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95Y1 - 컵 커버 - Google Patents

컵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95Y1
KR200492195Y1 KR2020190003806U KR20190003806U KR200492195Y1 KR 200492195 Y1 KR200492195 Y1 KR 200492195Y1 KR 2020190003806 U KR2020190003806 U KR 2020190003806U KR 20190003806 U KR20190003806 U KR 20190003806U KR 200492195 Y1 KR200492195 Y1 KR 200492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everage
cup cover
beverage contain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056U (ko
Inventor
이동관
Original Assignee
화송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송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송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3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9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컵 커버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컵 커버는: 음료용기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이 돌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커버{CUP LID}
본 고안은 컵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음료를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음용감이 우수한 컵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나 음료수는 음료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판매된다. 음료용기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컵이나 텀블러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음료용기에 컵 커버가 구비된 경우, 컵 커버는 출렁이는 음료가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컵을 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컵 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음료용기에 고온의 음료가 담긴 경우, 고온의 음료가 컵 커버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바로 입안으로 이동되므로 입 안의 피부가 화상으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5217호(2013.08.27 공개, 고안의 명칭: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에 게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온의 음료를 안전하게 마실수 있는 컵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컵 커버를 씌운 채 음료를 음용하더라도, 컵 커버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컵을 통하여 음료를 마실 때와 동일한 음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컵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컵 커버는: 음료용기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이 돌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는, 음료용기의 상측 테두리에 결합되기 위한 링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음료용기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부는, 커버판의 테두리를 따라 "U"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 및 제1돌출부에서 연장되며 안내홈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돌출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윗입술이 안내홈부로 삽입되어 제2돌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2돌출부의 출구부에 설치되며 음료용기에 있는 음료가 출구부를 통하여 급격하게 배출됨을 차단하는 배출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조절부의 일측은 제2돌출부에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출구부는 제2돌출부와 배출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컵 커버는, 사용자의 윗입술이 돌출부를 따라 이동하는 음료에 접하므로 고온의 음료가 배출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윗입술이 안내홈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정도를 조절하므로 음료의 배출양을 조절하여 고온의 음료를 안전하게 마실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컵 커버는, 컵 커버를 씌운 채 음료를 음용하더라도, 컵 커버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컵을 통하여 음료를 마실 때와 동일한 음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와 배출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와 배출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1)는, 음료용기(5)에 연결되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50)에 접촉되며 음료용기(5)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부(20) 및 돌출부(20)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50)이 돌출부(20)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부(30)를 포함한다.
상측이 개구된 음료용기(5)의 상측에는 컵 커버(1)가 설치되며, 음료용기(5)의 내측에는 음료가 저장된다.
몸체부(10)는 음료용기(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음료용기(5)의 상측 테두리에 결합되기 위한 링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2) 및 프레임부(12)의 중앙에 위치하며 음료용기(5)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14)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2)는 음료용기(5)의 상단이 삽입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홈부는 원호 형상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거 커버판(14)은 프레임부(12)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0)는 몸체부(10)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50)에 접촉되며 음료용기(5)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0)는, 커버판(14)의 테두리를 따라 "U"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2) 및 제1돌출부(22)에서 연장되며 안내홈부(30)가 일측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24)를 포함한다.
제1돌출부(22)의 중앙에 제2돌출부(24)가 위치하므로, 음료용기(5)와 함께 컵 커버(1)가 기울어진 경우, 제1돌출부(22)로 음료가 모인 후 다시 제1돌출부(22)의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부(24)를 통해 음료가 배출되므로 음료의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돌출부(24)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윗입술(52)이 안내홈부(30)로 삽입되어 제2돌출부(24)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와 접촉된다. 제2돌출부(24)를 수평방향으로 기울인 경우 제2돌출부(24)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이며, 제2돌출부(24)의 하측과 제1돌출부(22)와 연결된 측면은 음료가 배출되기 위한 구멍인 출구부(26)가 형성된다.
안내홈부(30)는 돌출부(20)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50)이 돌출부(20)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제2돌출부(24)를 수평방향으로 기울인 경우 제2돌출부(24)의 상측은 개구되어 안내홈부(30)를 형성하며, 돌출부(20)에 입술(50)을 대고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윗입술(52)이 안내홈부(30)의 안쪽으로 살짝 들어가게 설계된다. 따라서 돌출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뜨거운지 여부를 입술(50)의 감각으로 먼저 확인이 가능하며, 윗입술(52)이 음료가 이동되는 통로의 일부를 닫는 역할을 하므로 음료가 한꺼번에 입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컵 커버는, 컵 커버를 씌운 채 음료를 음용하더라도, 컵 커버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컵을 통하여 음료를 마실 때와 동일한 음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1)는 배출조절부(40)를 더 포함한다. 배출조절부(40)는 제2돌출부(24)의 출구부(26)에 설치되며, 음료용기(5)에 있는 음료가 출구부(26)를 통하여 급격하게 배출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조절부(40)의 일측은 제2돌출부(24)에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출구부(26)는 제2돌출부(24)와 배출조절부(40)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돌출부(24)를 수평방향으로 기울인 경우, 제2돌출부(24)의 바닥면에 형성된 출구부(26)의 일부를 음료 용기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차폐하는 형상으로 배출조절부(40)가 설치된다. 판 형상의 배출조절부(40)는 일측이 제2돌출부(24)에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컵 커버(1)의 내측에 있는 음료는 배출조절부(40)와 제2돌출부(2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출구부(26)를 통해 배출된다.
돌출부(20)에 구비된 출구부(26)의 구멍이 크게 뚫려 있을 경우에는 음료용기(5)에 저장된 음료가 돌출부(20)의 외측으로 급격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배출조절부(40)를 설치한다. 출구부(26)에 물막이 기능을 하는 배출조절부(40)를 설치하므로 돌출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서서히 배출됨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온의 음료 음용시 발생되는 입속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고온의 음료가 음료용기(5)에 담긴 상태에서, 음료용기(5)와 함께 컵 커버(1)를 수평방향으로 기울여서 음료를 먹을 경우, 사용자의 입술(50) 중 윗입술(52)이 안내홈부(3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는 윗입술(52)에 접한다. 이때 아래입술(54)은 제2돌출부(24)의 하측에 접한 상태이다.
윗입술(52)에 접한 음료의 온도가 고온일 경우, 사용자는 음료의 섭취를 중단할 수 있으며, 윗입술(52)을 안내홈부(3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와 같은 고온의 음료 음용시 발생되는 입속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출구부(26)에 설치된 배출조절부(40)에 의해 출구부(26)의 면적이 감소되므로, 고온의 음료가 출구부(26)를 통해 많은 양이 배출됨을 차단하여 고온의 음료 음용시 발생되는 입속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60)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60)는, 음료용기(도시생략)에 연결되는 몸체부(62)와, 몸체부(62)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부(64) 및 돌출부(64)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이 돌출부(64)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부(66)를 포함한다.
몸체부(62)는 음료용기의 상측을 덮는 형상이며, 몸체부(62)의 상측(도 7기준)으로 돌출된 돌출부(64)의 측면과 단부에는 안내홈부(66)가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70)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70)는, 음료용기(도시생략)에 연결되는 몸체부(72)와, 몸체부(72)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부(74) 및 돌출부(74)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이 돌출부(74)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부(76)를 포함한다.
몸체부(72)는 음료용기의 상측을 덮는 형상이며, 몸체부(72)의 상측(도 8기준)으로 돌출된 돌출부(74)에는 안내홈부(76)가 형성된다. 돌출부(74)는 몸체부(72)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되며, 돌출부(74)의 내측에는 음료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부(10,62,72)와 돌출부(20,64,74)와 안내홈부(30,66,76)의 형상은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윗입술(52)이 돌출부(20)를 따라 이동하는 음료에 접하므로 고온의 음료가 배출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윗입술(52)이 안내홈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정도를 조절하므로 음료의 배출양을 조절하여 고온의 음료를 안전하게 마실수 있으며, 컵 커버를 씌운 채 음료를 음용하더라도, 컵 커버를 씌우지 않은 상태의 컵을 통하여 음료를 마실 때와 동일한 음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컵 커버 5: 음료용기
10: 몸체부 12: 프레임부
14: 커버판 20: 돌출부
22: 제1돌출부 24: 제2돌출부
26: 출구부 30: 안내홈부
40: 배출조절부 50: 입술
52: 윗입술 54: 아래입술
60: 컵 커버 62: 몸체부
64: 돌출부 66: 안내홈부
70: 컵 커버 72: 몸체부
74: 돌출부 76: 안내홈부

Claims (6)

  1. 음료용기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며,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돌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측 테두리에 결합되기 위한 링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음료용기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판의 테두리를 따라 "U"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윗입술이 상기 안내홈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돌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음료와 접촉되는 컵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에 있는 음료가 상기 출구부를 통하여 급격하게 배출됨을 차단하는 배출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조절부는 상기 컵 커버를 수평방향으로 기울인 경우 상기 제2돌출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출구부의 일부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차폐하는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제2돌출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90003806U 2019-09-17 2019-09-17 컵 커버 KR200492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6U KR200492195Y1 (ko) 2019-09-17 2019-09-17 컵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6U KR200492195Y1 (ko) 2019-09-17 2019-09-17 컵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86 Division 2018-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56U KR20200000056U (ko) 2020-01-07
KR200492195Y1 true KR200492195Y1 (ko) 2020-08-26

Family

ID=6915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06U KR200492195Y1 (ko) 2019-09-17 2019-09-17 컵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7741A1 (zh) * 2021-01-08 2022-07-14 张静文 杯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23Y1 (ko) 2006-07-04 2006-10-09 박태웅 컵 커버
CN109229847A (zh) 2018-09-21 2019-01-18 泰马克精密铸造(苏州)有限公司 一种设有回流腔的热饮杯盖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77U (ko) * 2007-07-12 2009-01-15 박금덕 컵 뚜껑
TWM410023U (en) * 2011-02-24 2011-08-21 Fieldct Inc Cup lid with pl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23Y1 (ko) 2006-07-04 2006-10-09 박태웅 컵 커버
CN109229847A (zh) 2018-09-21 2019-01-18 泰马克精密铸造(苏州)有限公司 一种设有回流腔的热饮杯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56U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US20160270572A1 (en) Lid assemblies for drinking vessels and drinking vessels including the same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100224645A1 (en) Ball and socket closing lid
JP3958601B2 (ja) 調理容器
WO2009008587A1 (en) A cup lid
US20120217241A1 (en) Cup lid for additive to be conveniently added therein
KR200492195Y1 (ko) 컵 커버
KR200495170Y1 (ko) 오염이 방지되는 텀블러뚜껑
KR20170095476A (ko) 음료의 출렁임 방지를 위한 컵 뚜껑
KR101407319B1 (ko)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CN110035956B (zh) 用于饮料容器的一次性盖
KR100659600B1 (ko) 유아용 음료용기
JP6639241B2 (ja) 飲料容器の蓋体
JP6346344B1 (ja) 容器蓋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WO2004065249A1 (en) A drink bottle
JP2004283425A (ja) 電気湯沸かし器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20170049870A (ko) 누수차단패널을 갖는 컵 뚜껑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043903B1 (ko)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KR102557531B1 (ko) 컵 뚜껑
JP6480165B2 (ja) 飲料容器
KR20240025470A (ko)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