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47A -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47A
KR20210000147A KR1020190075081A KR20190075081A KR20210000147A KR 20210000147 A KR20210000147 A KR 20210000147A KR 1020190075081 A KR1020190075081 A KR 1020190075081A KR 20190075081 A KR20190075081 A KR 20190075081A KR 20210000147 A KR20210000147 A KR 20210000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ter
raw water
filt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호
신현섭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9007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47A/ko
Publication of KR2021000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커넥터를 통해 입수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한 후 커넥터를 통해 출수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는
정수필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포트 및 상기 입구포트와 연통되는 유입통로와,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배출되거나, 격벽에 형성되는 원수 배출공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구포트 및 상기 출구포트와 연통되는 유출통로가 형성되는 아우터 커넥터;
상기 원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커넥터;
상기 이너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고, 원수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차단밸브;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고, 바이패스되는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a purifing filter connector f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정수필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를 통해 입수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한 후 커넥터를 통해 출수시키기 위한,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냉장고 외부에 디스펜서를 설치함에 따라, 냉장고에 저장된 탱크 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장고 도어에서 직접 배출시킴에 따라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지않은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컵 또는 손을 이용하여 급수 버튼(또는 급수 레버)을 가압할 경우 급수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급수 버튼을 가압하고 있는 동안에만 급수가 이루어지고 급수 버튼에서 컵이나 손을 이탈시킬 경우 급수가 중단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119621호에 유로의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필터를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별도 조작없이도 유입되는 원수를 바이패스(by pass)시켜 출수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커넥터 내부에 결합되는 원수차단밸브 및 유로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화시켜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포트 및 상기 입구포트와 연통되는 유입통로와,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배출되거나, 격벽에 형성되는 원수 배출공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구포트 및 상기 출구포트와 연통되는 유출통로가 형성되는 아우터 커넥터;
상기 원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커넥터;
상기 이너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고, 원수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차단밸브;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고, 바이패스되는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냉장고 디스펜서 등에 연결되는 정수필터를 교환하기 위해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별도 조작 없이도 유입되는 원수를 바이패스시켜 출수시킴에 따라 정수필터를 교환시 원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 내부에 결합되어 원수 유입을 차단하는 원수차단밸브 및 유입되는 원수 흐름방향을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화시켜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실용성 및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서, 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리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로부터 정수필터를 분리시킨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는
정수필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 있어서:
수돗물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포트(10) 및 입구포트(10)와 연통되는 유입통로(11)와,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배출되거나, 격벽(12)에 형성되는 원수 배출공(13)을 통해 바이패스(by pass)되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구포트(14) 및 출구포트(14)와 연통되는 유출통로(15)가 형성되는 아우터 커넥터(16);
원수 배출공(13)을 개폐시키도록 아우터 커넥터(16)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커넥터(17);
이너 커넥터(17) 내부에 장착되고, 원수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차단밸브(18);
아우터 커넥터(16) 내부에 장착되고, 바이패스되는 원수 또는 정수필터(19)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원수차단밸브(18)는
유입통로(11)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수가 통과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22);
제1하우징(22)과 이너 커넥터(17)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너 커넥터(17)의 원수 이동공(23)을 개폐시키는 원수차단바디(24);
원수차단바디(24)를 가압하여 원수 이동공(23)을 폐쇄시킨 것을 탄성바이어스하는 제1탄성부재(25)(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유로전환밸브(20)는
유출통로(15)에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패스되는 원수 또는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하는 관통공(26)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27);
제2하우징(27)과 아우터 커넥터(16)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아우터 커넥터(16)의 정수 이동공(28)을 개폐시키는 정수차단바디(29);
정수차단바디(29)를 가압하여 정수 이동공(28)을 폐쇄시킨 것을 탄성바이어스하는 제2탄성부재(30)(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원수차단밸브(18)는
원수차단바디(24) 외측면에 장착되고, 원수차단바디(24)와 이너 커넥터(17)의 밸브시이트(17a) 사이를 실링처리하기 위한 제1오링(3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유로전환밸브(20)는
정수차단바디(29) 외측면에 장착되고, 정수차단바디(29)와 아우터 커넥터(16)의 밸브시이트(16a) 사이를 실링처리하기 위한 제2오링(3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너 커넥터(17)는
이너 커넥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킬 경우 원수 배출공(13)에 연통되고, 커넥터(33)에 정수필터(19)를 결합시 원수 배출공(13)에 폐쇄되는 바이패스공(3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너 커넥터(17)와 아우터 커넥터(16) 사이의 접촉면 틈새를 실링처리하도록 이너 커넥터(17)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커넥터(33)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킬 경우 입구포트(10)를 통해 커넥터(33)에 유입되는 원수 일부가 커넥터(33)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오링(3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너 커넥터(17)의 원수이동관(17b)이 결합되는 아우터 커넥터(16)의 결합공(16c)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16c,16d)에 장착되고, 이너 커넥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킬 경우 이너 커넥터(17)를 탄성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바이패스공(34) 및 원수 배출공(13)을 원활하게 연통시키기 위한 바이패스용 탄성부재(50,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이너 커넥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킬 경우, 아우터 커넥터(16)의 수용홈(16c,16d)에 결합된 바이패스용 탄성부재(50,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너 커넥터(17)의 상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된다(이때, 수직 방향으로 하강되는 이너 커넥터(17)의 하단은 필터지지대(36)의 단턱(36c)에 걸려 설정범위의 거리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너 커넥터(17)의 원수이동관(17b)에 형성된 바이패스공(34)과 아우터 커넥터(16)의 격벽(12)에 형성된 원수 배출공(13)을 연통시킴에 따라 원활한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즉, 바이패스용 탄성부재(50,60)가 장착되지않을 경우, 이너커넥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 수압 및 제1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이너 커넥터(17)를 하강시키는 가압력이 약해 원활한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움이 발생된다).
전술한 정수필터(19)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날개형 돌출턱(19d)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안착되도록 내주연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36b)과,
아우터 커넥터(16)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형 돌출턱(16b)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안착되도록 내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36a)과,
이너 커넥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킬 경우, 이너 커넥터(17)의 하단을 지지하여 아우터 커넥터(1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36c)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지지대(3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이너 커넥터(17)가 결합된 아우터 커넥터(16)를 필터지지대(36)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시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아우터 커넥터(16)의 날개형 돌출턱(16b)이 필터지지대(36)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1걸림턱(36a)에 안착된다.
이때, 전술한 정수필터(19)의 개구부를 필터지지대(36)의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결합시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정수필터(19)의 날개형 돌출턱(19d)이 필터지지대(36) 내주연에 형성된 제2걸림턱(36b)에 안착됨에 따라, 정수필터(19)의 개구부 상단에 의해 원수차단바디(24)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밀게 된다(이때 제1탄성부재(25)는 압축력을 받게 됨). 이와 동시에 정수필터(19)의 날개형 돌출턱(19d)에 의해 이너 커넥터(17)의 바닥면을 상방향으로 밀게 된다(이때 바이패스용 탄성부재(50,60)는 압축력을 받게 됨).
전술한 이너 커넥터(17)의 외주연 하부에 장착되고, 이너 커넥터(17)에 정수필터(19)를 결합시 개방되는 이너 커넥터(17)의 원수 이동공(23)을 통과하여 이너 커넥터(17)의 외주연 하부와 밀착되는 아우터 커넥터(16)의 내주연 사이의 틈새를 통해 원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오링(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이너 커넥터(17)에 정수필터(19)를 결합시킬 경우 원수차단밸브(18)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원수차단바디(24)가 상승되어 원수 이동공(23)이 개방되므로, 입구포트(10)를 통과한 원수가 아우터 바디(16)에 유입된 후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정수필터(19)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원수 일부가 이너 커넥터(17)와 아우터 커넥터(17)사이의 틈새를 실링처리한 제4오링(40)에 의해 아우터 커넥터(16)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9a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필터가 내설되는 정수필터(19)의 바디이고, 19b는 바디(19a) 상단에 융착고정되는 캡이며, 19c는 필터의 상부홀더에 연장형성되고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배출시키는 정수마개이며, 36은 커넥터(33)에 결합되고 정수필터(19)가 턴타입(turn type)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지지대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커넥터(33)에 정수필터(19)를 결합시킴에 따라 커넥터(33)를 통해 정수필터(19)에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아우터 커넥터(16)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된 날개형 돌출턱(16b)을 필터지지대(36)에 결합한 후, 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날개형 돌출턱(16b)이 이와 대응되게 필터지지대(36)에 형성된 제1걸림턱(36a)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33)를 필터지지대(36)의 내부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원터치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필터지지대(36)의 내부 하측에 정수필터(19)의 캡(19b)을 결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캡(19b)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된 날개형 돌출턱(19d)이 이와 대응되게 필터지지대(36)에 형성된 걸림턱(36b)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정수필터(19)를 필터지지대(36)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커넥터(33)를 날개형 돌출부(16b) 및 제1걸림턱(36a)에 의해 필터지지대(36)의 내부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고,
정수필터(19)를 날개형 돌출턱(19d) 및 제2걸림턱(36b)에 의해 필터지지대(36)의 내부 하측에 원터치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19)의 캡(19b)을 필터지지대(36)에 결합후 임의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턴타입 방식으로 결합시킬 경우, 캡(19b)의 개구부 상단에 의해 원수차단밸브(18)를 이루는 원수차단바디(24)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도면상,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원수차단바디(24)를 탄성지지한 제1탄성부재(25)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원수차단바디(24)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오링(31)이 이너 커넥터(17)의 밸브시이트(17a)로부터 이탈되므로 원수 이동공(23)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아우터 커넥터(16)의 격벽(12)에 형성된 원수 배출공(13)은 이너 커넥터(17)의 상승으로 인해 차단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정수필터(19)의 캡(19b)을 필터지지대(36)에 결합후 임의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턴타입 방식으로 결합시킬 경우, 정수필터(19)의 상부홀더에 연장형성된 정수마개(19c)에 의해 유로전환밸브(20)를 이루는 정수차단바디(29)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도면상,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정수차단바디(29)를 탄성지지한 제2탄성부재(30)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정수차단바디(29)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오링(32)이 아우터 커넥터(16)의 밸브시이트(16a)로부터 이탈되므로 정수 이동공(28)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돗물 등의 원수가 입구포트(10)를 통과하여 커넥터(33)의 아우터 커넥터(16)에 결합된 제1하우징(22)의 유입통로(11)에 유입된 후, 이너 커넥터(17)에 장착되고 개방상태로 전환된 원수차단밸브(18)에 의해 개방된 이너 커넥터(17)의 원수 이동공(23)을 통과하여 정수필터(19)에 유입된다. 따라서 정수필터(19)에 수용된 필터에 의해 원수를 정수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정수처리된 정수는 아우터 커넥터(16)에 장착되고, 개방상태로 전환된 유로전환밸브(20)에 의해 개방된 아우터 커넥터(16)의 정수 이동공(28) 및 제2하우징(27)의 유출출로(15)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구포트(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전술한 커넥터(33)의 입구포트(10)를 통해 정수필터(19)에 유입된 원수를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하고, 정수처리된 정수를 커넥터(33)의 출구포트(14)를 통해 배출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커넥터(33)로부터 정수필터(19)를 분리시킴에 따라 아우터 커넥터(16)의 개구부에 결합된 입구포트(10)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가 커넥터(33)로부터 누출되지 않고(즉, 커넥터(33)로부터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하지 않음을 말함), 출구포트(14)로 바이패스(by pass)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정수필터(19)를 교체하기 위해 커넥터(33)로부터 정수필터(1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정수필터(19)의 개구부에 형성된 날개형 돌출턱(19d)이 이와 대응되는 필터지지대(36)의 제2걸림턱(36b)으로부터 이탈되어 로킹이 해제됨에 따라, 정수필터(19)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킬 경우 필터지지대(36)로부터 이탈되므로 정수필터(19)를 커넥터(33)로부터 원터치 방식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19)를 커넥터(33)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이너 커넥터(17)의 내부에 장착된 제1탄성부재(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수차단밸브(18)를 이루는 원수차단바디(24)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원수차단바디(24)의 외측면에 장착된 제1오링(31)이 이너 커넥터(17)의 밸브시이트(17a)에 밀착되므로 이너 커넥터(17)의 원수 이동공(23)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이너 커넥터(17)의 하강으로 인해 이너 커넥터(17)에 형성된 바이패스공(34)이 아우터 커넥터(16)의 중간벽(12)에 형성된 원수 배출공(13)에 연통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아우터 커넥터(16)의 내부에 장착된 제2탄성부재(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유로전환밸브(20)를 이루는 정수차단바디(29)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정수차단바디(29)의 외측면에 장착된 제2오링(32)이 아우터 커넥터(16)의 밸브시이트(16a)에 밀착되므로 아우터 커넥터(16)의 정수 이동공(28)을 폐쇄시키게 된다.
즉, 전술한 정수필터(19)를 커넥터(33)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원수차단바디(24)가 하강되어 원수차단바디(24)의 외측면에 장착된 제1오링(31)이 밸브시이트(17a)에 밀착되므로 이너 커넥터(17)의 원수 이동공(23)을 폐쇄시키고, 원수차단바디(24)의 하강으로 인해 이너 커넥터(17)가 하강되어 원수 배출공(13)을 개방시키게 되며, 정수차단바디(29)가 하강되어 정수차단바디(29)의 외측면에 장착된 제2오링(32)이 밸브시이트(16a)에 밀착되므로 아우터 커넥터(16)의 정수 이동공(28)을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정수필터(19)를 커넥터(33)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수돗물 등의 원수가 입구포트(10)를 통해 아우터 커넥터(16)에 유입된 후,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아우터 커넥터(16)의 격벽(12)에 형성된 원수 배출공(13)을 통과하여 아우터 커넥터(16)에 결합된 제2하우징(27)의 유출통로(15)를 통과하여 출구포트(14)로 이동하게 된다(원수가 바이패스하게 된다.).
즉, 정수필터(19)를 커넥터(33)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아우터 커넥터(16)으의 개구부에 결합된 입구포트(10)를 통해 커넥터(33)에 유입된 원수가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아우터 커넥터(16)의 개구부에 결합된 출구포트(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정수필터(19)가 분리된 커넥터(33) 밑으로 유출되는 원수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입구포트
11; 유입통로
12; 격벽
13; 원수 배출공
14; 출구포트
15; 유출통로
16; 아우터 커넥터(outer connector)
17; 이너 커넥터(inner connector)
18; 원수차단밸브
19; 정수필터
20; 유로전환밸브
21; 관통공
22; 제1하우징
23; 원수 이동공
24; 원수차단바디
25; 제1탄성부재
26; 관통공
27; 제2하우징
28; 정수 이동공
29; 정수차단바디
30; 제2탄성부재
31; 제1오링
32; 제2오링
33; 커넥터
34; 바이패스공
35; 제3오링
36; 필터지지대

Claims (10)

  1. 정수필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포트 및 상기 입구포트와 연통되는 유입통로와,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배출되거나, 격벽에 형성되는 원수 배출공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원수가 배출되는 출구포트 및 상기 출구포트와 연통되는 유출통로가 형성되는 아우터 커넥터;
    상기 원수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 커넥터;
    상기 이너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고, 원수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차단밸브;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고, 바이패스되는 원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차단밸브는
    상기 유입통로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수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이너 커넥터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너 커넥터의 원수 이동공을 개폐시키는 원수차단바디;
    상기 원수차단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원수 이동공을 폐쇄시킨 것을 탄성바이어스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유출통로에 형성되고, 바이패스되는 원수 또는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과 아우터 커넥터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정수 이동공을 개폐시키는 정수차단바디;
    상기 정수차단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정수 이동공을 폐쇄시킨 것을 탄성바이어스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차단밸브는
    상기 원수차단바디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원수차단바디와 상기 이너 커넥터의 밸브시이트 사이를 실링처리하기 위한 제1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정수차단바디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정수차단바디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밸브시이트 사이를 실링처리하기 위한 제2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터는
    상기 이너 커넥터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원수 배출공에 연통되고, 상기 커넥터에 상기 정수필터를 결합시 상기 원수 배출공에 폐쇄되는 바이패스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터와 아우터 커넥터 사이의 접촉면 틈새를 실링처리하도록 상기 이너 커넥터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상기 커넥터에 유입되는 원수 일부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날개형 돌출턱을 임의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안착되도록 내주연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외주연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형 돌출부를 임의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안착되도록 내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이너 커넥터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이너 커넥터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아우터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터의 원수이동관이 결합되는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결합공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정수필터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이너 커넥터를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바이패스공 및 원수 배출공을 원활하게 연통시키기 위한 바이패스용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터의 외주연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너 커넥터에 상기 정수필터를 결합시 개방되는 상기 이너 커넥터의 원수 이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이너 커넥터의 외주연 하부와 밀착되는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내주연 사이의 틈새를 통해 원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KR1020190075081A 2019-06-24 2019-06-24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KR20210000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81A KR20210000147A (ko) 2019-06-24 2019-06-24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81A KR20210000147A (ko) 2019-06-24 2019-06-24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47A true KR20210000147A (ko) 2021-01-04

Family

ID=7412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081A KR20210000147A (ko) 2019-06-24 2019-06-24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1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8051A (zh) * 2021-10-28 2021-12-24 溢泰实业股份有限公司 净水器滤头防渗流水路控制模组
KR20220159753A (ko) * 2021-05-26 2022-12-05 (주)원봉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753A (ko) * 2021-05-26 2022-12-05 (주)원봉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CN113828051A (zh) * 2021-10-28 2021-12-24 溢泰实业股份有限公司 净水器滤头防渗流水路控制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2259A1 (en) Single lever valve and cartridge with integral mixing chamber and divided waterway
KR20210000147A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US10077847B2 (en) Water stoppage structure utilized in a water purifier filter core
KR101075475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정수필터용 커넥터
KR101706993B1 (ko)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CN102686816B (zh) 具有可选的并联手动阀的电子冲洗阀
KR20200126662A (ko) 정수기
CA2757448C (en) Control valve for a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0403986Y1 (ko) 정수필터용 커넥터
US4889162A (en) Fluid control valve
CN215313204U (zh) 淋浴喷头及淋浴器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101673608B1 (ko) 필터카트리지 결합 장치
US20190249795A1 (en) Automatically resettable press-type switching valve and bathtub faucet
KR20230094759A (ko) 유로전환가이드를 구비한 거꾸로 장착되는 정수필터
KR102669059B1 (ko)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CN218944560U (zh) 隔离组件、储水装置、净饮机
KR101720508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354162B1 (ko)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KR200252676Y1 (ko) 유로 개폐 밸브장치
CN215445203U (zh) 组合阀和净水机
KR102179546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KR102605903B1 (ko)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CN108096896B (zh) 一种用于过滤器的双止水结构
JP3642763B2 (ja) 据置型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