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903B1 -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903B1
KR102043903B1 KR1020180089953A KR20180089953A KR102043903B1 KR 102043903 B1 KR102043903 B1 KR 102043903B1 KR 1020180089953 A KR1020180089953 A KR 1020180089953A KR 20180089953 A KR20180089953 A KR 20180089953A KR 102043903 B1 KR102043903 B1 KR 10204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urface
beverage container
discharge port
open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종헌
Original Assignee
동아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물산(주) filed Critical 동아물산(주)
Priority to KR102018008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뚜껑본체(10)와 투명재질의 조절용 토출구(20)를 구비한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는, 음료용기(30)의 개구를 덮는 평탄면(12)과, 상기 평탄면(12)의 둘레에 평탄면(12)의 높이보다 상향되게 돌출되는 경계테두리턱(14)과, 상기 경계테두리부(14)의 둘레에 평탄면(12)의 높이보다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30)에 끼워지는 결합테두리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용 토출구(20)는, 상기 평탄면(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부 절개되어 토출공(22)을 형성하는 개폐막(24)과, 상기 개폐막(2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술을 대고 미는 힘에 의해 개폐막(24)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토출공(22)을 개방시킬 때 토출공(22)을 통해 토출되는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조절해 주는 유속제어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Beverage container lid formed by the outlet}
본 발명은 빨대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에 사용자가 입술을 대고 음료용기를 기울여 미는 힘에 의해 개폐막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토출공을 개방시킬 때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점이나 테이크아웃점 등에서 사용되는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음료용기의 뚜껑 상부에는 뚜껑 외연에 근접하여 그 일측에 형성된 원형 또는 장방형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빨대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는 그 토출구를 다시 막아줄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음료용기 속에 저장된 음료수는 토출구를 통하여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공기 중 먼지나 이물질이 음료용기의 속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특히 음료수의 음용을 잠시 중단할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음료용기가 넘어져 음료용기 속의 음료수가 외부로 쏟아질 위험성이 항시 존재하여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뚜껑에 형성된 토출구는 빨대를 꼽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직접 입을 대고 음료수를 음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사용자들은 빨대를 꼿지 않고 바로 상기 토출구에 입을 대어 음용시, 차가운 음료수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뜨거운 음료수의 경우에는 음료수의 온도를 직접 확인할 길이 없어 입 주변 또는 입 내부에 화상을 입거나 데는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토출공을 통해 직접 입을 데어 흡입하게 되면 뜨거운 음료수가 직접적으로 입 주변과 내부에 접촉되어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뚜껑은 벗긴 상태에서 입으로 뜨거운 음료수를 향해 입김을 불면서 뜨거운 음료수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며 음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뜨거운 음료수를 음용하다 보면 주변에 충격으로 인해 뜨거운 음료수가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음료용기를 파지하고 있는 손에 오히려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에 뚜껑을 덮어 외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주변 충격으로부터 뜨거운 음료수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뜨거운 음료수의 음용이 용이한 뚜껑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종래의 등록특허 10-1407319(2014.06.09)의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이 제안되어 왔었다. 동공보의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수가 수용되는 음료용기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 둘레를 따라 사용자가 입을 접촉하여 음용이 용이하도록 초승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경구냉각부(102)가 형성되며, 상기 경구냉각부(102) 중앙으로 상기 경구냉각부(102)를 통해 1차 냉각된 뜨거운 음료수가 배출되는 토출공(104)이 형성된 뚜껑본체(100)와; 상기 뚜껑본체(100)의 경구냉각부(102) 중앙에 연통된 토출공(104)과 일체로 연통결합되어 상향 돌출형성되고, 상기 경구냉각부(102)를 통해 1차 냉각되는 뜨거운 음료수가 사용자의 흡입력에 의해 이동배출되면서 유속과 압력변화로 인한 온도변화를 통해 2차 및 3차 냉각되어 사용자의 입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냉각 토출구(200);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냉각 토출구(200)는 상기 경구냉각부(102) 중앙 상부로 상향 돌출형성되되, 상기 경구냉각부(102)의 토출공(104)으로부터 사용자가 입을 물어 접하는 입술높이까지 상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면서 냉각되는 2차 냉각구간(212)을 형성하는 냉각관(210)과; 상기 냉각관(210) 선단에 형성되어 뜨거운 음료가 사용자의 흡입력 없이는 배출되지 않도록 다수의 텐션절개부(222)가 형성된 차단막(220)과; 상기 차단막(220) 상부면에 상기 냉각관(210)과 연결되어 상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차단막(220)을 통해 빠른 유속으로 유입된 뜨거운 음료의 속도가 떨어지면서 입속 온도에 대응되어 3차 냉각되도록 냉각공간(232)을 형성하는 냉각흡입완충부(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뚜껑본체(100)에 차단막(220)을 사이에 두고 하부측 냉각관(210)과 상부측 냉각흡입완충부(230)를 일체로 구성하면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냉각 토출구(200)의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시 성형이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냉각 토출구(200)로 인하여 적층 포장이 어렵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10-1407319(2014.06.09)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주변 충격으로부터 음료수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해 가면서 음료수의 음용이 용이한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구의 돌출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적층 포장이 가능케 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뚜껑본체와 투명재질의 조절용 토출구를 구비한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는, 음료용기의 개구를 덮는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둘레에 평탄면의 높이보다 상향되게 돌출되는 경계테두리턱과, 상기 경계테두리부의 둘레에 평탄면의 높이보다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끼워지는 결합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용 토출구는, 상기 평탄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부 절개되어 토출공을 형성하는 개폐막과, 상기 개폐막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술을 대고 미는 힘에 의해 개폐막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토출공을 개방시킬 때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조절해 주는 유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평탄면에 대하여 상기 조절용 토출구의 주변에는 불투명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불투명면은 상기 평탄면의 전체 평면적에 대해 상기 조절용 토출구가 형성된 위치에서 평탄면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불투명면은 조밀한 물결무늬, 벌집무늬,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사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폐막은 미절개된 부분이 상기 평탄면의 평면적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삼각 모양을 이루도록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유속제어부는 상기 평탄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록형상부, 상기 평탄면의 하부로 돌출되는 오목형상부, 상기 평탄면의 상부와 하부로 절반씩 상반되게 돌출되는 요철형상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볼록형상부와 요철형상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뚜껑본체측 경계테두리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경계테두리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일부 절개되어 토출공을 형성하는 개폐막의 평면적 중앙에 토출되는 음료수가 부딪쳐 흐름이 바뀌거나 두 갈래로 갈라지는 등의 와류현상을 유도하는 유속제어부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음료용기 내의 음료수가 갑작이 토출공을 통해 빠르게 많은 량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토출속도 및 토출량 조절은 빨대없이 사용자가 음료수를 흡입하는 속도 및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뜨거운 음료를 음용 시 입천장이 데거나 입주변에 화상을 입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빨대를 별도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빨대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폐기물 발생이 현저히 줄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뚜껑본체에 대해 조절용 토출구가 형성된 평탄면의 주변에 불투명면이 형성되는 구조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절용 토출구를 향해 입을 벌리고 음용할 때 입속이 불투명면이 없는 투명의 평탄면을 통해 외부로 민망하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들이 적층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7(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평면도 및 종단면이며, 도 7(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뚜껑본체(10)와 투명재질의 조절용 토출구(20)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음료수가 수용되는 음료용기(30)의 개구를 덮는 평탄면(12)과, 상기 평탄면(12)의 둘레에 평탄면(12)의 높이보다 상향되게 돌출되는 경계테두리부(14)과, 상기 경계테두리부(14)의 둘레에 평탄면(12)의 높이보다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30)의 개구 외주면에 끼워져 밀봉되는 결합테두리부(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평탄면(12)에 대하여 상기 조절용 토출구(20)의 주변에는 사용자가 조절용 토출구(20)를 향해 입을 벌리고 음용할 때 입속이 투명의 평탄면(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불투명면(18)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불투명면(18)은 상기 평탄면(12)의 전체 평면적에 대해 상기 조절용 토출구(20)가 형성된 위치에서 평탄면(12)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투명면(18)은 조밀한 물결무늬, 벌집무늬, 원형, 다각형 등의 모양으로 사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용 토출구(20)는, 상기 뚜껑본체(10)측 평탄면(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부 절개되어 토출공(22)을 형성하는 개폐막(24)과, 상기 개폐막(2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술을 대고 미는 힘에 의해 개폐막(24)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토출공(22)을 개방시킬 때 토출공(22)을 통해 토출되는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조절해 주는 유속제어부(2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막(24)은 미절개된 부분이 상기 평탄면(12)의 평면적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삼각 모양을 이루도록 절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속제어부(26)는 상기 개폐막(24)의 중앙에서 꼭지점이 상기 평탄면(12)의 평면적 중심을 향하도록 삼각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도 5와 같이 상기 평탄면(12)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록형상부(26a), 도 7(a)와 같이 상기 평탄면(12)의 하부로 돌출되는 오목형상부(26b), 도 7(b)와 같이 상기 평탄면(12)의 상부와 하부로 절반씩 상반되게 돌출되는 요철형상부(26c)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록형상부(26a)와 요철형상부(26c)의 돌출 높이는 상기 뚜껑본체(10)측 경계테두리부(1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면서 경계테두리부(14)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뚜껑본체(10)가 음료용기(30)의 개구에 결합되고 음료용기(30)에 음료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뚜껑본체(10)의 평탄면(12)에 형성된 조절용 토출구(20)측 개폐막(24)에 입술을 대고 밀면서 음료용기(30)를 기울이면, 사용자의 입술과 맞닿은 개폐막(24)은 눌러져 뚜껑본체(10)의 안쪽으로 꺾임과 동시에 개폐막(24)에 의해 닫혀 있던 토출공(22)을 개방하면서 음료수가 토출하도록 유도하게 되고, 인로 인해 사용자는 벌린 입속으로 음료수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즉, 개폐막(24)은 미절개된 부분을 꺾임점으로 해서 평탄면(12)의 평면적 중심을 향해 뚜껑본체(10)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꺾일 때 토출공(22)을 100% 개방하면서도 음료용기(30)를 기울이는 각도와 개폐막(24)이 열리는 각도에 따라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막(24)의 평면적 중앙에 돌출된 유속제어부(26)는 토출되는 음료수가 부딪쳐 흐름이 바뀌거나 두 갈래로 갈라지는 등의 와류현상을 유도하기 때문에 음료용기(30) 내의 음료수가 갑작이 토출공(22)을 통해 빠르게 많은 량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토출속도 및 토출량 조절은 빨대없이 사용자가 음료수를 흡입하는 속도 및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뜨거운 음료를 음용 시 입천장이 데거나 입주변에 화상을 입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빨대를 별도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빨대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폐기물 발생이 현저히 줄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유속제어부(26)에 대해 뚜껑본체(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도 5와 같은 볼록형상부(26a)나 도 7(b)와 같은 요철형상부(26c)는 사용자의 입술이 개폐막(24)에 많이 닿지 않고서도 개폐막(24)이 뚜껑본체(10)의 안쪽으로 쉽게 눌러지면서 넓은 각도로 꺾이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수가 입술에 묻는 현상을 줄이면서 입속으로 흡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본체(10)에 대해 조절용 토출구(20)가 형성된 평탄면(12)의 주변에는 조밀한 물결무늬, 벌집무늬, 원형, 다각형 등으로 사출 형성된 불투명면(1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절용 토출구(20)를 향해 입을 벌리고 음용할 때 입속이 불투명면(18)이 없는 투명의 평탄면(12)을 통해 외부로 민망하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뚜껑본체 12 : 평탄면
14 : 경계테두리부 16 : 결합테두리부
18 : 불투명면 20 : 조절용 토출구
22 : 토출공 24 : 개폐막
26 : 유속제어부 26a : 볼록형상부
26b : 오목형상부 26c : 요철형상부
30 : 음료용기

Claims (7)

  1.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뚜껑본체(10)와 투명재질의 조절용 토출구(20)를 구비한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는, 음료용기(30)의 개구를 덮는 평탄면(12)과, 상기 평탄면(12)의 둘레에 평탄면(12)의 높이보다 상향되게 돌출되는 경계테두리부(14)과, 상기 경계테두리부(14)의 둘레에 평탄면(12)의 높이보다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30)에 끼워지는 결합테두리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용 토출구(20)는, 상기 평탄면(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부 절개되어 토출공(22)을 형성하는 개폐막(24)과, 상기 개폐막(2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술을 대고 미는 힘에 의해 개폐막(24)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토출공(22)을 개방시킬 때 토출공(22)을 통해 토출되는 음료수의 토출속도 및 토출량을 조절해 주는 유속제어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12)에 대하여 상기 조절용 토출구(20)의 주변에는 불투명면(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면(18)은 상기 평탄면(12)의 전체 평면적에 대해 상기 조절용 토출구(20)가 형성된 위치에서 평탄면(12)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면(18)은 조밀한 물결무늬, 벌집무늬,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사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24)은 미절개된 부분이 상기 평탄면(12)의 평면적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삼각 모양을 이루도록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속제어부(26)는 상기 평탄면(12)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록형상부(26a), 상기 평탄면(12)의 하부로 돌출되는 오목형상부(26b), 상기 평탄면(12)의 상부와 하부로 절반씩 상반되게 돌출되는 요철형상부(26c)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상부(26a)와 요철형상부(26c)의 돌출 높이는 상기 뚜껑본체(10)측 경계테두리부(1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경계테두리부(14)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KR1020180089953A 2018-08-01 2018-08-01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KR10204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53A KR102043903B1 (ko) 2018-08-01 2018-08-01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53A KR102043903B1 (ko) 2018-08-01 2018-08-01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903B1 true KR102043903B1 (ko) 2019-12-05

Family

ID=6900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53A KR102043903B1 (ko) 2018-08-01 2018-08-01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27A (ko) * 2009-04-01 2010-10-11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음료 포장용기용 포장 캡
KR101407319B1 (ko) 2012-10-17 2014-06-13 김진태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27A (ko) * 2009-04-01 2010-10-11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음료 포장용기용 포장 캡
KR101407319B1 (ko) 2012-10-17 2014-06-13 김진태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5081T3 (es) Recipientes de bebidas.
ES2463475T3 (es) Recipiente resistente a los derrames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US8701928B2 (en) Spout for a spill-proof beverage container
US6135311A (en) Drink valve
KR200409095Y1 (ko) 음료컵용 컵뚜껑
ES2362046T3 (es) Recipiente para una bebida.
US10219642B2 (en) Container lid assemblies for directing liquid flow
ES2311200T3 (es) Combinacion de piton para beber y cierre para un contenedor de bebidas.
ES2292036T3 (es) Pico para verter botellas que contienen sustancias liquidas de distinto grado de viscosidad.
US7641070B2 (en) Low cost spill-resistant cup for liquids
US20090283535A1 (en) Sipper lid with straw capability
KR20050053606A (ko) 엎지름 방지용 드링크 제품
WO2019227247A1 (zh) 纸塑杯盖
KR101407319B1 (ko) 냉각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MXPA02010973A (es) Un conjunto surtidor para recipiente de liquido de pelicula delgada.
KR102043903B1 (ko)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ES2621535T3 (es) Cierre para un recipiente de un producto vertible
CN109476398A (zh) 具有限制溢出的闭合装置的容器
JP2013536134A (ja) 飲料容器用ガード
KR20130003062U (ko) 다기능 돔유닛을 갖는 핫 음료용 컵 뚜껑
KR20130002161U (ko) 핫 음료용 컵 뚜껑
KR200492195Y1 (ko) 컵 커버
ES2725792T3 (es) Tapa para beber a su través
JP7044499B2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