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188B1 -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 Google Patents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188B1
KR102074188B1 KR1020180151446A KR20180151446A KR102074188B1 KR 102074188 B1 KR102074188 B1 KR 102074188B1 KR 1020180151446 A KR1020180151446 A KR 1020180151446A KR 20180151446 A KR20180151446 A KR 20180151446A KR 102074188 B1 KR102074188 B1 KR 10207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dapter
pipe
hot water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689A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2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누수 검사가 용이한 어댑터가 개시된다.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공간이 마련된 통 형상의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후단에 상기 카트리지의 출입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에서 상기 개구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차단벽이 되며, 상기 전단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면의 나사부의 후방에 인접하여 스토퍼가 돌출된다.

Description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Adapter for faucet device and catridge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전장치용 어댑터와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수도꼭지, 화장실의 샤워부스 등에서 사용되는 수전장치는 냉온수관과 연결되는 밸브 몸체, 냉수와 온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 몸체에 설치된 조작 레버와, 냉온 조절된 혼합수의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버튼 및 노즐형 스프레이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568957호에서, 냉수와 온수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는 카트리지를 보면, 커트리지 몸체와 카트리지 하우징이 분리 형성되어 카트리지 하우징의 내부에 카트리지 몸체가 설치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카트리지 몸체를 카트리지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누수의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버트 하우징이 각각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시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나 디버트 몸체를 카트리지 하우징이나 디버트 하우징에 삽입하더라도 이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선반에 설치한 후에야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누수가 발견되면 다시 해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 카트리지를 선반에 고정할 수 있는 수전장치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용과 방향전환용으로 공유할 수 있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에 설치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거나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전환하는 카트리지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공간이 마련된 통 형상의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후단에 상기 카트리지의 출입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에서 상기 개구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차단벽이 되며, 상기 전단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에 인접하여 외면으로부터 스토퍼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어댑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조작축,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상기 밸브조립체와 연통하고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출입포트로 구성된 카트리지; 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출입포트가 후단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규제하고 상기 조작축이 돌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유닛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포트는 온수유입구와 냉수유입구 및 혼합수 배출구가 삼각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배치의 중앙을 가로질러 관통구멍이 형성된 결합 블록이 상기 카트리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의해 상기 온수유입구와 상기 냉수유입구 및 상기 혼합수 배출구와 상기 관통구멍을 연결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는 결합 키가 끼워져 상기 개구를 통하여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트리지 너트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측면의 나사가 상기 어댑터와 나사 결합하면서 밑면이 상기 카트리지의 전단을 누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의 전단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면의 나사부의 후방에 인접하여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내면의 나사부는 상기 카트리지 너트와 결합하며, 상기 외면의 나사부는 커버 링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장착되는 구조물의 벽체의 한 면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 링은 상기 벽체의 반대 면을 가압하여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의 전단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에 인접하여 외면으로부터 원형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내면의 나사부는 상기 카트리지 너트와 결합하며,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통해 커버 링과 스크류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장착되는 구조물의 벽체의 한 면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 링은 상기 벽체의 반대 면을 가압하여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포트는 온수공급관이 결합하는 온수유입구와 냉수공급관이 결합하는 냉수유입구 및 연결배관이 결합하는 혼합수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온수공급관과 상기 냉수공급관은 엘보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쪽 끝이 선반에 장착되는 배관 어댑터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한 쌍의 엘보 관과 이들 사이에 결합하는 하나의 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엘보 관과 상기 직관 개재되는 패킹에 의해 상기 엘보 관은 상기 직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의 혼합 및 혼합수의 방향전환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조립시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선반에 결합하기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누수가 발견되더라도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와 배관의 연결을 뺏다가 끼우는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점검할 수 있어 누수 검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조의 카트리지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선반에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도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부품의 가짓수가 줄어들고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결합 키를 카트리지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 블록의 관통구멍에 끼움으로써 온수공급관, 냉수공급관 및 연결배관을 출입포트에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다.
또한, 온수공급관과 냉수공급관을 엘보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배관 어댑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의 출입포트와 선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배관을 이용하여 거리 조정을 할 수 있어 혼합용 카트리지와 전환용 카트리지 사이의 설치 공차를 수용할 수 있어 조립성이 좋다.
도 1은 선반형 수전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선반형 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선반형 수전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수전장치용 어댑터를 나타낸다.
도 5a는 변형된 어댑터를 보여준다.
도 6은 온수와 냉수공급관 및 연결배관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선반형 수전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선반형 수전장치는, 잘 알려진 것처럼, 선반(10)을 구비하는데 내부에 수전장치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이 벽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이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반(10)의 전면에는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카트리지(이하, '혼합용 카트리지'라 함)와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전환하는 카트리지(이하, '전환용 카트리지'라 함)가 돌출되며, 각각 레버(20, 30)가 결합된다.
혼합용 카트리지는 레버(20)에 의해 조정되어 유입되는 온수와 냉수의 혼합 비율이 조정되고, 전환용 카트리지는 레버(30)에 의해 혼합용 카트리지로부터 유입되는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전환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카트리지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하나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의 혼합 및 혼합수의 방향전환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카트리지의 제조 원가가 감소하고, 카트리지에 배관을 연결시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2는 선반형 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선반형 수전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카트리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수전장치용 어댑터를 나타낸다.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밸브조립체(미도시)가 구비된 단일의 몸체(210), 몸체(210)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조작축(220), 및 몸체(210)의 후단에 밸브조립체와 연통하고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출입포트(2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출입포트(240)는, 잘 알려진 것처럼, 온수공급관(41)이 끼워지는 온수유입구(241), 냉수공급관(42)이 끼워지는 냉수유입구(242) 및 양 카트리지(20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43)의 일단이 끼워지는 혼합수 배출구(243)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후방 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혼합용 카트리지와 전환용 카트리지가 모두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어 각 카트리지에 배관만 연결하면 기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선반에 설치하기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누수가 발견되더라도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와 배관의 연결을 뺏다가 끼우는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점검할 수 있어 누수 검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상기한 것처럼, 종래에는 카트리지 몸체를 카트리지 하우징과 결합하는 것으로는 기밀 상태가 되지 않아 필연적으로 선반에 설치한 후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견되면 다시 선반에서 해체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210) 후단에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 및 혼합수 배출구(243)가 삼각형상으로 배치되고, 삼각형상의 배치 중앙을 가로질러 관통구멍(213)이 형성된 결합 블록(212)이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관통구멍(213)의 직경은 적절하게 조정됨으로써,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 및 혼합수 배출구(243)와 관통구멍(213)을 연결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며,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온수유입구(241)와 개구(241a) 및 온수공급관(41)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온수공급관(41)의 끝 부분에 인접하여 온수공급관(41)의 외면을 따라 결합 홈(41a)이 형성되어 온수공급관(41)이 온수유입구(241)에 끼워지면 결합 홈(41a)과 개구(241a)가 서로 대향하게 된다. 이를 냉수공급관(42)과 연결배관(43)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하여 모든 관을 출입포트(240)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결합 블록(212)의 관통구멍(213)에 결합 키(250)를 끼우면 결합 키(250)의 일부가 개구(241a)를 통하여 노출되어 결합 홈(41a)에 끼워진다.
그 결과, 결합 키(250)가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연결배관(43)의 결합 홈 모두에 끼워져 각 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지 결합 키(250)를 끼움으로써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연결배관(43)을 출입 포트(240)에 고정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어댑터(100)는 통 형상의 단일의 몸체(110)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카트리지(200)가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몸체(110)의 후단에 개구(130)가 형성되는데 카트리지(200)의 온수유입구(241), 냉수유입구(242) 및 혼합수 배출구(243)의 각 윤곽이 합친 윤곽의 형상으로 개구(130)가 형성된다.
개구(130)의 크기는 몸체(110)의 후단의 크기에 비해 작기 때문에 후단에서 개구(130)를 제외한 부분은 차단벽(111)이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카트리지(200)가 어댑터(100)에 수납될 때, 카트리지(200)의 온수유입구(241), 냉수유입구(242) 및 혼합수 배출구(243)만 개구(130)를 통하여 돌출되고 카트리지(200)의 몸체(210)는 어댑터(100)의 차단벽(111)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어댑터(100)의 몸체(110)의 전단의 내면에는 나사부(114)가 형성되어 카트리지 너트(26)에 나사 결합하고, 전단의 외면에는 나사부(112)가 형성되어 커버 링(24)에 나사 결합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너트(26)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측면의 나사가 어댑터(100)의 나사부(114)와 나사 결합하면서 밑면은 카트리지(200)의 전단을 누르게 된다. 또한, 커버 링(24)은 내부에 형성된 나사가 어댑터(100)의 나사부(112)와 나사 결합하면서 선반(10)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어댑터(100)의 몸체(110)의 나사부(112)에 인접한 후방에서 서로 반대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토퍼(120)가 돌출 형성되어 선반(10)에 가압 접촉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어댑터(100)의 스토퍼(120)와 커버 링(24)에 의해 선반(10)의 두께방향으로 선반(10)을 파지함으로써 선반(10)과 결합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커버 링(24)을 어댑터(100)에 결합하는 구조를 예로 들고 있는데, 커버 링(24)을 직접 선반(10)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취부하는 경우 어댑터(100)의 몸체(110)의 외면에 나사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가령, 도 5a를 참조하면, 어댑터(100)의 몸체(110)의 내면에만 나사부(114)를 형성하여 카트리지 너트(26)가 결합되도록 하고 원형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120)에 결합구멍(122)을 형성하여 선반(10)의 내부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커버 링(26)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커버 링(26)의 구조를 상기한 결합에 적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선반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카트리지(200)와 혼합수의 방향을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카트리지를 준비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혼합용 카트리지(200)에 대해서만 설명하는데, 전환용 카트리지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카트리지(200)를 각각 동일한 구조의 어댑터(100)에 끼운 다음, 전방으로부터 카트리지 너트(26)를 끼우고 돌려서 어댑터(100)의 전단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114)와 결합시켜 카트리지 유닛(300)을 만든다.
이어,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을 각각 어댑터(100)의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에 끼워 기밀 결합하고 연결파이프(43)의 일단을 어댑터(100)의 혼합수 배출구(243)에 기밀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전환용 카트리지에도 배관을 연결하고, 연결파이프(43)의 타단을 전환용 카트리지에 기밀 결합한다.
여기서, 혼합수 배출구(243)가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같이 후방 쪽으로 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파이프(43)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것처럼,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연결배관(43)을 출입 포트(240)에 끼운 다음, 결합 블록(212)의 관통구멍(213)에 결합 키(250)를 끼워 온수공급관(41)과 냉수공급관(42) 및 연결배관(43)을 출입 포트(240)에 장착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 유닛(300)의 카트리지(200)에 다수의 배관(41, 42, 43)이 연결되어 하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대해 누수 검사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카트리지(200)를 선반(10)에 결합하기 전에 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누수가 발견되더라도 카트리지(200)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200)와 배관(41, 42, 43)의 연결을 뺏다가 끼우는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점검할 수 있어 누수 검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어댑터(100)의 전단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112)가 선반(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어댑터(100)를 관통구멍에 끼운다. 이때, 어댑터(100)의 스토퍼(120)가 선반(10)의 전면 벽에 접촉하면서 어댑터(100)가 더이상 관통구멍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 링(24)을 돌출된 어댑터(100)의 나사부(112)와 나사 결합하여 조이면 선반(10)의 전면 벽을 개재하여 어댑터(100)와 커버 링(24)이 결합하여 카트리지 유닛(300)이 선반(10)에 고정된다.
이후, 레버(20)를 너트(21)를 이용하여 카트리지(200)의 조작축(220)에 고정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도 6(a)과 6(b)은 온수와 냉수공급관 및 연결배관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온수공급관(141)과 냉수공급관(142)은 각각 엘보 형상으로 일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카트리지(200)의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에 끼워지고 타단은 선반(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대향하게 된다.
선반(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는 배관 어댑터(152)가 끼워져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고 배관 어댑터(152)에는 로크 너트(151)가 결합하여 배관 어댑터(152)가 선반(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온수공급관(141)과 냉수공급관(142)을 각각 카트리지(200)의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에 끼운 다음, 선반(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배관 어댑터(152)를 끼워 온수유입구(241)와 냉수유입구(242)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이 쉽고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6(b)을 참조하면, 연결배관(143)은 한 쌍의 엘보 관(143a)과 이들 사이에 결합하는 하나의 직관(143b)으로 구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엘보 관(143a)과 직관(143b) 사이에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이 개재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직관(143b)의 양단에 결합한 엘보 관(143a)이 이들 사이에 개재된 패킹 때문에 직관(143b)에 대해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어 혼합용 카트리지와 전환용 카트리지 사이의 설치 공차를 수용할 수 있어 조립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24: 커버 링
26: 카트리지 너트
100: 어댑터
111: 차단벽
112, 114: 나사부
120: 스토퍼
130: 개구
200: 카트리지
210: 몸체
220: 조작축
240: 출입포트
241: 온수유입구
242: 냉수유입구
243: 혼합수 배출구

Claims (7)

  1. 삭제
  2.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조작축,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상기 밸브조립체와 연통하고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출입포트로 구성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출입포트가 후단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규제하고 상기 조작축이 돌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출입포트는 온수유입구와 냉수유입구 및 혼합수 배출구가 삼각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배치의 중앙을 가로질러 관통구멍이 형성된 결합 블록이 상기 카트리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온수유입구와 상기 냉수유입구 및 상기 혼합수 배출구와 상기 관통구멍을 연결하는 개구가 상기 결합 블록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는 결합 키가 끼워져 상기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
  3. 삭제
  4. 청구항 2에서,
    상기 카트리지 너트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측면의 나사가 상기 어댑터와 나사 결합하면서 밑면이 상기 카트리지의 전단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
  5. 청구항 2에서,
    상기 어댑터의 전단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면의 나사부의 후방에 인접하여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내면의 나사부는 상기 카트리지 너트와 결합하며,
    상기 외면의 나사부는 커버 링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장착되는 구조물의 벽체의 한 면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 링은 상기 벽체의 반대 면을 가압하여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
  6. 청구항 2에서,
    상기 어댑터의 전단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에 인접하여 외면으로부터 원형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내면의 나사부는 상기 카트리지 너트와 결합하며,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통해 커버 링과 스크류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장착되는 구조물의 벽체의 한 면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 링은 상기 벽체의 반대 면을 가압하여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
  7.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조립체를 구동하는 조작축,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상기 밸브조립체와 연통하고 후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출입포트로 구성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출입포트가 후단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전단에서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규제하고 상기 조작축이 돌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출입포트는 온수공급관이 결합하는 온수유입구와 냉수공급관이 결합하는 냉수유입구 및 연결배관이 결합하는 혼합수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온수공급관과 상기 냉수공급관은 엘보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쪽 끝이 선반에 장착되는 배관 어댑터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연결배관은 한 쌍의 엘보 관과 이들 사이에 결합하는 하나의 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엘보 관과 상기 직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에 의해 상기 엘보 관은 상기 직관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용 카트리지 유닛.
KR1020180151446A 2018-04-16 2018-11-29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KR102074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90 2018-04-16
KR20180043790 2018-04-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930A Division KR102097601B1 (ko) 2020-01-07 2020-01-07 수전장치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89A KR20190120689A (ko) 2019-10-24
KR102074188B1 true KR102074188B1 (ko) 2020-02-06

Family

ID=6842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446A KR102074188B1 (ko) 2018-04-16 2018-11-29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664B1 (ko) * 2020-11-02 2022-10-06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674A (ja) 2005-05-24 2006-12-07 Kvk Corp 水栓の接続構造
KR101568957B1 (ko) * 2015-02-13 2015-11-12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도기선반을 갖는 샤워 수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46B1 (ko) * 2006-10-02 2008-09-19 이형우 수전금구
KR101416947B1 (ko) * 2012-09-17 2014-08-06 이재춘 벽붙이 온냉수 혼합꼭지
KR20140002188U (ko) * 2012-10-09 2014-04-17 이재춘 조립이 용이한 온냉수 혼합꼭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674A (ja) 2005-05-24 2006-12-07 Kvk Corp 水栓の接続構造
KR101568957B1 (ko) * 2015-02-13 2015-11-12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도기선반을 갖는 샤워 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89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601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US8490894B2 (en) Multi-function shower head structure
US5871032A (en) Diverter valve assembly for control of multiple discharge in a mixing faucet
RU2684850C2 (ru) Двойной четырехлинейный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лапан
KR102074188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US20190001350A1 (en) Flow control component and shower
US6047722A (en) Plurality of sanitary mixer fittings
US10935157B2 (en) Low profile faucet handle assembly for a roman tub
KR20150134288A (ko) 모듈식 밸브 시스템
KR102247975B1 (ko) 수전박스
KR20210029091A (ko)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직렬 연결 호스의 분출 방지 커넥터 구조
WO2022131672A1 (ko) 원 홀 수전 조립체의 씰링구조
DK1692349T3 (en) Built-in device for sanitary fittings
KR100570344B1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EP3556949B1 (e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water outlet valve and an outlet valve
KR102179546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CN108458135B (zh) 拉出式龙头水路切换控制机构
CN210687092U (zh) 淋浴装置、水龙头机构及通路切换组件
AU2019261680B2 (en) Mixer Test Cartridge
JP2020023822A (ja) 水栓装置
KR200330928Y1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CN214305400U (zh) 一种厨房龙头
KR102252683B1 (ko) 수전 내 카트리지 결합구조
CN114321421B (zh) 一种阀
CN210716122U (zh) 一种具有多级防水结构设计的暗藏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