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46B1 -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 Google Patents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546B1
KR102179546B1 KR1020190067992A KR20190067992A KR102179546B1 KR 102179546 B1 KR102179546 B1 KR 102179546B1 KR 1020190067992 A KR1020190067992 A KR 1020190067992A KR 20190067992 A KR20190067992 A KR 20190067992A KR 102179546 B1 KR102179546 B1 KR 10217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dapter
opening
coupl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냉수와 온수가 혼합수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버튼식 개폐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가 개시된다. 상기 어댑터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구조물에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밸브 몸체; 및 상기 밸브 몸체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흐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흐름 채널은 상기 개폐 카트리지의 수평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흐름 채널의 일부는 항상 연통된다.

Description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Adapter for faucet device and on-off catridge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전장치용 어댑터와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수도꼭지, 화장실의 샤워부스 등에서 사용되는 수전장치는 냉온수관과 연결되는 밸브 몸체, 냉수와 온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 몸체에 설치된 조작 레버와, 냉온 조절된 혼합수의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버튼 및 노즐형 스프레이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568957호에서, 냉수와 온수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는 카트리지를 보면, 커트리지 몸체와 카트리지 하우징이 분리 형성되어 카트리지 하우징의 내부에 카트리지 몸체가 설치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카트리지 몸체를 카트리지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누수의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버트 하우징이 각각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시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나 디버트 몸체를 카트리지 하우징이나 디버트 하우징에 삽입하더라도 이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선반에 설치한 후에야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누수가 발견되면 다시 해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2018-151446에서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조작축,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상기 밸브조립체와 연통하고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출입포트로 구성된 카트리지; 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출입포트가 후단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규제하고 상기 조작축이 돌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레인 헤드와 샤워기 헤드로 배관이 연결되기 때문에 배관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레인 헤드나 샤워기 헤드 또는 하부 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개소로는 물을 배출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배출 개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온-오프 기능을 갖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배출 개소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확장성이 향상된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의 설치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카트리지 유닛에 적합한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냉수와 온수가 혼합수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버튼식 개폐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구조물에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밸브 몸체; 및 상기 밸브 몸체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흐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흐름 채널은 상기 개폐 카트리지의 수평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흐름 채널의 일부는 항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단에 형성되는 흐름 채널은 상기 개폐 카트리지의 수평 중심과 같은 높이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트 블록을 관통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결합 키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 구멍의 일부는 상기 흐름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연통된 부분에서 상기 결합 키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누름 축, 및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후단에 형성된 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로 이루어진 개폐 카트리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수납 몸체, 및 상기 수납 몸체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개폐 카트리지가 상기 수납공간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흐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후단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양측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개폐 카트리지의 수평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개폐 카트리지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누름 축, 및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입구와 후단에 형성된 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로 이루어진 개폐 카트리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수납 몸체, 및 상기 수납 몸체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개폐 카트리지가 상기 수납공간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흐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후단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을 관통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결합 키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 구멍의 일부는 상기 흐름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연통된 부분에서 상기 결합 키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개폐 카트리지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하나의 배출 개소로 물을 배출하거나 다수의 배출 개소로 동시에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온수와 냉수의 혼합수의 배출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카트리지를 적용함으로써 레인 헤드나 샤워기 헤드, 또는 하부 토출구 등 적절한 개소로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 개소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개폐 카트리지와 어댑터를 적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조립시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선반에 결합하기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누수가 발견되더라도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와 배관의 연결을 뺏다가 끼우는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점검할 수 있어 누수 검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 개소마다 동일한 구조의 개폐 카트리지와 이를 선반에 고정하기 위한 동일한 구조의 어댑터를 적용하기 때문에 부품의 가짓수가 줄어들고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결합 키를 카트리지와 일체로 형성된 어댑터의 포트 블록의 결합 구멍에 끼움으로써 배관을 쉽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선반형 수전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선반형 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과 3(b)은 각각 수전장치용 어댑터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4(c)는 각각 어댑터와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5는 어댑터 간의 연결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선반형 수전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선반형 수전장치는, 잘 알려진 것처럼, 선반(10)을 구비하는데 내부에 수전장치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선반(10)의 전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레버(20)와 버튼(30)이 돌출되어 설치되며, 후면이 벽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이는 잘 알려져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선반형 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과 3(b)은 각각 수전장치용 어댑터를 나타내며, 도 4(a) 내지 4(c)는 각각 어댑터와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도 5는 어댑터 간의 연결을 보여준다.
수전장치는,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카트리지(300)(이하, '혼합 카트리지'라 함)와 혼합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카트리지(200)(이하, '개폐 카트리지'라 함)를 구비하며, 각 카트리지에는 레버(20)와 버튼(30)이 결합된다.
혼합 카트리지(300)는 레버(20)에 의해 조정되어 유입되는 온수와 냉수의 혼합 비율이 조정되고, 개폐 카트리지(200)는 버튼(30)에 의해 온-오프(ON-OFF) 되어 혼합 카트리지로부터 유입되는 혼합수를 배출하거나 차단한다.
혼합 카트리지(300)와 개폐 카트리지(200)는 각각 어댑터(400, 100)에 끼워져 수납되어 혼합 카트리지 유닛과 개폐 카트리지 유닛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개폐 카트리지 유닛은 연결관에 의해 다수 개가 직렬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하지만, 기능적으로 각 개폐 카트리지 유닛이 혼합 카트리지 유닛으로부터 병렬 연결된 것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버튼(30)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온수와 냉수의 혼합수를 배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 개의 개폐 카트리지 유닛을 설치한 경우 직렬로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를 구비하면서 각 카트리지 유닛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폐 카트리지 유닛을 배출 개소에 대응하여 다수 개로 확장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원하는 하나의 배출 개소로 물을 배출하거나 다수의 배출 개소로 동시에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2의 원안을 참조하면, 혼합 카트리지(300)는,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310), 몸체(310)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조작 축(320), 및 몸체(310)의 후단에 밸브조립체와 연통하고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출입포트로 구성된다.
출입포트는 온수유입구(341)와 냉수유입구(342) 및 혼합수 배출구(343)가 삼각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삼각형상의 배치 중앙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결합 블록(312)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결합 블록(312) 내부에는 결합 구멍(313)이 형성되어 결합 키(350)가 끼워진다.
또한, 결합 구멍(313)의 직경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온수유입구(341)와 냉수유입구(342) 및 혼합수 배출구(343)와 각각 연통하는 개구(311)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온수유입구(341)와 냉수유입구(342) 및 혼합수 배출구(343)에 각각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혼합수 배출관(43)에 끼울 때, 결합 구멍(313)에 끼워지는 결합 키(350)의 일부가 개구(311)를 통하여 돌출되어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혼합수 배출관(43)의 끝 부분에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져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혼합수 배출관(43)이 온수유입구(341)와 냉수유입구(342) 및 혼합수 배출구(343)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결합 키(350)를 이용하여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혼합수 배출관(43)을 각각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혼합수 배관(43)에 한꺼번에 끼워 고정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누수 검사 등을 위해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혼합수 배출관(43)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개폐 카트리지(200)에는 레버가 아니라 버튼(30)이 사용되며 버튼(30)에 직접 글자나 문양을 새길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댑터(100)의 수납구멍(114)에 버튼식 개폐 카트리지(200)가 수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수납구멍(114)의 입구에 너트식 스토퍼(210)를 끼워 개폐 카트리지(300)가 수납구멍(114) 내에 안정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개폐 카트리지(200) 선단의 누름 축은 같은 형상의 구멍이 바닥에 형성된 원통형 가이드(34)에 끼워진 후 너트(211)로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가이드(3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선반(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부싱(32)이 끼워지는데 부싱(32)의 탄성편이 선반(10)에 의해 걸려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결합하며, 측면에 안내 돌기가 형성된 버튼(30)이 부싱(32) 내부를 통하여 가이드(34)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부싱(32)이 가이드(34)와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회전이 방지된 가이드(34)에 형성된 슬롯에 버튼(30)의 안내 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드 되므로 버튼(30) 자체가 회전할 수 없으며, 그 결과 버튼(30)의 전면에 글자나 문양을 형성하여도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인식하기 편리하다.
또한, 버튼(30)을 이용하여 개폐 카트리지(200)의 누름 축을 누르거나 해제할 때 버튼(30)의 안내 돌기가 가이드(34)의 슬롯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버튼(30)의 슬라이드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 카트리지(200)가 수납되는 어댑터(100)는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며, 기능적으로 선반(10)에 고정하는 결합부(110), 결합부(110)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밸브 몸체(120), 및 밸브 몸체(120)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130, 140, 150)으로 구성된다.
결합부(110)의 네 모서리에는 나사 구멍(112)이 형성되어 나사를 이용하여 선반(10)의 전면 뒤쪽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포트 블록(130)에는 혼합수 배출관(43)이 연결되고, 포트 블록(140)에는 다른 어댑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53)이 연결되며, 포트 블록(150)에는 레인 헤드나 샤워기 헤드, 또는 하부 토출구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51)이 연결된다.
포트 블록(130, 140, 150)의 입구에 끼워지는 배관, 가령 혼합수 배출관(43)이나 연결관(53) 또는 배출관(51)은 혼합 카트리지 유닛(300)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혼합수 배출관(43)과 연결관(53) 및 배출관(51)은 각 포트 블록(130, 140, 150)에 형성된 결합 구멍(133, 143, 153)에 끼워지는 결합 키(134, 144, 154)에 의해 걸림으로써 밀봉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개폐 카트리지(200)에 배관만 연결하면 기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선반에 설치하기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누수가 발견되더라도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와 배관의 연결을 뺏다가 끼우는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점검할 수 있어 누수 검사를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폐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누름 축, 및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후단에 형성된 유출구를 연결하고 밸브조립체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로 이루어진다.
도 4(c)를 참조하면, 밸브 몸체(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포트 블록(130, 140)은 각각 내부에 흐름 채널(131, 141)이 형성되어 서로 연통하는데, 흐름 채널(131, 141)이 개폐 카트리지(200)의 수평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카트리지(200)의 몸체가 흐름 채널(131, 141) 전체를 막지 않아 일부에서는 흐름 채널(131, 141)이 항상 개방된다.
따라서, 개폐 카트리지(200)의 유로가 밸브조립체에 의해 개방되든 폐쇄되든 흐름 채널(131, 141)은 언제나 연결되어 물이 흐르기 때문에 다수 개의 개폐 카트리지 유닛이 직렬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를 갖더라도 물의 흐름은 다수 개의 개폐 카트리지 유닛이 병렬 연결된 것처럼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도 4(a)에서 볼 때, 버튼(30)을 눌러 혼합수 배출관(43)으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수가 개폐 카트리지(200)에서 배출관(51)으로 공급되더라도 혼합수는 흐름 채널(131, 141)과 연결관(53)을 통하여 계속하여 인접한 개폐 카트리지에 공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하는 어댑터(100, 100a)는 연결관(53)에 의해 연결되는데, 연결관(53)의 양단은 각각 어댑터(100, 100a)의 포트 블록의 입구에 끼워진 후 결합 키(154, 154a)에 의해 밀봉 결합된다.
직렬 연결되는 다수의 어댑터 중 최종 어댑터의 포트 블록의 입구는 플러그(160)에 의해 막혀 물 흐름이 차단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배출관(51, 52)은 엘보 형상으로 일단은 어댑터(100)에 끼워지고 타단은 선반(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배관 어댑터(54, 55)에 끼워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배출관(51, 52)의 일단을 각각 개폐 카트리지 유닛에 끼운 다음, 선반(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배관 어댑터(54, 55)를 끼워 배출관(51, 52)의 타단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이 쉽고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어댑터
200: 개폐 카트리지
300: 혼합 카트리지
400: 어댑터

Claims (5)

  1. 냉수와 온수가 혼합수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버튼식 개폐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구조물에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밸브 몸체; 및
    상기 밸브 몸체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흐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 블록을 관통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결합 키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 구멍의 일부는 상기 흐름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연통된 부분에서 상기 결합 키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
  2. 청구항 1에서,
    상기 후단에 형성되는 흐름 채널은 상기 개폐 카트리지의 수평 중심과 같은 높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
  3. 청구항 1에서,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흐름 채널은 상기 개폐 카트리지의 수평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흐름 채널의 일부는 항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
  4. 삭제
  5.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누름 축, 및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입구와 후단에 형성된 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로 이루어진 개폐 카트리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수납 몸체, 및 상기 수납 몸체의 양측과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개폐 카트리지가 상기 수납공간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흐름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후단 포트 블록의 흐름 채널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포트 블록 각각을 관통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결합 키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 구멍의 일부는 상기 흐름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연통된 부분에서 상기 결합 키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개폐 카트리지 유닛.
KR1020190067992A 2019-06-10 2019-06-10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KR10217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92A KR102179546B1 (ko) 2019-06-10 2019-06-10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92A KR102179546B1 (ko) 2019-06-10 2019-06-10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546B1 true KR102179546B1 (ko) 2020-11-17

Family

ID=7364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992A KR102179546B1 (ko) 2019-06-10 2019-06-10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5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781A (ko) * 2010-11-01 2012-05-09 주식회사 다다 냉온수 혼합 수전
KR20130125564A (ko) * 2012-05-09 2013-11-19 김종구 수도꼭지
KR20140076906A (ko) * 2012-12-13 2014-06-23 임선일 친환경 일체형 연결 아답터
KR101568957B1 (ko) * 2015-02-13 2015-11-12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도기선반을 갖는 샤워 수전장치
KR20180003628U (ko) * 2017-06-15 2018-12-26 이호관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KR101955859B1 (ko) * 2018-10-12 2019-03-07 김병기 조립식 샤워수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781A (ko) * 2010-11-01 2012-05-09 주식회사 다다 냉온수 혼합 수전
KR20130125564A (ko) * 2012-05-09 2013-11-19 김종구 수도꼭지
KR20140076906A (ko) * 2012-12-13 2014-06-23 임선일 친환경 일체형 연결 아답터
KR101568957B1 (ko) * 2015-02-13 2015-11-12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도기선반을 갖는 샤워 수전장치
KR20180003628U (ko) * 2017-06-15 2018-12-26 이호관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KR101955859B1 (ko) * 2018-10-12 2019-03-07 김병기 조립식 샤워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065B2 (en) Flow control component and shower
US6367710B2 (en) Showerhead
US5871032A (en) Diverter valve assembly for control of multiple discharge in a mixing faucet
KR102097601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KR102179546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US7334604B1 (en) Faucet having multiple different water outlet manners
KR20070095697A (ko) 수도 밸브 카트리지
DK1692349T3 (en) Built-in device for sanitary fittings
KR20190125117A (ko) 자동 조절기능과 절수기능을 갖는 수전
CN210753316U (zh) 一种花洒结构
KR100967935B1 (ko) 절수형 밸브
CN108458135B (zh) 拉出式龙头水路切换控制机构
KR102074188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US20040074543A1 (en) Valving and mixing unit
CN217927224U (zh) 一种出水装置
US11732449B2 (en) Water outlet device
CN219102093U (zh) 滑动切换喷洒龙头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CN212189160U (zh) 一种软水功能可开闭的水龙头
CN220888835U (zh) 一种暗装淋浴器
KR102378621B1 (ko)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CN117680298B (zh) 出水装置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CN210935448U (zh) 喷头
CN110873208B (zh) 二底进水二底出水的陶瓷平衡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