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99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99B1
KR101814199B1 KR1020160086534A KR20160086534A KR101814199B1 KR 101814199 B1 KR101814199 B1 KR 101814199B1 KR 1020160086534 A KR1020160086534 A KR 1020160086534A KR 20160086534 A KR20160086534 A KR 20160086534A KR 101814199 B1 KR101814199 B1 KR 10181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everage
cup body
cup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앤티티
Priority to KR102016008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 및 컵몸체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의 배출 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나 음료수는 음료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판매되거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음료용기를 구매하여 음용하기 위한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기도 한다.
음료용기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컵이나 텀블러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음료 용기에 컵 커버가 구비된 경우, 컵 커버는 출렁이는 음료가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컵을 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컵 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음료용기에 얼음이 들어 있거나, 녹차를 포함한 차 잎이 들어 있는 경우,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5217호(2013.08.27 공개, 발명의 명칭: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배출 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 및 컵몸체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제어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재와, 손잡이부재에서 컵몸체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어몸체 및 제어몸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음료의 배출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부는, 제어몸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컵몸체의 내측에 걸리는 복수의 사이드돌기 및 사이드돌기의 사이에 음료가 배출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사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부는, 사이드홀부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절부는 제1배출부와 제2배출부와 제3배출부를 포함하며, 제1배출부의 배출홀부는 제2배출부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며, 제2배출부의 배출홀부는 제1배출부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제어부의 상측에서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며, 컵몸체의 상측 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음료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컵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커버는,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와, 윙부재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배출제어부를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커버는, 윙부재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굽어지며 배출홈부가 컵부재의 입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컵커버의 상측 단부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의 일측 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제1테두리부재 및 커버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굽어지며 커버플레이트가 컵부재의 입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컵커버의 상측 단부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의 타측 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제2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배출제어부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부 위치에 따라 음료의 배출 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컵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음료의 배출 통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홈부가 컵몸체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몸체에 배출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제어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배출부가 컵커버의 배출홈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배출부가 컵커버의 배출홈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홈부가 컵몸체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몸체에 배출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제어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배출부가 컵커버의 배출홈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배출부가 컵커버의 배출홈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10)와, 컵몸체(10)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20) 및 배출제어부(20)의 상측에서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며 컵몸체(10)의 상측 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음료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컵커버(40)를 포함한다.
컵몸체(10)는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몸체(10)는 제1부재(12)와 걸림턱(14)과 제2부재(16)와 걸림단부(18)를 포함한다.
제1부재(12)는 컵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며, 물이나 음료 등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제1부재(12)는 컵의 형상을 하며, 제1부재(12)의 상측에는 걸림턱(14)이 구비된다. 걸림턱(14)은 제1부재(12)와 단차를 이루며 제1부재(12)의 상단에서 제1부재(1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부재(16)는 걸림턱(1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측이 개구되어 물이나 음료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2부재(16)의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단부(18)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부재(16)의 상단에서 제2부재(1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컵커버(40)와 결합되어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배출제어부(20)는 컵몸체(10)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제어부(20)는, 손잡이부재(22)와 제어몸체(24)와 조절부(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재(22)는 컵몸체(1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몸체(24)는 손잡이부재(22)에서 컵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탄성을 가지는 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몸체(24)는 손잡이부재(2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몸체(24)는 컵몸체(10)의 내측에 수평방향이나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막을 형성한다.
조절부(30)는 제어몸체(2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음료의 배출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절부(30)는, 제어몸체(24)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컵몸체(10)의 내측에 걸리는 복수의 사이드돌기(38) 및 사이드돌기(38)와 이웃한 사이드돌기(38)의 사이에 음료가 배출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사이드홀부(39)를 포함한다.
제어몸체(24)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원판 형상이며, 이러한 제어몸체(24)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사이드돌기(38)가 돌출된다. 사이드돌기(38)는 하측으로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사이드돌기(38)의 일측은 제어몸체(24)에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며 컵몸체(10)의 내측에 접한다.
제어몸체(24)에는 연통홀부(26)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된다.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연통홀부(26)를 통해 제어몸체(24)의 상측으로 공급된 물이나 음료가 연통홀부(26)를 통해 제어몸체(24)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또는 컵몸체(10)의 내측에 있는 물이나 음료를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될 때, 연통홀부(26)를 통해 공기가 이동되므로 물 또는 음료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부(30)는 사이드홀부(39)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배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0)는 제1배출부(32)와 제2배출부(34)와 제3배출부(36)를 포함한다. 제1배출부(32)의 배출홀부는 제2배출부(34)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며, 제2배출부(34)의 배출홀부는 제3배출부(36)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배출부(32)와 인접한 제어몸체(24)에는 MAX라는 표시를 하며, 제2배출부(34)와 인접한 제어몸체(24)에는 MID라는 표시를 하며, 제3배출부(36)와 인접한 제어몸체(24)에는 MIN이라는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조절부(30)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배출부(32)는 작은 얼음 등 비교적 체적이 큰 내용물을 배출할 때 사용하거나, 한번에 많은 유체를 배출하려 할 때 사용한다. 제2배출부(34)는 얼음이나 찻잎 등을 제외한 물만 배출하기 원할 때 사용한다. 제3배출부(36)는 소량의 물을 배출하기 원할 때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배출부(32)에는 단일 홀 형상의 사이드홀부(39)가 구비되며, 제2배출부(34)에는 복수의 사이드돌기(38)의 사이에 비교적 간격이 좁은 사이드홀부(39)가 형성되며, 제3배출부(36)에는 복수의 사이드돌기(38)의 사이에 제2배출부(34)의 사이드홀부(39) 보다도 간격이 좁은 사이드홀부(39)가 구비된다.
배출제어부(20)는 일체로 형성되며,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컵커버(40)는 배출제어부(20)의 상측에서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며, 컵몸체(10)의 상측 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음료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컵커버(40)는, 커버플레이트(42)와 윙부재(44)와 배출홈부(46)와 제1테두리부재(48)와 내측스토퍼(50)와 가이드돌기(52)와 제2테두리부재(54)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42)는 컵몸체(10)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42)는 컵커버(40)의 몸체를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필요에 따라 입체감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42)는 컵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컵커버(40)는 배출제어부(20)의 상측에 위치하며, 배출제어부(20)의 손잡이부재(22)가 컵몸체(10)의 상측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때, 커버플레이트(42)가 손잡이부재(22)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하측을 향하여 가압된 배출제어부(20)는 컵몸체(10)의 걸림턱(14)에 안착되므로 배출제어부(2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42)는 컵몸체(10)의 상단 형상에 대응하게 원판 형상에 가깝게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42)에서 돌출된 윙부재(44)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커버플레이트(4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윙부재(44)는 커버플레이트(42)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윙부재(44)의 사이에는 배출홈부(46)가 구비된다.
따라서 컵커버(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컵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커버플레이트(42)가 컵몸체(10)의 상부를 차폐한다. 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컵커버(40)가 컵몸체(10)의 상측 일부를 개방할 경우, 컵커버(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배출홈부(46)가 컵몸체(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때 윙부재(44)에 연결된 제1테두리부재(48)는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에 걸려서 컵커버(40)의 추가 이동을 구속한다.
배출홈부(46)는 윙부재(44)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배출제어부(20)를 통과한 음료가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홈부(46)는 윙부재(44)의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제1테두리부재(48)는 윙부재(44)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굽어지며, 배출홈부(46)가 컵부재의 입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컵커버(40)의 상측 단부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일측 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1테두리부재(48)는 윙부재(44)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굽어져서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 외측에 걸린다. 제1테두리부재(48)는 배출홈부(46)가 컵몸체(1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단부(18)의 외측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므로, 컵커버(4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2테두리부재(54)는 커버플레이트(42)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굽어지며, 커버플레이트가 컵부재의 입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컵커버(40)의 상측 단부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타측 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1테두리부재(48)와 제2테두리부재(54)는 서로 연결되며,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시 컵커버(40)가 설정된 지점 이상으로 이동됨을 구속하여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내측스토퍼(50)는 배출제어부(20)와 마주하는 커버플레이트(42)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커버프레이트가 컵몸체(10)의 상측을 차폐할 때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 내측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추가 이동을 구속한다. 내측스토퍼(50)는 커버플레이트(4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원호 형상을 형성하며, 걸림단부(18)의 내측에 접하면서 커버플레이트(42)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한다. 내측스토퍼(50)는 배출홈부(46)를 향한 커버플레이트(42)의 하측에 위치한다.
가이드돌기(52)는 제1테두리부재(48)와 제2테두리부재(54)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컵몸체(10)의 걸림단부(18) 하측에 걸려서 커버플레이트(42)의 수평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돌기(52)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단부(18)의 하측에 걸린 상태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는, 아이스 음료 등을 마실 때 얼음이 배출제어부(20)에 걸려서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한다. 또한 잎을 우려내서 먹는 녹차를 포함한 차 음료를 먹을 경우에도 차의 잎이 배출제어부(20)에 걸려서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배출제어부(20)의 외측에 복수의 사이드홀부(39)를 형성하며, 이러한 사이드홀부(39)의 크기가 구간별로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배출제어부(20)를 회전시켜 배출되는 음료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몸체(10)에 얼음을 포함한 음료가 있을 경우, 배출홈부(46) 보다 작은 크기의 얼음과 함께 음료를 마시고 싶을 경우, 제1배출부(32)가 배출홈부(46)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컵커버(40)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1배출부(32)와 배출홈부(46)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1배출부(32)를 통해 얼음과 함께 음료를 마신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출제어부(20)의 손잡이부재(22)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또는 컵커버(40)를 회전시켜 배출홈부(46)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배출제어부(20)를 통과하여 컵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제어부(20)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부 위치에 따라 음료의 배출 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컵커버(4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음료의 배출 통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음료용기
10: 컵몸체 12: 제1부재 14: 걸림턱 16: 제2부재 18: 걸림단부
20: 배출제어부 22: 손잡이부재 24: 제어몸체 26: 연통홀부 30: 조절부 32: 제1배출부 34: 제2배출부 36: 제3배출부 38: 사이드돌기 39: 사이드홀부
40: 컵커버 42: 커버플레이트 44: 윙부재 46: 배출홈부 48: 제1테두리부재 50: 내측스토퍼 52: 가이드돌기 54: 제2테두리부재

Claims (8)

  1. 음료가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컵몸체; 및
    상기 컵몸체에 장착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 유형을 조절하는 배출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에서 상기 컵몸체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어몸체; 및 상기 제어몸체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음료의 배출 유형에 따라 다른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어몸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컵몸체의 내측에 걸리는 복수의 사이드돌기; 및 상기 사이드돌기의 사이에 음료가 배출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사이드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돌기는 하측으로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돌기의 일측은 상기 제어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며 상기 컵몸체의 내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사이드홀부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제1배출부와 제2배출부와 제3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출부의 배출홀부는 상기 제2배출부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며, 상기 제2배출부의 배출홀부는 상기 제1배출부의 배출홀부 보다 구멍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제어부의 상측에서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컵몸체의 상측 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음료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컵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컵커버는,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윙부재;
    상기 윙부재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제어부를 통과한 음료가 상기 컵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삭제
KR1020160086534A 2016-07-08 2016-07-08 음료용기 KR10181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34A KR101814199B1 (ko) 2016-07-08 2016-07-08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34A KR101814199B1 (ko) 2016-07-08 2016-07-08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199B1 true KR101814199B1 (ko) 2018-01-02

Family

ID=6100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34A KR101814199B1 (ko) 2016-07-08 2016-07-08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266A (ko) * 2018-11-13 2020-05-21 김진영 음료용기
KR102250271B1 (ko) * 2019-11-07 2021-05-10 김진영 음료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415A (ja) * 2002-12-17 2004-07-15 Mikku & Moa:Kk 吐出量調整キャップ
US20130037545A1 (en) * 2011-08-12 2013-02-14 J. L. Clark, Inc. Metal Container With Slideable To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415A (ja) * 2002-12-17 2004-07-15 Mikku & Moa:Kk 吐出量調整キャップ
US20130037545A1 (en) * 2011-08-12 2013-02-14 J. L. Clark, Inc. Metal Container With Slideable To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266A (ko) * 2018-11-13 2020-05-21 김진영 음료용기
KR102147449B1 (ko) * 2018-11-13 2020-08-24 김진영 음료용기
KR102250271B1 (ko) * 2019-11-07 2021-05-10 김진영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24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486868B2 (en) Insulated drinking vessel with multifunction lid
EP3083430B1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3964631A (en) Drinking receptacle
KR101814199B1 (ko) 음료용기
RU2742562C1 (ru) Пробка для бутылок
JP2020037452A (ja) 弁アセンブリ用の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蓋
CN107249996B (zh) 具有按钮开口的容器
US11370586B2 (en) Internal vent handle cover arrangement; and methods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HRP990082A2 (en) Condiment dispenser
JP2004008513A (ja) 液体容器の栓体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KR102177171B1 (ko) 컵 뚜껑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147449B1 (ko) 음료용기
KR20180096902A (ko)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상품용기
KR102250271B1 (ko) 음료용기
RU2019121856A (ru) Кофеварка
US2806639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3997082A (en) Liquid container with improved pouring unit
JPH0327563Y2 (ko)
JP6026813B2 (ja) 飲料容器
JP2001219951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6974701B2 (ja) 栓体および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