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71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71B1
KR102250271B1 KR1020190141660A KR20190141660A KR102250271B1 KR 102250271 B1 KR102250271 B1 KR 102250271B1 KR 1020190141660 A KR1020190141660 A KR 1020190141660A KR 20190141660 A KR20190141660 A KR 20190141660A KR 102250271 B1 KR102250271 B1 KR 102250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charge control
protrusion
cover part
cu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이동관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9014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와, 컵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컵몸체의 내측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내캡부와, 내캡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조절부와, 배출조절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캡부와 컵몸체의 상측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출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부 및 제1커버부와 배출조절부를 연결하며 제1커버부와 함께 배출조절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도하지 않게 음료가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나 음료수는 음료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판매되거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음료용기(TUMBLER)와 같은 음료용기를 구매하여 음용하기 위한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기도 한다.
음료용기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컵이나 음료용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음료 용기에 컵 커버가 구비된 경우, 컵 커버는 출렁이는 음료가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컵을 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컵 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컵몸체에 들어 있는 음료가 컵몸체와 컵커버의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5217호(2013.08.27 공개, 발명의 명칭: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도하지 않게 음료가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와, 컵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컵몸체의 내측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내캡부와, 내캡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조절부와, 배출조절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캡부와 컵몸체의 상측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출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부 및 제1커버부와 배출조절부를 연결하며 제1커버부와 함께 배출조절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조절부와 제1커버부에 각각 설치되며, 배출공이 닫힌 상태에서 제1커버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제어부는, 배출조절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걸림홈을 구비하는 락킹돌기와,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는 열림모드에서 락킹돌기에 걸리는 제1돌기부 및 제1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되는 닫힘모드에서 락킹돌기에 걸려서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돌기부는, 제1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락킹돌기에 걸리는 제2돌기몸체 및 제2돌기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락킹돌기의 단부에 걸리고 닫힘모드에 위치하는 제1커버부가 열림모드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조절부는, 내캡부의 상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이동몸체 및 이동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캡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동몸체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커버부는,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 및 윙부재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배출공을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커버부는, 커버플레이트와 윙부재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며 컵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테두리부재와, 테두리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걸림단부의 하측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 및 테두리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걸림단부의 외측에 걸리는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커버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에 디자인이 구비되는 제2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배출조절부가 내캡부의 배출공을 막은 상태에서 제1커버부가 회전되어 닫힘모드가 되며,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므로 의도하지 않게 컵몸체의 외측으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가 폐쇄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가 개방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가 배출공을 막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가 배출공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가 패쇄모드일 때 배출공을 막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가 개방모드일 때 배출공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가 닫힘모드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열림모드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돌기와 제1돌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닫힘모드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돌기와 제2돌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가 폐쇄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가 개방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가 배출공을 막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가 배출공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12)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10)와, 컵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컵몸체(10)의 내측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공(22)을 구비하는 내캡부(20)와, 내캡부(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출공(22)을 개폐시키는 배출조절부(30)와, 배출조절부(30)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캡부(20)와 컵몸체(10)의 상측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출조절부(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부(40) 및 제1커버부(40)와 배출조절부(30)를 연결하며 제1커버부(40)와 함께 배출조절부(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는 제2커커부와 파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컵몸체(10)는 상측이 개구되어 입구부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12)을 형성한다. 또한 컵몸체(10)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걸림단부(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컵몸체(10)의 외측에는 파지부(8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8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종이나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내캡부(20)는 컵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컵몸체(10)의 내측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공(22)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캡부(20)는 배출공(22)과 슬라이드홈부(23)와 날개안내부(24)와 가이드홈부(25)를 포함한다.
내캡부(20)는 컵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컵몸체(10)의 상측에 걸리며, 내캡부(20)의 일측에는 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22)이 구비된다. 그리고 배출공(22)의 상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홈부(23)가 구비된다.
슬라이드홈부(23)는 배출조절부(30)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므로 배출조절부(30)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홈부(23)의 양측에는 배출조절부(30)의 날개부재(34)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날개안내부(24)가 설치된다.
날개안내부(24)는 슬라이드홈부(23)의 양측에 위치하며, 배출조절부(30)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배출조절부(30)의 날개부재(34)가 날개안내부(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배출조절부(3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날개안내부(24)의 상측에는 배출조절부(30)의 측면돌기(36)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홈부(25)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25)는 내캡부(20)의 상측과 단차를 이루며 홈을 형성하며, 이러한 가이드홈부(25)는 측면돌기(36)의 이동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배출조절부(3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조절부(30)는 내캡부(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출공(22)을 개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30)는, 이동몸체(32)와 날개부재(34)와 측면돌기(36)와 결합홈부(38)를 포함한다.
이동몸체(32)는 내캡부(20)의 슬라이드홈부(23)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캡부(20)에 구비된 배출공(22)을 개폐시킨다. 이러한 이동몸체(32)는 내캡부(20)의 상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공(22)을 개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날개부재(34)는 이동몸체(32)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캡부(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동몸체(32)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재(34)는 이동몸체(32)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며, 이동몸체(32)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날개부재(34)는 내캡부(20)의 날개안내부(24)로 삽입되어 직선 이동이 안내된다.
측면돌기(36)는 이동몸체(32)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홈부(25)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측면돌기(36)는 가이드홈부(25)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됨이 안내된다. 그리고 이동몸체(32)의 타측에는 연결부(50)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부(38)가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4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40)는 배출조절부(30)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캡부(20)와 컵몸체(10)의 상측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출조절부(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40)는, 커버플레이트(41)와 윙부재(42)와 배출홈부(43)와 테두리부재(44)와 가이드돌기(45)와 잠금돌기(46)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41)는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판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41)는 원형판 형상이며, 윙부재(42)는 커버플레이트(4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재(42)는 커버플레이트(41)의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배출홈부(43)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윙부재(42)가 커버플레이트(41)에 연결된다. 배출홈부(43)는 윙부재(42)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배출공(22)을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테두리부재(44)는 커버플레이트(41)와 윙부재(42)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며 컵몸체(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단부(14)의 외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44)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돌기(45)는 테두리부재(44)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걸림단부(14)의 하측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1)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돌기(45)는 컵몸체(10)의 걸림단부(14)가 테두리부재(44)의 단부에 걸렸을 때, 걸림단부(14)의 곡면 형상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다.
잠금돌기(46)는 테두리부재(44)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걸림단부(14)의 외측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돌기(46)는 가이드돌기(45)와 함께 테두리부재(44)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컵몸체(10)의 걸림단부(14)가 테두리부재(44)의 단부에 걸렸을 때, 걸림단부(14)의 곡면 형상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잠금돌기(46)는 걸림단부(14)의 측면에 접하므로 제1커버부(40)가 내캡부(20)의 상측을 커버하는 폐쇄모드인 경우에는 설정된 외력이 전달되기 전에는 잠금돌기(46)가 걸림단부(14)에 걸려서 제1커버부(40)의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제1커버부(4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개방모드에서 제1커버부(40)에 설정된 외력이 전달되면, 잠금돌기(46)가 걸림단부(14)의 외측을 넘어가며 탄성에 의해 신속하게 이동되므로, 제1커버부(40)의 상측 개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50)는 제1커버부(40)와 배출조절부(30)를 연결하며 제1커버부(40)와 함께 배출조절부(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는 파이프 형상이며, 하측은 결합홈부(38)에 삽입되고 상측은 커버플레이트(41)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커버부(40)와 함께 배출조절부(3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50)는 커버플레이트(41)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므로, 배출조절부(30)가 배출공(22)을 막은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41)는 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제어부(60)는 배출조절부(30)와 제1커버부(40)에 각각 설치되며, 배출공(22)이 닫힌 상태에서 제1커버부(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어부(60)는, 락킹돌기(61)와 제1돌기부(63)와 제2돌기부(64)를 포함한다.
락킹돌기(61)는 배출조절부(3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걸림홈(62)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돌기(61)는 이동몸체(3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오목한 형상의 걸림홈(62)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락킹돌기(61)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돌기부(63)는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는 열림모드에서 락킹돌기(61)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기부(63)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11자 형상의 돌기이며, 열림모드에서 락킹돌기(61)의 양측에 위치한다.
제2돌기부(64)는 제1커버부(40)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되는 닫힘모드에서 락킹돌기(61)에 걸려서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기부(64)는 제1커버부(4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락킹돌기(61)에 걸리는 제2돌기몸체(65) 및 제2돌기몸체(65)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락킹돌기(61)의 단부에 걸리고 닫힘모드에 위치하는 제1커버부(40)가 열림모드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스토퍼부재(66)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4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제1돌기부(63)와 제2돌기부(64)는 70 내지 110도, 예로서 90도의 간격을 이루며 설치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70)는 제1커버부(4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에 디자인이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부(70)는 동물의 수염과 같은 문양이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부(72)를 도시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디자인이 구비된 제2커버부(72)를 제작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2커버부(72)를 제작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제2커버부(72)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30)가 패쇄모드일 때 배출공(22)을 막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조절부(30)가 개방모드일 때 배출공(22)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모드는 제1커버부(40)가 내캡부(20)의 상측에 위치하며, 배출조절부(30)가 배출공(22)을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폐쇄모드에서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는 열림모드와,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되는 닫힘모드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40)가 닫힘모드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열림모드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돌기(61)와 제1돌기부(6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2는 닫힘모드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돌기(61)와 제2돌기부(64)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열림모드에서는, 제1돌기부(63)가 락킹돌기(61)의 양측에 위치하므로, 제1커버부(40)와 연결부(50)와 배출조절부(30)가 함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림모드에 있는 제1커버부(40)를 90도 회전시키면, 스토퍼부재(66)는 락킹돌기(61)의 측면에 걸리며, 제2돌기몸체(65)는 락킹돌기(61)에 걸린다. 따라서 제1커버부(4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이 구속된다.
그리고 제1커버부(40)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과 배출조절부(30)가 이동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되므로,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닫힘모드에서 락킹돌기(61)와 결합되는 제2돌기몸체(65)의 상하 방향 두께에 의해 락킹돌기(61) 및 락킹돌기(61)에 연결된 배출조절부(30)가 하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배출조절부(30)가 배출공(22)을 구비한 내캡부(20)에 더욱 밀착되므로 배출공(22)을 통한 음료의 배출을 막을 수 있으며, 음료용기(1)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조절부(30)가 내캡부(20)의 배출공(22)을 막은 상태에서 제1커버부(40)가 회전되어 닫힘모드가 되며, 제1커버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므로 의도하지 않게 컵몸체(10)의 외측으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음료용기
10: 컵몸체 12: 내측공간 14: 걸림단부
20: 내캡부 22: 배출공 23: 슬라이드홈부 24: 날개안내부 25: 가이드홈부
30: 배출조절부 32: 이동몸체 34: 날개부재 36: 측면돌기 38: 결합홈부
40: 제1커버부 41: 커버플레이트 42: 윙부재 43: 배출홈부 44: 테두리부재 45: 가이드돌기 46: 잠금돌기
50: 연결부
60: 이동제어부 61: 락킹돌기 62: 걸림홈 63: 제1돌기부 64: 제2돌기부 65: 제2돌기몸체 66: 스토퍼부재
70,72: 제2커버부
80: 파지부

Claims (7)

  1.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
    상기 컵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몸체의 내측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구비하는 내캡부;
    상기 내캡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조절부;
    상기 배출조절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캡부와 상기 컵몸체의 상측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부;
    상기 배출조절부와 상기 제1커버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 및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배출조절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커버부와 함께 상기 배출조절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배출조절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걸림홈을 구비하는 락킹돌기;
    상기 제1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는 열림모드에서 상기 락킹돌기에 걸리는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되는 닫힘모드에서 상기 락킹돌기에 걸려서 상기 제1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락킹돌기에 걸리는 제2돌기몸체; 및
    상기 제2돌기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락킹돌기의 단부에 걸리며 닫힘모드에 위치하는 상기 제1커버부가 열림모드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절부는,
    상기 내캡부의 상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캡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 및
    상기 윙부재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공을 통과한 음료가 상기 컵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윙부재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컵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단부의 하측에 걸려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단부의 외측에 걸리는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190141660A 2019-11-07 2019-11-07 음료용기 KR10225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60A KR102250271B1 (ko) 2019-11-07 2019-11-07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60A KR102250271B1 (ko) 2019-11-07 2019-11-07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271B1 true KR102250271B1 (ko) 2021-05-10

Family

ID=7591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60A KR102250271B1 (ko) 2019-11-07 2019-11-07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014A (en) * 1992-10-16 1994-03-15 Aladdin Synergetics, Inc.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KR200419638Y1 (ko) * 2005-03-22 2006-06-23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US20120312816A1 (en) * 2011-06-13 2012-12-13 Tervis Tumbler Company Lid for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same
KR101814199B1 (ko) * 2016-07-08 2018-01-02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014A (en) * 1992-10-16 1994-03-15 Aladdin Synergetics, Inc.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KR200419638Y1 (ko) * 2005-03-22 2006-06-23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US20120312816A1 (en) * 2011-06-13 2012-12-13 Tervis Tumbler Company Lid for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same
KR101814199B1 (ko) * 2016-07-08 2018-01-02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27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259620B2 (en)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AU2010235900B2 (en) Thermos with two chambers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20080230543A1 (en) Dual overlapping flip top closure assembly
JP2020037454A (ja) 飲料容器用の、クロージャを備えた取っ手
CN102482009B (zh) 分配盖
US20120031902A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CA2468176C (en)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KR102250271B1 (ko) 음료용기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20020074366A1 (en) Vented fluid container closure
KR101814199B1 (ko) 음료용기
KR200492195Y1 (ko) 컵 커버
JP6510825B2 (ja) キャップ
KR102147449B1 (ko) 음료용기
JP7044499B2 (ja) ヒンジキャップ
US20240067418A1 (en) Tumbler with vent shield
JP6754189B2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KR102178314B1 (ko)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US20180029757A1 (en) One-touch cap
US20240083641A1 (en) Lid assembly with selectable drinking openings
US11452672B2 (en) Pediatric dosing dispenser
KR200230219Y1 (ko) 음료용기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KR20230023217A (ko) 소분이 가능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