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564A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564A
KR20130125564A KR1020120049191A KR20120049191A KR20130125564A KR 20130125564 A KR20130125564 A KR 20130125564A KR 1020120049191 A KR1020120049191 A KR 1020120049191A KR 20120049191 A KR20120049191 A KR 20120049191A KR 20130125564 A KR20130125564 A KR 2013012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faucet
peripheral surfa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riority to KR102012004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564A/ko
Publication of KR2013012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꼭지(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콘크리트 매설되어질 냉수공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로 매설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간소한 구조를 통해 냉/온수공급배관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온수공급배관과 동일축선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해진 간격 내에서 최단거리로 연결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w)에 설치되어, 벽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선택적 또는 혼합 공급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수온/수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가 내설되고, 일측 단에 냉/온수유입구(1a,1b)가 마련된 수도꼭지본체(1); 벽면(w)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냉/온수공급배관(C,H)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대칭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구1,2(10a,10b);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는 니플(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꼭지{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꼭지(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콘크리트 매설되어질 냉수공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로 매설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간소한 구조를 통해 냉/온수공급배관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냉/온수공급배관과 수도꼭지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구1,2와 수도꼭지본체 부분이 동일축선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해진 간격 내에서 최단거리로 연결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Water Supply Valve)는 냉/온수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수도꼭지는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거나, 욕실(목욕탕 포함)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여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도꼭지(a)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하우징(b)의 내부에 밸브카트리지(c)를 구비하고, 수도밸브하우징(b)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d)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카트리지(c)를 개폐 동작시켜, 상기 배출구(e)로 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설계 변경에 따라서는 샤워기 호스가 배출구(e) 또는 수도밸브하우징(b)에 더 연결될 수도 있음.)
이때, 상기 수도밸브하우징(b)은 양측 단에 암수 나사(일측 단에 결합된 너트와 타측 단 외주면의 나사탭)가 마련되고 내부가 연통된 "S"자 타입의 연결암(f)을 통해, 벽면에 매설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배관(C,H)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암(f)과 냉/온수공급배관(C,H)의 연결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엘보우 타입의 연결구(g, h; 커넥터)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도꼭지(a)의 연결구(g,h)는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에 각각 연결되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높이 차이 내지는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여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a)가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된 상태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g,h)가 높이 차이 내지는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서로 독립된 별개의 물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시공시 높이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냉/온수공급배관(C,H)이 기울어지는 등 유동에 의해서 일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 수도꼭지(a)는 설치 폭(W ; 통상 120mm ~ 150mm)이 넓어 한정된 벽면의 활용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 벽면(w)에 콘크리트 매설되어질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로 매설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간소한 구조를 통해 냉/온수공급배관(C,H)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냉/온수공급배관(C,H)과 수도꼭지본체(1)를 연결하는 연결구1,2(10a,10b)와 수도꼭지본체(1) 부분이 동일축선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해진 간격 내에서 최단거리로 연결된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벽면(w)에 설치되어, 벽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선택적 또는 혼합 공급하는 수도꼭지(100)에 있어서, 수온/수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가 내설되고, 일측 단에 냉/온수유입구(1a,1b)가 마련된 수도꼭지본체(1); 벽면(w)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냉/온수공급배관(C,H)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대칭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구1,2(10a,10b);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는 니플(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연결구1,2(10a,10b)가 벽면(w)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냉/온수공급배관(C,H)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벽면(w)에 매설되는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을 작업자가 높이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등 유동에 의해서 간격 즉, 상호 간의 설치 폭이 사전에 설계된 치수 또는 규격에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종래 메니폴드가 설치되어질 매립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매립박스를 별도로 매설시키는 복잡한 구조를 배제하고, 연결구1,2(10a,10b) 자체가 매설 고정되면서 수도꼭지본체(1)와 냉/온수공급배관(C,H)을 연결시킴으로써, 간소한 구조 내지 구성을 통해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와 수도꼭지본체(1)를 니플(14)을 통해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소정(설계에 따라)의 정해진 간격 내에서 최단거리로 즉, 일직선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향상된 효과를 통해 통상의 "S"자형 연결암을 적용할 때보다 내부에 물때가 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에 니플(14)이 일체로 마련될 경우, 별도의 부품없이 직접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에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도꼭지본체(1)가 벽면(w)으로부터 심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최대한 근접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도꼭지본체(1) 전체가 벽면(w)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설치 공간을 넓게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15)의 내주면 중간 부분에 수도꼭지본체(1)의 본체 외주면의 나사탭에 대응하는 나사탭이 마련됨으로써, 수도꼭지본체(1)의 결합 고정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도꼭지 전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15)의 일측 단이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나선회전 결합없이도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설치의 용이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부 구성 및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 냉/온수공급배관과 연결구와 니플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중 연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중 니플의 결합 고정에 따른 다른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중 커버의 결합 고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설치되어, 벽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선택적 또는 혼합 공급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수온/수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가 내설되고, 일측 단에 냉/온수유입구(1a,1b)가 마련된 수도꼭지본체(1); 벽면(w)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냉/온수공급배관(C,H)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대칭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구1,2(10a,10b);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는 니플(14);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수도꼭지본체(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 조작레버에 의해 냉/온수의 흐름 경로가 개폐조절되는 밸브카트리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는 밸브카트리지의 일측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밸브카트리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1,2(10a,10b) 및 니플(14)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는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멍 또는 냉/온수유입구멍에 결합된 파이프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가 파이프체일 경우, 일측 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도꼭지본체(1)에 연결을 위해 나사탭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플랜지가 마련되어, 상기 니플(14)과 연결시키는 너트가 끼워져서 된 파이프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의 설치 최대 폭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도꼭지본체(1)의 지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구1,2(10a,10b)는 절곡된 엘보우 타입 또는 일직선 타입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체로 이루어지되, 상호 대칭으로 접한 상태에서 나사조립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결합체(11)가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마련되고, 이의 타측 외주면에는 벽면(w)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면을 제공하는 고정체(12)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체(11)는 연결구1(10a)과 연결구2(10b)가 대칭으로 접하는 부분에 상하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호 면접하는 나사 결합용 브래킷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12)는 전면 방향으로 고정면이 형성된 거푸집에 대한 나사 결합용 브래킷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는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2(10a,10b)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3)는 연결구1,2(10a,10b) 각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나사산)일 수도 있고,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2(10a,10b)의 양단 선단부 또는 일측 선단부가 직경이 작은 상태로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된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나사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10a)과 연결구2(10b)의 간격은 예시적으로 5mm ~ 15mm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1(10a)과 연결구2(10b) 중심의 간격은 예시적으로 30mm ~ 50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가 엘보우 타입일 경우, 절곡된 각도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의 시공 상태 및 벽면의 두께 정도에 따라서 90도 이상 160도 이하의 각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니플(14)은 양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각각 연결구1,2(10a,10b)와 냉/온수유입구(1a,1b) 각각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나사탭(나사산)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플(14)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연결구1,2(10a,10b)와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냉/온수유입구(1a,1b)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한 쌍의 패킹(14a)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관통하는 무드 볼트와 같은 나사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플(14)은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되, 일직선으로 연결시키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일측 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너트의 공차에 의한 유격 즉, 오차범위를 보상하는 범위 내에서 일직선을 벗어나서 어긋나게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동일축선상은 수평면상 또는 수직면상에서의 동일축선상이며, 일직선은 이러한 동일축선상에서 최단거리로 연결시키는 일직선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최단거리는 사전에 설계된 수도꼭지본체(1)의 일측 단과 연결구1,2(10a,10b)의 일측 단 사이의 정해진 간격을 최단거리로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니플(14)의 어긋나게 연결시키는 형태는 상기 동일축선상에서 플랜지와 너트의 공차에 의한 유격 즉, 오차범위 내로 비스듬히 연결시키는 것일 수도 있고, 오차범위 내에서 미세하게 절곡된 것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수도꼭지본체(1)의 일측 단 외주면 부분에 결합되면서 벽면(w)에 위치하는 연결구1,2(10a,10b)의 연결상태를 감싸서 차단하는 커버(1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15)는 벽면 방향의 직경이 큰 나팔형 캡으로서, 중간 내주면에는 수도꼭지본체(1)의 외주면 부분에 마련된 나사탭과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되, 회전 결합 정도에 따라 벽면(w) 부분에 견고히 밀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15)는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방향의 직경이 큰 나팔형 캡으로서,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단부 내경에는 수도꼭지본체(1) 방향으로 탄발압력을 제공하는 탄발환테(15a)가 마련되고, 중간 부분의 내주면에는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환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도꼭지본체(1)는 원형 또는 타원 또는 다각형의 볼록체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 조작레버에 의해 냉/온수의 흐름 경로가 개폐조절되는 밸브카트리지가 마련되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는 밸브카트리지의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밸브카트리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나란히 일직선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는 일측 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도꼭지본체(1)에 연결을 위해 나사탭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플랜지가 마련되어, 상기 니플(14)과 연결시키는 너트가 끼워져서 된 파이프체이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구1,2(10a,10b)는 절곡된 엘보우 타입 또는 일직선 타입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체로 이루어지되, 상호 대칭으로 접한 상태에서 나사조립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결합체(11)가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마련되고, 이의 타측 외주면에는 벽면(w)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면을 제공하는 고정체(12)가 마련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체(11)는 연결구1(10a)과 연결구2(10b)가 대칭으로 접하는 부분에 상하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호 면접하는 나사 결합용 브래킷이고, 상기 고정체(12)는 전면 방향으로 고정면이 형성된 거푸집에 대한 나사 결합용 브래킷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는 양단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3)는 연결구1,2(10a,10b) 각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나사산)이거나, 연결구1,2(10a,10b)의 양단 선단부 또는 일측 선단부가 직경이 작은 상태로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된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나사산) 중 어느 하나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니플(14)은 양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각각 연결구1,2(10a,10b)와 냉/온수유입구(1a,1b) 각각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나사탭이 형성된 것이거나, 일측 단부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연결구1,2(10a,10b)과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냉/온수유입구(1a,1b)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한 쌍의 패킹(14a)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관통하는 무드 볼트와 같은 나사체에 의해 고정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니플(14)은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되 일직선으로 연결시키거나,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일측 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너트의 공차에 의한 유격 즉, 오차범위를 보상하는 범위 내에서 일직선을 벗어나서 어긋나게 연결시키기도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수도꼭지본체(1)의 일측 단 외주면 부분에 결합되면서 벽면(w)에 위치하는 연결구1,2(10a,10b)의 연결상태를 감싸서 차단하는 커버(15)가 더 마련되며, 상기 커버(15)는 벽면 방향의 직경이 큰 나팔형 캡으로서, 중간 내주면에는 수도꼭지본체(1)의 외주면 부분에 마련된 나사탭과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되, 회전 결합 정도에 따라 벽면(w) 부분에 견고히 밀착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15)는 벽면 방향의 직경이 큰 나팔형 캡으로서,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단부 내경에는 수도꼭지본체(1) 방향으로 탄발압력을 제공하는 탄발환테(15a)가 마련되고, 중간 부분의 내주면에는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환턱이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1,2(10a,10b)의 일측 단, 즉, 하단부분을 벽면(w)에 매설되어질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결합시킨 후, 각각의 결합체(11)를 면접시킨 상태에서 나사로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화한다.
이러한 상태로 일체화된 연결구1,2(10a,10b)의 양단에 돌출된 고정체(12)를 거푸집(미도시)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된 벽면(w)은 타일 또는 기타 내장재로 마감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상단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벽면(w)에 타설되는 상기 연결구1,2(10a,10b)의 상단부에 마련된 결합부재(13)에 니플(14)을 결합시키고, 니플(14)의 타측 단에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를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니플(14)의 외주면 양단에 나사탭이 형성될 경우에는 연결구1,2(10a,10b)의 내주면과 냉/온수유입구(1a,1b)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각각 결합되고, 상기 니플(14)의 내주면 양단에 나사탭이 형성될 경우에는 연결구1,2(10a,10b)의 외주면과 냉/온수유입구(1a,1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각각 결합된다.
상기에서, 냉/온수유입구(1a,1b)가 니플(14)과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커버(15)가 수도꼭지본체(1)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냉/온수유입구(1a,1b)가 니플(14)과 결합시킨 후 커버(15)를 벽면 방향으로 밀어서 각각의 나사탭을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마무리한다.
또한, 상기 커버(15)의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단부에 탄발환테(15a)가 마련된 경우에는 탄발환테(15a)가 수도꼭지본체(1) 방향으로 탄발압력을 제공하여 제공되는 압력으로 수도꼭지본체(1)에 타이트하게 고정되어진다.
종합적으로 요약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은 연결구1,2(10a,10b)가 벽면(w)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냉/온수공급배관(C,H)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벽면(w)에 매설되는 냉수공급배관(C)과 온수공급배관(H)을 작업자가 높이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등 유동에 의해서 간격 즉, 상호 간의 설치 폭이 사전에 설계된 치수 또는 규격에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니폴드가 설치되어질 매립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매립박스를 별도로 매설시키는 복잡한 구조를 배제하고, 연결구1,2(10a,10b) 자체가 매설 고정되면서 수도꼭지본체(1)와 냉/온수공급배관(C,H)을 연결시킴으로써, 간소한 구조 내지 구성을 통해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와 수도꼭지본체(1)를 니플(14)을 통해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소정(설계에 따라)의 정해진 간격 내에서 최단거리로 즉, 일직선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향상된 효과를 통해 통상의 "S"자형 연결암을 적용할 때보다 내부에 물때가 끼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1,2(10a,10b)에 니플(14)이 일체로 마련될 경우, 별도의 부품없이 직접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에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도꼭지본체(1)가 벽면(w)으로부터 심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최대한 근접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도꼭지본체(1) 전체가 벽면(w)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설치 공간을 넓게 차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15)의 내주면 중간 부분에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의 나사탭에 대응하는 나사탭이 마련됨으로써, 커버(15)와 수도꼭지본체(1)의 결합 고정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도꼭지 전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15)의 일측 단이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나선회전 결합없이도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설치의 용이함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 수도꼭지본체 1a,1b : 냉/온수유입구
10a,10b : 연결구1,2 11,12 : 결합체, 고정체
13 : 결합부재 14 : 니플
14a : 패킹 15 : 커버
15a : 탄발환테 C,H : 냉/온수공급배관

Claims (12)

  1. 벽면(w)에 설치되어, 벽에 매설된 냉/온수공급배관(C,H)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선택적 또는 혼합 공급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수온/수량을 조절하는 밸브카트리지가 내설되고, 일측 단에 냉/온수유입구(1a,1b)가 마련된 수도꼭지본체(1); 벽면(w)에 매설되는 냉/온수공급배관(C,H)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냉/온수공급배관(C,H)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대칭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구1,2(10a,10b);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는 니플(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는 밸브카트리지의 일측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밸브카트리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1,2(10a,10b) 및 니플(14)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는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멍 또는 냉/온수유입구멍에 결합된 파이프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의 설치 최대 폭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도꼭지본체(1)의 지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2(10a,10b)는 절곡된 엘보우 타입 또는 일직선 타입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체로 이루어지되, 상호 대칭으로 접한 상태에서 나사조립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결합체(11)가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마련되고, 이의 타측 외주면에는 벽면(w)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면을 제공하는 고정체(12)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2(10a,10b)는 연결구1,2(10a,10b)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공급배관(C)과 냉수유입구(1a) 및 온수공급배관(H)과 온수유입구(1b)를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3)는 연결구1,2(10a,10b) 각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 또는 상기 연결구1,2(10a,10b)의 양단 선단부 또는 일측 선단부가 직경이 작은 상태로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된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사탭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4)은 양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각각 연결구1,2(10a,10b)와 냉/온수유입구(1a,1b)와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4)은 일측 단부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연결구1,2(10a,10b)와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냉/온수유입구(1a,1b)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한 쌍의 패킹(14a)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관통하는 나사체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4)은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냉/온수유입구(1a,1b)와 연결구1,2(10a,10b) 각각을 동일축선상으로 연결시키되, 일직선으로 연결시키거나, 상기 냉/온수유입구(1a,1b)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일측 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너트의 공차에 의한 유격 즉, 오차범위를 보상하는 범위 내에서 일직선을 벗어나서 어긋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본체(1)의 일측 단 외주면 부분에 결합되면서 벽면(w)에 위치하는 연결구1,2(10a,10b) 부위의 연결상태를 감싸서 차단하는 커버(15)가 더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는 벽면 방향의 직경이 큰 나팔형 캡으로서, 중간 내주면에는 수도꼭지본체(1)의 외주면 부분에 마련된 나사탭과 결합시키는 나사탭이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되, 회전 결합 정도에 따라 벽면(w) 부분에 견고히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는 벽면 방향의 직경이 큰 나팔형 캡으로서,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단부 내경에는 수도꼭지본체(1) 방향으로 탄발압력을 제공하는 탄발환테(15a)가 마련되고, 중간 부분의 내주면에는 수도꼭지본체(1) 외주면과 접하는 환턱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KR1020120049191A 2012-05-09 2012-05-09 수도꼭지 KR20130125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191A KR20130125564A (ko) 2012-05-09 2012-05-09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191A KR20130125564A (ko) 2012-05-09 2012-05-09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64A true KR20130125564A (ko) 2013-11-19

Family

ID=4985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191A KR20130125564A (ko) 2012-05-09 2012-05-09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5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46B1 (ko) * 2019-06-10 2020-11-17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46B1 (ko) * 2019-06-10 2020-11-17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157B2 (en) Low profile faucet handle assembly for a roman tub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GB2435077A (en) radially adjustable joint for pipe connections to mixer taps
KR102062336B1 (ko) 냉온수 혼합수전
KR20130125564A (ko) 수도꼭지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US10767351B2 (en) Plumbing fixtures
US20120292901A1 (en) Plumbing fitting
JP3708847B2 (ja) 水栓
JP2010107024A (ja) 管接続具
KR20140000140A (ko) 벽붙이 수전
JP7457451B2 (ja) 管部材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CN113396301A (zh) 用于卫生转换配件的流体分配器单元
CN205331540U (zh) 一种预埋式面盆龙头
WO2017103566A1 (en) Plumbing fixtures
JP2019082077A (ja) 水栓
EP3505690B1 (en) Vertical faucet water distribution device
RU217315U1 (ru) Смеситель для умывальника
CN211715873U (zh) 旋转式角阀
JP7146549B2 (ja) 混合水栓
KR20120095077A (ko) 벽면설치용 수전
JPH08232309A (ja) 湯水混合栓
US10921832B2 (en) Hot water valve with integral thermostatic mixing cartridge
AU2017100675A4 (en) Improved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