR20110101633A KR20130037301A KR 20130037301 A KR20130037301 A KR 20130037301A KR 1020110101633 A KR1020110101633 A KR 1020110101633A KR 20110101633 A KR20110101633 A KR 20110101633A KR 20130037301 A KR20130037301 A KR 2013003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water purifier
receiving groov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492B1 (ko
Inventor
김영귀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filed Critical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Priority to KR102011010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4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에 설치된 제어부 및,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급수전이 몸체에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급수전이 평상시에는 몸체에 수납되어 살균되었다가 필요할 때에만 몸체로부터 인출됨으로써, 미관이 화려해짐은 물론 출수구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급감하여 외부 공기에 의한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storable water tap}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몸체 내부에서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급수전이 정수기의 몸체에 수납 또는 인출되고, 수납된 급수전이 살균되도록 이루어진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여과방식에 따라 중공사막방식, 역삼투압방식 등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정수기에 의해 물이 여과되어 배수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물을 배수하기 위한 급수전이 정수기의 몸체로부터 외부에 항상 노출되는 구조로 제작되었고, 이로 인해, 급수전이 외부의 먼지 또는 바이러스 등에 상시 노출되어 오염되어 왔다. 더 나아가 급수전의 출수구를 통해 세균 바이러스가 저수조까지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에 봉착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급수전을 살균하기 위한 정수기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종래의 살균기가 장착된 정수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 급수전(12), 출수구(13) 및 급수전 살균기(14)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여기서, 급수전 살균기(14)는 급수전(12)에 설치되면서 출수구(13)를 자외선으로 직접 살균하도록 설치되었다.
하지만, 급수전 살균기(14)는 정수기(10)의 출수구(13) 주변에 별도로 장착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고, 별도의 설치 작업이 요구되었다. 또한, 급수전 살균기(14)는 각 정수기(10)의 디자인 종류별로 설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야만 하였다.
또한, 출수구(13)는 항상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급수전 살균기(14) 역시 항상 작동 또는 작동 대기 상태가 유지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급수전 살균기(14)의 사용 연한이 단축되었고, 자외선램프의 수명 역시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출수구가 몸체의 내부로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출수구가 살균됨으로써, 물을 배수할 때만 몸체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이 외에는 항상 몸체에 수납되어 외부와 차단되어 살균되도록 한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는 몸체, 출수구를 갖는 급수전이 포함된 정수기에 있어서, 몸체에 설치된 제어부;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급수전이 몸체에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부는 몸체와 근접되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부를 작동하도록 설치된 제어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부는 급수전이 내장되고, 몸체에 형성된 수납홈에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설치된 이동체; 이동체가 축회전되어 급수전의 출수구가 수납홈으로부터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이동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힌지축; 및 힌지축을 회전시켜 이동체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감속기 및 모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구동부는 몸체에 형성된 수납홈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 급수전을 직선 이동시켜 수납홈으로부터 인출 또는 수납시키도록 설치된 감속기 및 모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부는 급수전의 직선 이동이 기어 전동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리고 구동부는 감속기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구동기어; 및 구동기어와 연동되면서 급수전의 후부에 배치된 급수관에 설치된 종동기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부는 감속기 및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크류축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급수전이 진선 이동하도록 스크류축이 급수전의 후부에 배치된 급수관의 말단에 장착되고, 급수관의 일측부위에 정화된 물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는 출수구를 살균하기 위해 수납홈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램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자외선램프는 이동체가 수납홈에 완전 수용되면 켜지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감지센서는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된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몸체와 이용자가 일정 거리만큼 근접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구가 형성된 급수전이 평상시에는 몸체에 수납되었다가 필요할 때에만 몸체로부터 인출됨으로써, 미관이 화려해짐은 물론 출수구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급감하여 외부 공기에 의한 오염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균 바이러스로부터 출수구의 오염이 원천 방지되므로, 세균 바이러스가 출수구를 통해 저수조까지 침투하여 정화수가 오염되는 현상이 완전히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전이 몸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연속이 아닌 일정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살균이 이루어짐으로써, 살균을 위한 자외선램프의 수명이 종래보다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이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부 주요 구성요소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수기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정수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급수전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급수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이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부 주요 구성요소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이동체(121)를 포함하는 구동부(120) 및,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정수기(100)는 냉온수기, 이온수기 등을 포함한 정수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통상적인 정수기를 통칭한다.
몸체(110)는 개방된 전면(前面)을 통해 이동체(121)가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 수납홈(111)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구동부(120)는 수납홈(111)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이동체(121)와, 이동체(121)가 축회전되도록 이동체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122)과,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힌지축(122)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감속기(123) 및 모터(124) 및, 자외선램프(125)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체(121)는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이고, 급수전(126)이 내장되면서 하면에 급수전(126)의 출수구(126a)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물론, 이동체(12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동체(121)는 상단부에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축(122)에 의해 축회전되어 몸체(110)에 형성된 수납홈(111)에 완전 수납되고, 출수구(126a)가 외부에 완전 노출될 정도의 각도로 수납홈(11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체(121)에 내장된 급수전(126)은 이동체(121)의 수납홈(111)측 일면으로 출수구(126a)와 연결된 급수관(126b)이 배치되고, 이 급수관(126b)의 후단부는 정수장치(미도시)로부터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01)과 연결된다. 이때, 급수관(126b)은 이동체(121)의 축회전으로 인해 길이가 가변되고, 이를 위해 공급관(101)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주름관 또는 가연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된다.
힌지축(122)은 이동체(121)의 상단부를 관통하고, 양단부 중 일단부는 감속기(123)와 직접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납홈(111)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힌지축(122)은 감속기(123)에 의해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동체(121)를 축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축(122)의 회전이 이동체(121)의 축회전으로 연동되고, 이를 위해 힌지축(122)과 이동체(121)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힌지축(122)의 이동체(121)의 결합부위 표면에 각각 기어형상이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감속기(123) 및 모터(124)는 모터(124)의 구동력이 감속기(123)에서 일정한 회전으로 전달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감속기(123)에서 돌출된 구동축(123a)은 힌지축(12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감속기(123)의 회전력을 힌지축(122)에 전달하게 된다.
자외선램프(125)는 몸체(110)의 수납홈(111)에 장착되고, 수납홈(111)에 이동체(121)가 완전 수납되면 켜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자외선램프(125)는 일정 시간 동안 켜짐과 꺼짐이 반복되도록 하여 램프의 수명이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체(121)가 수납홈(111)에 수납됨에 따라 출수구(126a)가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으므로 자외선램프(125)가 항상 켜져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자외선램프(125)의 켜지고 꺼짐은 제어기(132)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몸체(110)에 설치된 감지센서(131)와, 감지센서(13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터(124) 및 감속기(12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3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감지센서(131)는 전방으로부터 이용자의 움직임과 속도 및 이용자와의 거리 등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정수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근접하였을 때 이동체(121)가 축회전하여 이용자가 지체없이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감지센서(131)는 몸체(1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된다. 여기서, 감지센서(131)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용자의 움직임, 속도 및 이용자와의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제어기(132)는 감지센서(131)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가 몸체(110)와 지속적으로 근접하고 있는지, 근접하는 속도는 어느 정도인지, 최종적으로 이용자와 몸체(110)의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이용자가 근접했는지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이후 이용자가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감속기(123) 및 모터(124)를 작동시켜 이동체(121)가 축회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기(132)는 이동체(121)가 수납홈(111)에 완전히 수납되면 자외선램프(125)를 켜고, 수납홈(111)으로부터 인출되는 시점에 자외선램프(125)를 끄게 된다. 또한, 제어기(132)는 미리 설정된 자외선램프(125)의 켜져있는 시간과 꺼져있는 시간 및 켜짐과 꺼짐의 주기적인 반복 시간 등에 따라 자외선램프(125)를 켜거나 끄게 된다. 여기서, 제어기(132)는 이동체(121)가 수납홈(111)에 수납되면 자외선램프(125)를 켠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끄고, 이동체(121)가 수납홈(111)으로부터 인출된 후 다시 수납될 때 다시 켤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132)의 자외선램프(125)에 대한 설정은 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작동>
먼저, 이동체(121)가 몸체(110)의 수납홈(111)에 완전 수용된 상태에서, 제어기(132)에 의해 자외선램프(125)의 켜진다. 물론 자외선램프(125)가 켜짐과 꺼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정수기(100)의 몸체(110)에 접근하는 과정이 감지센서(131)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어 제어기(132)로 전송된다. 이때, 제어기(132)는 이용자가 지나가는지, 접근하다 다른 방향으로 바꾸는지, 어느 정도의 속도로 다가오는지 등을 파악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물을 마시기 위해 몸체(110) 앞에 서면, 제어기(132)에 의해 모터(124) 및 감속기(123)가 작동되고, 이 작동을 통해 힌지축(122)이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체(121)가 축회전하게 되며, 수납홈(111)으로부터 이동체(121)의 하단부가 인출된다. 이때, 이동체(121)의 하면에 형성된 출수구(126a)가 완전히 외부에 노출되고, 이용자는 컵을 출수구(126a)에 위치시켜 물을 얻게 된다. 여기서, 제어기(132)는 이용자와 몸체(110) 간의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이용자가 위치하면 감속기(123) 및 모터(124)가 작동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물을 다 마신 후, 몸체(110)로부터 이용자가 멀어져 제어기(132)에 설정된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감지센서(131)를 통해 제어기(132)가 인지한 후 감속기(123) 및 모터(124)가 작동하여 힌지축(125)이 회전하면서 이동체(121)가 수납홈(111)에 수납되도록 축회전된다.
마지막으로, 이동체(121)가 수납홈(111)에 완전 수납되면 자외선램프(125)가 켜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수기의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정수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급수전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급수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 대해 설명하면, 몸체(110)의 수납홈(111)에 자외선램프(125)가 설치되어 제어기(132)에 의해 켜지거나 꺼지고, 몸체(1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감지센서(131)를 통해 이용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제어기가 감속기(123)와 모터(124)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는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도 6의 제2실시예에서 급수전(126)이 이동체(121)에 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홈(111)에 직선 이동하여 수납 또는 인출되는 방식이 도 2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간략히 설명한다.
급수전(126)의 직선 이동은 도 9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어 전동방식으로 조용하면서도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외의 벨트, 체인 등을 이용한 방식으로 급수전(126)이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기어 전동방식으로는 감속기(123)에 연결된 구동기어(127) 및, 이 구동기어(127)에 의해 연동되도록 급수전(126) 후부의 급수관(126b)에 설치된 종동기어(128)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기어(127) 및 종동기어(128)는 각각 랙(rack)과 피니어(pinion)이 선택되고, 이때 랙은 급수관(126b)의 외면에 장착되고, 피니언은 랙과 결합되면서 감속기(123)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랙과 피니언 이외의 많은 기어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급수관(126b)은 길이 가변을 위해 공급관(101)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주름관 또는 가연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급수전(126)의 직선 이동은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류축(129)에 의한 이동방식으로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감속기(123) 및 모터(124)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129)이 급수관(126b)의 말단에 일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는 스크류축(129)이 감속기(123) 및 모터(124)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급수관(126b)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급수관(126b)의 일측 부위에는 정수기(100) 내의 정수장치로부터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01) 설치된다. 이는 정화된 물이 급수관(126b)으로 유동되어 출수구(126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작동>
도 6의 제2실시예의 작동 역시 도 2의 제1실시예의 작동과 유사하고, 다만, 수납홈(111)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급수전(126)의 운동이 직선과 축회전이라는 차이가 있다.
도 7 및 도 8을 보면, 수납홈(111)에 급수전(126)이 수납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접근하면 도어(112)가 이동하여 수납홈(111)이 개방되고, 급수전(126)이 직선 이동한 후 출수구(126a)가 외부에 완전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모터(124)의 동작에 따라 감속기(123)가 동작하게 되고, 감속기(123)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구동기어(127)에 회전되면 종동기어(128)가 이동됨으로써 길이가 가변되는 급수전(126)이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이용자가 멀어지면 급수전(126)이 직선 이동하여 수납홈(111)에 수납되면 도어(112)가 이동하여 수납홈(111)이 폐쇄된다.
이외의 감지센서(131), 제어기(132), 감속기(123) 및 모터, 자외선램프(125)의 켜짐과 꺼짐 등의 모든 작동은 도2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정수기 110...몸체,
111...수납홈 112...도어,
120...구동부 121...이동체,
122...힌지축 123..감속기,
124...모터 126...급수전,
130...제어부 131...감지센서,
132...제어기.

Claims (11)

  1. 몸체(110), 출수구(126a)를 갖는 급수전(126)이 포함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126)이 상기 몸체(110)에 대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부(120); 및
    상기 구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몸체(110)와 근접되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31); 및
    상기 감지센서(1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작동하도록 설치된 제어기(13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급수전(126)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수납홈(111)에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설치된 이동체(121);
    상기 이동체(121)가 축회전되어 상기 급수전(126)의 출수구(126a)가 상기 수납홈(111)으로부터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상기 이동체(121)의 일단부에 설치된 힌지축(122); 및
    상기 힌지축(122)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체(121)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감속기(123) 및 모터(12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수납홈(111)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112); 및
    상기 급수전(126)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수납홈(111)으로부터 인출 또는 수납시키도록 설치된 감속기(123) 및 모터(12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급수전(126)의 직선 이동이 기어 전동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감속기(123)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구동기어(127); 및
    상기 구동기어(127)와 연동되면서 상기 급수전(126)의 후부에 배치된 급수관(126b)에 설치된 종동기어(128);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감속기(123) 및 상기 모터(124)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크류축(129)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스크류축(129)의 회전으로 상기 급수전(126)이 진선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축(129)이 상기 급수전(126)의 후부에 배치된 급수관(126b)의 말단에 장착되고, 상기 급수관(126b)의 일측부위에 정화된 물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10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출수구(126a)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수납홈(111)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램프(125);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125)는 상기 수납홈(111)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125)는 상기 이동체(121)가 상기 수납홈(111)에 수용되면 켜지고, 인출되면 꺼지도록 상기 제어기(132)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31)는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센서(13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몸체(110)와 이용자가 일정 거리만큼 근접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1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KR1020110101633A 2011-10-06 2011-10-06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KR10130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33A KR101308492B1 (ko) 2011-10-06 2011-10-06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33A KR101308492B1 (ko) 2011-10-06 2011-10-06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01A true KR20130037301A (ko) 2013-04-16
KR101308492B1 KR101308492B1 (ko) 2013-09-17

Family

ID=4843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33A KR101308492B1 (ko) 2011-10-06 2011-10-06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49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10B1 (ko) * 2013-04-30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20160097700A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70068140A (ko) * 2015-12-09 2017-06-19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KR20180077380A (ko) * 2016-12-28 2018-07-0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의 코크모듈
KR20190033960A (ko) * 2017-09-22 2019-04-0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20190057852A (ko) * 2017-11-21 2019-05-29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US10465977B2 (en) 2016-08-29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00128837A (ko) *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20220146894A (ko) 2021-04-26 2022-11-02 코웨이 주식회사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77Y1 (ko) * 2003-07-11 2003-10-17 정애숙 자외선 살균 정수기
KR100650666B1 (ko) * 2005-12-27 2006-11-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527541B1 (ko) * 2008-04-30 2015-06-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110128974A (ko) * 2010-05-25 2011-12-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10B1 (ko) * 2013-04-30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20160097700A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70068140A (ko) * 2015-12-09 2017-06-19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KR20230041988A (ko) * 2015-12-09 2023-03-27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US10465977B2 (en) 2016-08-29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80077380A (ko) * 2016-12-28 2018-07-0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의 코크모듈
KR20190033960A (ko) * 2017-09-22 2019-04-0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20190057852A (ko) * 2017-11-21 2019-05-29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KR20200128837A (ko) *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20220146894A (ko) 2021-04-26 2022-11-02 코웨이 주식회사 비노출식 추출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492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492B1 (ko)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US8065755B2 (en)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WO2007136831A3 (en) Robotic pool cleaner with internal ultraviolet water sterilization
WO2014136349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4136351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2966029A1 (en) Water dispenser
EP3323948A1 (en) Hospital ozone faucet
KR101430495B1 (ko) 정수기
CN203828723U (zh) 用于饮水设备的出水组件
KR101986220B1 (ko)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JP2010149031A (ja) 紫外線浄水器
KR102210383B1 (ko)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CN212733295U (zh) 具有喷雾板清洗功能的雾化设备
KR102066273B1 (ko)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KR20150050205A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CN209951071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储水式饮水机
EP3056616B1 (en) Sanitary cleaning device
KR101430496B1 (ko) 정수기
JP2015020152A (ja) 浄水装置
EP3453439B1 (en)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device
JP2007117802A (ja) 給水システム
KR100990584B1 (ko) 직수를 온수 및 냉수의 음용수로 제조하는 음용수 제조장치의 수도꼭지 소독장치
CN106145244B (zh) 紫外线净水杀菌模块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368813Y1 (ko) 음료공급기의 음료토출밸브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