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337A -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337A
KR20230022337A KR1020210103532A KR20210103532A KR20230022337A KR 20230022337 A KR20230022337 A KR 20230022337A KR 1020210103532 A KR1020210103532 A KR 1020210103532A KR 20210103532 A KR20210103532 A KR 20210103532A KR 20230022337 A KR20230022337 A KR 2023002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bubbler
sterilization
heater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21010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337A/ko
Publication of KR2023002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냉ㆍ온수기에 구비되는 수전이 침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여 항상 청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Electric water chiller-heater equipped with bubbl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 구비되는 수전이 침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살균하여 항상 청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면 1도는 학교,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대용량 정수기 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학교, 휴게소, 식당 등의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도면과 같은 대용량 정수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대용량 정수기(10)에는 다수의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는데, 대체로 버튼(button) 등을 누르면 물이 아래로 토출되는 콕크(cock)형 수도꼭지(11)와 버튼 등을 누를 때 음수가 위로 분수와 같이 토출되는 버블러(bubbler)형 수도꼭지(12)가 설치되어 있다. 학교, 휴게소 등은 이러한 대용량 정수기(10)를 갖춤으로써 많은 인원들에게 음수 또는 식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도면 2도는 종래의 대용량 정수기에 설치된 버블러형 수도꼭지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학생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콕크형 수도꼭지(11)에서는 아래로 토출되는 음수 또는 식수를 컵(cup)을 이용하여 받아서 섭취하지만, 버블러형 수도꼭지(12)에서는 도면과 같이 분수와 같이 토출되는 물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버블러형 수도꼭지(12)는 컵을 제공하기 용이하지 않은 공원 등에 설치되는 음수대 등에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위생 또는 관리상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학교 등에서도 컵을 제공하지 않는 공간이 많아지다 보니, 이러한 버블러형 수도꼭지(12)를 갖추고 있는 대용량 정수기(10) 등이 많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버블러형 수도꼭지(12)는 이용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침 등이 수도꼭지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청결한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이는 코로나(corona) 19 등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이 토출되는 수전이 세균, 바이러스(virus)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되지 않을 시에만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져서 살균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안전도 보장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블러(bubbler)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로서, 상기 버블러 수전은 출수 노즐(nozzle);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 안에 위치하는 제1 살균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은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은 상기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살균 등이 상기 출수 노즐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 지지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의 중심을 지나며 연장되는 가상의 선 이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반경은 1 내지 5 센티미터(centimeter)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출관에는 제2 살균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살균 등과 상기 제2 살균 등은 UV(Ultra Violet)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UV LED는 UV-C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각도는 20 내지 50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접근 감지 센서(sens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2 반경은 10 내지 30 센티미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2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2 각도는 30 내지 80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된 이후 기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 등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시간은 3분 내지 10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감지 센서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러 수전의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 이후에, 기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버블러 수전의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2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근 감지 센서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살균 등은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안에 위치하며, 상기 기설정된 제1 반경은 1 내지 5 센티미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버블러 수전의 몸체 내부의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버블러 수전의 몸체 내부의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각도는 20도 내지 50도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1 살균 등은 UV-A, UV-B 또는 UV-C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에는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살균 등이 상기 출수 노즐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지지부는 상구 출수 노즐의 출수관의 중심을 지나며 연장되는 가상의 선 이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상기 버블러 수전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초음파, 압력 감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기설정된 제2 반경은 10 내지 30 센티미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 노즐은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2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기설정된 제2 각도는 30 내지 80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시간은 3분 내지 10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러(bubbler)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로서, 제어부; 시각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블러 수전은 출수 노즐(nozzle);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 안에 위치하는 제1 살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확인부를 통하여 확인된 시간이 8시 내지 19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출관에는 제2 살균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살균 등과 상기 제2 살균 등은 UV(Ultra Violet)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UV LED는 UV-A 또는 UV-B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 수전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접근 감지 센서(sens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초음파, 압력 감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로 기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 등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주기는 3시간 내지 5시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러 수전의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2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제2 살균 등은 상기 버블러 수전의 몸체 내부의 토출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살균 등은 UV-A, UV-B 또는 UV-C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 확인부를 통하여 제어부가 현재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현재 시간이 8시 내지 19시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물이 공급되는 수전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전 주변의 세균, 바이러스(virus) 등이 잔존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코로나 19 등의 바이러스가 주변으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만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이 진행되므로, 학생 등의 사용자가 살균 등을 눈으로 직접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버블러 수전이 후면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가동되는 살균 등의 불빛을 사용자가 직접 시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출수 노즐 근처에 근접하여 살균 등을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세균, 바이러스 제거의 탁월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 등으로 UV-C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짧은 시간 동안 또는 약한 강도로 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투과력이 다소 약한 UV-B 또는 UV-A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살균 등이 근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세균, 바이러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넷째, 수전 주변으로 세균,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상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학교,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종래의 대용량 정수기에 설치된 버블러형 수전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학생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버블러 수전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버블러 수전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와 도면 7도는 버블러 수전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와 도면 9도는 버블러 수전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서 버블러 수전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 설치된 버블러 수전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콕크 수전의 외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콕크 수전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각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각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서 살균 등이 가동되고 정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서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는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버블러 수전(100)과 콕크 수전(200)을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전면에 다수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버블러 수전(100), 콕크 수전(200)의 작동을 위한 버튼 등의 구성요소가 그 주위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전면, 버블러 수전(100)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R2) 내에는 사람 등의 접근을 감지하여 살균 등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접근 감지 센서(sensor)(3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접근 감지 센서(300)가 사람 등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1 살균 등(120) 등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은 이하 도면을 통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버블러 수전(100) 등에 인접하여 제1 살균 등(120) 등을 배치함으로써, 다수가 이용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청결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이 그 균등물인 정수기, 음수기, 온수제조기, 냉온수 공급기 등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함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고, 이러한 것들은 본 발명의 균등범위에 포함됨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도면 4도 내지 도면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 구비되는 버블러 수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도면 4도는 버블러 수전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면 5도는 버블러 수전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6도와 도면 7도는 버블러 수전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면 8도와 도면 9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블러 수전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버블러 수전(100)은 물이 직접적으로 토출되는 출수 노즐(nozzle)(110), 출수 노즐(110)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R1) 안에 위치하여 출수 노즐(110) 주변을 살균하는 제1 살균 등(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이기도 한 버블러 수전(100)은 크게 몸체(130)와 이러한 몸체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장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출수 노즐(110)은 몸체(130) 부분에, 제1 살균 등(120)은 연장 지지부(140)에 출수 노즐(11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노즐(110) 부분이 자외선에 의하여 살균되도록, 제1 살균 등(120)은 출수 노즐(110)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1 반경은 1 내지 5 센티미터(cm, centimeter)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살균 등(120)은 자외선을 방사하는 UV(Ultra Violet)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살균 등(120)으로 UV-A, UV-B 또는 UV-C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UV-A LED는 315 내지 380 나노미터(nm, nanometer)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며, UV-B LED는 280 내지 315 나노미터의 자외선을 방사하고, UV-C LED는 250 내지 280 나노미터의 자외선을 방사하며, 파장이 짧을수록 투과력이 높아 세균, 바이러스 등의 살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블러 수전(100)은 제1 살균 등(120)으로 UV-C LED를 사용하여 높은 살균력을 제공하는 것을 최선의 선택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UV-C LED의 불빛은 직접 바라보면 눈에 손상이 있을 수 있는바, 그보다 약한 UV-B나 UV-A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UV-B LED나 UV-A LED를 사용하더라도, 출수 노즐(110)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세균, 바이러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C LED를 사용하더라도 눈 등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다 약한 강도 또는 짧은 시간 동안만 UV-C LED를 구동할 수 있다. 이렇게 약한 강도 또는 짧은 시간 동안 UV-C를 구동해도, 출수 노즐(110)에 근접하여 UV-C LED가 배치되므로 세균 등을 제거는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블러 수전(100)의 출수 노즐(110), 제1 살균 등(120) 등의 배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버블러 수전(100)의 출수 노즐(110)은 위로 토출되는 물이 경사지게 배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음수할 수 있도록,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가 설치되는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L1)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T1)로 경사지게 몸체(13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 7도와 같이, 출수 노즐(110)에서 음수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L2)과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L1) 사이가 기설정된 제1 각도(T1)이 되도록 출수 노즐(1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출수 노즐(110)의 출수관(111)이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L1)에 기설정된 제1 각도(T1)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고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를 구성하는 버블러 수전(100)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그 내부의 단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수 노즐(110)은 상방으로 토출되는 음수 또는 식수가 직상방이 아닌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몸체(130)의 경사진 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유체가 연통되도록 출수 노즐(110)의 출수관(111)과 몸체(130) 내부에 구비되는 토출관(13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노즐(110)은 몸체(130)에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출수 노즐(110)의 출수관(111)을 지나는 가상의 선(L4)과 토출관(131)의 내부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3)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제1 각도(T1)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1 각도(T1)은 20도 내지 50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토출관(131) 내부에는 배출되는 음수 또는 식수를 살균하도록 제2 살균 등(121, 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살균 등(121)으로는 UV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UV-C, UV-B 또는 UV-A LED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살균 등(121)은 제1 살균 등(120)과는 달리 몸체(130) 내부의 토출관(13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시인이 되지 않으므로, 높은 살균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UV-C LED가 가장 최적의 LED로 선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블러 수전(100)의 연장 지지부(140)는 몸체(130)로부터 길게 연장되되, 출수 노즐(110)에서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출수 노즐(110)의 출수관(111)을 지나며 연장되는 가상의 선(L4)이하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수전 주변으로 세균,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상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서 버블러 수전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버블러 수전(100)의 주변에는 적외선, 초음파, 압력 감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람 등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30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 감지 센서(300)는 버블러 수전(100)마다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버블러 수전(100)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R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2 반경(R2)는 10 내지 30 센티미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사용되는 접근 감지 센서(300)의 종류에 따라 그 반경 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 방식의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전면 바닥에 설치되기 위하여 그 보다 더 넓은 범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접근 감지 센서(300)로 적외선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최적의 선택으로 보기에, 버블러 수전(100)의 전방으로 10 내지 30 센티미터 범위에 접근 감지 센서(300)가 위치하는 것을 최적의 실시 예로로 한다. 접근 감지 센서(300)에서의 접금 감지 신호 제공에 따른 제1 살균 등(120) 등의 가동 및/또는 정지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 11도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 설치된 버블러 수전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블러 수전(100)은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러 수전(100)의 출수 노즐(110)이 향하는 방향(F)과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가상의 선 사이의 각도가 기설정된 제2 각도(T2)가 되도록 버블러 수전(1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2 각도(T2)는 30 내지 80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살균 등(120)의 작동에 따른 자외선 빛이 외부에 인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토출되는 식수 또는 음수에 의하여 사용자의 옷 등이 물에 적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12도 및 도면 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 구비되는 콕크 수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도면 12도는 콕크 수전의 외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13도는 콕크 수전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는 버블러 수전(100)외에 추가로 콕크 수전(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콕크 수전(200)은 식수 또는 음수를 아래로 토출하며, 사용자는 컵 등을 이용하여 이를 받아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콕크 수전(200)은 내부에 제3 살균 등(22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3 살균 등(220)을 이용하여 음수가 출수되는 관 내부를 살균하거나, 출수되는 동안의 음수 또는 식수에 살균력을 제공하여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콕크 수전(200)에서, 출수관보다 깊은 토출관에는 제4 살균 등(221, 미도시)이 더 높은 살균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제3 살균 등(220), 제4 살균 등(221)은 UV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UV-C, UV-B 또는 UV-A LED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3 살균 등(220)과 제4 살균 등(221)은 제1 살균 등(120)과는 달리 콕크 수전(20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시인이 되지 않으므로, 높은 살균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UV-C LED가 가장 최적의 LED로 선택될 수 있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각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는 외부에서 인식 가능한 버블러 수전(100), 콕크 수전(200), 제1 살균 등(120), 접근 감지 센서(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제2 살균 등(121), 시각 확인부(400), 제어부(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근 감지 센서(300)는 사람 등이 일정한 범위 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적외선, 초음파, 압력 감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각 확인부(400)는 현재의 시각을 확인하여 제어부(5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접근 감지 센서(300), 시각 확인부(400)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 각종 버튼 등에서 수신되는 신호 등을 수신하여 버블러 수전(100), 콕크 수전(200) 및/또는 제1 내지 제4 살균 등의 가동 및/또는 정지 여부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버블러 수전(100)의 출수 노즐(110)에 유체가 토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제1 살균 등(120)이 가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설정된 제1 시간은 3분 내지 10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살균 등(120)이 기설정된 주기로 가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설정된 주기는 3시간 내지 5시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500)는 제1 살균 등(120)을 가동하는 과정 중에, 시각 확인부(400)를 통하여 확인된 시간이 학생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8시 내지 19시인 경우에는 제1 살균 등(120)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야간에만 제1 살균 등(120)이 가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버블러 수전(100) 등의 청결이 유지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면서도, 이를 학생 등의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순서도를 통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서 살균 등이 가동되고 정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구동 방법은 작동 버튼 등이 눌러짐에 따라 버블러 수전(100)에서 유체가 토출된 이후에(S1-1), 이러한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부터 수행될 수 있다(S1-2). 사용자 등이 출수 노즐(110)에서 토출된 식수 또는 음수의 섭취를 끝내서 출수 노즐(110)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S1-2), 제어부(500)는 출수 노즐(110) 주변의 세균, 바이러스 등을 박멸하도록 제1 살균 등(120)을 가동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제1 살균 등(120)이 가동된지 기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고(S1-4), 기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되면 제1 살균 등(120)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1-6). 여기서, 기설정된 제1 시간은 3분 내지 10분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출수 노즐(110)에 근접하여 제1 살균 등(120)이 배치되므로 이렇게 짧은 시간 동안 제1 살균 등(120)이 작동하더라도 출수 노즐(110) 주변의 세균,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만일, 제1 살균 등(120)이 가동되고 있는 도중에 제어부(500)가 접근 감지 센서(300)로 접금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S1-5), 제어부(500)는 곧바로 제1 살균 등(120)의 가동을 정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버블러 수전(100) 주변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자외선을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유체가 버블러 수전(100)의 출수 노즐(110)을 통하여 토출되는 과정 이전 또는 이후에, 버블러 수전(100)의 내부에서도 제공되는 물 등에 대한 살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살균 등(121)이 가동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전 주변에 세균, 바이러 등이 잔존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에서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은 제1 살균 등(120)이 학생 등의 사용자가 없거나 사용자가 적은 야간에만 작동되도록, 시각 확인부(400)에서 제공되는 시간에 따라 제1 살균 등(120)이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 확인부(400)에서 제공되는 현재 시각을 제어부(500)가 수신하고(S2-1), 현재 시간이 8시 내지 19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S2-2), 제어부(500)가 제1 살균 등(120)이 가동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S2-3).
이러한 방법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1000)의 수전 주변으로 세균,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상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대용량 정수기
11 : 콕크형 수도꼭지
12 : 버블러형 수도꼭지
100 : 버블러 수전
110 : 출수 노즐
111 : 출수관
120 : 제1 살균 등
121 : 제2 살균 등
130 : 몸체
131 : 토출관
140 : 연장 지지부
200 : 콕크 수전
220 : 제3 살균 등
221 : 제4 살균 등
300 : 접근 감지 센서
400 : 시각 확인부
1000 :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Claims (33)

  1. 버블러(bubbler)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로서,
    상기 버블러 수전은
    출수 노즐(nozzle);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 안에 위치하는 제1 살균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은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러 수전은
    상기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살균 등이 상기 출수 노즐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지지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의 중심을 지나며 연장되는 가상의 선 이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반경은 1 내지 5 센티미터(centimeter)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러 수전은
    내부에 토출관을 구비한 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출관에는 제2 살균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 등과 상기 제2 살균 등은 UV(Ultra Violet)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V LED는 UV-C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2.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각도는 20 내지 50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러 수전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접근 감지 센서(sens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2 반경은 10 내지 30 센티미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2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2 각도는 30 내지 80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8.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된 이후 기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 등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시간은 3분 내지 10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감지 센서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21. 버블러 수전의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는 단계;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 이후에,
    기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버블러 수전의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가 토출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2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살균 등이 가동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근 감지 센서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살균 등의 가동이 정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 등은 상기 출수 노즐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반경안에 위치하며,
    상기 기설정된 제1 반경은 1 내지 5 센티미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버블러 수전의 몸체 내부의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의 출수관은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선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버블러 수전의 몸체 내부의 토출관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각도는 20도 내지 50도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1 살균 등은 UV-A, UV-B 또는 UV-C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러 수전에는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살균 등이 상기 출수 노즐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지지부는 상구 출수 노즐의 출수관의 중심을 지나며 연장되는 가상의 선 이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상기 버블러 수전로부터 기설정된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접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초음파, 압력 감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기설정된 제2 반경은 10 내지 30 센티미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전기 냉ㆍ온수기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가상의 선과 기설정된 제2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기설정된 제2 각도는 30 내지 80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시간은 3분 내지 10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의 구동 방법.

KR1020210103532A 2021-08-06 2021-08-06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22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532A KR20230022337A (ko) 2021-08-06 2021-08-06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532A KR20230022337A (ko) 2021-08-06 2021-08-06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37A true KR20230022337A (ko) 2023-02-15

Family

ID=8522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532A KR20230022337A (ko) 2021-08-06 2021-08-06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23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300B1 (ko) * 2023-04-21 2023-12-21 구종철 광케이블을 이용한 살균소독용 음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300B1 (ko) * 2023-04-21 2023-12-21 구종철 광케이블을 이용한 살균소독용 음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91254B2 (en) Disinfecting device having power supply means and fluid outlet
US8872130B1 (en) UVC water purifier system and method
US6766097B2 (en) UV portal-based appliances and containers
KR101199558B1 (ko) 멸균 냉온수 공급기기
JP2002364055A (ja) 衛生洗浄便座装置
KR20230022337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3174477U (ja) ウォーターサーバ
KR20230022338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00342U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98161A (ko)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된 키오스크
KR20200076077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20240000705U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76200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살균 디스펜서
KR20140005693A (ko) 카드 살균기
KR102391178B1 (ko)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US20210308305A1 (en) Uv sanitisation device
KR200338582Y1 (ko)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KR102414161B1 (ko) 대형차량용 실시간 소독형 손잡이장치 및 그 소독방법
KR20200091133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102617300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살균소독용 음수대
US11871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rink sterilization unit
KR20140075563A (ko) 칫솔 살균장치
KR200376566Y1 (ko) 컵살균기가 구비된 숙박업소용 자판기
KR101227429B1 (ko) 자외선 살균을 이용한 비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20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111

Effective date: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