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967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967B1
KR101100967B1 KR1020090117958A KR20090117958A KR101100967B1 KR 101100967 B1 KR101100967 B1 KR 101100967B1 KR 1020090117958 A KR1020090117958 A KR 1020090117958A KR 20090117958 A KR20090117958 A KR 20090117958A KR 101100967 B1 KR101100967 B1 KR 10110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water intake
drain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341A (ko
Inventor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9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며 본체에 내장되는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에서 배출되는 정수의 통로가 되는 취수 배관과, 상기 취수 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취수 코크와, 상기 취수 배관을 포함한 상기 정수의 유로를 세척 또는 소독한 드레인수를 수용하는 드레인 배관과, 상기 취수 코크가 상기 정수를 배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드레인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취수 코크와 상기 드레인 배관이 서로 대면되는 제2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살균 및 드레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정수기는 물을 저수하고 여과하는 본체와 취수 코크가 취수 배관으로 연결되고, 온수를 취수할 때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취수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취수 배관에 적체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배관은 상기 취수 코크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취수 배관을 포함한 상기 본체를 소독하고자 할 때 소독제와 물 또는 고온수를 배출시키는 통로로도 활용된다.
상기 드레인 배관과 상기 취수 코크와의 분기점에는 상기 드레인 배관 또는 상기 취수 코크측을 향하는 물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류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류가 상기 드레인 배관측으로 향하는 유로를 개방하여 소독제와 물 또는 고온수의 배출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 정수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완벽한 소독이 힘든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정수기는 상기 밸브류에서 상기 취수 코크측으로 향하는 상기 취수 배관의 구간은 소독제와 물 또는 고온수와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완벽한 소독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는 온수 또는 냉수를 사용자가 취수하고자 할 때 상기 밸브류에서 상기 취수 코크까지의 구간에 적체된 물로 인하여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얻지 못하여 상기 적체된 물을 일정 정도 흘려 보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독과 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즉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며 본체에 내장되는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에서 배출되는 정수의 통로가 되는 취수 배관과, 상기 취수 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취수 코크와, 상기 취수 배관을 포함한 상기 정수의 유로를 세척 또는 소독한 드레인수를 수용하는 드레인 배관과, 상기 취수 코크가 상기 정수를 배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드레인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취수 코크와 상기 드레인 배관이 서로 대면되는 제2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드레인수가 상기 제2 위치로 배출되게 상기 취수 코크를 경사지게 회동시킨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취수 코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 배관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왕복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취수 코크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 여부, 상 기 취수 코크 주변의 소음, 상기 취수 코크 주변의 온도 변화, 상기 취수 코크 주변의 조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입수한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취수 배관과 취수 코크 사이에 장착되는 이동 유닛 또는 이동 유닛에 의하여 상기 취수 코크와 드레인 배관을 연결시켜 소독 및 적체된 물을 배출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소독시에는 상기 취수 코크를 포함한 배관 전체에 소독제가 접촉되어 완벽한 소독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하여 취수코크를 경사지게 회동하거나 드레인 배관을 왕복 이동시켜 상기 취수 코크측까지 상기 취수 배관 내에 적체된 물을 상기 드레인 배관을 통해 자동 배출시키고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즉시 취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 배관(100)과, 취수 코크(200)와, 이동 유닛(300)과, 드레인 배관(500) 및 필터 유닛(800)을 포함한다.
참고로, 필터 유닛(800)은 도 2에만 도시하였고, 나머지 도면에는 도면 이해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취수 배관(100)은 본체(400)에 내장된 저수통(이하 미도시) 및 후술할 필터 유닛(800)과 연결되어 취수용의 물을 이동시키는 경로로 마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저수통에 소독제를 투입하고 취수 배관(100)에 상기 소독제가 혼합된 물을 통류시키거나, 상기 기계 또는 전자 부품 등을 가동시켜 상기 저수통의 물을 가열하여 고온수를 취수 배관(100)을 통해 통류시킴으로써 소독 또는 살균을 행할 수 있다.
취수 코크(200)는 취수 배관(100)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꼭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동 유닛(300)은 취수 코크(200)가 후술할 필터 유닛(800)을 통과한 정수를 배출하는 제1 위치와, 후술할 드레인 배관(500)으로 드레인수가 배출되도록 취수 코크(200)와 후술할 드레인 배관(500)이 서로 대면되는 제2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이동 유닛(300)의 이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관 하여는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드레인 배관(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유닛(300)에 의하여 경사지게 회동된 취수 코크(200)의 단부와 연통되어 취수 코크(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임시 저수조(미도시) 또는 소독용으로 재사용되도록 통류시키기 위한 유로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즉시 취수하고자 하면 취수 배관(100) 내에 적체된 물을 흘려보내야 하므로, 이동 유닛(300)를 조작하여 취수 코크(200)를 경사 회동시킨 다음 드레인 배관(500)으로 배출시킨 후에 취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취수 배관(100)을 포함하는 각종 배관 내의 소독 또는 살균을 하고자 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 유닛(300)를 조작하여 드레인 배관(500)을 통하여 물을 통류시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유닛(800)은 원수를 여과하며 본체(400)에 내장되어 취수 코크(200)측으로 원수가 여과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용 및 실시가 가능하며,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주요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우선, 취수 배관(100)과 연결되는 취수 코크(200)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레버 또는 누름 버튼가 장착되어 상기 레버 또는 누름 버튼을 조작하여 유로를 개방하면 취수가 가능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동 유닛(300)은 취수 배관(100)과 취수 코크(200) 사이에 장착되어 취수시에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드레인시킬 때는 후술할 드레인 배관(500)과 연결되게 취수 코크(200)를 제2 위치로 경사지게 회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동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즉시 취수하고자 하거나 소독 또는 살균을 위하여 소독제가 혼합된 물을 통류시키고자 할 때 취수 코크(200)를 경사지게 회동시키기 위하여 브라켓(310)과 힌지(320)를 포함한다.
브라켓(310)은 취수 배관(100) 단부에 장착되어 취수 코크(200)를 지지하며, 힌지(320)는 브라켓(310)의 단부와 취수 배관(100)을 연결하여 틸팅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 유닛(300)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나,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400)에 제어 유닛(600)가 포함된다.
제어 유닛(600)는 사용자의 근접에 따른 취수 코크(200) 주변의 소음, 온도의 변화 또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동 유닛(300)가 취수 코크(200)를 자동적으로 회동시켜 드레인 배관(500)측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체(400)에 장착되고, 감지부(610)와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감지부(610)는 취수 코크(200) 주변의 소음, 온도의 변화 또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취수 코크(200)의 틸팅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킨다.
감지부(610)는 취수 코크(200) 주변의 소음, 즉 사용자의 발소리와 인기척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단순한 소음인지 취수 목적으로 취수 코크(200) 주변에 근접하는 사용자에 의한 소음인지를 판단하는 데이터를 입력해두고 비교 검출에 의 한 틸팅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감지부(610)는 취수 목적으로 근접하는 사용자의 소음과 기타 단순한 소음과의 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이동 유닛(300)의 틸팅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킬 수 있다.
감지부(610)는 이외에 취수 목적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주위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거나 취수 코크(200) 주변의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착안하여 이동 유닛(300)의 틸팅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감지부(610)는 제작 환경과 출시하는 제품의 등급에 따라 상기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제어부(620)는 감지부(61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신호에 의하여 취수 코크(200)를 도 2와 같이 틸팅시켜 드레인 배관(500)으로 물을 배출시킨 후 도 1과 같이 원위치 복귀시키는 신호를 이동 유닛(300)에 전달한다.
이외에 제어 유닛(600)은 본체(400)를 통하여 소독제를 투입하거나 상기 저수조의 물을 가열시키고, 제어부(620)를 바로 작동시켜 취수 배관(100) 및 취수 코크(200)를 통하여 소독제가 혼합된 물을 통류시키거나 고온수를 통류시킴으로써 소독 또는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사용자가 근접하면 이동 유닛(300)가 작동되어 드레인 배관(500)으로 물이 배출되면서 취수 코크(200)를 통한 취수가 준비중임을 소리, 빛,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알리는 표시기(63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630)는 소리 또는 빛으로 취수가 준비중임을 알릴 수 있 음은 물론 청각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에게는 문자 또는 도형으로 알기 쉽게 '취수 준비 중' 또는 '취수 준비 완료' 등과 같은 메세지나 연상이 가능한 도형 등을 표시토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 유닛(800)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필터 헤드(81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필터(820, 830, 840, 850)가 장착된다.
필터(820, 830, 840, 850)는 대략 침전처리, 선카본 처리, 중공사막여과/역삼투막여과, 후카본 처리의 순으로 정수처리를 실시하며, 각각의 여과 과정은 각각의 필터(820, 830, 840, 850)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처리에서는 부피가 큰 침전물을 침전필터(820)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선카본 처리에서는 원수, 즉 수돗물 속의 염소를 선카본 필터(830)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중공사막여과/역삼투막여과는 상기 중공사막여과와 상기 역삼투막여과를 전부 실시하거나 선택하여 하나만 실시할 수 있으며, 중공사막여과필터 또는 역삼투막여과필터(840)를 이용하여 상기 중공사막여과/역삼투막여과에서는 각종 중금속 유기화학 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후카본 처리는 물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라믹, 실버카본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원수를 최종 여과하며 후카본 필터(850)에 의하여 실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이동 유닛(700)를 채용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400)와 연결되는 취수 배관(100)과, 취수 배관(100) 단부의 취수 코크(200)와, 취수 코크(200) 단부측의 드레인 배관(500)과, 드레인 배관(500)의 단부에 장착되는 이동 유닛(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취수 배관(100)과, 취수 코크(200)와, 본체(400)와, 드레인 배관(500) 및 필터 유닛(800)의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동 유닛(700)은 취수 코크(200)와 대면하는 드레인 배관(500)의 단부에 장착되어 취수 코크(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하는 것으로 기대(710)와, 이동몸체(720)를 포함한다.
이동 유닛(700)는 본체(400)로부터 물을 배출시킬 때, 즉 소독용 또는 희망 온도의 물을 즉시 취수하고자 할 때 취수 코크(200)와 드레인 배관(500)이 연통되게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기대(710)는 본체(400)로부터, 즉 취수 코크(200)와 드레인 밸브(500) 사이에서 돌출되고 상면을 따라 레일(712)이 마련되고, 레일(712)을 따라 후술할 이동몸체(720)가 왕복한다.
이동몸체(720)는 레일(712)에 장착되어 왕복하며 취수시에 취수 코크(200)와 연결되어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취수구(722)와, 드레인시에 드레인 배관(500)과 연결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드레인구(724)가 형성된 것이다.
드레인구(724)는 드레인 배관(500)과 연결된 상태이며, 평상시(제1 위치)에 는 도 3과 같이 취수구(722)가 취수 코크(200)의 단부측과 연통되게 위치하며, 드레인 배관(500)측으로 물을 배출시키고자 하면(제2 위치) 도 4와 같이 이동몸체(720)가 레일(7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취수 코크(200)의 단부측과 연통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 유닛(700)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나,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400)에 제어 유닛(600)이 포함된다.
제어 유닛(600)는 사용자의 근접에 따른 취수 코크(200) 주변의 소음, 온도의 변화 또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동 유닛(700)를 이동시켜 드레인 배관(500)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체(400)에 장착되며, 감지부(640)와, 제어부(650)를 포함한다.
감지부(640)는 취수 코크(200) 주변의 소음, 온도의 변화 또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동몸체(720)의 이동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킨다.
감지부(640)는 취수 코크(200) 주변의 소음, 즉 사용자의 발소리와 인기척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단순한 소음인지 취수 목적으로 취수 코크(200) 주변에 근접하는 사용자에 의한 소음인지를 판단하는 데이터를 입력해두고 비교 검출에 의한 이동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감지부(640)는 취수 목적으로 근접하는 사용자의 소음과 기타 단순한 소음과의 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이동몸체(720)의 이동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킬 수 있다.
감지부(640)는 이외에 취수 목적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주위 온도 의 변화가 발생하거나 취수 코크(200) 주변의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착안하여 이동몸체(720)의 이동 여부를 신호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감지부(640)는 제작 환경과 출시하는 제품의 등급에 따라 상기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제어부(650)는 감지부(64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신호에 의하여 이동몸체(720)를 도 4와 같이 이동시켜 드레인 배관(500)으로 물을 배출시킨 후 도 3과 같이 원위치 복귀시키는 신호를 이동몸체(720)에 전달한다.
이외에 제어 유닛(600)은 본체(400)를 통하여 소독제를 투입하거나 상기 저수조의 물을 가열시키고, 제어부(650)를 바로 작동시켜 취수 배관(100) 및 취수 코크(200)를 통하여 소독제가 혼합된 물을 통류시키거나 고온수를 통류시킴으로써 소독 또는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는 사용자가 근접하면 이동 유닛(700)가 작동되어 드레인 배관(500)으로 물이 배출되면서 취수 코크(200)를 통한 취수가 준비중임을 소리, 빛,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알리는 표시기(66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660)는 소리 또는 빛으로 취수가 준비중임을 알릴 수 있음은 물론 청각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에게는 문자 또는 도형으로 알기 쉽게 '취수 준비 중' 또는 '취수 준비 완료' 등과 같은 메세지나 연상이 가능한 도형 등을 표시토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몸체(72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대(710)와의 조합을 LM 가이드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레 일(7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어이를 형성한 랙과 이동몸체(720)에 정, 역회전하는 피니언을 장착한 조합으로 실시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몸체(720)의 동작은 제어부(650)에 의하여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독과 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며, 희망하는 온도의 물을 즉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취수 배관 200...취수 코크
300, 700...이동 유닛 400...본체
500...드레인 배관 600...제어 유닛
800...필터 유닛

Claims (10)

  1. 원수를 여과하며 본체에 내장되는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에서 배출되는 정수의 통로가 되는 취수 배관;
    상기 취수 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취수 코크;
    상기 취수 배관을 포함한 상기 정수의 유로를 세척 또는 소독한 드레인수를 수용하는 드레인 배관; 및
    상기 취수 코크가 상기 정수를 배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드레인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취수 코크와 상기 드레인 배관이 서로 대면되는 제2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드레인수가 상기 제2 위치로 배출되게 상기 취수 코크를 경사지게 회동시키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취수 코크가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단부와 상기 취수 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브라켓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취수 코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 배관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왕복시키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취수 코크와 상기 드레인 배관 사이에 마련되며 레일이 형성된 기대와,
    상기 드레인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왕복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취수 코크와 대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드레인 배관과 대면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취수 코크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 여부, 상기 취수 코크 주변의 소음, 상기 취수 코크 주변의 온도 변화, 상기 취수 코크 주변의 조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입수한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입수한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취수 코크를 상기 제2 위치로 틸팅시켜 상기 드레인 배관으로 상기 드레인수를 배출하고, 상기 취수 코크를 상기 제1 위치로 원위치 복귀시키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입수한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취수코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드레인수를 상기 드레인 배관으로 배출하고, 상기 취수 코크를 상기 제1 위치로 직선 이동시켜 원위치 복귀시키는 정수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코크에 접근하되 상기 사용자가 기준 거리 밖에 위 치하는 것을 상기 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취수 코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드레인수를 상기 드레인 배관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거리 안으로 접근하는 것을 상기 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취수 코크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정수의 배출을 준비하고 소리 또는 빛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거리 안으로 접근하면 상기 취수 코크가 상기 정수의 배출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소리, 빛, 문자 및 도형으로 알리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090117958A 2009-12-01 2009-12-01 정수기 KR10110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58A KR101100967B1 (ko) 2009-12-01 2009-12-01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58A KR101100967B1 (ko) 2009-12-01 2009-12-01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341A KR20110061341A (ko) 2011-06-09
KR101100967B1 true KR101100967B1 (ko) 2011-12-29

Family

ID=4439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958A KR101100967B1 (ko) 2009-12-01 2009-12-01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9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928A (ko)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속 냉각 장치
KR20190085446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464B1 (ko) * 2014-08-13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645093B1 (ko) * 2014-08-18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72502B1 (ko) * 2016-05-02 2023-08-30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82Y1 (ko) 2003-10-21 2004-01-16 정애숙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KR100455600B1 (ko) 2004-01-16 2004-11-06 심종섭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KR200372557Y1 (ko) 2004-07-28 2005-01-14 심종섭 음용수 공급장치의 냉수꼭지 살균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82Y1 (ko) 2003-10-21 2004-01-16 정애숙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KR100455600B1 (ko) 2004-01-16 2004-11-06 심종섭 배출꼭지 살균처리가 가능한 먹는 물 공급장치
KR200372557Y1 (ko) 2004-07-28 2005-01-14 심종섭 음용수 공급장치의 냉수꼭지 살균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928A (ko)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속 냉각 장치
KR102204908B1 (ko) * 2014-01-23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속 냉각 장치
KR20190085446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KR102085414B1 (ko) 2018-01-10 2020-03-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341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967B1 (ko) 정수기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TW200407265A (en) Water treatment system combining ozone injection apparatus and monitoring apparatus
CN201809183U (zh) 带伸缩出水口、显示滤芯寿命和换芯提示、自冲洗的因水换芯净水器
TWI418776B (zh) Water Purifier
KR101988950B1 (ko) 물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027722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0927149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7141608A (ja) 水栓装置
KR10178033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JP2004293207A (ja) 水栓装置
KR102462594B1 (ko)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WO2021062935A1 (zh) 一种净水机
JP2009215792A (ja) 水栓および水栓装置
KR101700932B1 (ko) 씽크대 수전 연결형 정수기
KR200420880Y1 (ko)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DE502006000003D1 (de) Rückspülbare Filtereinrichtung mit Strömungsstörkörpern
KR20050121371A (ko) 언더싱크형 정수기
KR20090083813A (ko) 정수기
CN213327103U (zh) 一种城镇污水安全消毒处理设备
JP5582492B2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