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470A -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470A
KR20240025470A KR1020230106698A KR20230106698A KR20240025470A KR 20240025470 A KR20240025470 A KR 20240025470A KR 1020230106698 A KR1020230106698 A KR 1020230106698A KR 20230106698 A KR20230106698 A KR 20230106698A KR 20240025470 A KR20240025470 A KR 20240025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everage
protrusion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연
Original Assignee
황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연 filed Critical 황창연
Priority to PCT/KR2023/0122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39211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음료 일부를 캡에 담아서 마실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이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공간부 바닥면 일측에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1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음료 유출구를 가지는 제1 캡을 포함하며, 제1 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이면 제1 캡의 음료 유출구를 통해 음료가 유출되고 공간부에 고이게 되어, 공간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Cap for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각종 테이크 아웃(take-out) 형태의 전문점에서 뜨거운 액상의 음료를 담아서 장시간 온도를 유지하며 마시기 위한 것으로 음료용기(예컨대, 텀블러 또는 1회용 컵)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급격한 움직임에 내용물이 새는 경우가 발생하고, 뜨거운 음료가 외기에 의해 쉽게 온도가 떨어지는 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료용기에 캡이 구비되며, 통상의 음료용기 캡은 사용자가 캡에 형성된 구멍에 직접 입을 맞대고 마셔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종래 음료용기 캡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다.
첫째, 상당히 뜨거운 음료로 인해 사용자의 입술이나 입 내부에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 전체의 온도가 낮아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마시면 문제가 해결되겠으나 사용자가 원했던 뜨거운 음료를 마실 수 없게 된다.
둘째, 음료용기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다 보니, 입에 접촉된 음료가 그대로 음료용기 내부에 다시 들어가므로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 전체가 입안의 세균으로 인해 오염된다.
음료용기용 캡에 관한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10-2191472, 10-2191472, 10-2428939, 10-1134775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음료용기 캡에 의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에 들어있는 뜨거운 음료의 일부를 덜어내어 식혀 마실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를 마실 때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가 세균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음료 유출구의 개폐를 쉽게 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단독으로 음료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음료가 채워지는 용기본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음료용기용 캡으로서, 하단이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간부 바닥면 일측에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음료 유출구를 가지는 제1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이면 상기 제1 캡의 음료 유출구를 통해 음료가 유출되고 상기 공간부에 고이게 되어, 상기 공간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이 제공된다.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캡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캡의 공간부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캡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캡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부의 음료 유출구와 상기 개구부가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1 캡의 공간부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1 캡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캡은 천정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상기 음료 유출구가 개폐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은 서로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캡이 상기 제1 캡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음료 유출구가 상기 제1 캡의 공간부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캡을 상기 제1 캡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 돌출부를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캡은 천정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을 상기 제1 캡에 대해 회전시킬 때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상기 음료 유출구가 개폐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캡이 상기 제1 캡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캡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캡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 캡의 상측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저면에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캡의 테두리 일측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용기에 담긴 뜨거운 음료의 일부를 캡으로 유출시켜 캡에 담아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에 담긴 뜨거운 음료를 식혀서 마실 수 있으므로, 종래 뜨거운 음료를 직접 마시는 과정에서 발생하던 화상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에 담긴 음료와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가 캡에 의해 차단되므로, 사용자의 입이 캡에 담긴 음료에 접촉되어도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에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 전체가 오염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캡에 일부 덜어서 마시거나,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직접 마시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용기용 캡을 음료용기에 결합하지 않고 단독 컵이나 음료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캡의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캡의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의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의 사용 상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설명만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은, 내부에 음료가 채워지는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용기를 기울여 용기본체의 내부에 담겨진 음료 일부를 캡으로 유출시킨 후 캡에 음료가 담겨진 상태에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용 캡(1000)은, 제1 캡(2000), 제2 캡(3000), 커버부재(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용기용 캡(1000)은 제1 캡(2000)만으로 구성되거나, 제1 캡(2000) 및 제2 캡(3000)으로 구성되거나, 제1 캡(2000), 제2 캡(3000) 및 커버부재(400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캡(2000), 제2 캡(3000), 커버부재(4000)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캡(2000), 제2 캡(3000), 커버부재(40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2000)은 하단이 음료용기(10)의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음료용기의 음료를 덜어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캡(200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2010)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공간부(2010)의 바닥면 일측에는 제1 돌출부(2600)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제1 돌출부(2600)를 관통하여 음료 유출구(2500)가 형성된다. 음료용기(10)를 한 쪽 방향으로 기울이면(도 12 참조), 음료용기(10) 내부의 음료가 제1 돌출부(2600)의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유출되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고이게 되고, 제1 돌출부(2600)가 돌출된 높이 이하로 제1 캡(2000)에 음료가 담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캡(2000)에 뜨거운 음료가 담겨진 경우 적절한 온도로 식혀서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 캡(2000)만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캡(3000)과 커버부재(4000)에 의해 기능이 더 보완된다.
제2 캡(3000)은 제1 캡(2000)의 상부를 덮어서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고 외기와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캡(3000)은 제1 캡(200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고,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3100)가 형성된다. 제2 캡(3000)은 그 상면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개구부(3100)가 형성된 부분이 경사면에서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을 통해 제1 캡(2000)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한편,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일체 형성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커버부재(4000)는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막아서 이물질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구부(3100)를 통한 음료 누설과, 외기와 음료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재(4000)는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개폐하도록 제2 캡(300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캡(2000), 제2 캡(3000), 커버부재(4000)에 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200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2010)를 갖는 원형의 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2000)의 하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테이퍼진 형태의 삽입부(2100)와, 삽입부(2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베이스부(2200)와, 베이스부(2200)의 상단에 베이스부(2200)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300)와, 걸림부(2300)의 상단에 걸림부(2300)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결합부(2400)를 포함한다.
텀블러 몸체나 1회용 컵 등 음료용기(10)의 용기본체 상단에 제1 캡(2000) 장착시, 삽입부(2100)가 용기본체 상단의 입구로 삽입되며, 용기본체의 상단에 걸림부(2300)가 걸리면서 제1 캡(2000)과 음료용기(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부(2200)에는 음료의 누설 방지를 위해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링(O-ring)(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도록 오링홈(2210)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2300)의 일측에는 스트랩(도시되지 않음) 결합을 위해 스트랩홀(2311)이 형성된 스트랩부(2310)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2400)에는 제2 캡(300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241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 일측 바닥면을 관통하여 공간부(2010)와 제1 캡(2000)의 하부가 연통하도록 음료 유출구(2500)가 형성된다. 음료 유출구(2500)는 제1 캡(2000)을 음료용기(10)에 장착했을 때, 음료용기(10)에 담긴 음료가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될 수 있게끔 안내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제1 캡(2000)이 장착된 음료용기(10)를 일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음료용기(10)의 음료를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캡(2000)의 공간부 바닥면에 소정 높이의 제1 돌출부(2600)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제1 돌출부(26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음료 유출구(2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2600)는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출된 음료가 다시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아래쪽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돌출부(2600)가 공간부(2010)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상향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음료 유출구(2500) 역시 공간부(20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돌출부(2600)의 높이만큼 이격하여 위치하게 되고,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공간부(2010)로 유입된 음료는 그 수위가 제1 돌출부(2600)의 높이에 이르지 않는 한,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역류하지 못하고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돌출부(2600)가 걸림부(2300)의 하단 높이까지 돌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제1 돌출부(2600)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600)의 외면은 음료가 제1 돌출부(2600)의 외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만곡진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돌출부(2600)는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를 둘러싸는 제1 측벽(2020)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 바닥면 중앙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유출구(250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형의 제1 관통홀(2510)이 예시로 도시되어 있다. 음료 유출구(2500)는 제1 관통홀(2510)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2 관통홀(2520)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통홀(2510)은 제2 관통홀(2520)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주로 음료가 유출되는 영역이다. 제2 관통홀(2520)은 음료가 유출되는 영역이기도 하지만 음료 유출 과정에서 음료용기(10) 내부에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함으로써 제1 관통홀(2510)을 통해 음료가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는 통기공의 역할도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홀(2520)은 제1 관통홀(2510)의 일측에서 제1 측벽(2020)의 둘레를 따라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연장 형성되는 원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통홀(25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제1 관통홀(2510) 및 제2 관통홀(2520)로 이루어지는 음료 유출구(2500)는 전체적으로 통상의 호루라기(whistle)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제공될 수 있고, 제1 관통홀(2510)로 빨대를 꽂아 음료를 섭취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3000)은 제1 캡(2000)의 상단과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캡(3000)은 제1 캡(200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캡(2000)의 상단이 제2 캡(3000)의 하단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제2 캡(3000)과 제1 캡(2000)이 상대 회전되거나, 제2 캡(3000)의 하단과 제1 캡(2000)의 상단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캡(3000)이 제1 캡(2000)과 일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제2 캡(3000)과 제1 캡(2000)이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제2 캡(3000)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3200)이 형성되고,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결합시 제1 캡(2000)의 나사산(2410)이 제2 캡(3000)의 나사홈(320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통상 사용 시에는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이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이 상대 회전되지 않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상대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캡(3000)의 저면에는 원형의 가이드부(3300)가 하향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캡(3000)의 내주면과 가이드부(3300) 사이에 삽입홈(34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결합시 제1 캡(2000)의 결합부(2400)가 제2 캡(3000)의 삽입홈(3400)으로 삽입되고, 제2 캡(3000)의 가이드부(3300)가 제1 캡(20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결합력이 견고해짐으로써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결합부분 사이로의 음료 누설이 방지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나사결합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제1 캡(2000)의 상단이 제2 캡(3000)의 하단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제2 캡(3000)과 제1 캡(2000)이 상대 회전되게 하는 경우에는,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 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캡(2000)의 상단과 제2 캡(3000)의 하단에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면, 외력을 적절하게 가해서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상대 회전 및 걸림 고정이 가능해진다.
제2 캡(3000)의 상면 일측에 개구부(3100)가 절개 형성되는데, 제2 캡(3000)의 상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3100)가 형성된 부분이 반대쪽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료용기(10)를 기울여 개구부(3100)에 입을 대고 음료를 마실 때, 사용자의 코가 제2 캡(3000)의 상면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개구부(3100)는 제1 캡(2000)과 제2 캡(3000) 결합시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제2 캡(3000)이 결합된 제1 캡(2000)을 개구부(3100)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담긴 음료가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통해 외부로 흘러나온다. 이때, 개구부(3100)는 제2 캡(3000)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개구부(3100)에 입을 대고 음료용기(10)를 기울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한편, 제2 캡(3000)의 상면을 둘러싸는 제2 측벽(3500)에는 개구부(3100)와의 인접부분에 가이드홈(35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3510)은 사용자가 입을 대고 음료를 마실 때 음료가 사용자의 입 방향으로 모여서 흐르도록 안내한다. 기타사항으로, 개구부(3100)는 빨대가 관통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는 빨대를 꽂아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담긴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제2 캡(3000)의 상면에는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부터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통해 음료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통기공의 역할을 하는 제3 관통홀(360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캡(3000)의 제2 측벽(3500)에는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홈(3520)이 형성되며, 결합홈(3520)은 커버부재(40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커버부재(4000) 양단의 결합돌기(4300, 도 9 참조)가 제2 캡(3000)의 결합홈(3520)에 각각 삽입되어 제2 캡(3000)의 상측에서 커버부재(400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며 개구부(3100)를 개폐한다.
커버부재(4000)는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 커버부재(4000)로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폐쇄하여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0)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4100)와 록킹부(4200)를 포함한다.
덮개부(4100)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4300)와, 일측 저면에 개구부(3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부(4110)와, 제2 캡(3000)과의 회전 결합을 위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4300)를 가진다. 록킹부(4200)는 덮개부(4100)의 일측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 캡(3000)의 테두리 일측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덮개부(4100)는 소정 폭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록킹부(4200)는 제2 캡(3000)의 테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대략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결합돌기(4300)는 제2 캡(3000)의 제2 측벽(3500)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3520)에 각각 삽입되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4000)는 제2 캡(30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홈(3520)을 중심으로 커버부재(4000)의 상하 방향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커버부재(4000)의 삽입돌부(4110)는 덮개부(4100)의 저면 일측에 개구부(3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돌출 형성되며, 커버부재(4000)와 제2 캡(3000) 결합시 커버부재(4000)의 삽입돌부(4110)가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를 폐쇄함으로써 개구부(3100)를 통한 음료 누설이 방지된다. 한편, 덮개부(4100)의 저면에는 제3 관통홀(3600)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기(4120)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재(4000)와 제2 캡(3000) 결합시 삽입돌기(4120)가 제3 관통홀(3600)에 삽입되어 폐쇄함으로써 제3 관통홀(3600)을 통한 음료 누설이 방지된다.
록킹부(4200)는 커버부재(400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캡(3000)의 테두리 일측에 결합된다. 일 예로, 록킹부(4200)는 덮개부(4100)의 테두리 중간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지지부(4210)와, 지지부(4210)의 상단에서 덮개부(4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20)와, 연장부(4220)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4230)와, 절곡부(423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장부(4220)의 상측에는 파지돌기(4221)가 형성되며, 연장부(4220)의 저면에는 제2 캡(3000)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요홈(4222)이 형성되어, 록킹부(4200)의 제2 캡(3000) 결합시 제2 캡(3000)의 상단 테두리가 록킹부(4200)의 요홈(4222)에 끼움 결합된다. 사용자는 록킹부(4200)의 결합 시 파지돌기(4221)를 가압하여 결합할 수 있고, 결합 해제 시에는 플랜지부(4240)를 밀어올려 록킹부(42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을 음료용기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 캡(3000)의 상측 테두리가 커버부재(4000)의 요홈(4222)에 끼움 결합되고, 커버부재(4000)의 삽입돌기(4120)와 삽입돌부(4110)가 제2 캡(3000)의 제3 관통홀(3600)과 개구부(3100)에 각각 삽입되며, 이에 따라 음료의 누설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제1 캡(2000)의 제1 돌출부(2600)의 음료 유출구(2500)와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가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하지 않고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가 동일 수직축선에 있게 되면, 음료용기(10)를 기울여서 음료 유출구(2500)로 음료를 유출시킬 때 개구부(3100)로 음료가 유출되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음료를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상대 회전시켜서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가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음료 유출구(2500) 및 개구부(3100)를 통해 직접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빨대를 개구부(3100) 및 음료 유출구(2500)에 꽂아서 음료용기(10)에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완전히 나사 결합했을 때, 제1 캡(2000)의 음료 유출구(2500)가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예컨대, 30°~ 330°)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용기(10)를 기울였을 때,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된 음료가 먼저 공간부(2010)에 일정량만큼 채워질 수 있다.
도 11은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결합했을 때, 제1 캡(2000)의 음료 유출구(2500)가 제2 캡(3000)의 개구부(3100)에 대하여 정반대 방향, 즉 180°각도로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180° 각도인 경우에는 음료 유출구(2500)로 음료를 유출시키기 위해 음료용기(10)를 기울이더라도 개구부(3100)로 음료가 곧바로 유출될 염려는 거의 없다(도 12 참조). 더구나,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음료용기(10)를 개구부(3100) 쪽으로 기울이더라도, 그 반대편의 음료 유출구(2500)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올라가게 되므로, 마시는 동안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음료가 공간부(2010)로 추가 유입되지 않는다(도 13 참조).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제1 캡(2000)에 음료를 담지 않고 음료용기(10)의 음료를 직접 마시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2 캡(3000)을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시켜서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를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시키면 된다.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 사이의 각도는, 음료용기(10)를 음료 유출구(2500) 방향으로 기울여서 음료를 유출시키는 경우에 개구부(3100)로 곧바로 유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180°를 포함하여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가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의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의 결합 후에도,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상대 회전시켜 음료 유출구(25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캡(2000)과 제2 캡(3000)을 상대 회전시켜 음료 유출구(2500)를 개구부(3100) 쪽에 위치시키거나 반대로 개구부(3100)의 정반대 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를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시킬 경우, 음료용기(10)의 음료를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따로 덜어내어 담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마실 수 있게 된다. 음료용기(10)에 남은 음료가 충분히 식은 경우, 또는 음료용기(10)에 남은 음료의 양이 적은 경우 등 필요한 때에는, 음료 유출구(2500)와 개구부(3100)의 위치를 동일 수직축선에 일치시켜, 개구부(3100)에 입을 대거나 빨대를 꽂아 음료용기(10)에 남은 음료를 직접 마실 수 있다.
도 12는 음료용기용 캡(1000)이 장착된 텀블러 몸체나 1회용 컵 등의 음료용기(10)를 일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용기(10) 내부의 음료가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제1 캡(2000)으로 유입되어 담겨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음료용기(10)를 반대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기울여 사용자가 제1 캡(2000)에 담긴 음료를 마시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를 일 방향으로 기울이면, 음료용기(10)에 담긴 음료가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된다. 이때,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되는 음료의 양은 음료용기(10)를 기울이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한할 수 있다. 이후, 음료용기(10)를 바로 세우면,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다시 음료용기(10)로 빠져나간 양을 제외한 나머지가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에 남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를 개구부(3100) 방향으로 기울여 공간부(2010)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공간부(2010)의 음료는 개구부(3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사용자는 입 주변으로 음료를 흘리지 않도록 가이드홈(3510)에 입을 대고 마실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100a)을 도시한 것이다. 음료용기용 캡(100a)은 기술적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1000)과 대동소이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음료용기용 캡(100a)의 제2 캡(300a)은 천정부(330)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340)를 포함하며, 제1 캡(100a)과 제2 캡(300a)의 상대 회전 시 제2 돌출부(340)에 의해 음료 유출구(250)가 개폐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40)에 의해 음료 유출구(250) 자체가 폐쇄되어 음료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제2 돌출부(340)의 하면과 제1 돌출부(260)의 상면이 서로 밀착되어 제1 캡(100a)과 제2 캡(300a)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40)는 제2 캡(300a)이 제1 캡(100a)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개구부(310)와 제1 돌출부(26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40)는 제2 캡(300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탄성재질의 제2 돌출부(340)가 제2 캡(300a)의 천정부(330) 저면에 접착이나 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200)과 제2 캡(300a)이 결합되었을 때, 제2 캡(300a)의 개구부(310)와 제1 캡(200)의 제1 돌출부(260)가 소정 각도(예컨대 약 90°)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돌출부(340)도 제2 캡(300a)의 개구부(310)와 소정 각도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캡(200)과 제2 캡(300a)을 결합하면, 제2 돌출부(340)가 제1 돌출부(260)의 상측에 밀착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음료 유출구(250)가 폐쇄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 캡(200)과 제2 캡(300a)이 상대 회전되지 않는다. 제2 캡(300a)을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제2 돌출부(340)가 제1 돌출부(260)의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음료 유출구(250)가 노출되어, 음료를 제1 캡(200)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돌출부(340)는 천정부(330)의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제1 돌출부(26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 제2 돌출부(340)의 하단이 음료 유출구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제2 돌출부(340)에 의해 음료 유출구(250)가 폐쇄되는 경우, 음료 유출구(250)를 통해 음료용기(10)의 음료가 예기치 못하게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10)를 들고 이동할 때 음료가 튀는 것이나, 실수로 음료용기(10)가 넘어진 경우 음료용기(10)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음료 유출구(250)를 통한 외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10) 내부의 음료 온도를 좀 더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에 의하면, 음료용기(10)에 담긴 뜨거운 음료를 덜어서 식혀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음료 유출구(2500)를 통해 음료용기(10)의 음료를 제1 캡(2000)의 공간부(2010)로 유입시킨 후 일정 시간 그대로 두면, 외기와의 접촉, 제1 캡(2000)과의 접촉 등에 의해, 제1 캡(2000)에 담긴 음료의 온도가 낮아지고, 사용자는 적당히 식은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에 의하면, 음료용기(10)에 담긴 음료를 필요한 만큼 조금씩 덜어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음료를 마실 때 많은 양의 음료가 급작스럽게 얼굴로 쏟아지거나, 한 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입안으로 들어와 사레들리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미리 적당량의 음료만 제1 캡(2000)에 담아서 마실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에 의하면, 음료용기 내부에 있는 음료 전체에 입안의 세균이 닿을 염려가 없으므로, 음료용기에 남은 음료가 세균으로 오염, 변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은 음료용기(10)에 결합하지 않고 그 자체로 컵이나 음료용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온병이나 텀블러 몸체, 음료수 병 등의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음료용기용 캡의 공간부에 적당량 부어서 마심으로써, 컵이나 음료용기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0 : 음료용기용 캡 2000 : 제1 캡
2010 : 공간부 2020 : 제1 측벽
2500 : 음료 유출구 2510 : 제1 관통홀
2520 : 제2 관통홀 2600 : 제1 돌출부
3000 : 제2 캡 3100 : 개구부
3500 : 제2 측벽 3600 : 제3 관통홀
3100 : 개구부 4000 : 커버부재
4100 : 덮개부 4110 : 삽입돌부
4200 : 록킹부

Claims (13)

  1.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음료가 채워지는 용기본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음료용기용 캡으로서,
    하단이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간부 바닥면 일측에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음료 유출구를 가지는 제1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이면 상기 제1 캡의 음료 유출구를 통해 음료가 유출되고 상기 공간부에 고이게 되어, 상기 공간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캡의 공간부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캡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캡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음료 유출구와 상기 개구부가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1 캡의 공간부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1 캡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은 천정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상기 음료 유출구가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은 서로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캡이 상기 제1 캡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음료 유출구가 상기 제1 캡의 공간부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을 상기 제1 캡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 돌출부를 동일 수직축선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은 천정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을 상기 제1 캡에 대해 회전시킬 때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상기 음료 유출구가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캡이 상기 제1 캡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 캡의 상측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저면에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캡의 테두리 일측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13.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음료가 채워지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음료용기용 캡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KR1020230106698A 2022-08-18 2023-08-16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KR20240025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2223 WO2024039211A1 (ko) 2022-08-18 2023-08-18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3099 2022-08-18
KR1020220103099 2022-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470A true KR20240025470A (ko) 2024-02-27

Family

ID=9005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698A KR20240025470A (ko) 2022-08-18 2023-08-16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4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ES2463475T3 (es) Recipiente resistente a los derrames
ES2292205T3 (es) Recipiente antiderrame.
US9510700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6571973B1 (en) Cup lid with cooling spillover chamber
US20170253396A1 (en) Dual drink mode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US7740147B1 (en) Ball and socket closing lid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JP499886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170095476A (ko) 음료의 출렁임 방지를 위한 컵 뚜껑
KR20240025470A (ko)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CA2341418C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ES2291872T3 (es) Boquilla vertedora para un recipiente que incluye un liquido, recipiente, procedimiento y su utilizacion.
WO2024039211A1 (ko)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JP2020158120A (ja) 飲料容器
KR200492195Y1 (ko) 컵 커버
KR102666126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JPH02283309A (ja) ストロー付水筒
KR102686095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GB2432361A (en) Non-spill drink container
JP2021031070A (ja) 飲料カップ用蓋体
KR102686098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JP3434503B2 (ja) 飲料容器
US20020100767A1 (en) Liquid container for impeding mouth contact thereon when drinking th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