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464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464B1
KR101601464B1 KR1020140105014A KR20140105014A KR101601464B1 KR 101601464 B1 KR101601464 B1 KR 101601464B1 KR 1020140105014 A KR1020140105014 A KR 1020140105014A KR 20140105014 A KR20140105014 A KR 20140105014A KR 101601464 B1 KR101601464 B1 KR 10160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ck
movable member
ho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107A (ko
Inventor
조성식
최도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4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기구는, 제1코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코크를 구비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2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되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1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36615호(공개일 2014.03.15.)에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 정수기는, 내부 디스펜서와 외부 디스펜서를 구비한다. 외부 디스펜서에는 코크가 구비된다. 상기 코크는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는 내부 디스펜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코크 헤더와, 상기 코크 헤더에 연결되는 코크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코크 바디의 말단에는 코크가 구비된다.
상기 코크 헤더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코크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의하면, 내부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코크 헤더의 회전에 의해서 코크의 높이가 가변되더라도, 도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내부 디스펜서 공간에 용기를 위치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높이가 다른 용기로 물을 공급할 수는 있으나, 내부 디스펜서 공간에 용기가 위치되어야 하므로, 수평 단면적이 넓은 용기의 경우 내부 디스펜서 공간에 위치될 수 없으므로 수평 단면적에 따라 용기의 사용제한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크 헤더에 다수의 코크 바디를 연결하더라도, 각 코크 바디의 손잡이 출수 버튼이 존재하고, 코크 헤더 내에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전자적인 밸브가 구비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밸브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형태에 따른 제약없이 물을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기구는, 제1코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코크를 구비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2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되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1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코크는 상기 제1코크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코크와 상기 유입부가 연통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코크와 상기 유입부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홀과 상기 제2코크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1연통홀과, 상기 제1연통홀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와, 상기 제1코크와 연통될 수 있는 제2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로를 유동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배출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홀과 상기 유입홀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제1코크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유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홀 측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유입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코크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제1코크 사이에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은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는 가동바디와, 상기 가동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코크로 물을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물 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연통홀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 사이에 상기 물 입구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가동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따라 상기 유입부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러와,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가동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따라 상기 제1코크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기구는, 상기 가동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바디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홀과 상기 제1연통홀 및 제2연통홀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기구는, 제1코크와 유입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제2코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코크에서 물이 배출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코크 측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제1코크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제1코크의 위치는 일정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2코크와 상기 본체의 거리는 상기 가동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2코크와 상기 본체의 거리 보다 길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기구는, 제1코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코크를 구비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2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되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1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2코크 간의 거리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2코크 간의 거리 보다 길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가동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고,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물이 배출되는 제2코크가 제1코크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코크로부터 배출된 물을 담기 위한 용기의 크기의 제약이 줄어들게 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물을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이 배출될 코크의 선택을 위한 버튼이나 코크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적인 밸브 없이 단지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코크 또는 제2코크로 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정수기의 비용이 줄어들고,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기구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 배출기구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물 배출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기구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물 배출기구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기(1)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본체(10)가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필터부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정수기(1)의 기능에 따라서 정수나, 냉수나 또는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코크(216, 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기구(20)는 복수의 코크(216, 228)의 상대 위치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물 배출기구(2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코크(216, 228)에서의 물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복수의 코크(216, 228) 중 제1코크(216)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코크(228)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코크(216, 218)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평 단면적이 비교적 작은 용기(C1)에 물을 담을 수 있다.
반면, 도 2와 같이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복수의 코크(216, 228) 중 제2코크(228)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코크(216)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코크(216)와 상기 제2코크(228)는 상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코크(228)가 상기 제1코크(216)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수평 단면적이 비교적 큰 용기(C2)에 물을 담을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코크(228)와 상기 본체(10)의 전면과의 거리가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제2코크로부터 배출된 물을 담기 위한 용기(C2)의 크기의 제약이 줄어들게 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물을 담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된 제3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위치는 도 1의 제1위치를 기준으로 물 배출기구가 180도 회전된 위치이다.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제3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코크(216, 228) 중 제1코크(216)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코크(228)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물받이(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 배출기구(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물 배출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10)는, 제1코크(216)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동부재(220)는 제2코크(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유입부(215)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코크(216)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유입부(215)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동부재(220)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11)은 상기 유입부(215)와 상기 제1코크(2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가동부재(2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12)은 상기 유입부(215)와 상기 제1코크(2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에서 상기 배출홀(211)과 상기 유입홀(212)은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재(210)에서 상기 배출홀(211)과 상기 유입홀(212)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유입부(2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홀(211) 측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유입홀(212)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코크(216) 측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13)에 의해서 상기 유입부(2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코크(216)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유입홀(212)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홀(21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213)는 상기 고정부재(210) 내부에 상기 유입부(215)와 상기 배출홀(211)을 연통시키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홀(212)과 상기 제1코크(216)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210)에는 상기 가동부재(220)가 제1위치 또는 제3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2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가동부재(220)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패킹부재(243, 24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에는 상기 복수의 패킹부재(243, 244)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킹부재(243, 244) 각각은 상기 고정부재(210)에서 상기 배출홀(211)과 상기 유입홀(212) 사이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킹부재(243, 244) 각각은 실링을 위한 실링 돌기(24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돌기(245)는 후술할 가동부재(220)의 가동바디(221)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코크(216)에는 코크 데코부재(217)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코크 데코부재(217)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일부를 감싸는 가동바디(221)와, 상기 가동바디(22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코크(228)로 물을 안내하는 안내관(2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220)는 상기 안내관(226)에 결합되는 물 배출관(2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바디(221)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2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바디(221)는 상기 배출홀(211) 및 상기 유입홀(212)을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바디(221)에 상기 고정부재(210)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215) 및 상기 제1코크(216)는 상기 가동바디(22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동바디(221)는 상기 배출홀(211)과 연통될 수 있는 물 입구(22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관(227)에는 상기 제2코크(2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관(227)은 상기 안내관(226)에 접착제 또는 열 융착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코크(228)가 상기 안내관(226)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코크(228)에는 코크 데코부재(229)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코크 데코부재(229)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동바디(221)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제1연통홀(223) 및 제2연통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바디(221)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연통홀(223)과 상기 제2연통홀(224) 사이에 상기 물 입구(226a)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통홀(223)과 상기 제2연통홀(224)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221)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제1연통홀(223)과 상기 제2연통홀(22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배출홀(211)과 연통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유입홀(21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가동바디(221)는 상기 제1연통홀(223)과 상기 제2연통홀(224)을 연결하는 유로(225a)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225)는 상기 가동바디(22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동바디(211)의 유로 가이드(225)에는 상기 유로(225a)를 커버하는 유로 커버(2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250)는 일 예로 상기 유로 가이드(225)에 접착제 또는 열 융착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고정부재(210)의 외주면과 상기 가동바디(221)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유입부(215) 측으로 누설되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한 제1실러(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고정부재(210)의 외주면과 상기 가동바디(221)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코크(216)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러(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러(241)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기구(2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일부가 상기 가동바디(221)의 수용부(2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바디(221)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 링(2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크(216)는 상기 고정 링(246)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링(246)이 상기 가동바디(2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바디(221)의 상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 배출기구의 위치에 따른 물 배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도 2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가동부재(220)의 물 입구(226a)가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과 정렬된다. 즉, 상기 가동부재(220)의 물 입구(226a)가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가 연통된다.
반면, 상기 제1연통홀(223) 및 상기 제2연통홀(224) 각각은 패킹부재(243, 244)에 의해서 커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과 상기 제1연통홀(223) 및 상기 제2연통홀(224)의 연통은 차단된다.
또한, 상기 유입홀(212)은 상기 가동바디(221)에 의해서 커버된다.
따라서,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도 2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유입부(2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부(213)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배출홀(211)로 유동하고 상기 물 입구(226a)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2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2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안내관(226)을 따라 유동된 후에 상기 제2코크(228)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도 2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 용기의 크기 제약이 줄어들게 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물을 담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상기 물 배출기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즉,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20)를 도 1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상기 가동부재(220)의 제1연통홀(223)이 상기 배출홀(211)과 정렬되고, 상기 가동부재(220)의 제2연통홀(224)이 상기 유입홀(212)과 정렬된다. 즉, 상기 가동부재(220)의 제1연통홀(223)이 상기 배출홀(211)과 연통되고, 상기 가동부재(220)의 제2연통홀(224)이 상기 유입홀(212)과 연통된다.
반면, 상기 가동부재(220)의 물 입구(226a)는 복수의 패킹부재(243, 243) 중 어느 한 패킹부재(243)에 의해서 커버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220)의 물 입구(226a)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배출홀(211)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그러면, 상기 유입부(2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부(213)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배출홀(211)로 유동하고 상기 제1연통홀(223)을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20)의 유로(225a)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225a)를 유동한 물은 상기 제2연통홀(224)을 지나 상기 유입홀(212)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2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10)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부(213)에 의해서 가이드된 후에 상기 제1코크(2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제1코크로 물이 배출될 때에는 상기 가동부재(220)는 상기 배출홀(211)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유입홀(212)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시켜, 상기 물 배출기구(20)가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부재(220)의 제2연통홀(224)이 상기 배출홀(211)과 정렬되고, 상기 가동부재(220)의 제1연통홀(223)이 상기 유입홀(212)과 정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가동부재(220)의 물 입구(226a)는 복수의 패킹부재(243, 243) 중 어느 한 패킹부재(244)에 의해서 커버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부(2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부(213)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배출홀(211)로 유동하고 상기 제2연통홀(224)을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20)의 유로(225a)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225a)를 유동한 물은 상기 제1연통홀(223)을 지나 상기 유입홀(212)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2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10)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부(213)에 의해서 가이드된 후에 상기 제1코크(2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배출될 코크의 선택을 위한 버튼이나 코크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적인 밸브 없이 단지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코크 또는 제2코크로 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정수기의 비용이 줄어들고,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물 배출기구
210: 고정부재 211: 배출홀
212: 유입홀 213: 가이드부
215: 유입부 216: 제1코크
220: 가동부재 221: 가동바디
223: 제1연통홀 224: 제2연통홀
225a: 유로 226: 안내관
226a: 물 입구 228: 제2코크
250: 유로 커버

Claims (16)

  1.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기구는, 제1코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코크를 구비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2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되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코크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1코크에서의 물 배출은 차단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2코크 간의 거리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2코크 간의 거리 보다 긴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코크는 상기 제1코크의 전방에 위치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코크와 상기 유입부가 연통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코크와 상기 유입부가 연통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홀과 상기 제2코크가 연통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1연통홀과,
    상기 제1연통홀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와,
    상기 제1코크와 연통될 수 있는 제2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로를 유동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배출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홀과 상기 유입홀이 연통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제1코크와 연통되는 정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유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홀 측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유입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1코크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제1코크 사이에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이 배치되는 정수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은 반대편에 위치되는 정수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는 가동바디와,
    상기 가동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코크로 물을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물 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연통홀이 배치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 사이에 상기 물 입구가 위치되는 정수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가동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따라 상기 유입부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러와,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가동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따라 상기 제1코크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기구는, 상기 가동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바디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홀과 상기 제1연통홀 및 제2연통홀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정수기.
  16.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기구는, 제1코크와 유입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제2코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코크에서 물이 배출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코크 측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제1코크에서 물이 배출되고,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제1코크의 위치는 일정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2코크와 상기 본체의 거리는
    상기 가동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2코크와 상기 본체의 거리 보다 긴 정수기.
KR1020140105014A 2014-08-13 2014-08-13 정수기 KR10160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14A KR101601464B1 (ko) 2014-08-13 2014-08-1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14A KR101601464B1 (ko) 2014-08-13 2014-08-13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07A KR20160020107A (ko) 2016-02-23
KR101601464B1 true KR101601464B1 (ko) 2016-03-08

Family

ID=5544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014A KR101601464B1 (ko) 2014-08-13 2014-08-1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4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554A (ko) * 2008-01-24 2009-07-29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KR101100967B1 (ko) * 2009-12-0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30496B1 (ko) * 2012-09-1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07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0308C (en) Filter cartridge placement in filter as you pour system
CN105800070B (zh) 具有可扭转喷嘴单元的盖子及包括该盖子的容器组件
US6508379B1 (en) Leak-free drinking cup
AU2016102064A4 (en) Anti-drip showerhead
WO2007044346A3 (en) Rupture control system
RU2008149506A (ru) Двухканальный клапан
RU201512402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а и емкость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а
RU2017123080A (ru) Диспенсер
JP6730666B2 (ja) 湯水混合水栓
EP2644953B1 (en) Water mixing valve device
ITRM20080186A1 (it) Tappo di protezione per erogatori e contenitore comprendente tale tappo.
JP2010131234A (ja) 電気貯湯容器
EP2837427B1 (en) Refill system of a liquid container
ITMI20132072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con canna abbattibile
KR101645093B1 (ko) 정수기
KR101601464B1 (ko) 정수기
JP6349221B2 (ja) 計量容器
KR20210000147A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KR101878004B1 (ko) 음료수 서버
KR20130006021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배수구조 및 정수기
JP2009051550A (ja) 二連チューブ容器
KR20150003770U (ko) 텀블러
CN110878848B (zh) 冷热水混合水龙头
EP1654929A1 (en) Selector valve of a pressure filter for aquariums or ponds
KR102250271B1 (ko)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