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582Y1 -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582Y1
KR200338582Y1 KR20-2003-0032875U KR20030032875U KR200338582Y1 KR 200338582 Y1 KR200338582 Y1 KR 200338582Y1 KR 20030032875 U KR20030032875 U KR 20030032875U KR 200338582 Y1 KR200338582 Y1 KR 200338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sterilizer
water supply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애숙
Original Assignee
정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애숙 filed Critical 정애숙
Priority to KR20-2003-0032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Abstract

개시된 고안은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에서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를 직접 자외선 살균하여 공기에 의한 정수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정수된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에 설치되어 공기에 노출된 출수구를 자외선으로 직접 살균하는 급수전 살균기와; 물체의 접근 및 직접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전의 급수 및 절수동작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물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구성한 자외선에 의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함으로써,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에 자외선 살균기를 직접 설치하여 외부 공기에 의해 출수구가 오염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고, 접촉 또는 일정거리 이내로의 접근에 의해 온/오프작동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급수 및 절수동작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clean water machine having a sterilizer for a water nozzle}
본 고안은 자외선을 이용한 급수전 살균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에 의한 오염우려가 있는 급수전의 출수구를 평상시에 자외선으로 직접 살균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깨끗한 물의 공급이 가능하고 센서에 의한 자동 감지방식으로 취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급수장치는 수돗물 등의 물 공급원에 연결되어 이를 여과함으로써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이미 정수된 물이 담겨져 있는 물통을 장착하여 급수전을 통해 정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그 여과방식에 따라 수도 직결식, 자연 여과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되며, 소정의 필터 혹은 활성탄, 반투막 등을 이용하여 수돗물을 여과하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는 소정의 물 공급원이 구비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반해, 냉온수기는 통상적으로 물공급원과 인접해 있지 않는 장소, 즉 공사장 혹은 사무실 등에 비치되며, 이러한 냉온수기에는 이미 정수된 물이 담겨진 물통을 장착한 후 사용자가 냉수 혹은 온수 등을 선택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정수기 및 냉온수기(이하에서는 이들을 통틀어 정수기라 칭함)는 내부에 소정의 기기부품실을 가지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전면에 마련되어 물을 공급하는 하나 또는 둘의 급수장치를 가지며, 상기 급수장치는 급수를 가능하게 하는 레버와 취수구로 구성되는 급수전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전의 하부에는 잔류수 받침통이 구비되며 이러한 받침통은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캐비넷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부품실 내에는 급수배관을 비롯하여 정수에 필요한 다수의 필터 등이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를 통해 정수된 상온의 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히팅장치, 및 상온의 물을 차가운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냉수 및 온수를 저장하는 냉/온수 탱크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급수장치의 냉/온수 탱크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장치는 급수레버를 이용하여 급수를 하게 되므로 온수밸브를 이용하여 급수를 실시하게 될 때 급수장치의 레버에 의해 물이 튀는 현상이 발생되어 온수의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공지기술로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냉수 또는 온수 급수용 누름 버튼 또는 스위치, 및 냉수밸브와 온수밸브, 그리고 냉수 취수구 및 온수 취구수가 구비되어 있는 정수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 급수용 누름 버튼 또는 스위치로 된 정수기를 이용하는 경우,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물이 급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넘치거나 모자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계속해서 지켜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버튼 방식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해서 누르고 있어야만 그 동안에 급수되도록 급수밸브가 구성되어 있어 사용상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대부분의 정수기는 급수전의 출수구가 외부 공기에 그대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출수구 뿐만 아니라 출수구에서 잔류하는 물이 외부 공기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정수기에 의하면, 정수기 내부에서 깨끗하게 정수되어 나오는 물이 급수전의 출수구를 통과하면서 외부 공기에 의해 2차적으로 오염되므로, 결국 정수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는 깨끗한 물이 공급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한편, 최근에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22322호(2003.07.11, 명칭: 자외선 살균 정수기)에는, 급수전의 직하부에 출수구를 향해 빛을 발산하도록 자외선 램프를 상향 설치하고, 급수전의 급수 및 절수동작을 개폐하는 키를 구비한 취수 조작부를 두며, 상기 취수 조작부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급수전의 개폐장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의 온/오프를 위한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기술에 의하면, 공기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램프를 도입하여 출수구를 살균하도록 하였고, 급수 레버가 아닌 키에 의해 급수동작이 개폐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정수기에 의하면, 자외선 램프가 상향 설치되기 때문에 출구수를 효율적으로 살균하기 어렵고, 직접 접촉식 버튼에 의해 급수 및 절수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컵을 직접 버튼에 부딛히게 하여야만 취수가 가능하므로 입구가 작은 용기의 경우 직접 취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기존 자외선 살균 정수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에 자외선 살균기를 직접 설치하여 외부 공기에 의해 출수구가 오염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고, 급수 및 절수동작이 접촉 또는 일정거리 이내로의 접근에 의해 온/오프작동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자외선에 의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을 이용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급수전 살균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몸체 2 : 급수전
3 : 출수구 10 : 급수전 살균기
11 : 상판 11a,12a : 체결구
12 : 하부 케이스 13 : 통공
14 : 자외선 램프 15 : 방수커버
20 : 물체감지센서 21 : 발광램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수된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에 설치되어 공기에 노출된 출수구를 자외선으로 직접 살균하는 급수전 살균기와; 물체의 접근 및 직접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전의 급수 및 절수동작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물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구성한 자외선에 의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에서 상기 자외선 살균기는 외부 공기와의 차단을 위해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며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 하부에 상기 출수구보다 큰 직경의 출수공을 형성하고 램프 교환을 위한 체결구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미생물에 대한 살균작용이 있는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정수로부터의 방수를 위해 상기 자외선 램프를 둘러 감싸는 방수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물체가 정전기 발생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정전기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서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는,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한 출수구의 살균 면적을 넓히기 위해 종단의 가공 단면이 테이퍼링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을 이용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정수된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전(2)의 출수구(3) 주위에 설치되는 급수전 살균기(10)와, 취수를 위해 밀어넣는 컵이나 그 밖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 아래쪽의 정수기 몸체(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전의 개폐를 위해 급수전 내부의 밸브 개폐스위치(도면에는 그 도시를 생략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물체감지센서(20)와, 상기 물체감지센서와 연동되어 그 센서 및 급수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램프(21)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램프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물체감지센서(20)는 물체의 접근이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센서와 물체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검출하여 상기 급수전의 급수 및 절수동작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정전기 센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정전기 센서는 컵이나 그 밖의 물체가 정전기 발생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급수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출수구 하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각 센서의 감도를 일정치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출수구에 근접하는 물체를 다른 나머지 하나의 출수구 하부에 설치된 센서가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하게 그 감도가 제한된 것이면 충분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급수전 살균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급수전 살균기(10)는 상기 급수전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보다 큰 직경의 출수공(13)을 형성한 케이스(11,12)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체감지센서와 연동하여 그 센서가 오프(off)동작 중일때 미생물에 대한 살균작용이 있는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그 이외에는 작동을 멈추는 자외선 램프(14)와,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거나 튀는 물로부터의 방수를 위해 상기 자외선 램프를 둘러 감싸는 방수커버(1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자외선 램프(14)는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급수전의 출수구를 통해 출수동작이 있는 동안은 작동이 정지되어 자외선이 인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그 이외의 평상시에는 항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중에 노출되는 출수구의 살균작용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전 살균기(10)의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1,12)는 급수전(2)의 출수구(3)가 외부 공기에 의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출수구 주위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급수전으로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상기 급수전의 하부에 직접 압입 고정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부 케이스(12)로 각각 구성하되, 이때 상판과 하부 케이스에는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다수의 체결구(11a,12a)를 각각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외선 램프가 수명을 다하였을때 그 램프의 교환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15)는 자외선을 투과시키고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석영관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3)는 그 종단의 단면을 테이퍼링 가공함으로써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과 출수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한다. 또한 이러한 급수전의 출수구는 상, 하부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상부에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후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작동이 상기 물체 감지센서의 온/오프동작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출수구의 종단이 케이스 하부의 출수공 밖으로 돌출되어 원할한 출수 및 램프의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이외에는 출수구의 종단의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 원할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 상기 물체감지센서(20)는 오프상태로 있도록 초기 세팅되고, 상기 센서의 오프상태에 의해 자외선 램프(14)가 작동하여 자외선에 의한 출수구 살균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3)의 종단 단면이 테이퍼링 가공되어 있고, 그 단면의 컷팅부분이 자외선 램프(14)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램프(14)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한 살균 면적이 일반 단면구조에 비해 훨씬 넓어져 자외선에 의한 출수구의 살균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급수전 살균기(10)의 하부에 취수를 위해 컵이나 그 밖의 물체를 밀어넣어 정전기 발생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하게 되면, 물체감지센서(20)가 컵이나 물체의 근접 상태 및 직접 접촉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온 동작하게 된다. 이 센서의 동작에 연동하여 자외선 램프(14)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와 함께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램프(21)의 점등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급수전 내부의 밸브 개폐스위치(도면에는 그 도시를 생략함) 및 출수구 높이조절수단에 전기적인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어 급수전의 개방동작 및 상기 출수구가 케이스 하부의 출수공(13) 밖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출수가 이루어져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취수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급수전의 출수구를 통해 출수동작이 있는 동안은 자외선 램프는 작동이 정지되어 자외선이 인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그 이외의 평상시에는 항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중에 노출되는 출수구를 살균하게 된다.
한편, 자외선 램프가 수명을 다하여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경우 하부 케이스(12)에 아래쪽을 향하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상기 급수전 살균기(10)의 몸체를 구성하는 상판(11)으로부터 하부 케이스(12)를 분리해낸 후 자외선 램프(14)를 새것으로 교체하고, 이후에 다시 체결구(11a,12a)를 이용하여 상판(11)과 하부 케이스(12)를 결합시키면 램프 교체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이 본 고안에 의하면,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에 자외선 살균기가 직접 설치되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살균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 공기에 의한 출수구 오염을 완전하게 방지하여 깨끗한 물울 제공하는 정수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접촉 또는 일정거리 이내로의 접근에 의해 온/오프작동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급수 및 절수동작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정수된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에 설치되어 공기에 노출된 출수구를 자외선으로 직접 살균하는 급수전 살균기와;
    물체의 접근 및 직접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전의 급수 및 절수동작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물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 살균기는,
    외부 공기와의 차단을 위해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 주위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며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 하부에 상기 출수구보다 큰 직경의 출수공을 형성하고 램프 교환을 위한 체결구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미생물에 대한 살균작용이 있는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정수로부터의 방수를 위해 상기 자외선 램프를 둘러 감싸는 방수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물체가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정전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의 출수구는,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한 출수구의 살균 면적을 넓히기 위해 종단의 가공 단면이 테이퍼링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KR20-2003-0032875U 2003-10-21 2003-10-21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KR200338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875U KR200338582Y1 (ko) 2003-10-21 2003-10-21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875U KR200338582Y1 (ko) 2003-10-21 2003-10-21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582Y1 true KR200338582Y1 (ko) 2004-01-16

Family

ID=4942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875U KR200338582Y1 (ko) 2003-10-21 2003-10-21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5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67B1 (ko) 2009-12-0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WO2014104594A1 (ko) * 2012-12-28 2014-07-03 코웨이 주식회사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18111058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391178B1 (ko) * 2021-08-23 2022-04-27 이인규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67B1 (ko) 2009-12-0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WO2014104594A1 (ko) * 2012-12-28 2014-07-03 코웨이 주식회사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40087976A (ko) * 2012-12-28 2014-07-09 코웨이 주식회사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104884975A (zh) * 2012-12-28 2015-09-02 豪威株式会社 容器感测装置以及具有容器感测装置的水处理装置
CN104884975B (zh) * 2012-12-28 2017-08-01 豪威株式会社 容器感测装置以及具有容器感测装置的水处理装置
KR102046479B1 (ko) * 2012-12-28 2019-11-1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18111058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US11052334B2 (en) 2016-12-16 2021-07-06 Lg Electronics Inc. Ultraviolet module and liquid dispenser including same
KR102391178B1 (ko) * 2021-08-23 2022-04-27 이인규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23952T3 (en) A disinfection device with the power supply means and the liquid outlet
CN107352685B (zh) 一种水净化保质系统
CN107352686B (zh) 一种水净化保质系统
CN107285549B (zh) 一种水净化保质系统
KR200338582Y1 (ko)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KR101569910B1 (ko) 양변기 살균장치
KR200329977Y1 (ko) 자외선 살균 정수기
WO2019006129A1 (en) SELF-CLEANING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JP2006291603A (ja) 給水装置
KR20110048692A (ko) 이온수기
KR20100080645A (ko) 은이온 세척수 공급장치를 구비한 비데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JPH06292483A (ja) 観賞魚飼育装置
KR200472378Y1 (ko) 스마트형 파우셋
KR20230022337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91178B1 (ko)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JP2006198500A (ja) 電解処理装置
CN212561825U (zh) 一种地漏芯及地漏
CN217696930U (zh) 一种便携式带消毒功能的冲牙器
JP3319820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00304311A (ja) 加湿器
KR102111599B1 (ko) 정수기
KR20110017040A (ko) 필터교체식 정수기
KR200308723Y1 (ko) 장청소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