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505A - 정수기용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505A
KR20080078505A KR1020070036715A KR20070036715A KR20080078505A KR 20080078505 A KR20080078505 A KR 20080078505A KR 1020070036715 A KR1020070036715 A KR 1020070036715A KR 20070036715 A KR20070036715 A KR 20070036715A KR 20080078505 A KR20080078505 A KR 20080078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casing
tap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히사 쯔시마
Original Assignee
바이오넷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넷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바이오넷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Handcar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완전히 해소한다.
주수된 수돗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2)와, 저수 탱크(2)에 저수된 수돗물을 살균하는 살균부(3)와, 저수 탱크(2)에 저수된 수돗물을 수도와 동등한 수압으로 정수기에 급수하는 급수부(4)와, 저수 탱크(2), 살균부(3), 급수부(4)를 수용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케이싱(1)과, 케이싱(1)을 지지하여 케이싱(1)을 이동시키는 주행부(7)를 구비하고 있다.
저수 탱크, 살균부, 급수부, 케이싱, 주행부

Description

정수기용 급수 장치{WATER SUPPLY-APPARATUS FOR WATER PURIFIE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정수기용 급수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종단면도.
도3은 도1의 주요부의 제어 블럭도.
도4는 도1의 사용예의 하나의 태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5는 도1의 사용예의 다른 하나의 태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6은 도1의 설치 상태의 사시도.
도7은 도1의 사용 순서와 각 부의 동작과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저수 탱크
3 : 살균부
4 : 급수부
5 : 제어부
6 : 경보부
7 : 주행부
8 : 다리부
9 : 조작부
52 : 수위 센서
C : 수도 꼭지
F : 바닥면
W : 정수기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53-27399호 공보
본 발명은, 수돗물(시수)을 처리한 음료수를 제공하는 비교적 대형의 정수기로의 수돗물의 급수원(공급원)으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최근, 수돗물의 수질의 저하에 수반하여, 각 처에서 정수기가 설치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음식점 등의 업무용이나 사업소용의 비교적 대형인 것에서는, 미네랄 워터병을 세트하여 냉각 등의 단순한 처리로 음료수로서 제공하는 수도 요금의 부담이 큰 타입을 피하여, 수돗물에 살균, 소취, 알칼리화, 고농도 산소화, 미네랄 첨가 등의 각종 복잡한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수도에 직결되는 타입이 보급되고 있다.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는, 수도관이 배관(또는 호스 등으로 실질적으로 연장 배관)된 장소 이외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해소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해소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정수기에 캐스터를 설치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관한 기술은, 정수기를 캐스터로 이동시켜 호스를 수도관에 접속함으로써,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관한 기술에서는, 누수의 우려나 미관의 저하 등으로부터 호스에 의한 수도관의 실질적인 연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정수기용 급수 장치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수단을 채용한다.
즉, 청구항 1에서는, 주수(注水)된 수돗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저수 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을 살균하는 살균부와, 저수 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을 수도와 동 등한 수압으로 정수기에 급수하는 급수부와, 저수 탱크, 살균부, 급수부를 수용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을 지지하여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다.
이 수단에서는, 수도관이 배관된 장소까지 주행부로 이동시켜, 저수 탱크에 수도관으로부터 수돗물을 주수한 후, 정수기의 설치 장소까지 주행부로 이동시켜 살균부에서 저수 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의 수질을 유지해 두고, 급수부와 정수기를 접속하는 호스를 통해 정수기에 수돗물을 수도와 동등한 수압으로 급수하는 사용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정수기를 수도관이 배관된 장소 이외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의 정수기용 급수 장치에 있어서, 저수 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와, 저수 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이 일정한 수위 이하가 된 것을 수위 센서가 검출했을 때에 경보를 발신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서는, 수위 센서, 경보부가 구비됨으로써, 저수 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의 잔량이 저하한 경우에 경보가 발신된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정수기용 급수 장치에 있어서, 주행부에 의한 케이싱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서는, 조작부가 구비됨으로써, 케이싱의 이동이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3의 정수기용 급수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는 케이싱의 후방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하로 신축되는 손잡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
이 수단에 따르면, 조작부를 상하로 신축되는 손잡이 구조로서 케이싱의 후방측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조작부를 파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케이싱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정수기용 급수 장치에 있어서, 주행부는 케이싱의 하면에 설치되어 적어도 2륜이 방향 전환 가능한 4륜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 따르면, 주행부가 방향 전환 가능한 2륜을 포함하는 4륜의 차륜으로 됨으로써, 케이싱을 안정적으로 임의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정수기용 급수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의 내부에 저수 탱크(2), 살균부(3), 급수부(4), 제어부(5)가 수용되고, 케이싱(1)의 측부에 경보부(6)가 설치되고, 케이싱(1)의 하부 부근에 주행부(7), 다리부(8), 조작부(9), 전원부(10), 주수용 호스(20), 급수용 호스(30)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1)은, 금속재, 합성 수지재 등으로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된 케이싱 본체(11)의 상면이 착탈 가능한 판형의 덮개체(12)로 형성되고, 케이싱 본 체(11), 덮개체(12)가 체결 부착 구조의 연결용 쇠붙이(13)로 수밀, 기밀하게 접합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11)의 후방측의 측면에는, 주수용 호스(20)를 지지하기 위한 L자 금속 부재(13)와, 급수용 호스(30)를 지지하기 위한 C자 금속 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체(12)는, 내부에 단열재(12a)를 내장하여 케이싱 본체(11)에의 접촉면에 시트형의 패킹(12b)이 설치되어 있다.
저수 탱크(2)는, 도2에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돗물을 저수하는 직육면체의 저수 체적을 갖고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상면[덮개체(12)]에 개방된 탱크 본체(21)가 케이싱(1)에 내부 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탱크 본체(21)의 측면, 바닥면의 외측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매트를 겸한 단열재(22)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본체(21)의 전방측의 측면에는,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탱크 본체(21)에 저수된 수돗물의 수위를 직접적으로 눈으로 볼 수 있는 수위계(23)가 접속되어 있다. 탱크 본체(21)의 후방측의 측면의 상부에는,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수돗물을 주수하기 위한 주수용 호스(20)가 접속되는 주입구(2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주수구(24)에는, 필요에 따라서 마개, 코크 등이 설치된다. 탱크 본체(21)의 바닥면에는,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탱크 본체(21)의 내부의 수돗물을 남김없이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구(25)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드레인 구(25)에는, 필요에 따라서 마개, 코크 등이 설치된다.
살균부(3)는,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을 살균 하는 통형의 자외선 조사 등의 살균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바닥면의 대략 중앙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살균부(3)는, 전원부(10)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온, 오프의 절환에 의해 점등, 소등한다.
급수부(4)는, 도2에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바닥면과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약간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스트레이너(41), 급수 펌프(42), 급수구(43)로 이루어진다. 스트레이너(41)는,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메쉬 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에 혼입하고 있는 이물질(먼지, 물때, 녹 등)이 정수기(W)에 유입되는 일이 없도록 포착한다. 급수 펌프(42)는, 스트레이너(41)에 접속된 소형의 송수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을 흡입하여 토출하여 정수기(W)에 급수(송수)한다. 이 급수 펌프(42)는, 전원부(10)의 스위치의 온, 오프의 절환에 의해 구동, 정지되지만, 프레셔 스위치를 내장하여 정수기(W)로의 급수가 필요 없게 되었을 때(볼 탭 등에 의해 급수 마개가 폐쇄된 경우 등)에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급수구(43)는 급수 펌프(42)에 접속되고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 정수기(W)의 본래적으로 수도관이 직결되는 수도 접속구에 접속된 호스(H)에 접속되는 급수용 호스(30)가 접속되어 수도와 동등한 수압의 수돗물을 급수한다. 이 급수구(43)에는, 필요에 따라서 마개, 코크 등이 설치된다.
제어부(5)는, 도3에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전 원부(10)에 접속된 제어기(51)에 수위 센서(52), 살균부(3), 급수부(4)[급수 펌프(52)], 경보부(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5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전원부(10)의 스위치의 절환이나 수위 센서(52)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살균부(3), 급수부(4)[급수 펌프(52)], 경보부(6)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위 센서(52)는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에 설치되어,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이 일정한 수위[급수부(4)의 급수 펌프(52)에 공기가 혼입될 우려가 있는 수위] 이하가 되었을 때에 경보 신호를 발신한다. 또한,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위 센서(52)의 경보 신호가 발신된 경우에는, 전원부(10)의 스위치가 오프로 절환되지 않아도 제어기(51)에 의해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가 정지되고, 살균부(3)인 살균등이 소등되고, 경보부(6)에 경보의 표시를 지시한다.
경보부(6)는 제어부(5)의 제어기(51)의 지시에 의해 발광, 명음(鳴音) 등 하는 램프, 부저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행부(7)는, 상당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하면에 4륜의 차륜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의 2륜은, 설치부가 고정된 주행륜(71)으로 되어 있다. 전방측의 2륜은, 설치부가 회전 가능한 회전 주행륜(72)으로 되어 있다. 4륜의 주행륜(71), 회전 주행륜(72)에 적어도 1륜에는,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9)는, 신축 파이프(91), 중계 프레임(92), 손잡이(93)의 각 부를 구비한 상하로 신축 가능한 손잡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신축 파이프(91)는, 케이 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후방측의 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2개의 고정 파이프(91a)와, 고정 파이프(91a)의 내측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된 2개의 가동 파이프(91b)로 이루어진다. 중계 프레임(92)은, 신축 파이프(91)의 2개의 고정 파이프(91a)의 상단부 부근에 걸쳐지도록 고정되어 고정 파이프(91a)를 기둥문형이 되도록 연결 지지하고 있다. 손잡이(93)는 손을 걸 수 있는 바아형으로 형성되고, 신축 파이프(91)의 2개의 가동 파이프(91b)의 선단부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전원부(10)는, 급수부(4)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바닥면과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약간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스위치 회로, 정류 회로 등(도시하지 않음)에 코드(101)가 접속되고, 코드(101)가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단말에 플러그(102)가 접속되어 있다.
주수용 호스(20)는 저수 탱크(2)의 주입구(24)에 접속되는 호스 본체(201)와, 호스 본체(201)의 선단부에 설치된 로트형의 접속구(202)로 이루어진다.
급수용 호스(30)는 급수부(4)의 급수구(43)에 접속되는 호스 본체(301)와, 호스 본체(30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정수기(W)의 본래적으로 수도관이 직결되는 수도 접속구에 접속된 호스(H)에 원터치로 접속되는 끼워 맞춤식의 접속구(302)로 이루어진다.
이 형태는, 정수기(W)와 수도의 수도 꼭지(C)와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수도의 수도 꼭지(C)로부터 정수기(W)까지 실질적으로 수도의 배관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4,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부(10)의 스위치를 오프로 절환하여[필요에 따라서, 전원부(10)의 플러그(102)를 콘센트로부터 인발] 수도의 수도 꼭지(C)까지 이동시켜, 수도의 수도 꼭지(C)에 저수 탱크(2)의 주입구(24)에 접속되어 있는 주수용 호스(20)에 접속하고, 수도의 수도 꼭지(C)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주수한다. 이때, 주수용 호스(20)의 접속구(202)가 수돗물의 비산을 방지한다. 또한, 케이싱(1)의 덮개체(12)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직접적으로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주수할 수도 있다.
이 후,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9)의 신축 파이프(91)의 가동 파이프(91b)를 고정 파이프(91a)로부터 인출하고, 조작부(9)의 신축 파이프(91)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조작부(9)의 손잡이(93)나 중계 프레임(92)을 파지하여 누름 조작한다. 그리고, 주행부(7)의 주행륜(71), 회전 주행륜(72)을 회전시켜, 정수기(W)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된다. 이때, 주행부(7)의 주행륜(71), 회전 주행륜(72)의 구름 이동으로 바닥면(F)과의 주행 마찰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 아이, 노인 등이라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부(7)로 방향 전환 가능한 회전 주행륜(7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주행부(7)가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의 하면의 전후 방향 위치에 2륜씩의 4륜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정수기(W)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 기(W)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주수된 수돗물을 포함하여 전체의 중량이 상당히 무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부(7)가 뜻하지 않게 회전 동작하는 일은 없다. 단, 만약을 위해, 주행부(7)의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를 걸어 두면 더욱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설치 후에 조작부(9)의 신축 파이프(91)를 수축시켜 두면, 조작부(9)가 주위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이 미관도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정수기(W)의 본래적으로 수도관이 직결되는 수도 접속구에 접속된 호스(H)와 급수부(4)의 급수구(43)에 접속된 급수용 호스(30)를 접속하고, 전원부(10)의 스위치를 온으로 절환한다[필요에 따라서, 전원부(10)의 플러그(102)를 콘센트에 삽입한 후]. 또한, 호스(H)는,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와 정수기(W)와의 배면부에 가려지기 때문에, 미관상 문제로 되는 일이 없다.
전원부(10)의 스위치가 온으로 절환되면, 제어부(5)의 제어기(51)에 의해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가 구동되고, 살균부(3)인 살균등이 점등된다. 이 결과,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은,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용 호스(30)로부터 정수기(W)에 급수된다. 또한, 정수기(W)에 급수되는 수돗물은, 살균부(3)에 의해 잡균의 번식이 억제되어 수질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정수기(W)로서는, 수도 직결과 변함이 없는 급수가 얻어지는 것이 된다.
정수기(W)로의 급수 중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W)로의 급수가 필요 없어져 프레셔 스위치가 동작한 경우에는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가 정지된다. 따라서, 정수기(W)에 있어서는, 필요 이상으로 고압의 수돗물이 급수되어 내부에서 누수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또한, 정수기(W)로의 급수가 필요로 되어 압력 스위치의 동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의 구동이 재개된다.
또한, 제어부(5)의 수위 센서(52)가 경보 신호를 발신한 경우, 즉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이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에 공기가 혼입될 우려가 있는 수위 이하가 된 경우에는, 전원부(10)의 스위치를 오프로 절환하지 않아도, 제어부(5)의 제어기(51)에 의해, 경보부(6)에 경보의 표시가 지시되는 동시에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가 정지되고, 살균부(3)인 살균등이 소등된다. 따라서, 공기가 급수부(4)의 급수 펌프(52)에 혼입되어 손상되거나, 공기가 정수기(W)에 송입되어 손상되지 않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도 피할 수 있다.
이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도의 수도 꼭지(C)까지 이동시켜 수돗물을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주수하는 것이 된다.
또한, 통상은, 경보부(6)에 경보의 표시가 지시되기 전에, 저수 탱크(2)의 수위계(23)를 관찰하여 적절히 수도의 수도 꼭지(C)까지 이동시켜 수돗물을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주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어느 정도의 사용 기간을 경과했을 때에는, 각 부[특히,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 되지만, 케이싱(1)의 케이싱 본체(11)로부터 덮개체(12)를 제거하면, 저수 탱크(2)의 탱크 본체(21)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청소에 수반하는 오수에 대해서는, 저수 탱크(2)의 드레인 구(25)를 이용하여 배수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이 형태를 이동시켜, 정수기(W)에 수돗물을 뱃치(batch)적으로 운반하여 급수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W)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정수기용 급수 장치는, 수도관이 배관된 장소까지 주행부로 이동시켜, 저수 탱크에 수도관으로부터 수돗물을 주수한 후, 정수기의 설치 장소까지 주행부로 이동시켜 살균부에서 저수 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의 수질을 유지해 두고, 급수부와 정수기를 접속 호스를 통해 정수기에 수돗물을 수도와 동등한 수압으로 급수하는 사용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정수기를 수도관이 배관된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도 직결 타입의 정수기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수된 수돗물을 저수하는 저수 탱크와, 저수 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을 살균하는 살균부와, 저수 탱크에 저수된 수돗물을 수도와 동등한 수압으로 정수기에 급수하는 급수부와, 저수 탱크, 살균부, 급수부를 수용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을 지지하여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저수 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와, 저수 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이 일정한 수위 이하가 된 것을 수위 센서가 검출했을 때에 경보를 발신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행부에 의한 케이싱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조작부는 상하로 신축되는 손잡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행부는 케이싱의 하면에 설치 되어 적어도 2륜이 방향 전환 가능한 4륜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급수 장치.
KR1020070036715A 2007-02-22 2007-04-16 정수기용 급수 장치 KR20080078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3003A JP2008200659A (ja) 2007-02-22 2007-02-22 浄水器用給水装置
JPJP-P-2007-00043003 2007-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05A true KR20080078505A (ko) 2008-08-27

Family

ID=3977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715A KR20080078505A (ko) 2007-02-22 2007-04-16 정수기용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200659A (ko)
KR (1) KR200800785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0172B2 (ja) * 2010-06-24 2014-04-1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KR101460496B1 (ko) * 2014-04-14 2014-11-20 (주) 지엔씨에너지 방폭시설용 이동식 열매체 충진장치
CN110155142A (zh) * 2019-06-11 2019-08-23 淄博创立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手推车
CN111746602A (zh) * 2020-06-17 2020-10-09 段瑞霞 一种油田勘探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00659A (ja)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6169C (en) Ozone shower device
HK1133572A1 (en) Automatic treating device for urination and defecation
AU2002359296A1 (en) A toilet cleaning dispenser system with removable cartridge
KR20080078505A (ko) 정수기용 급수 장치
KR100870620B1 (ko) 이동식 손세척장치
KR101282610B1 (ko) 휴대폰 살균 및 광고기능이 구비되고 설치가 간편한 세정대
KR101569910B1 (ko) 양변기 살균장치
JP2000265529A (ja) 収納式便器
CA2573461A1 (en) Automatic wash water storage apparatus for use with portable wash water supply hose
KR20190061457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JP2007222700A (ja) し尿浄化システム
US20130206187A1 (en) Treatment system for a garbage disposal and sink drain pipe
US20150313424A1 (en) Bidet
KR100926833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장치
CN209951071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储水式饮水机
JP2000271030A (ja) 浴槽残り湯の再利用装置
KR200338582Y1 (ko)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JP2010053543A (ja) 浴槽の残り湯利用装置
EP2710195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portable containers
KR200248141Y1 (ko) 반신욕 용수의 가열 및 정수장치
TW201929826A (zh) 沐浴設備
JP3823171B2 (ja) 内視鏡洗滌装置
JPH06285457A (ja) 浄水の給水装置
CN220442955U (zh) 一种多功能监护仪
CN201901902U (zh) 一种家用保鲜净化加压备用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